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671B1 -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 Google Patents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671B1
KR0172671B1 KR1019960028521A KR19960028521A KR0172671B1 KR 0172671 B1 KR0172671 B1 KR 0172671B1 KR 1019960028521 A KR1019960028521 A KR 1019960028521A KR 19960028521 A KR19960028521 A KR 19960028521A KR 0172671 B1 KR0172671 B1 KR 0172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emergency door
open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208A (ko
Inventor
임동현
Original Assignee
임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동현 filed Critical 임동현
Priority to KR1019960028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671B1/ko
Publication of KR970075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on the right-hand as well as the left-hand side; Convertible right-hand or left-hand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 E06B2009/17053Door in shutter screen; wicket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샷다에 형성되는 비상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경첩에 있어서, 양쪽으로 절첩되는 경첩의 제공을 위한 것으로, 현재의 방화샷다가 비상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첩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토록 되는 것을 사용하거나, 이러한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서 발생되는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토록 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경첩의 단점은 샷다의 시공을 뒤집어서 할 경우에 또는 건물의 구조상 샷다박스를 기존의 샷다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비상문의 개폐시키기가 용이차 아니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토록 되는 2개의 축을 형성하여 각각의 축은 덮개판으로 보호토록 하고 개폐시에는 일측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타측의 축이 회전토록 하고 타측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의 축이 회전토록 하면서 개폐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제1도는 본 발명의 경첩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경첩이 일렬로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제4도는 경첩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2 : 덮개판
3 : 돌출부 4 : 받침턱
5 : 회전축 6 : 연결판
7 : 고정판
본 발명은 방화샷다에 형성되는 비상문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경첩에 있어서 경첩이 양측으로 작동토록 되는 경첩에 관한 것이다.
현재 방화샷다에 있어서 비상문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첩은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지지토록 되는 통상의 경첩을 사용하거나, 이러한 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장시간 사용하였을 경우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저하됨으로서 발생되는 비상문의 덜렁거림을 방지토록 되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경첩의 단점은 샷다의 시공을 뒤집어서 할 경우에 또는 건물의 구조상 샷다박스를 기존의 샷다박스와 반대방향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동일한 샷다를 사용할 경우에는 샷다바의 위치가 바뀌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는 설치된 샷다를 제거한 후에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비상문이 개폐토록 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경첩이 좌·우 양측으로 절첩되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결판에 의하여 연결토록 되는 2개의 축을 형성하여 각각의 축은 덮개판으로 보호토록 하고 개폐시에는 일측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타측의 축이 회전토록 하고 타측으로 열고자 할 경우에는 일측의 축이 회전토록 하면서 개폐토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연결판(6)에 의하여 연결토록 되는 2개의 축(5,5a)을 형성하여 일측의 축(5)은 타측의 축(5a)을 덮개판(2)으로 보호토록 되면서 길게 연장되어 고정판(7)이 형성되고 타측의 축(5a)은 상부로 돌출부(3)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받침턱(4)이 형성되는 받침대(1)를 갖는 덮개판(2a)이 일측의 축(5)을 보호토록 되면서 길게 연장되어 고정판(7a)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미설명 부호 8은 경첩의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나사이고 9는 고정판의 휨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돌기이다.
따라서 2개의 축(5,5a)이 각각의 덮개판(2,2a)에 의하여 보호토록 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토록 되기 때문에 샷다박스의 위치가 다른 샷다박스의 위치와 반대방향에 위치될 경우에는 경첩만을 반대방향으로 달아주기만 하면 샷다바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토록 되면서 비상문이 개폐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타측의 축(5a)으로 연장되어 있는 덮개판(2a)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3)는 하부에 형성된 받침대(1)의 받침턱(4)에 밀착토록 되면서 경첩이 샷다바의 사이로 융착의 방법으로 고정되었을 경우에 상·하로 형성되는 경첩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이 없이 정확하게 밀폐시키게 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Claims (1)

  1. 연결판(6)에 의하여 연결토록 되는 2개의 축(5,5a)을 형성하여 일측의 축(5)은 타측의 축(5a)을 덮개판(2)으로 보호토록 되면서 길게 연장되어 고정판(7)이 형성되고 타측의 축(5a)은 상부로 돌출부(3)가 형성되고 하부로는 받침턱(4)이 형성되는 받침대(1)를 갖는 덮개판(2a)이 일측의 축(5)을 보호토록 되면서 길게 연장되어 고정판(7a)이 형성되는 양방향 경첩.
KR1019960028521A 1996-05-15 1996-07-15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KR0172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521A KR0172671B1 (ko) 1996-05-15 1996-07-15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40 1996-05-15
KR1019960028521A KR0172671B1 (ko) 1996-05-15 1996-07-15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040 Division 1996-05-15 1996-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208A KR970075208A (ko) 1997-12-10
KR0172671B1 true KR0172671B1 (ko) 1999-02-18

Family

ID=6624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521A KR0172671B1 (ko) 1996-05-15 1996-07-15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67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208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4428B2 (en) Compound hinge
EP0994229B1 (en) Snap hinge for supporting closure panel-like elements
US20110214355A1 (en) Door gap protector
KR0172671B1 (ko) 양방향으로 절첩되는 방화샷다용 경첩
US20090282741A1 (en) Door gap protector
TW539826B (en) Interlock device
JPS5843556B2 (ja) 開口部閉塞装置
JP2534599B2 (ja) 笠木装置
JPH08210046A (ja) 建 具
JPH1037615A (ja) ド ア
KR20080057566A (ko) 도어용 경첩
JP5244699B2 (ja) 指詰め防止装置
KR200232703Y1 (ko) 방화샷다의 비상문이 긴밀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경첩
KR200229427Y1 (ko) 배전반의도어결합장치
JPH11336406A (ja) 常閉扉の開放状態保持具
EP1022419B1 (en) Compound hinge
JPH0747907Y2 (ja) 電気機器収納用ボックス
KR0139082B1 (ko) 셔터의 도아용 도아클로우저부 힌지장치와 밀폐장치
KR100188300B1 (ko) 도어용 피벗힌지
JP2000314125A (ja) 防水扉
JP3061170B2 (ja) 伸縮継手装置
KR200300484Y1 (ko) 방화용 셔터의 비상탈출문 처짐 방지장치
KR200150495Y1 (ko) 통신기기의 랙에 설치되는 절첩식 도어
JP2573841B2 (ja) 開口部の蓋開閉装置
JP2798548B2 (ja) 点検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