KR0173428B1 -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428B1
KR0173428B1 KR1019960009318A KR19960009318A KR0173428B1 KR 0173428 B1 KR0173428 B1 KR 0173428B1 KR 1019960009318 A KR1019960009318 A KR 1019960009318A KR 19960009318 A KR19960009318 A KR 19960009318A KR 0173428 B1 KR0173428 B1 KR 0173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s
control
signal
information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884A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428B1/ko
Priority to US08/802,199 priority patent/US6104360A/en
Publication of KR970062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09G1/165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using a CRT,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1/167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CR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여기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모니터 기능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저생산가의 모니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모니터 기능들을 조정하는 기능 조정 회로(20)와, 수직 수평 동기 신호들을 동일한 극성을 갖는 신호들로 변환하는 극성 변환 회로(30), 클럭이 합성된 R 신호와 제어 데이터가 합성된 B 신호들의 직류 바이어스를 일정하게 조정하는 바이어스 조정회로(40), 비디오 신호들로부터 클럭 신호 및 제어 정보 신호를 추출해 내는 신호 추출 회로(50) 및,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아 기능 조정 회로(20)를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60)로 구성되는 모니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키보드와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모니터 표시 기능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입력하면, 컴퓨터(1)는 R, G, 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에 클럭 신호(CLK1)를, 다른 하나에는 제어 정보 신호(DATA)를 각각 합성하여 비디오 신호선(VGA 케이블)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모니터 제어 장치로 제공하고, 마이크로컨트롤러(60)는 제어 정보 신호(DATA) 및 컨트롤 패널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에 따라서 모니터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한다. 이로써 RS232C 인터페이스 회로와 케이블이 불필요하며, 사용자가 모니터의 프론트 컨트롤 패널이나 컴퓨터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모니터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모니터 제어 방식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바이어스 조정 회로 및 신호 추출 회로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제어 동작을 보여주는 흐름도.
제5도는 제3도의 회로에서 클럭과 제어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컴퓨터 2 : 모니터
3 : RS232C 케이블 4 : VGA 케이블
10 : 음극선관 20 : 기능 조정 회로
21 : 수평 수직 편향 회로 22 : 디가우스 회로
23 : 비디오 증폭 회로 24 : 비디오 OSD 믹서
25 : 비디어 컷 오프 회로 30 : 극성 변환 회로
40 : 바이어스 조정 회로 50 : 신호 추출 회로
51, 52 : 비교기 60 : 마이크로컨트롤러
C1∼C2 : 커패시터 R1∼R8 : 저항
V1, V2 : 전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personal computer system)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호스트(host)인 컴퓨터와 접속되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의 정보를 화면(screen)상에 표시하는 모니터(monitor)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의 문제점]
통상적으로, 퍼스널 컴퓨터(1)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2)가 접속되며, 사용자는 이 모니터(2)를 통하여 컴퓨터(1)가 처리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컴퓨터(1)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정보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모니터(2)의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의 각 기능(function)들을 조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모니터(1)의 기능 제어를 위해, 종래에는, 컴퓨터(1) 내부에 장착된 RS232C 포트에 의해, 제어정보가 케이블(RS232C 케이블)(3)을 통해 모니터(2)로 전달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컴퓨터(1)로부터의 영상 및 제어 정보들이 모니터(2)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컴퓨터(1)와 모니터(2)를 연결하는 2개의 케이블이 필요하며, 그들 중 하나는 모니터(2)의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RS232C 케이블(3)이고, 다른 하나는 비디오 신호의 전달을 위한 VGA(video graphics array) 케이블(4)이다.
한편, 예컨대, 콘트라스트(contrast), 휘도(brightness), 수직/수평 크기(horizontal/vertical size), 수평/수직 위치(horizontal/vertical position), 수직선형성(vertical linearity), 수평/수직 포커스(horizontal/vertical focus), 디가우스(degauss), 비디오 컷 오프( video cutoff), 비디오 이득(video gain), 틸트(tilt), 평행도(parallelogram), 사다리꼴 왜곡(trapezoid) 조정, 등과 같은 모니터 기능들 중에서 몇 가지의 기능들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contro penel)이 모니터에 제공되고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은 통상적으로 모니터의 전면에 위치하며, 거기에는 모니터 기능 제어를 위한 버튼(button)들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 버튼들을 누름으로써, 모니터(2)의 표시 기능을 원하는 대로 조정한다.
그러나, 위에서 기술한 종래의 방식에 따르면, 컴퓨터(1)의 RS232C 포트를 사용해야 하고, 모니터(2)의 내부에 RS232C 인터페이스 회로가 설치되어야 하고, 컴퓨터(1)와 모니터(2) 간의 접속을 위한 RS232C 케이블(3)이 반드시 필요한 데, 이것은 생산비 상승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프론트 컨트롤 패널의 버튼들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모니터 기능들이 프론트 컨트롤 패널에 제한적으로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모든 모니터 기능들을 다양하게 제어하는 것이 곤란하다. 특히, 프론트 컨트롤 패널에 제공되지 않는 기능들의 제어를 위해서는, 특정한 장비를 사용해야 하거나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에 의한 다양한 모니터의 각 기능들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모니터의 각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정에 의하면, 비디오 신호들과 수평 수직 동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 선(signal cable)을 통하여 컴퓨터와 모니터가 상호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을 위한 모니터 제어 장치는 : 소정의 다수의 기능 제어 신호(function contro signal ; FCS)들에 응답하여 상기 모니터의 기능들을 각각 조정하는 기능 조정 수단과 ; 상기 동기 신호들을 입력받고, 상기 동기 신호들의 극성들을 소정의 단일 극성으로 각각 변환하는 극성 변환 수단과 ; 상기 비디오 신호들 중에서, 소정의 제1 클럭 신호(clock signal)와 합성된 제1색 신호(color signal)와, 상기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 신호와 합성된 제2색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DC bias voltage)들을 소정의 전압들로 각각 조정하는 바이어스 조정 수단과 ; 이 바이어스 조정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로부터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제어 정보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신호 추출 수단과 ;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기간 동안, 상기 신호 추출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어 정보 신호가 유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들에 각각 대응되는 제2클럭 신호 및 상기 기능 제어 신호(FCS)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신호는, 신호의 시작을 표시하는 제1정보와, 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제2정보와, 제어 값을 표시하는 제3정보 및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 여부를 표시하는 제4정보를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추출 수단은 소정의 기준 레벨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을 각각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추출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극성 변환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들의 극성을 양극성 및 음극성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리딩 엣지(leading edge)에서 상기 제1클럭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기 리딩 엣지로부터 상기 제1클럭의 소정 주기 동안에만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된 상기 제1정보가 소정의 비교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고, 상기 제1정보와 상기 비교정보가 일치할 때 상기 제2 내지 제4정보들을 순차로 읽어 들이며,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클럭 신호 및 상기 기능 제어 신호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능 조정 수단은, 적어도,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2클럭 신호와 소정의 제1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음극선관(CRT)의 수평 및 수직 편향을 조정하는 수평 수직 편향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2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음극선관의 잔류 자계를 제거하는 디가우스 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3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는 비디오 증폭 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4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증폭 회로의 출력들과 자막(On Screen Display ; OSD) 정보를 혼합하는 비디오 OSD 믹서 회로 및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제5기능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비디오 OSD 믹서 회로의 출력 신호들의 DC 레벨들을 각각 조정하는 비디오 컷 오프 회로를 포함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은 각각 R(red) 및 B(blue) 신호들, R 및 G(green) 신호들, B 및 R 신호들, B 및 G 신호들, G 및 R 신호들 및, G 및 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
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들 및 상기 동기 신호들은 컴포지트 신호(composite signal)이고, 상기 컴포지트 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을 각각 분리하여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비디오 신호들과 동기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신호 선을 통하여 컴퓨터와 모니터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의 기능들을 조정하는 기능 조정 수단을 가지는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제어 방법은 : 수직 동기 기간에서, 소정의 제1클럭 신호와 합성된 제1색 신호와, 정보의 시작을 표시하는 제1정보와 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제2정보와 제어 값을 표시하는 제3정보 및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 여부를 표시하는 제4정보를 가지며 모니터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정보 신호와 합성된 제2색 신호로부터 상기 제1클럭 및 제어 정보 신호들을 각각 분리하는 제1단계와 ; 상기 제1정보가 소정의 비교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제1정보가 상기 비교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를 표시하는 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 ; 상기 제2정보 및 상기 제3정보가 유효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에 각각 대응하는 소정의 제2클럭 신호 및 다수의 기능 제어 신호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모니터의 기능들을 각각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은 각각 R 및 B 신호들과, R 및 G 신호들과, B 및 R 신호들과, B 및 G 신호들과, G 및 R 신호들 및, B 및 G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
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무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작용]
상술한 바와 같은 모니터 제어 장치는, 비디오 신호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모니터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므로, 컴퓨터와 모니터는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 회로와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모니터의 프론트 컨트롤 패널이나 컴퓨터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모니터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제2도 내지 제5도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신규한 모니터 제어 장치는, 사용자가 모니터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컴퓨터(1)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컴퓨터로부터 비디오 신호선(VGA 케이블)(4)을 통하여 R 신호에 합성된 클럭 신호와, B 신호에 합성된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는다.
이 모니터 제어 장치는 R, B 신호들과 합성된 상기 클럭 및 제어 정보신호들이 신호 추출 회로(50)에 의해 추출되어서 마이크로컨트롤러(60)로 제공되고, 마이크로컨트롤러(60)가 상기 제어 정보 신호에 대응되는 각종 모니터 기능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제2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니터 제어 장치는 컴퓨터로부터 비디오 신호선(VGA 케이블)(4)을 통하여 R, G, B 신호들과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H-Sync, V-Sync)을 제공받는다. 모니터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조정 회로(20)는, 음극선관(10)의 수평 및 수직 편향을 조정하는 수평 수직 편향 회로(21)와, 음극선관(10)의 잔류 자계를 제거하는 디가우스 회로(22)와, R, G, B 신호들을 각각 증폭하는 비디오 증폭회로(23)와, 비디오 증폭 회로의 출력들과 자막(On Screen Display ; OSD) 정보를 혼합하는 비디오 OSD 믹서 회로(24) 및, 비디오 OSD 믹서회로(24)의 출력 신호들의 DC 레벨들을 각각 조정하는 비디오 컷 오프(video cut off) 회로(25)를 포함하고 있다.
비디오 신호선으로부터 제공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H-Sync, V-Sync)은 극성 변환 회로(30)로 입력되고, 입력된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H-Sync, V-Sync)의 극성들이 하나의 극성(양 또는 음의 극성)으로 각각 변환된다.
비디오 신호선으로부터 제공되는 R 신호와, B 신호는 바이어스 조정회로(40)로 입력되고, 이 바이어스 조정 회로(40)에 의해 상기 R, B 신호들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들이 0V로 각각 조정된다.
바이어스 조정 회로(40)로부터 출력되는 R, B 신호들은 신호 추출 회로(50)로 입력되고, 이 신호 추출 회로(50)에 의해, R, B 신호들로부터 클럭신호(CLK1) 및 제어 정보 및 신호(DATA)를 각각 추출된다.
제3도는 바이어스 조정 회로(40) 및 신호 추출 회로(50)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바이어스 조정 회로(40)는 커패시터들(C1, C2)과 저항들 (R1, R2, R3, R4)로 구성되고, 신호 추출 회로(50)는 저항들(R5, R6, R7, R8) 및 비교기들(51, 52)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 추출 회로(50)는 입력 신호들의 레벨들을 소정의 기준 레벨들과 각각 비교하여 디지털 신호들로 변환한다.
한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어 정보 신호(DATA)는 4바이트의 신호이며, 다음의 표 1과 같은 포맷을 가진다.
표 1을 참조하면, 1번째 바이트는 상기 제어 정보 신호(DATA)의 시작을 표시하는 스타트 코드이고, 2번째 바이트는 제어항목을 표시하는 제어 코드이며, 3번째 바이트는 제어 값을 표시하며, 4번째 바이트는 제어 코드 및 제어값의 유효 여부를 표시하는 체크 섬(check sum)이다.
제어 코드는 제어 항목에 따라서 다음의 표 2와 같은 형태로 지정된다.
예를 들어,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경우 제어 코드는 16진 값 10이 되고, 수평 크기를 조정하는 경우 제어 코드는 16진 값 12가 된다.
마이크로컨트롤러(60)는 극성 변환 회로(30)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레벨이 천이되는 시점에서, 상기 신호 추출 회로(50)로부터 제공되는 제1클럭 신호(CLK1) 및 제어 정보 신호(DATA)를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 정보 신호(DATA)의 체크 섬이 유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1클럭 신호(CLK1) 및 제어 정보 신호(DATA)에 각각 대응되는 제2클럭 신호(CLK2) 및 기능 제어 신호들(FCS1∼FCS5)을 기능 조정 회로(20)로 제공한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컨트롤러(60)의 기능 수행 과정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컨트롤러(60)는 수직 동기 신호(V-Sync)의 리딩 엣지에서(101), 인터럽트 루틴(interrupt routine)에 진입하여, R 신호로부터 분리된 제1클럭 신호(CLK1)를 카운트한다. 이때, 4개의 펄스만을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며, 해당 4개의 펄스 구간 동안에,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럭 신호(CLK1)에 동기적으로 B 신호로부터 분리된 제어 정보신호(DATA)를 읽어 들인다. 이와 같이하여 2번의 연속된 수직 동기기간 동안 1 바이트의 정보를 읽어 들인다(102).
다음, 입력된 제어 정보 신호(DATA)의 스타트 코드가 기억된 소정의 비교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고(103), 그들이 일치할 때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 코드, 제어 값, 체크 섬을 순차로 읽어 들인다(104). 상기 비교 단계(103)에서, 스타트 코드가 제어 정보의 시작을 나타내지 않으면 즉, 기억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입력된 정보를 무시한다(105).
이어, 마이크로컨트롤러(60)는 체크 섬이 제어 코드 및 제어 값의 유효를 표시하는 지를 판별하고(106), 제어 코드 및 제어 값이 유효한 것으로 판정되면 제어 코드 및 제어 값에 각각 대응되는 기능 조정 회로(20)의 파라메터(parameter)들을 조정하기 위한 제2클럭 신호(CLK2) 및 기능 제어 신호들(FCS1∼FCS5)을 발생한다(107, 108). 이로써, 표 2에 나타낸 기능들을 각각 조정하기 위한 수평 수직 편향 회로(21)와, 디가우스 회로(22), 비디오 증폭 회로(23), 비디오 OSD 믹서 회로(24) 및, 비디오 컷오프 회로(25)는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정보 신호(DATA)에 따라서 해당 기능들을 조정하게 된다.
한편, 단계 106에서, 체크 섬이 제어 코드 및 제어 값의 무효를 표시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60)는 읽어들인 제어 코드 및 제어 값을 무시한다(105).
이 예에 있어서는, 컴퓨터가 R 및 B 신호들과 클럭 신호(CLK1) 제어 정보 신호(DATA)가 각각 합성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상기 클럭 신호(CLK1)와 제어 정보 신호(DATA)는 R, G, B 신호들 중 어느 두가지 신호들과 합성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비디오 신호들과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이 분리될 세퍼레이트 신호(separate signal)의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상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은 자신들 끼리 또는 비디오 신호들과 각각 합성된 컴포지트 신호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도의 회로에 합성된 동기 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을 분리하는 회로를 추가하면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로부터 비디오 신호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제어 정보에 따라서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모니터의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므로, RS232C 인터페이스 회로와 케이블이 불필요하며, 사용자가 모니터의 프론트 컨트롤 패널이나 컴퓨터의 입력 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모니터 기능들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5)

  1. 비디오 신호들과 동기 신호들을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을 통하여 컴퓨터(1)와 모니터(2)가 상호 연결되는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제어 장치에 있어서 : 소정의 다수의 기능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모니터의 기능들을 각각 조정하는 기능 조정 수단(20)과 ; 상기 동기 신호들을 입력받고, 상기 동기 신호들의 극성들을 소정의 단일 극성으로 각각 변환하는 극성 변환 수단(30)과 ; 상기 비디오 신호들 중에서, 소정의 제1클럭(CLK1)와 합성된 제1색 신호와, 상기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 신호(DATA)와 합성된 제2색 신호를 각각 입력받고,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의 직류 바이어스 전압들을 소정의 전압들로 각각 조정하는 바이어스 조정 수단(40)과 ; 상기 바이어스 조정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로부터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각각 추출하는 신호 추출 수단(50)과 ;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기간 동안, 상기 신호 추출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상기 제어 정보 신호가 유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1클럭 및 제1 제어 정보 신호에 각각 대응되는 소정의 제2클럭(CLK2) 및 상기 기능 제어 신호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하는 제어 수단(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조정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의 상기 직류 바이어스 전압들을 0V로 각각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신호는, 상기 제어 정보 신호의 시작을 표시하는 제1정보와, 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제2정보와, 제어 값을 표시하는 제3정보 및,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 여부를 표시하는 제4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추출 수단은, 소정의 기준 레벨 신호들과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을 각각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변환 수단은, 상기 동기 신호들의 극성을 양극성 및 음극성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직 동기 신호의 리딩 엣지에서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호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상기 리딩 엣지로부터 상기 제1클럭의 소정주기 동안에만 상기 제어 정보 신호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8. 제 3, 4, 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입력된 상기 제1정보가 소정의 비교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고, 상기 제1정보와 상기 비교 정보가 일치할 때 상기 제2내지 제4정보들을 순차로 읽어들이며,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에 대응되는 상기 제2클럭 신호 및 상기기능 제어 신호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제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을 각각 R 및 B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제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은 각각 R 및 G 신호들, B 및 R 신호들, B 및 G 신호들, G 및 R 신호들 및, G 및 B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11. 제1항 내지 제4항, 제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들은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이 분리된 신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12. 제1항 내지 제4항, 제6,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신호들 및 상기 동기 신호들은 컴포지트 신호이고, 상기 컴포지트 신호로부터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들을 각각 분리하여 상기 극성 변환 수단으로 제공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장치.
  13. 비디오 신호들과 동기 신호들의 전송을 위한 신호선을 통하여 컴퓨터와 모니터가 상호 연결되고, 상기 모니터의 기능을 조정하는 기능 조정 수단을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의 모니터 제어 방법에 있어서 : 수직 동기 기간에서, 소정의 제1클럭(CLK)과 합성된 제1색 신호와, 정보의 시작을 표시하는 제1정보와 제어 항목을 표시하는 제2정보와 제어 값을 표시하는 제3정보 및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유효 여부를 표시하는 제4정보를 가지며 모니터 기능들의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 신호(DATA)와 합성된 제2색 신호로부터 상기 제1클럭 신호 및 상기 제어 정보 신호들을 각각 분리하는 제1단계와 ; 상기 제1정보가 소정의 비교 정보와 일치하는 지를 비교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제1정보가 상기 비교 정보와 일치할 때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4정보들의 유효를 표시하는 지를 판별하는 제3단계와 ; 상기 제2정보 및 상기 제3정보가 유효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에 각각 대응되는 소정의 제2클럭 신호 및 기능 제어 신호들을 상기 기능 조정 수단으로 제공하여 상기 모니터의 기능들을 제어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색 신호들은 각가 R 및 B 신호들과, R 및 G 신호들, B 및 R 신호들, B 및 G 신호들, G 및 R 신호들 및, G 및 B 신호들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제4정보가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의 무효를 표시할 때 상기 제2 및 제3정보들을 무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제어 방법.
KR1019960009318A 1996-02-17 1996-03-29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0173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9318A KR0173428B1 (ko) 1996-02-17 1996-03-29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08/802,199 US6104360A (en) 1996-02-17 1997-02-18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nitor using first and second color sig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3967 1996-02-17
KR19960003967 1996-02-17
KR1019960009318A KR0173428B1 (ko) 1996-02-17 1996-03-29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84A KR970062884A (ko) 1997-09-12
KR0173428B1 true KR0173428B1 (ko) 1999-04-01

Family

ID=2663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318A KR0173428B1 (ko) 1996-02-17 1996-03-29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04360A (ko)
KR (1) KR01734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3646B1 (ko) * 1997-05-31 1999-12-01 윤종용 보조 입출력 단자를 갖는 모니터의 오에스디 표시 방법
TW449677B (en) * 1999-07-19 2001-08-1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writable monitor function
KR100421035B1 (ko) * 2001-01-08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osd 신호의 색상 확장 기능을가지는 비디오 프리앰프 및 그 방법
FR2838275B1 (fr) * 2002-04-08 2004-10-22 St Microelectronics Sa Procede et dispositif de codage/decodage d'informations pour la definition d'une fenetre dans une image video
KR100583631B1 (ko) * 2005-09-23 2006-05-26 주식회사 아나패스 클록 신호가 임베딩된 멀티 레벨 시그널링을 사용하는디스플레이, 타이밍 제어부 및 컬럼 구동 집적회로
US7705841B2 (en) * 2006-01-20 2010-04-27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embeddedly transmitting data signals, control signals, clock signals and setting signals
WO2008132663A1 (en) * 2007-05-01 2008-1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justment of the operation mode of an electronic device
US20170187927A1 (en) * 2015-12-25 2017-06-29 Le Holdings (Beijing) Co., Ltd.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witching video display window
KR102574120B1 (ko) * 2018-07-11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5558Y2 (ja) * 1990-12-26 1998-07-02 エルジー電子株式会社 液晶投写形ディスプレイの光学系構造
JP2935307B2 (ja) * 1992-02-20 1999-08-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スプレイ
US5389952A (en) * 1992-12-02 1995-02-14 Cordata Inc. Low-power-consumption monitor standby system
US5483260A (en) * 1993-09-10 1996-01-09 Dell Usa, L.P. Method and apparatus for simplified video monitor control
KR960007544B1 (ko) * 1993-09-10 1996-06-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니터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5550556A (en) * 1993-11-01 1996-08-27 Multivideo Labs, Inc. Transmitting data and commands to display monitors
JP3048812B2 (ja) * 1993-12-15 2000-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モニタ
JP3068855B2 (ja) * 1994-01-14 2000-07-24 エロネックス・アイピー・ホールディングス・リミテッド ディスプレイ機能の遠隔制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04360A (en) 2000-08-15
KR970062884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8714B1 (ko) 다중모드 모니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US6057812A (en) Image display apparatus which both receives video information and outputs information about itself
US6285344B1 (en) Automatic adjustment of color balance and other display parameters in digital displays
KR0173428B1 (ko) 모니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6654065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iming and synchronizing signals for a digital display device
EP0462784A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1257379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selectable video input signals
US4954880A (en) Color display apparatus
JPH05336503A (ja) 映像付加情報判別装置
GB2235111A (en) Teletext converter giving braille output.
EP0637010B1 (en)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black signal detector
US5251031A (en) Display control system
KR100294234B1 (ko) 아날로그신호에 대한 캡션처리가 가능한 디지탈tv수상기
JP2001086428A (ja) 映像表示装置及びマルチ画面表示装置
EP0707421A2 (en) Screen automatic expanding display apparatus for wide screen television
US7053959B2 (en) Digital video encoder
KR101050996B1 (ko) 모니터 겸용 텔레비전에서 컴퓨터 입력 포맷에 따른 화면표시 방법 및 그 텔레비전 수상기
KR950010131Y1 (ko) 오에스디의 문자 보정시스템
KR100574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영역들의 컨트라스트 및 샤프니스를제어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
KR20090085177A (ko) 아날로그 rgb 및 yuv포맷 영상신호 겸용 스카트단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66430B1 (ko) 멀티싱크 모니터에서 입력동기신호의 극성판별에 따른 출력장치
KR960008071Y1 (ko) 영상기기에서의 아날로그 동기신호 출력회로
KR100683141B1 (ko) 티브이 입력 신호 자동 선택 액정 표시장치
KR950007873B1 (ko) 자막 스틸 제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03683A (ko) 액티브 비디오 영역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