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092B1 -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092B1
KR0173092B1 KR1019960012344A KR19960012344A KR0173092B1 KR 0173092 B1 KR0173092 B1 KR 0173092B1 KR 1019960012344 A KR1019960012344 A KR 1019960012344A KR 19960012344 A KR19960012344 A KR 19960012344A KR 0173092 B1 KR0173092 B1 KR 0173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solids
fermentation
moving memb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949A (ko
Inventor
심호섭
Original Assignee
심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호섭 filed Critical 심호섭
Priority to KR101996001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3092B1/ko
Publication of KR970069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0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고형물을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수단과, 고형물이 이동되면서 발효 및 건조되는 발효 건조실(2)과,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수단과, 배출되는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배출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발효 건조실(2)에는 열풍관(24)이 바닥판(14)의 전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증기관(26)이 중간부분까지 설치된다. 교반수단은 이동부재(34)와, 이동부재(34)를 이동시키는 주행장치(36)와,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장치(38)로 구성된다.
주행장치(34)는 주행모터(42)와, 주행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동력 전달수단과,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6)과, 회전축(46)의 양 끝에 결합되는 구동바퀴(48)와, 이동부재(34)의 다른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50)로 구성된다. 교반장치(38)는 회전원통(52)과, 회전원통(52)의 외주면에 설치된 복수의 날개(54)와, 회전원통(52)에 설치되는 교반축(53)과, 이동부재(34)에 설치되는 교반모터(56)와, 교반모터(56)의 회전력을 교반축(53)에 전달하는 교반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C-C 단면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분, 축산폐수, 음식찌꺼기 등을 발효 및 건조시켜 비료화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인분, 축산폐수, 음식찌꺼기 등을 위생처리하는 공정은 침사조에 모아서 고체와 액체를 분리한 다음, 액체를 정화하여 방류하는 공정과 고체를 건조하여 비료화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인분, 축산폐수, 음식찌꺼기 등에서 액체를 분리한 고체(이하 고형물이라한다)를 건조하여 비료화하는 공정은 주로 자연 건조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고형물을 자연건조 방식으로 비료화하여 사용하면, 인분 또는 축산폐수 등에 섞여 있던 식물의 씨앗이 비료와 함께 뿌려지게 되어, 비료를 사용한 곳에서 원치 않는 잡풀이 자라게 된다. 따라서 잡풀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의 노동력이 필요하고 번거롭게 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강구한 수단은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수단과,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고형물이 이동되면서 발효 및 건조가 이루어지는 발효건조실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 안을 이동하면서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배출이송수단과, 상기한 배출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건조된 고형물을 저장하는 저장실을 포함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은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발효 건조실은 일정한 폭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에는 열풍을 공급하는 복수의 열풍관이 전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수증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증기관이 입구쪽에서 중간부분까지 설치되며, 상기한 열풍관은 열풍 공급장치와 연결되고, 상기한 증기관은 증기 공급장치에 연결된다.
상기한 배출 이송수단은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교반수단은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상기한 발효 건조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발효 건조실의 고형물을 교반하는 교반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주행장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와, 상기한 주행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의 양 끝에 결합되고 상기한 이동부재의 한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바퀴와, 상기한 이동부재의 다른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로 구성된다.
상기한 교반장치는 회전원통과, 상기한 회전원통의 양옆면에 설치되는 교반축과, 상기한 교반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하는 지지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교반모터와, 상기한 교반모터의 회전력을 상기한 교반축에 전달하는 교반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기능 및 작용]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은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이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인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발효 건조실에 투입되면, 상기한 열풍 공급장치와 증기 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증기가 상기한 열풍관과 증기관을 통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에 공급되어, 상기한 발효 건조실의 중간부분까지는 고온 다습한 분위기가 유지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의 나머지 반은 열풍만이 공급되므로 고온 건조한 분위기가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효 건조실 앞쪽이 고온 다습한 분위기가 유지되므로 상기한 발효 건조실 안에 투입된 고형물은 발효(썩는 것)가 진행된다. 이 때 상기한 교반수단의 교반장치로 고형물의 교반을 행하면, 고형물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발효가 진행된다. 상기한 교반수단은 이동부재에 설치된 상기한 주행장치에 의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느린 속도로 왕복 이동하면서 고형물의 교반을 행한다.
상기와 같이 발효 건조실의 앞부분에서 발효된 고형물은 상기한 교반수단의 교반장치에 설치된 날개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출구쪽으로 이동되고, 발효 건조실의 중간부분을 넘어서면서부터는 열풍만이 공급되므로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고형물은 배출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저장실에 저장된다. 저장된 고형물은 필요에 따라 배출되어 비료로 사용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의 일실시예는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수단과,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고형물이 이동되면서 발효 및 건조되는 발효 건조실(2)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2) 안을 이동하면서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2)에서 배출되는 건조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배출 이송수단과, 상기한 배출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건조형 고형물을 저장하는 저장실(4)을 포함한다.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은 제1도~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약 70%의 수분 함유)이 이송되어 오는 제1컨베이어(6)와, 상기한 제1컨베이어(6)를 통하여 이송되는 고형물을 상기한 발효 건조실(2)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8)로 구성된다. 상기한 제1컨베이어(6)와 제2컨베이어(8)가 연결되는 사이에는 고형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모아서 제2컨베이어(8)로 공급하는 호퍼(1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제2컨베이어(8)와 발효 건조실(2) 사이에는 고형물 안재부재(12)를 설치하여 고형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컨베이어(6) 및 제2컨베이어(8)는 구동 로울러에 의하여 일정한 궤도로 회전한다.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은 제1도~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정한 폭을 가진 바닥판(14)과, 상기한 바닥판(14)의 양옆으로 길이방향으로 세워서 형성되는 옆판(16)과,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이 연결되는 쪽에 상기한 바닥판(14)에서 세워서 설치되는 앞판(18)과, 상기한 앞판(18)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배출실(20)과, 상기한 옆판(16)과 앞판(18)의 위에 설치되는 지붕(22)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발효 건조실(2)에는 열풍을 공급하는 복수의 열풍관(24)이 바닥판(14)의 전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수증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증기관(26)이 앞판(18)쪽에서 바닥판(14)의 중간부분까지 설치되며, 상기한 열풍관(24)은 열풍 공급장치(28)와 연결되고, 상기한 증기관(26)은 증기공급장치(30)에 연결된다. 상기한 증기 및 열풍은 대략 70~90℃정도로 공급된다. 상기한 열풍관(24) 및 증기관(26)은 각각 바닥판(14)쪽으로 복수의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열풍 및 증기를 골고루 공급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열풍관(24) 및 증기관(26)을 바닥판(14)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바닥판(14)의 폭방향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도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열풍관(24) 및 증기관(26)을 배치하고, 또 각각의 열풍관(24) 및 증기관(26)의 바닥판(14)쪽에는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배출 이송수단은 배출 컨베이어(32)로 구성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바닥판(14)의 출구와 저장실(4)을 연결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2)에서 건조되어 배출되는 고형물을 상기한 저장실(4)로 이송한다.
상기한 교반수단은 제1도~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형상의 이동부재(34)와, 상기한 이동부재(34)에 설치되어 이동부재(34)를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36)와, 상기한 이동부재(34)에 설치되어 발효 건조실(2)의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장치(38)로 구성된다.
상기한 이동부재(34)는 본 실시예에서는 판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주행장치(36) 및 교반장치(38)를 설치하고 지지할 수 있으면 된다. 예를 들면 ㄷ형강 등을 사용하여 이동부재(34)를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주행장치(36)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42)와, 상기한 주행모터(42)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주행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46)과, 상기한 회전축(46)의 양 끝에 결합되고 상기한 이동부재(34)의 한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바퀴(48)와, 상기한 이동부재(34)의 다른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50)로 구성된다.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한 주행모터(42)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43)와, 상기한 회전축(46)에 설치되는 종동풀리(45)와, 상기한 구동풀리(43)와 종동풀리(45)를 연결하여 상기한 주행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한 회전축(46)에 전달하는 벨트(44)로 구성된다.
상기한 회전축(46)은 베어링이 설치된 지지부재(47)에 의하여 상기한 이동부재(3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즉 상기한 회전축(46)에 결합되는 상기한 종동풀리(45)와 구동바퀴(48)의 양옆에 상기한 지지부재(47)를 설치하여 상기한 회전축(46)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종동바퀴(50)는 상기한 이동부재(34)에 설치된 고정부재(49)에 핀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은 일정한 감속비(예를 들면 1/30정도)로 감속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을 벨트(44)와 구동풀리(43) 및 종동풀리(45)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감속비(대략 1/30정도)로 감속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른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워엄기어를 이용하여 감속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주행모터(42)의 축에는 워엄을 설치하고 상기한 회전축에는 워엄휠을 설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어열을 이용하여 감속하고 회전력을 전달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옆판(16)의 위에는 안내레일(40)을 설치하고, 상기한 주행장치(36)의 구동바퀴(48)와 종동바퀴(50)가 상기한 안내레일(40)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안내레일(40)을 단면이 I형상이고 위부분의 수평부재가 위로 볼록하게 형성된 부재를 사용하고 상기한 구동바퀴(48)와 종동바퀴(50)의 외주면 중앙부분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교반장치(38)는 회전원통(52)과, 상기한 회전원통(52)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2) 안이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복수의 날개(54)와, 상기한 회전원통(52)의 양옆면에 설치되는 교반축(53)과, 상기한 교반축(5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한 이동부재(34)에 설치하는 지지부재(60)와, 상기한 이동부재(34)에 설치되는 교반모터(56)와, 상기한 교반모터(56)의 회전력을 상기한 교반축(53)에 전달하는 교반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날개(54)는 본 실시예에서는 막대형상의 부재를 사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막대형상의 부재 끝부분에 삽형상의 부재를 부착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이외에도 상기한 발효 건조실(2) 안의 고형물을 교반하면서 출구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교반 동력 전달수단은 상기한 교반모터(56)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풀리(57)와, 상기한 교반축(52)에 설치되는 종동풀리(59)와, 상기한 구동풀리(57)와 종동풀리(59)를 연결하여 상기한 교반모터(56)의 회전력을 상기한 교반축(52)에 전달하는 벨트(58)로 구성된다.
상기한 교반 동력 전달수단은 일정한 감속비(예를 들면 1/120정도)로 감속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을 벨트(58)와 구동풀리(57) 및 종동풀리(59)로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감속비(대략 1/120정도)로 감속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른 수단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워엄기어를 이용하여 감속하면서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한 교반모터(56)의 축에는 워엄을 설치하고 상기한 교반축에는 워엄휠을 설치하여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기어열을 이용하여 감속하고 회전력을 전달하여도 좋다.
또 상기한 옆판(16)의 한쪽에는 일정한 높이(교반수단이 걸리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설치되는 전선 이동부가 설치된다. 상기한 전선 이동부는 상기한 옆판(16)을 따라 일정한 높이로 설치되는 안내줄(62)과, 상기한 안내줄(62)에 한쪽이 걸려 상기한 안내줄(62)을 따라 이동하는 복수의 걸림부재(68)와, 상기한 걸림부재(68)의 다른쪽에 각각 설치되는 로울러(64)와, 상기한 로울러(64)에 걸려서 상기한 교반수단이 이동함에 다라서 이동하면서 상기한 주행모터(42)와 교반모터(5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66)으로 구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약 70%의 수분 함유)이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인 제1컨베이어(6) 및 제2컨베이어(8)에 의하여 이송되어 상기한 발효 건조실(2)에 투입되면, 상기한 열풍 공급장치(28)와 증기 공급장치(30)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증기가 상기한 열풍관(24)과 증기관(26)을 통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2)에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열풍관(24)과 증기관(26)을 통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2)로 열풍과 증기가 공급되면,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중간부분까지는 고온 다습한 분위기가 유지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나머지 반은 열풍만이 공급되므로 고온 건조한 분위기가 유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발효 건조실(2) 앞부분이 고온 다습한 분위기로 유지되므로 상기한 발효 건조실(2) 안에 투입된 고형물의 발효가 진행된다. 이 때 상기한 교반수단의 교반장치(38)로 고형물의 교반을 행하면, 고형물 전체에 걸쳐서 골고루 발효가 진행된다.
상기한 교반수단은 이동부재(34)에 설치된 상기한 주행장치(36)에 의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느린 속도로 왕복 이동하면서 고형물의 교반을 행한다.
즉 상기한 주행장치(36)의 주행모터(42)가 회전하면, 상기한 주행모터(42)의 회전력이 주행 동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감속되어 상기한 회전축(46)에 전달되고, 회전축(46)이 회전되면 상기한 회전축(46)의 양 끝에 설치된 구동바퀴(48)가 회전하고, 상기한 구동바퀴(48)가 상기한 안내레일(40)을 따라 회전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이동부재(34)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주행모터(42)의 회전은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대략 1/30정도로 감속되어 회전축(46)에 전달되고, 상기한 이동부재(34)의 이동은 매우 느린 속도(대략 3m/분 정도)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주행모터(42)가 정회전과 역회전을 행함에 따라 상기한 이동부재(34)는 왕복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효 건조실(2) 앞부분에서 발효된 고형물은 상기한 교반수단의 교반장치(38)에 설치된 날개(54)에 의하여 교반되면서 출구쪽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한 교반장치(38)의 교반모터(56)가 회전하면, 상기한 교반모터(56)의 회전력이 상기한 교반 동력 전달수단을 통하여 감속되어 상기한 교반축(53)에 전달되고, 교반축(53)이 회전하면 상기한 교반축(53)이 결합된 상기한 회전원통(52)이 회전하고, 상기한 회전원통(52)에 설치된 날개(54)에 의하여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고형물이 교반되면서 이동된다.
상기에서 교반 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감속되는 감속비는 대략 1/120정도 되고, 교반하는 회전속도는 5rpm/분 정도로 된다.
상기와 같이 발효 건조실(2)의 앞부분에서 발효된 고형물이 상기한 교반장치(38)의 날개(54)에 의하여 이동되어 열풍만이 공급되는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의 중간부분을 넘어서면, 상기한 열풍에 의하여 고형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은 대략 70~80℃로 유지된다.
상기한 고형물이 상기한 발효 건조실(2)을 통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15일 정도가 되도록 상기한 주행장치(36)와 교반장치(38)의 속도 및 발효 건조실(2)의 길이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조(약 30%의 수분 함유)된 고형물은 배출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되어 저장실(4)에 저장된다. 저장된 고형물은 필요에 따라 배출되어 비료로 사용된다.
[발명의 효과]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을 사용하면, 고형물에 포함되어 있던 식물의 씨앗이 발효되는 것(썩는 것)에 의해 발아 능력을 상실하므로 비료로 사용하여도 비료로 사용된 부분에 잡풀이 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열풍 및 증기에 의하여 발효 분위기가 유지되고 교반장치로 고형물을 교반하는 것에 의해 발효가 촉진되므로, 자연 건조하는 것에 비하여 비료화가 더 쉽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열풍에 의하여 고형물이 충분히 건조되므로 비료로 사용할 때에 취급이 용이하다.
더욱이 본 발명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을 사용하면, 인분, 축산폐수, 음식찌꺼기 등을 재처리하여 비료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오염 및 공해방지에 매우 유용하다.

Claims (4)

  1. 액체와 분리된 고형물을 이송하는 고형물 이송수단과,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에 의하여 이송된 고형물이 이동되면서 발효 및 건조가 이루어지고 열풍을 공급하는 복수의 열풍관이 전길이에 걸쳐서 설치되며 수증기를 공급하는 복수의 증기관이 앞쪽에서 중간부분까지 설치되는 발효 건조실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 안을 이동하면서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수단과, 상기한 발효 건조실에서 발효되고 건조된 고형물을 배출하는 배출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고형물 이송수단 및 배출 이송수단은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교반수단은 이동부재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이동부재를 상기한 발효 건조실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행장치와,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어 발효 건조실의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교반장치로 구성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주행장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와, 상기한 주행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주행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한 주행 동력 전달수단에 의하여 전달된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축과, 상기한 회전축의 양 끝에 결합되고 상기한 이동부재의 한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바퀴와, 상기한 이동부재의 다른쪽 모서리에 양쪽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종동바퀴로 구성되고, 상기한 교반장치는 회전원통과, 상기한 회전원통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한 발효 건조실 안의 고형물을 교반 및 이동시키는 복수의 날개와, 상기한 회전원통에 설치되는 교반축과, 상기한 이동부재에 설치되는 교반모터와, 상기한 교반모터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상기한 교반축에 전달하는 교반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KR1019960012344A 1996-04-23 1996-04-23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KR0173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344A KR0173092B1 (ko) 1996-04-23 1996-04-23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344A KR0173092B1 (ko) 1996-04-23 1996-04-23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49A KR970069949A (ko) 1997-11-07
KR0173092B1 true KR0173092B1 (ko) 1999-02-18

Family

ID=19456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344A KR0173092B1 (ko) 1996-04-23 1996-04-23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30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13B1 (ko) * 2012-05-24 201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456A (ko) * 2000-03-10 2000-07-05 오병호 가축의 분뇨를 이용한 퇴비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913B1 (ko) * 2012-05-24 2013-02-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949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578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aerobic composting of organic waste material
US5879931A (en) Aerobic fermentation promoting device of excrements, aerobic fermentation system using it and compost therefrom
CN106431547A (zh) 采用曝气小车传送物料的好氧发酵设备
KR102049374B1 (ko) 다축 회전차를 이용한 퇴비교반기
US11821688B2 (en) Dehydrator for biological material
KR0173092B1 (ko)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EP1397956B1 (en) System with an adjustable movable base placed beneath a wire floor used for the continuous separation of faeces and urine or for the combined handling of both products in pig installations
KR200180725Y1 (ko) 가축분뇨 퇴비용 발효 교반기
US6589781B1 (en) Farm composting system
JPS639555Y2 (ko)
CN217628170U (zh) 一种功能型酵素菌生物有机肥发酵池
JP2945603B2 (ja) 回転型乾燥装置
JP2627481B2 (ja) 有機廃棄物の堆肥化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91580B1 (ko) 고농도유기성폐수의처리방법및그처리장치
KR200182812Y1 (ko) 퇴비 발효장치
CN212833540U (zh) 用于将污泥和畜禽粪便转化为高效有机肥的处理装置
KR19990080804A (ko) 퇴비 제조 시스템
CN215582606U (zh) 一种草莓种植用施肥机
US20240131566A1 (en) Dehydrator for biological material
CN217535857U (zh) 一种有机固废智能超高温好氧发酵设备
JP3660509B2 (ja) 有機性廃棄物の発酵処理装置
CN216874503U (zh) 一种轨道式生物菌种撒料车
JPH07214045A (ja) 排泄物連続発酵乾燥処理装置の尿循環装置
JPS63267426A (ja) 攪拌搬送装置
JPS6031054Y2 (ja) 糞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