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096B1 -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96B1
KR0172096B1 KR1019960034980A KR19960034980A KR0172096B1 KR 0172096 B1 KR0172096 B1 KR 0172096B1 KR 1019960034980 A KR1019960034980 A KR 1019960034980A KR 19960034980 A KR19960034980 A KR 19960034980A KR 0172096 B1 KR0172096 B1 KR 0172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trolley
drum
magnet
w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5588A (ko
Inventor
이동원
이창권
Original Assignee
이동원
이창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이창권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1996003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96B1/ko
Priority to JP30478496A priority patent/JPH1077548A/ja
Publication of KR1998001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96B1/ko

Links

Landscapes

  • Looms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침과 바디침없이 제직을 할 수 있는 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제직을 하기 위한 직기의 경우 바디침과 위사 안내장치가 필수적이며, 바디침과 위사안내장치의 속도에 의하여 제직속도가 결정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직을 하게 되며 이 경우 통상적인 구직기와 레피어직기는 실의 굵기에 상관없이 제직을 할 수 있으나 제직속도가 빠른 워트젯트직기나 에어젯트직기는 굵은실을 사용할 경우 실의 무계와 공기저항 등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제직할 수 없음은 물론 위사가 타측으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디침을 할 경우 제직된 원단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실의 굵기 및 실내조건에 관계없이 고속으로 제직하기 위해 위사의 투입과 바디침시간을 최소로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직기는 모두 바디침이 필수적일뿐만 아니라 빠른 위사안내를 위한 워트젯트직기나 에어젯트직기의 경우 실의 굵기나 실내 습도 등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양질의 직물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 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직부(A)의 하부에 안내프레임(2)을 설치하고, 안내프레임(2)에 대차(4)를 설치하되 대차(4)에 자석(10)을 고정하여 대차(4)가 제직하는 길이 이상 좌우로 왕복 할 수 있도록 하고, 대차(4)의 상부에 북(16)을 설치하되 북(16)의 바닥면에 바퀴(14)를 설치하고, 전면에 압입롤러(22)가 위사를 경사에 압입토록 하여 제직을 하는 것으로서 대차(4)의 자석(10)에 의해 북(16)이 지지되어 왕복운동 하고,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8)는 하부경사를 타고 넘어가면서 위사를 좌우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북을 안내하기 위한 프레임과 대차의 단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대차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북의 저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북과 대차의 요부 절단면도.
제6도는 제직시의 평면도.
제7도는 압입롤러가 교차된 경사를 밀고있는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로서 북의 평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타 실시예로서 유압에 의해 대차가 안내프레임을 왕복운동 할 수 있도록 된 안내프레임의 횡 절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A-A'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타 실시예로서 횡 절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제직부 2,3 : 안내프레임
4,40 : 대차 6 : 통공
8 : 개방부 10,20 : 자석
14 : 바퀴 16 : 북
18 : 롤러 22 : 압입롤러
24 : 위사안내대 26 : 안내롤러
28 : 안내바 30 : 바디
32 : 실꾸리 34 : 그리퍼
36 : 스프링 38 : 유압파이프
42 : 유압이동통로
본 발명은 북침과 바디침없이 제직을 할 수 있는 직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직부의 하부에 안내프레임을 설치하고 안내프레임에 대차를 설치하되 대차에 자석을 고정하여 대차가 제직하는 길이 이상 좌우로 왕복 할 수 있도록 하고 대차의 상부에 북을 설치하되 북의 바닥면에 바퀴를 설치하고, 전면에 압입롤러가 위사를 경사에 압입토록 하여 제직을 하는것으로서 대차의 자석에 의해 북이 지지되어 왕복운동 하고 북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는 하부경사를 타고 넘어가면서 개구부로 위사를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직을 하기 위한 직기의 경우 바디침과 위사안내장치가 필수적이며, 바디침과 위사안내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바디침과 위사안내장치의 속도에 의하여 제직속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위사안내장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변형 발전되고 있다.
종래 구직기의 경우 북(shuttle)에 위사를 감아둔 실꾸리를 설치하여 북이 상.하경사부의 개구부 사이를 이동하면 바디침을 하게 되고, 레어직기의 경우 실꾸리를 제직부의 일측에 설치한 다음 양쪽편에 설치된 레피어(rapier)중 일측 레피어가 위사를 잡고 제직부의 중앙에 도착하면 타측의 레피어도 제직부의 중앙에 도착하여 일측 레피어의 위사를 타측 레피어가 가지고 두 개의 레피어가 양측으로 빠진 다음 바디침을 하게 되고, 워트젯트직기나 에어직기의 경우에도 물과 공기로서 위사를 쏘아 타측에 위사가 도착하면 바디침을 하게 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직을 하게 되며 이 경우 통상적인 구직기와 레피어직기는 실의 굵기에 상관없이 제직을 할 수 있으나 제직속도가 빠른 워트젯트직기나 에어젯트직기는 굵은실을 사용할 경우 실의 무계와 공기저항 등으로 인하여 바른속도로 제직할 수 없음은 물론 위사가 타측으로 충분히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바디침을 할 경우 제직된 원단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상기에서 보듯이 위사의 이동시간과 바디침 속도등이 생산성 향상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위사의 이동시간과 바디침 속도를 최소로 줄이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나 지금까지의 직기는 모두 바디침이 필수적일뿐만 아니라 빠른 위사안내를 위한 워트젯트직기나 에어젯트직기의 경우 실의 굵기나 실내습도 온도 등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양질의 직물을 고속으로 대량 생산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실의 굵기와 실내의 온도 습도 등에 관계없이 고속으로 제직을 하면서도 양질의 직물을 제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직부중 개구부의 하부에 안내프레임을 고정설치하되 안내프레임은 대차가 안내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대차의 상부에 자석(통상 영구자석을 사용할 수 있음)을 끼워 고정하고 대차 안내프레임의 상부에 북을 설치하되 북의 하부에 자석과 롤러를 설치하고 북의 전면에 압입롤러와 위사안내용 안내대를 설치하여 밴드에 의해 대차가 개구부를 왕복운동 하고 대차 상부에 자석 결합된 북은 대차의 왕복운동에 의해 개구부를 왕복운동하게 되고 북이 개구부를 왕복운동할 때 압입롤러는 경사를 밀면서(위사가 내부로 압입됨) 이동하고 안내대에서는 위사가 공급되고 개구부가 전환되면(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하부 경사가 벌어지고 다시 상부경사는 하향하고 하부경사는 상향함을 말함) 다시 북의 압입롤러는 경사를 밀면서 이동하고 안내대에서 위사가 공급되어 동일한 동작으로 반복 운동하면서 제직을 하게 되는데 이때 북에 설치된 자석과 대차에 설치된 자석은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북에 설치된 롤러가 개구부를 이동하게 되는데 북은 대차에 고정되어 롤러가 하부경사를 넘으면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직기에 있어서, 제직부(A)의 하부에 안내프레임(2)을 설치하고 안내프레임(2)의 내측에 대차(4)를 설치하되 대차(4)가 안내프레임(2)을 이탈하지 않도록 내측에 사각통공(6)을 형성하고, 외측은 대체로 사각체인 안내프레임(2)을 형성하되 상부에 개방부(8)를 형성하고, 대차(4)의 상부에 다수개의 자석(10)을 설치하되 대차(4)의 양측단부에 밴드(12)를 고정하고, 안내프레임(2)의 사각통공(6)으로 대차(4)가 저항없이 이동할 수 있도록 대차(4)에 바퀴(14)를 설치한다.
북(16)은 개구부를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북(16)의 바닥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 바닥면에 다수개의 회전롤러(18)와 자석(20)을 설치하고, 북(16)의 전면에 회전하면서 위사를 압입하는 압입롤러(22)와 위사 안내대(24)를 설치하고, 북(16)의 배면에 안내롤러(26)를 설치하고, 안내프레임(2)의 배면에 안내바(28)를 설치하고, 제직되는 제직부(A)에는 안내바(28) 대신 바디(30)를 설치하되 안내바(28)와 바디(30)가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북(16)의 배면에 설치된 안내롤러(26)가 안내바(28)와 바디(30)를 타고 회전하면서 개구부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넓은 폭의 직물을 제직시 제직부(A)의 외측까지 바디(30)를 설치하여 바디(30)에 의해 북(16)이 안내되게 할 수 있다.
북(16)의 중앙에 실꾸리(32)를 설치하여 안내대(24)를 통해 위사가 공급되게 하거나 북(16)의 양측에 그리퍼(gripper)(34)를 설치하고, 직기의 양측 보빈에 감겨진 실을 그리퍼(34)가 개구부를 왕복하면서 위사를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에 있어 대차(4)의 상부에 설치된 자석(10)의 극성을 이용하여 대차(4)에 북(16)을 설치하되 대차(4)의 상부에 설치된 자석(10)중 상부면이 모두 S극이 되도록 설치하면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의 하부면이 S이 되도록 설치하거나 대차(4)의 상부에 설치된 상부면이 N극이 되게 설치하면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의 하부면이 N이 되도록 설치하여 대차(4)의 자석(10)과 자석(10)사이의 거리(X) 크기와 같거나 작은 자석(20)을 북(16)에 고정하고, 북(16)의 자석(20)이 대차(10)의 자석(10)과 자석(10)사이에 위치하도록 북(16)을 대차(4)와 부착 설치한다.
북(16)의 전면에 설치된 압입롤러(22)는 반드시 1개이상 이어야 하며 압입롤러(22)의 단부(압입롤러의 외경단부)는 뾰족하여 상.하부경사를 밀 수 있도록 한다.
안내대(24)는 경사를 개구부사이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북(16)의 전면 또는 측면에서 위사를 공급할 수 있고, 위사를 개구부의 단부쪽으로 삽입 공급하기 위하여 안내대(24)는 회동가능하게 하고, 안내대(24) 전면으로 스프링(36)을 설치하여 안내대(24)에 힘이 주어지지 않으면 북(16)과 직각이 되나 안내대(24)에 다른 힘이 주어지면 힘의 반대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미 설명 부호 52는 롤러안내편, 54는 유압이동통로 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제직부(A)의 하부에 설치된 대차(4)는 밴드(12)에 고정되고, 밴드(12)는 직기의 동력장치(통상의 방법에 의한 동력장치이므로 미도시)와 안내프레임(2)에 안내되면서 제직되는 폭 이상으로 좌우 왕복운동하게 된다.
대차(4)의 상부에 설치된 자석(10)과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에 의해 북(16)이 대차(4)에 고정되며, 이때 대차(4)의 왕복운동에 따라 북(16)도 왕복운동하게 되는데 북(16)의 원활한 왕복운동과 북(16) 하부의 경사를 절사하지 않고 북(16)이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북(16)의 하부에 롤러(18)를 설치한다.
안내프레임(2)의 내측으로 대차(16)가 왕복운동을 하되 대차(4)에 설치된 바퀴(14)만 안내프레임(2)에 지지되어 대차(4)가 왕복운동을 하고, 대차(4)의 상부 중앙부에 개방부(8)를 형성하여 대차(2) 상부에 설치된 자석(10)과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이 자성체의 장애없이(통상 금속등 자성체는 자력을 약화시키거나 자력의 방향을 변하시키므로) 견고히 접합할 수 있도록 한다.
안내프레임(2)을 비자성체로 형성할 경우 개방부(8)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 하다.(롤러(18)가 이탈하여 안내프레임(2)의 개방부(8)에 빠질 우려가 있으므로)
대차(4)의 상부에는 롤러(18)가 안치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안내편(52)을 형성하고, 배면에 안내바(28)와 바디(30)를 설치하여 북(16)은 대차(4)에 자석(10)(20) 고정되고, 북(16)의 배면은 바디(30)와 안내바(28)에 밀착되어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북(16)이 배면과 바닥면에 지지되고 자석(10)(20)에 의해 고정되므로서 북(16)은 안내프레임(2) 상부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대차(4)와 북(16)에 다수개의 자석(10)(20)으로 고정하는 방법중 대차(4)에 설치된 자석(10)의 상부면을 모두 N극으로 할 경우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의 하부가 N극 또는 대차(4) 상부의 자석(10) 상부면이 S극이면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자석(20)의 하부면이 S극이 되도록 하면, 북(16)의 하부 바닥의 자력과 대차(4)의 상부면의 자력은 서로 밀어내므로(N극과 N극, S극과 S극은 서로 밀어내므로) 대차(4)의 자석(10)과 자석(10)사이에 북(16)의 자석(20)이 위치하게 되며, 대차(4)의 자석(10)중 바닥부와 북(16)의 자석(20)중 바닥부가 서로 접합할려고 하고, 대차(4)의 상부면과 북(16)의 상부면이 서로 접합할려고 하므로 대차(4)의 자석(10) 상부면과 북(16)의 자석(20) 상부면의 극성이 다르고 북(16)에 설치된 자석(20)의 하부면과 대차(4)에 설치된 자석(10)의 하부면이 서로 다른 극이므로 북(16)이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의 방법 이외에 대차(4)의 바닥면과 북(16)의 바닥면을 다른 극으로 할 경우 북(16)과 대차(4)가 쉽게 접착하나 이 경우 대차(4)가 고속으로 작동시 북(16)의 무계에 따른 가속력에 의해 대차(4)에서 북(16)이 튕겨져 나오게 된다.
그러나 대차(4)의 바닥면과 북(16)의 상부면의 극을 동일하게 할 경우 대차(4)의 자석(10) 사이에서 북(16)의 자석(20)이 조금이라고 좌우이동할려고 하면 대차(4)의 자석(10) 상부면 극과 북(16)의 자석(20) 하부면 극이 같으므로 서로 밀어내게 되어 대차(4)와 북(16)이 항상 동일 위치에서 안정된 접착을 한다.
따라서 대차(4)가 고속 왕복운동을 하여도 북(16)이 대차(4)에서 이탈하지 않게 된다.
북(16)의 하부에 설치된 롤러(18)는 개구부를 형성한 하부경사를 타고 넘으면서 경사를 절사하지 않으면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북(16)의 전면에 설치된 안내대(24)는 북(16)의 좌우왕복운동에 따라 방향이 전환되면서 위사를 개구부에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북(16)에서 위사를 개구부로 효과적으로 투입하기 위하여 안내대(24)가 좌우회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36)을 설치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북(16)의 측면에 위사를 공급하는 안내대(24)를 설치할 수도 있다.
북(16)의 전면 경사사이에 공급된 위사를 압입하기 위하여 압입롤러(22)를 설치하되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압입롤러(2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압입롤러(22)의 단부는 경사 사이에 공급된 위사를 쉽게 압입하기 위하여 단부를 뾰족하게 형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압입롤러(22)의 단부가 너무 뾰족하여 경사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타 실시예인 제8도에서와 같이 북(16)의 양측단부에 그리퍼(34)를 형성하여 북(16)에 실꾸리(32)를 설치하지 않고 제직부의 양측에 실꾸리(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위사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북(16)에 실꾸리(32)를 설치하는 것 보다 직기의 일측에 실꾸리를 형성할 경우 장시간 실꾸리를 공급하지 않아도 되는 잇점이 있다.
타 실시예의 도면 제8도는 그리퍼(34)와 위사 안내대(24)를 동시에 설치한 북(16)의 형상이지만 실제 사용할 때 어느 한 가지만 설치하여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안내프레임(2)이 자성체(통상 금속)일 경우 개방부(8)가 형성되므로 대차(4)의 고속이동시 위험할 뿐만 아니라 보기가 흉하므로 안내프레임(2)의 상부에 비 자성체이면서 얇은 판 또는 천 등을 덮는 것이 좋다.
대차(4)를 왕복운동 하기위한 타 실시예인 도면 제9도와 도면 제10도에서와 같이 안내프레임(3)의 양측에 통상의 유압방법에 의하여 작동하는 유압파이프(38)를 설치하고, 안내프레임(3) 내측 유압이동통로(42)에 대차(40)를 설치하되 대차(40)는 안내프레임(3)의 유압이동통로(42) 벽면과 밀폐되게 설치하여 일측 유압파이프(38)에 압력을 가하고 타측에는 압력을 해제하면 대차(40)는 타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타측 유압파이프(38)에 압력을 가하고 일측 유압파이프(38)의 압력을 해제하면 대차(40)는 일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대차(40)를 고속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일측부 유압파이프(38)에 압력을 가하고, 타측부의 유압파이프(38)는 유압을 빨아드리면서 대차(40)을 당겨 고속으로 대차(40)을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 대차(40)의 상부에 자석(10)을 설치한 다음 북(16)과 자석(10)(20) 결합하여 제직을 할 수 있으며, 안내프레임(3)을 비자성체로 하고, 안내프레임(3)의 하부면과 측면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안내프레임(3)의 변형을 막고 안내프레임(3)의 상부면(북이 설치되는 쪽)의 두께를 얇게 하여 대차(40)와 북(10)을 견고히 자석(10)(20) 결합되게 한다.
상기의 방법은 제직시 소음이 거의 없고 외부에 기계장치가 부착되지 않아 안전사고의 요인이 없으며 도면 제11도에서와 같이 안내대의 하부에 유압이동통로(54)를 형성하여 일측 유압이동통로(42)와 유압이동통로(54)를 연결하여 양측에 유압파이프(38)을 설치하지 않고 일측에 두개의 유압파이프(38)을 설치하거나 중앙에 유압파이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북침이나 바디침없이 직물을 제직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차와 영구자석으로 결합된 북이 위사를 개구부로 직접 안내하고, 압입롤러가 위사를 압입하므로서 항상 안정된 위사공급과 항상 같은 압력으로 위사를 압입하므로서 일률적인 제직을 하고 위사의 굵기 주의환경(습도 온도 등) 등에 지장을 받지 않고 양질의 직물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직물을 제직하는 제직부(A)의 바닥면에 왕복운동할 수 있는 대차(4)를 설치하고, 대차(4)의 상부에 자석(10)을 설치하고, 대체로 타원형상이면서 위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된 북(16)의 바닥면에 자석(20)과 롤러(18)를 설치하여 북(16)과 대차(4)를 자석(10)(20) 고정하여 대차(4)의 왕복운동에 따라 북(16)이 왕복운동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대차(4)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자석(10)의 상부면이 모두 동일한 극이 되게 고정 하고, 북(16)의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자석(20) 하부면도 대차(4)의 상부면과 동일한 극으로 고정하고, 대차(4)의 자석(10)과 자석(10)사이의 길이(X) 보다 작거나 같은 자석(20)을 북(16)에 고정하여 대차(4)의 자석(10)과 자석(10)사이에 북(16)의 자석(20)이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직부(A)의 하부에 안내프레임(2)을 설치하되 안내프레임(2)의 내측에 대차(4)를 설치하고, 대차(4)에 바퀴(14)를 설치하되 대차(4)의 양측에 밴드(12)를 고정하여 밴드(12)를 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직부(A)의 하부에 안내프레임(3)을 설치하되 안내프레임(3)의 양측에 유압작동용 파이프(38)를 설치하고, 밀폐된 사각봉체인 안내프레임(3)의 내측에 대차(40)를 삽입 설치하되 대차(40)가 안내프레임(3)의 내측에서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북(16)의 전면에 회전하는 압입롤러(22)를 설치하여 공급된 위사를 경사사이에 압입되게 하고, 압입롤러(22)의 단부를 뾰족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북(16)의 중앙부에 실꾸리(32)를 설치하고, 북(16)의 전면에 안내대(24)를 설치하여 실꾸리(32)의 실이 안내대(24)를 통하여 개구부로 공급되게 하되, 북(16)이 개구부를 이동할때 안내대(24)가 좌우회동하면서 위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북(16)의 배면에 안내롤러(26)를 설치하고, 안내프레임(2)의 배면에 돌출된 안내바(28)와 바디(30)를 설치하되 안내바(28)와 바디(30)가 일직선상이 되도록 하여 북(16)이 배면으로 지지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안내프레임(2)은 사각체이면서 내측에 사각통공(6)을 형성하되 사각체의 상부중앙에 개방부(8)와 외측에 롤러안내편(52)을 형성하고, 바퀴(14)와 밴드(12)가 설치된 대차(4)를 통공(6)에 삽입하되 대차(4)의 중앙에 자석(10)을 고정하고, 북(16)의 하부에 자석(20)을 고정하여 대차(4)의 자석(10)과 북(16)의 자석(20)이 개방부(8)에서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9.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북(16)의 양측단부에 그리퍼(34)를 설치하여 그리퍼(34)가 개구부로 위사를 공급하는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KR1019960034980A 1996-08-21 1996-08-21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KR0172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980A KR0172096B1 (ko) 1996-08-21 1996-08-21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JP30478496A JPH1077548A (ja) 1996-08-21 1996-11-15 織機用の緯糸案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4980A KR0172096B1 (ko) 1996-08-21 1996-08-21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588A KR19980015588A (ko) 1998-05-25
KR0172096B1 true KR0172096B1 (ko) 1999-02-18

Family

ID=1947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4980A KR0172096B1 (ko) 1996-08-21 1996-08-21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77548A (ko)
KR (1) KR01720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36B1 (ko) * 2001-03-30 2005-01-05 이창권 순환식 위사위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025A (ko) * 1999-08-06 2001-03-05 우-첸 추앙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SE520492C2 (sv) * 2000-03-06 2003-07-15 Biteam Ab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textiltillverkning
CN100400729C (zh) * 2002-03-06 2008-07-09 林贞惠 挠性梭
CN103911754B (zh) * 2014-04-22 2015-12-02 江苏斯利浦睡眠产业科技有限公司 一种纺织机的梭子
CN106400278B (zh) * 2016-06-14 2018-08-28 嵊州市前锦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适用于扁金丝纺织品及剑杆织机用接纬剑头
CN106498614A (zh) * 2016-12-22 2017-03-15 绍兴县通用提花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双福麻布编织机的送纱装置
CN108265380B (zh) * 2018-03-06 2023-05-05 沈红 可快速收回纬丝的缂丝用梭子
CN110485035B (zh) * 2019-09-11 2024-04-02 宋怡佳 一种变磁阻磁悬浮引纬装置
CN111235724B (zh) * 2020-02-24 2021-08-03 东华大学 一种剑杆织机梭子单侧抓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36B1 (ko) * 2001-03-30 2005-01-05 이창권 순환식 위사위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77548A (ja) 1998-03-24
KR19980015588A (ko) 199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2096B1 (ko) 직기용 위사 안내장치
EP0467059A1 (en) Device to regulate weft yarn tension and recover the weft yarn in looms
US3926224A (en) Weft selecting, measuring and storing apparatus
US2845093A (en) Method of and means for weaving
US2902058A (en) Looms
US20150027583A1 (en) Weft insertion system and weaving machine comprising such a system
JPS6120582U (ja) 織機のための緯糸選択装置
JPH0447053B2 (ko)
DE59402688D1 (de) Nahtwebmaschine mit Fransenfänger
US4529016A (en) Apparatus for inserting weft wires in a weaving loom
GB2200372A (en) Loom with magnetic shuttle
CN213266896U (zh) 一种电磁引纬装置
US4756343A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insertion of weft yarns into the shed of a weaving machine
JPS63105148A (ja) 糸緊張装置
US41261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rapiers
US3665976A (en) Suction apparatus on a textile machine
CN1116457C (zh) 一台纺织机的选纱装置
US630874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leno thread for a weaving machine
US20080178959A1 (en) Catc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rapier weaving machine
KR100353757B1 (ko) 실파지장치
KR970008884B1 (ko) 셔틀 리스(shuttle less)직기의 그리퍼 셔틀(gripper shuttle)
JPS63112752A (ja) 織機における緯糸挿入シヤトル案内装置
KR100550085B1 (ko) 유체분사직기의 씨실지지장치
JPH09111592A (ja) 有杼織機への横糸挿入装置
JPH02118136A (ja) 無杼織機の緯入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