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5913B1 -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5913B1
KR101235913B1 KR1020120055650A KR20120055650A KR101235913B1 KR 101235913 B1 KR101235913 B1 KR 101235913B1 KR 1020120055650 A KR1020120055650 A KR 1020120055650A KR 20120055650 A KR20120055650 A KR 20120055650A KR 101235913 B1 KR101235913 B1 KR 10123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dust
hot air
air discharge
wat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국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팜스코
Priority to KR1020120055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5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01G18/22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culture media, e.g. bottl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배지용 톱밥을 발효할 때 한 번에 발효할 수 있는 톱밥의 양을 증가시키고, 톱밥에 습열 또는 건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톱밥의 발효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 형태의 함몰 수용부가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함몰 수용부의 상측으로 톱밥이 적재되는 톱밥 적재부; 톱밥 적재부에 적재되는 톱밥에 물을 살포하도록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 살포관와, 물 살포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물 살포관를 지지하며 톱밥 적재부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물 살포부; 및 함몰 수용부로 삽입되는 열풍 토출관와, 복수의 열풍 토출관로 열풍을 분기하도록 열풍 토출관와 결합되는 분기관와, 분기관와 연결되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부를 구비하며, 열풍 토출관가 함몰수용부로 입출하도록 이동되는 열풍 토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Fermentation apparatus for mushroom cultivation}
본 발명은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 배지용 톱밥을 발효할 때 한 번에 발효할 수 있는 톱밥의 양을 증가시키고, 톱밥에 습열 또는 건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톱밥의 발효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먹거리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의 소비 취향이 유기농, 친환경, 건강식품 등으로 급격하게 이동하고 있다. 특히, 채식이 사람의 채질개선이나 건강을 유지하는데 좋은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 보고되고 있어. 야채나 채소에 대한 관심은 더욱 높이지고, 그 소비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버섯은 고단백 식품으로서 미래의 육류를 대신할 수 있는 식품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각종 연구보고를 통해 효능이 입증되면서 식품대용 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서도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버섯은 배지 재료 준비, 물 축이기, 살균, 종균 재식, 배지 활착, 버섯 수확, 배지 폐상 등의 과정을 거쳐 재배된다. 그리고 버섯 재배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여러 요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배지라 할 수 있다. 배지의 수분 흡수와 살균 효과에 따라 버섯 재배의 성공률 차이가 많이 나타난다.
최근에는 버섯의 배지로 톱밥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버섯의 종류에 따라 벗짚, 칼슘, 쌀겨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톱밥은 페놀, 수지성분 등의 유해물질이 들어있지 않고 변재부가 많은 톱밥이 좋으며, 1-3mm 크기를 가지는 입자가 적당히 혼합된 것이 좋다. 사용되는 나무의 종류는 자연상태에서 버섯이 발생하는 기주가 가장 적당하며, 일반적으로 미류나무, 현사시나무, 포플러 등의 톱밥을 사용하고, 적송 등의 침엽수 톱밥은 수지성분이 많아 야외발효 처리를 하여야 한다.
버섯 종류별로 적당한 톱밥으로서 느타리버섯, 팽이버섯, 만가닥버섯 등은 포플러톱밥, 표고, 영지, 목이버섯 등은 참나무톱밥, 버들송이는 미송 등이 좋다.
한편, 버섯 배지용 톱밥은 보다 많은 영양분을 함유하여 버섯의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발효장치에 의해 발효된다. 그리고 종래의 톱밥 발효장치 기술로는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1-65402호(버섯배지 제조장치),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0030호(식용버섯 재배용 배지 발효기)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섯배지 제조장치는 한 번에 발효할 수 있는 톱밥의 양이 적을 뿐만 아니라, 열풍만 공급 가능하므로 톱밥이 건조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발효 효과가 저하되고 발효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버섯 배지용 톱밥을 발효할 때 한 번에 발효할 수 있는 톱밥의 양을 증가시키고, 톱밥에 습열 또는 건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톱밥의 발효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사각 형태의 함몰 수용부가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함몰 수용부의 상측으로 톱밥이 적재되는 톱밥 적재부; 톱밥 적재부에 적재되는 톱밥에 물을 살포하도록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 살포관와, 물 살포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물 살포관를 지지하며 톱밥 적재부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물 살포부; 및 함몰 수용부로 삽입되는 열풍 토출관와, 복수의 열풍 토출관로 열풍을 분기하도록 열풍 토출관와 결합되는 분기관와, 분기관와 연결되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부를 구비하며, 열풍 토출관가 함몰수용부로 입출하도록 이동되는 열풍 토출부를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렉시플 재질로 형성되어 톱밥 적재부의 톱밥을 커버하며, 테두리부에 중량패드가 결합되는 톱밥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 토출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열풍 토출부의 열을 통해 증기를 발생하고, 발생한 증기가 송풍을 통해 톱밥으로 공급되는 증기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면에 열풍토출공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열풍배출공의 직경이 송풍부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열풍 토출관을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풍 토출부의 내부에 절곡되게 구비되며, 일단이 열풍 토출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송풍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세관 부재를 구비하는 증기 발생부를 포함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에 의하면, 톱밥을 야적한 상태에서 발효할 수 있으므로, 한 번에 발효할 수 있는 톱밥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톱밥에 습열 또는 건열을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톱밥의 발효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풍 토출관의 구성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풍 토출관의 구성을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송풍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우드펠릿 제조설비의 톱밥 건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100)는 톱밥이 적재되는 톱밥 적재부(110), 톱밥 적재부(110)의 톱밥에 물을 살포하기 위한 물 살포부(120) 및 톱밥 적재부(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톱밥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 토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100)는 톱밥 적재부(110)의 톱밥을 커버하기 위한 톱밥 커버부(140) 및 열풍을 통한 톱밥의 발효시 톱밥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톱밥에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 발생부(150)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100)는 열풍 토출부(130)의 열풍을 톱밥으로 공급하여 톱밥의 온도를 55℃ 내지 65℃로 유지하고, 증기 발생부(150)를 이용하여 톱밥으로 수증기를 공급하여 톱밥의 습도를 50 내지 55%로 유지하면서 톱밥을 발효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톱밥을 보다 빠른 시간에 발효시켜 톱밥의 발효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질의 발효 톱밥을 제조할 수 있다.
톱밥 적재부(110)는 가로 35m, 세로 15m로 형성되며, 직사각 형태의 함몰 수용부(111)가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함몰 수용부(111)로 열풍 토출부(130)가 삽입 또는 이탈되며, 함몰 수용부(111)를 통해 열풍 토출부(130)의 열풍이 톱밥으로 공급된다. 이때, 톱밥 적재부(110)는 함몰 수용부(111)로 열풍 토출부(130)가 수용된 후 톱밥이 적재된다.
물 살포부(120)는 톱밥 적재부(110)에 적재되는 톱밥에 물을 살포하도록 물 살포관(121), 이 물 살포관(121)가 지지되는 이동부재(123)를 포함하며, 이동부재(123)에 의해 톱밥 적배주(110)의 가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러한, 물 살포부(120)는 톱밥 적재부(110)에 톱밥이 적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부재(123)를 이동시키면서 톱밥에 물을 살포하게 된다.
물 살포관(121)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하면에 노즐이 이격되게 일렬로 구비된다. 또한, 물 살포관(121)의 양단부는 이동부재(123)에 각각 지지된다.
이동부재(123)는 톱밥 적재부(11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물 살포관(121)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3)는 톱밥의 적재 높이에 따라 물 살포관(12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물 살포관(121)가 용접 등을 통해 부착되는 승강 파이프(125) 및 이 승강 파이프(125)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블록(127)을 포함한다.
승강 파이프(125)는 이동블록(127)에서 승강된 상태가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스톱퍼 구멍(125a)이 복수개 형성되고, 스톱퍼 구멍(125a)에 지지핀(125b)이 삽입되어 이동블록(127)에 걸리게 된다.
이동블록(127)은 승강 파이프(125)가 삽입되는 삽입홈(127b)이 상면에 형성되고, 하부에 이동을 위한 캐스터(127a)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물 살포부(120)에 의해 톱밥에 물 살포가 완료되면 톱밥 커버부(140)로 톱밥을 커버한 상태에서 열풍 토출부(130)를 이용하여 톱밥으로 열풍을 공급하여 발효시킨다.
열풍 토출부(130)는 함몰 수용부(111)로 삽입되는 열풍 토출관(131)와, 복수의 열풍 토출관(131)로 열풍을 분기하여 공급하기 위하여 열풍 토출관(131)와 결합되는 분기관(133) 및 분기관(133)와 연결되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부(135)를 포함한다.
이러한, 열풍 토출부(130)는 열풍 토출관(131)가 함몰 수용부(111)로 인출합도록 톱밥 적재부(11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열풍 토출관(131) 및 분기관(133)에 캐스터(137)가 각각 구비되고, 송풍부(135)에도 캐스터(도시생략)가 구비된다.
또한, 열풍 토출부(130)는 톱밥 적재부(110)에 톱밥이 적재되기 전에 열풍 토출관(131)가 함몰 수용부(111)로 장입되도록 이동되고, 톱밥의 발효가 완료되면 열풍 토출관(131)가 함몰 수용부(111)에서 이탈된다.
더하여, 열풍 토출부(130)는 함몰 수용부(111)의 모든 부위로 열풍을 균일하게 토출시켜 톱밥의 모든 부위에서 일정하게 발효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열풍 토출관(131)는 분기관(133)를 통해 내부로 이동하는 송풍부의 열풍이 함몰 수용부(111)에서 배출되도록 열풍배출공(131a)이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열풍 토출관(131)는 열풍배출공(131a)이 분기관(133)에서 멀리 이격되더라도 모든 열풍배출공(131a)에서 열풍이 일정하게 배출되도록 열풍배출공(131a)의 직경(D1, D2)이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열풍배출공(131a)은 분기관(133)에서 멀리 이격될수록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된다.
즉, 분기관(133)에서 가장 멀리 이격된 열풍배출공(131a)의 직경(D1)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분기관(133)에 근접될수록 열풍배출공(131a)의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이때, 열풍배출공(131a) 사이의 이격거리(L1, L2)는 일정하게 형성된다.
또한, 열풍 토출관(131)은 열풍배출공(131a)의 상호 이격거리(L1, L2)가 분기관(133)에서 이격될수록 점차 짧아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모든 열풍배출공(131a)은 그 직경이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증기 발생부(150)는 송풍부(135)의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송풍부(135)의 히팅부재(135b)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를 발생한다.
송풍부(135)는 히팅부재(135b) 및 증기 발생부(150)가 설치되는 케이스(135a) 및 히팅부재(135b)에 의해 가열되는 열풍 및 증기를 송풍하기 위한 불로워(135c)를 포함한다.
증기 발생부(150)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히팅부재(135b)의 열에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기화되도록 케이스(135a)에 설치되는 모세관 부재(151)를 구비한다.
모세관 부재(151)는 히팅부재(135b)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케이스(135a)의 내부에 절곡되게 구비되며, 일단이 케이스(135a)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케이스(135a)의 내부에서 불로워(135c)의 하측에 위치한다.
이로 인하여, 모세관 부재(151)에서 배출하는 증기를 블로워(135c)의 송풍을 통해 열풍과 함께 톱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증기 발생부(150)는 톱밥의 수분 함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한다.
한편,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톱밥 커버부(140)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렉시플 재질로 형성되어 톱밥 적재부(110)의 톱밥을 커버하며, 테두리부에 중량패드(141)가 구비되어 톱밥 적재부(110)와의 밀폐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러한, 톱밥 커버부(140)는 톱밥의 수분 증발을 방지함과 동시에 톱밥 발효시 톱밥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톱밥의 발효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톱밥 발효장치 110 : 톱밥 적재부
111 : 함몰 수용부 120 : 물 살포부
121 : 물 살포관 123 : 이동부재
125 : 승강 파이프 127 : 이동블록
130 : 열풍 토출부 131 : 열풍 토출관
133 : 분기관 135 : 송풍부
140 : 톱밥 커버부 141 : 중량패드

Claims (5)

  1. 직사각 형태의 함몰 수용부(111)가 이격되게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함몰 수용부의 상측으로 톱밥이 적재되는 톱밥 적재부(110);
    상기 톱밥 적재부에 적재되는 톱밥에 물을 살포하도록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물 살포관(121)와, 상기 물 살포관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물 살포관를 지지하며 상기 톱밥 적재부에서 이동하는 이동부재(123)를 구비하는 물 살포부(120); 및
    상기 함몰 수용부로 삽입되는 열풍 토출관(131)와, 복수의 상기 열풍 토출관으로 열풍을 분기하도록 상기 열풍 토출관와 결합되는 분기관(133)와, 상기 분기관와 연결되어 열풍을 송풍하는 송풍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열풍 토출관(131)가 상기 함몰수용부로 입출하도록 이동되는 열풍 토출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플렉시플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톱밥 적재부의 톱밥을 커버하며, 테두리부에 중량패드(141)가 결합되는 톱밥 커버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토출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상기 열풍 토출부의 열을 통해 증기를 발생하고, 발생한 증기가 송풍을 통해 상기 톱밥으로 공급되는 증기 발생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토출관은 하면에 열풍토출공(131a)이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열풍토출공의 직경이 상기 송풍부에서 멀어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발생부는 상기 열풍 토출부의 내부에 절곡되게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열풍 토출부의 외부로 노출되고 타단이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모세관 부재(15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KR1020120055650A 2012-05-24 2012-05-24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KR10123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50A KR101235913B1 (ko) 2012-05-24 2012-05-24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650A KR101235913B1 (ko) 2012-05-24 2012-05-24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5913B1 true KR101235913B1 (ko) 2013-02-21

Family

ID=47899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650A KR101235913B1 (ko) 2012-05-24 2012-05-24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59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56A (ko) 2018-08-31 2020-03-10 전영선 톱밥발효장치
KR102568829B1 (ko) 2023-02-01 2023-08-21 변정진 버섯 배지 분산 투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092B1 (ko) * 1996-04-23 1999-02-18 심호섭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KR20000016725U (ko) * 1999-02-06 2000-09-25 이창훈 버섯배지 발효기
JP2002204622A (ja) 2001-01-10 2002-07-23 Shinei Kogyo Kk 茸菌床栽培方法並びに、茸菌床栽培システム、及び、茸菌床栽培に使用される栽培場及び容器入り菌床体
KR20030060500A (ko) * 2002-01-09 2003-07-16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식용버섯 재배용 배지 발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3092B1 (ko) * 1996-04-23 1999-02-18 심호섭 위생처리용 고형물 발효 및 건조 시스템
KR20000016725U (ko) * 1999-02-06 2000-09-25 이창훈 버섯배지 발효기
JP2002204622A (ja) 2001-01-10 2002-07-23 Shinei Kogyo Kk 茸菌床栽培方法並びに、茸菌床栽培システム、及び、茸菌床栽培に使用される栽培場及び容器入り菌床体
KR20030060500A (ko) * 2002-01-09 2003-07-16 영농조합법인 착한농부들 식용버섯 재배용 배지 발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956A (ko) 2018-08-31 2020-03-10 전영선 톱밥발효장치
KR102177739B1 (ko) * 2018-08-31 2020-11-11 전영선 톱밥발효장치
KR102568829B1 (ko) 2023-02-01 2023-08-21 변정진 버섯 배지 분산 투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2407B1 (ko) 멀티 분사구조와 iot 제어를 통한 수경채소 재배시스템
CN201928765U (zh) 一种雾培式台灯花盆种植系统
CN100464632C (zh) 气培式植物无糖组培装置
CN202722195U (zh) Led光盘立体多层薄膜式水耕栽培架
CN205658081U (zh) 一种自吸水花盆
KR101235913B1 (ko) 버섯 배지용 톱밥 발효장치
CN203840819U (zh) 一种封闭式菌蔬共作人工栽培装置
CN203942847U (zh) 盆栽宠物蘑菇的装置
CN103947452B (zh) 瓶栽凤尾菇培育方法
CN204362624U (zh) 一种食用菌栽培架
CN202496268U (zh) 一种带通气孔的漂浮育苗盘
CN203388110U (zh) 一种新型蚯蚓养殖装置
CN215188549U (zh) 一种观赏、食用双功能菌类盆景培养盒
CN205727175U (zh) 一种高密度食用菌培养、栽培空间
CN201192023Y (zh) 家用栽培生芽机
KR100875891B1 (ko) 버섯재배용기
CN108029446A (zh) 农林废弃物用于金针菇工厂化循环的生产方法
Pettipher Cultivation of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n lignocellulosic waste
CN203340746U (zh) 一种营养液雾化幼苗培养箱
CN105409578A (zh) 一种白灵菇的栽培方法
CN202035327U (zh) 一种栽培植物的容器
CN104982896A (zh) 一体式自动化小型种曲机及其菌种培养方法
CN217336716U (zh) 一种食用菌培养基灭菌用不锈钢灭菌推车
CN204482259U (zh) 一种能够提高育种效率的农业育种设备
CN202979848U (zh) 一种自动化大型无土栽培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