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025A -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 Google Patents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7025A
KR20010017025A KR1019990032318A KR19990032318A KR20010017025A KR 20010017025 A KR20010017025 A KR 20010017025A KR 1019990032318 A KR1019990032318 A KR 1019990032318A KR 19990032318 A KR19990032318 A KR 19990032318A KR 20010017025 A KR20010017025 A KR 20010017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le
belt
drive
machine fram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첸 추앙
Original Assignee
우-첸 추앙
쳉 쳉-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첸 추앙, 쳉 쳉-시웅 filed Critical 우-첸 추앙
Priority to KR1019990032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17025A/ko
Publication of KR20010017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70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1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 D03D47/24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single picks of weft thread are inserted, i.e. with shedding between each pick by gripper or dummy shuttl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52Shuttle box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2General arrangements of driv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06Dummy shuttles; Gripper shu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제직 직기의 변속기(51)는 구동휠(511)과, 피동휠(512)과, 상기 구동휠(511)과 피동휠(512)의 둘레에 연장되는 무한구동벨트(513)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자성유니트(514)를 포함하는데, 상기 자성유니트는 상기 벨트의 내면에 고정되어 기계 프레임상에서 순환하도록 상기 셔틀을 끌어당기고 구동시킨다. 상기 구동휠(511)과 피동휠(512) 각각은 환형의 그루브를 가지며 이 그루브안에서 상기 셔틀(52)과 상기 자성 유니트(514)가 움직여 상기 셔틀(52)이 상기 자성 유니트(514)로 끌려 당겨진다.

Description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Weaving loom with magnetic shuttle}
본 발명은 제직 직기(製織 織機)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무한 루프를 따라 순환하는 순환 자성 셔틀(magnetic shuttle)이 설치된 제직 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직 직기에서는, 왕복동 셔틀이 직선의 주행 레일(race rail)을 따라 왕복한다. 북집운동(picking motion)시, 상기 왕복동 셔틀의 이동 속도(the flying speed)는 0으로부터 고속의 일정 속도까지 가속되고, 그리고 다음 제동되어 0으로 감속된다. 이어서 동일한 북집운동이 반대방향에서 반복되어, 그러므로서 위사위입시간(緯絲緯立時間)(the weft picking time)을 크게 증가시킨다.
상기의 시간 소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순환 자성 셔틀이 설치된 개량된 제직 직기를 지금까지 제안하였다. 도 1을 참조로, 상기 개량된 제직 직기(1)는 구동 휠(111)을 가져 구동 벨트(113)를 구동하여 순환시킨다. 일련의 자성체(114)가 상기 벨트(113)에 고정되어 자성 셔틀(13)을 끌어당기고 무한 루프를 따라서 순환하도록 구동시킨다. 상기 셔틀(13)은 위사 흔들림 로드(weft swinging rod)(16)의 도움으로 위사(160)를 집어서, 다음 상기 위사(160)를, 회전축(222)에 고정된 흔들림 아암(swing arm)(221)에 지지된 리드 조립체(reed assembly)(20)를 넘어서 이동시킨다. 상기 회전축(222)이 회전할 때, 상기 리드 조립체(20)는 상기 위사(16)를 친다. 가이드 롤러들(12)의 연속체 두개가 각각 구동 휠(111)과 피동 휠(112)의 주위에 배치되어 주행 레일(101)의 두 개의 휘어진 부분을 따라 이동할 때, 원심력이 생성되어 상기 셔틀(13)은 상기 궤적 레일(101)로 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상기 종래의 제직 직기(1)는 다음의 불리한 점을 가진다:
1. 상기 제직 직기(1)는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주행 레일(101)은 상기 구동벨트(113)의 주위에 배치되어질 필요가 있으며,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13)의 통로로서 작용한다. 게다가, 많은 수의 상기 가이드 롤러들(12)이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의 주위에 배치되어 상기 셔틀(13)을 휘어진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안내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13)을 무한 루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직기(織機)(1)를 생산하는 것이 어려우며, 생산비용을 증가시킨다.
2. 상기 셔틀(13)은 주행 레일(101)에서 부드럽게 이동하지 못한다. 이상적으로는,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사이의 벨트(113)의 부분은 수평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사이에서 자성체(114)가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자성체(114)가 부착되는 상기 벨트(113)의 부분은 상기 자성체(114)의 무게에 의하여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사이에 위치한 벨트(113)의 다른 부분보다 약간 처진다.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사이의 거리가 크면 클수록, 자성체(114)의 미리 정하여진 순환 경로로부터의 이탈이 더욱 심각하다. 넓은 직물을 제직할 경우 상기 구동 휠(111)과 상기 피동 휠(112)사이의 거리를 증가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상기 벨트(113)와 자성체(114)는 고속으로 부드럽게 순환하지 못한다. 나아가서, 상기 셔틀(113)은 상기 주행 레일(101)에서 이동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 롤러들(12)과 자주 접촉하므로, 이는 상기 무한 루프를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지 못하고 따라서 제직(製織)효율을 저하시킨다.
3. 상기 제직 직기(1)를 유지하고 수리하는 것은 어렵다. 상기 제직 직기(1)의 무게중심을 내리고 그 진동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주행 레일(101)과 상기 가이드 롤러들(12)은 상기 흔들림 아암(swing arm)(221)과 그리고 상기 회전축(222)과 함께 상기 제직 직기(1)의 하부에 놓인다. 이들은 상대적으로 상호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상기 제직 직기(1)를 유지하고 수리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 자성 셔틀이 설치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유지되고 수리되며, 부드럽게 작동되어 제직(製織) 효율을 높이는 개량된 제직 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직 직기는 변속기를 가진다. 상기 변속기는 구동휠과, 피동휠과, 상기 구동휠과 상기 피동 휠 주위에서 연장하는 무한 구동 벨트와, 그리고 상기 벨트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셔틀을 끌어당기고 기계의 프레임상에서 순환하도록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유니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동휠과 피동휠에는 환상의 그루브가 형성되고, 그 안에서 상기 셔틀과 상기 자성 유니트는 상기 셔틀이 상기 자성 유니트로 끌려지도록 이동한다.
도 1은 종래의 제직 직기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직 직기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측면 개략도이고;
도 3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 개략도이며;
도 4는 상기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동 벨트의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 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동휠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동 벨트와 피동 벨트 사이의 연결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변형된 셔틀 가압 유니트와 변경된 구동 벨트를 보이는 정면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7상의 상기 구동 벨트상에 닳음 방지 판이 어떻게 설치되어 구동벨트와 두 개의 길이방향 판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는지를 보이는 단면 개략도이며; 그리고
도 9는 두 개의 변형된 가압 장치가 설치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과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명확하여 질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직 직기의 제 1 바람직한 실시예가 보이며, 이는 경사(經絲)(31)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 기구(3)와, 상기 경사(31)사이에서 북구(shed)를 형성하는 개구기구(shedding mechanism)(4)와, 위사를 상기 북구로 위입하는 위사위입기구(緯絲緯立機構; weft picking mechanism)(5)와, 위입된 위사를 상기 북구의 펠(fell)로 위타하는 위사위타운동기구(weft beating mechanism)(6)와, 그리고 직물수집기구(fabric collecting mechanism)(30)를 포함하는 것이 보인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위입기구(5)는 기계 프레임(50)과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 놓인 순환 변속기(51)와, 그리고 상기 변속기(51)에 의하여 구동되는 두 개의 자성 셔틀(52)을 포함한다. 상기 변속기(51)는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놓인 구동 휠(511)과,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놓인 피동 휠(512)과, 상기 구동 휠(511)과 상기 피동 휠(512) 주위에서 연장되며 상기 구동 휠(511)에 의하여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무한 구동벨트(513)와,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513)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셔틀(52)을 끌어당기고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순환하도록 구동시키는 두 개의 자성 유니트(514)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0)은 고정된 상부 주행 레일(501)과 고정된 하부 주행 레일(502)을 가진다. 상기 상부 주행 레일(50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주행 레일(502)의 상부면 각각에는 개방단(open-ended)인 길이방향 가이드 홈(503)과, 두 개의 고정된 닳음 방지 길이방향 플레이트(504)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상기 길이방향 플레이트(504)는 각각 상기 가이드 홈(503)의 두 개의 측면부로 연장되어 상기 셔틀(52)을 상기 상부와 하부의 주행 레일(501, 502)중 하나와 상기 길이방향 플레이트(504)사이에 위치시켜,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52)을 상기 가이드 홈(503)내에 가둔다. 상기 셔틀(52)은 상기 상부와 하부의 주행 레일(501, 502)내에서 상기 셔틀(52)이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자성 유니트(514)에 끌려진다.
상기 상부와 하부의 주행 레일(501, 502)의 가이드 홈(503) 각각은 셔틀 인입구(503')를 가져 이를 통하여 상기 셔틀(52)이 상기 가이드 홈(503)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셔틀 출구(503")를 가져 이로부터 상기 셔틀(52)이 상기 길이방향 가이드 홈(503)을 떠난다. 두 개의 가압 기구(505)가 각각 상기 가이드 홈(503)의 상기 셔틀 인입구(503')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 가압 기구(505) 각각은 일 열의 가압 롤러들(505')을 포함하는데, 이들은 수평선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구동벨트(513)의 외측면과 맞닿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벨트(513)의 내면에는 두 개의 길이방향 열의 치부(515)가 형성되는데, 그 사이에 상기 자성 유니트(513)들(단지 하나만이 도시됨)이 배치된다. 각각의 자성 유니트(514)는 세장형이며 파형인 길이방향의 플레이트(516')를 가지는데, 이는 상기 구동벨트(513)상에 고정되어 상기 길이방향의 플레이트(516)와 상기 구동벨트(513)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자성체 수납 공간(516')을 한정하며, 그러므로서 복수개의 자성체(516")를 그 안에 알맞게 수납한다.
상기 구동 휠(511)과 피동 휠(512)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휠(511)은 스퍼 기어(spur gear)로서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벨트(513)의 치부(515)와 맞물리도록 치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휠(511)은 환형의 그루브(517)가 형성된 림(rim)을 가지며, 그 안에서 상기 자성 유니트(514)와 상기 셔틀(52)이 움직이되 상기 셔틀(52)이 상기 자성 유니트(514)로 끌려지도록 이동한다. 상기 구동 휠(511)은 회전축(518)에 고정되게 슬리브(sleeve) 이음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위타기구(beating mechanism)(6)는 일 열의 리드 덴트(reed dent)(61)와 그리고 흔들림 장치(swinging device)(62)로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reed assembly)(60)를 포함한다. 상기 리드 덴트들(61)은 몸체(sley)(63)상에 배치된다. 상기 흔들림 장치(62)는 상기 리드 조립체(60)에 고정되게 연결되며, 흔들림 아암(621)과 회전축(622)을 가지는데, 이들은 상호 고정되게 연결된다. 각각의 리드 덴트(61)는 수평부를 가져 그 위에 평평한 셔틀 가이드웨이(601)를 형성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52)을 상기 북으로 가이드 한다. 상기 기계 프레임(50)에는 세장형의 쐐기 형상인 디바이더(53)와 세장형의 쐐기 형상의 조인터(55)가 설치되는데, 이들은 상기 리드 조립체(60)의 두 측면에 고정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디바이더(53)는 상기 구동 휠(511)과 상기 하부 주행 레일(502)의 상기 가이드 홈(503)의 상기 셔틀 인입구(503')의 근방에서 이들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에 인접한 접촉단과,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와 동일한 높이의 평평한 수평 상부면(531)과 그리고 쐐기 형상의 단(532)을 가진다. 이와 같이 되어, 상기 셔틀(52)은 상기 구동 휠(511)로부터 상기 구동벨트(513)를 따라 상기 디바이더(53)의 상기 쐐기 형상의 단부(532)까지 이동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52)과 상기 자성 유니트(514)를 상기 쐐기 형상의 단부(532)에서 분리시킨다. 연이어서, 상기 셔틀(52)은 상기 쐐기 형상의 단부(532)로부터 상기 디바이더(53)의 상부면(531)과 상기 리드 조립체(60)상의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로 이동한다. 셔틀 가압 유니트(depressing unit)(54)가 상기 디바이더(53)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롤러(541, 542)와, 상기 롤러(541, 542)의 주위에서 연장되며 그 사이에서 회전을 전달하는 컨베이 벨트(543)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 벨트(543)는 상기 셔틀(52)을 가압하여 상기 디바이더(53)의 상부면(531)에 맞닿게 하는 수평하부면을 가진다. 상기 좌측 롤러(541)에는 상기 롤러(541)에 동축으로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되는 벨트 풀리(544)와, 상기 벨트 풀리(544)와 상기 구동 휠(511)의 회전축(518)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작은 벨트(545)가 설치되고, 그러므로서 상기 구동 휠(511)의 회전을 상기 롤러들(541, 542)에 전달한다. 좌측 가압 롤러(56)와 위사 흔들림 로드(57)는 공지의 방식으로 상기 리드 조립체(60)의 근처에 장착된다. 상기 조인터(55)는 상기 리드 조립체(60)와 상기 피동 휠(512)사이에서 상기 디바이더(53)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장착되고, 접촉단(55)과, 평평한 수평 상부면(551)과 그리고 쐐기 형상의 단부(552)를 가진다. 우측 가압 롤러(56)는 상기 좌측 가압 롤러(56)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기 조인터(55)의 윗쪽에 배치된다. 상기 셔틀(52)은 상기 조인터(55)의 상기 쐐기 형상의 단부(552)로부터 떠나서 상기 자성 유니트(514)를 향하여 다시 끌려진다.
도 6을 참조하면, 변형된 변속기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는 구동휠(711)과 상기 구동휠(71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피동휠(미도시)과, 그리고 구동 벨트(713)를 포함한다. 자성 유니트(714)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게 상기 벨트(713)에 고정되며 그 구조 또한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다. 두 개의 길이방향의 열을 이루는 가이드 개구들(715)이 상기 자성체 유니트(714)의 두 측면상에서 상기 벨트(713)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휠(711)은 방사상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벨트(713)의 상기 가이드 구멍(715)과 맞물리는 고정된 짧은 핀(716)이 복수개 형성된 외주면을 가진다.
도 7을 참조하면, 변형된 가압 유니트가 또한 디바이더(83)의 윗쪽에 위치하며, 상기 셔틀(52)을 가압하여 상기 다이버(84)의 상부면과 맞닿게 하는 수평 플레이트(84)를 포함한다.
도 7과 8을 참조하면, 변형된 변속기는 벨트 풀리로서 구성되고 그 외주면에는 구동 벨트(813)의 평평한 내면과 맞물리는 마찰면이 형성되어 있는 구동휠(811)을 포함한다. 자성 유니트(814)는 닳음 방지 플레이트 유니트(815)를 포함하는데, 이는 셔틀(82)이 하부 주행 레일(802)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구동벨트(813)와 두 개의 길이방향의 플레이트(804)사이의 마찰접촉을 방지한다. 두 개의 길이방향의 플레이트(804)는 상기 하부 주행 레일(802)에 부착된다.
도 9는 두 개의 변형된 가압 유니트(95)를 보이는데, 각각은 경사선상에 배치된 일 열의 가압 롤러들(95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순환 자성 셔틀이 설치되며 간단한 구조로서 용이하게 유지되고 수리되며, 부드럽게 작동되어 제직(製織) 효율을 높이는 개량된 제직 직기를 제공한다.

Claims (11)

  1. 경사(31)를 공급하는 경사 공급 기구(3)와, 상기 경사(31)사이에서 북구를 형성하는 개구기구(4)와, 위사를 상기 북구로 위입하는 위사위입기구(5)와, 위입된 위사를 상기 북구의 펠(fell)로 위타(beating)하는 위사위타운동기구(6)를 포함하며,
    상기 위입기구(5)는 기계 프레임(50)과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 놓인 순환 변속기(51)와, 그리고 상기 변속기(51)에 의하여 구동되는 셔틀(52)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기(51)는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놓인 구동 휠(511)과,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놓인 피동 휠(512)과, 상기 구동 휠(511)과 상기 피동 휠(512) 둘레에 연장되며 상기 구동 휠(511)에 의하여 순환되도록 구동되는 무한 구동벨트(513)와, 그리고 상기 구동벨트(513)에 고정되며 상기 셔틀(52)을 끌어당기고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순환하도록 구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 유니트(514)를 포함하는 제직 직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511)과 상기 피동휠(512) 각각은 환형의 그루브(517)가 형성된 림(rim)을 가지며, 상기 구동벨트(513)는 외면과 내면을 가지며, 상기 자성 유니트(514)는 상기 구동벨트(513)의 내면에 고정되고, 상기 셔틀은(52)은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서 상기 구동벨트(513)안을 순환하며 상기 구동휠(511)과 상기 피동휠(512)에서 상기 환형의 그루브(517)내에서 이동하고, 상기 셔틀(52)은 상기 구동휠(511)과 상기 피동휠(512)내에서의 그 이동 동안에 상기 자성 유니트(514)에 끌림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프레임(50)은 하부면을 가지는 고정된 상부 주행 레일(501)과, 상부면을 가지는 고정된 하부 주행 레일(502)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주행 레일(501)의 하부면과 상기 하부 주행 레일(502)의 상부면 각각에는 개방단인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503)이 형성되며 두 개의 고정된 길이방향의 플레이트가 설치되는데, 이들 길이방향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가이드 홈(503)의 두 개의 측부로 연장되어 상기 셔틀(52)을 상기 상부와 하부의 주행 레일(501, 502)중 하나와 상기 길이방향 플레이트(504)사이에 위치시켜, 그러므로서 상기 셔틀(52)을 상기 가이드 홈(503)내에 가두고, 상기 셔틀(52)은 상기 상부와 하부의 주행 레일(501, 502)내에서 그 이동 동안에 상기 자성 유니트(514)에 끌림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503)은 각각 셔틀 인입구(503')를 가져 이를 통하여 상기 셔틀(52)이 상기 길이방향의 가이드 홈(503)으로 이동하며, 그리고 셔틀 출구(503")를 가져 이로부터 상기 셔틀(52)이 상기 길이방향 가이드 홈(503)을 떠나며, 상기 기계 프레임(50)은 두 개의 가압 기구를 더욱 포함하는데, 상기 가압 기구 각각은 상기 가이드 홈(503)의 상기 셔틀 인입구(503') 근처에 위치하며, 상기 각각의 가압 기구(505, 95)는 상기 구동벨트(513)의 외측면과 접하는 일 열의 가압 롤러들(5051, 951)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타기구(6)는 일 열의 리드 덴트(reed dent)(61)와 그리고 흔들림 장치(swinging device)(62)로 구성되는 리드 조립체(6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흔들림 장치는 상기 리드 조립체(60)를 흔들기 위하여 상기 리드 덴트(6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리드 덴트(61)는 수평부를 가져 그 위에 평평한 셔틀 가이드웨이(601)를 상기 리드 덴트들(61)의 수평부의 상부면에 형성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위사를 상기 북(shed)으로 가이드하며,
    상기 기계 프레임(50)에는 세장형의 쐐기 형상인 디바이더(53)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디바이더(53)는 그 위에서 상기 구동휠(511) 근방에 고정되며 그리고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에 인접한 접촉단과, 그리고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로부터 벗어나며 상기 구동휠(511)에 인접한 쐐기 형상의 단(532)을 가지고,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와 동일한 높이의 평평한 수평 상부면(531)을 가져, 상기 셔틀(52)은 상기 구동 휠(511)로부터 상기 구동벨트(513)를 따라 상기 디바이더(53)의 상기 쐐기 형상의 단(532)까지 이동하고, 그러므로서 상기 쐐기 형상의 단(532)에서 상기 셔틀(52)과 상기 자성 유니트(514)를 분리시키며, 상기 셔틀(52)은 상기 쐐기 형상의 단(532)으로부터 상기 디바이더(53)의 상부면(531)과 상기 리드 조립체(60)상의 상기 셔틀 가이드 웨이(601)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프레임(50)에는 상기 디바이더의 윗쪽에 위치하며, 상기 셔틀(52)을 가압하여 상기 디바이더의 상부면(531)과 맞닿게 하는 수평 플레이트(84)를 포함하는 셔틀 가압 유니트(54)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프레임(50)에는 셔틀 가압 유니트(54)가 설치되는데, 이는 상기 디바이더(53)의 윗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기계 프레임(50)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두 개의 롤러(541, 542)와, 상기 롤러(541, 542)의 주위에서 연장되는 컨베이 벨트(543)를 포함하며, 상기 컨베이 벨트(543)는 상기 셔틀(52)을 가압하여 상기 디바이더(53)의 상부면(531)에 맞닿게 하는 수평 하부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511)에는 고정된 회전축(518)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구동휠이 회전하고, 상기 롤러들(541, 542)중 하나는 상기 롤러에 동축으로 그리고 고정되게 연결되는 벨트 풀리(544)와, 상기 벨트 풀리(544)와 상기 구동 휠(511)의 회전축(518)을 중심으로 연장하는 작은 벨트(545)를 포함하여, 그러므로서 상기 구동 휠(511)의 회전을 상기 롤러들(541, 542)에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 유니트(514)는 복수개의 자성체(516")와 그리고 세장형이며 파형인 길이방향의 플레이트(516')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구동벨트(513)상에 고정되어 상기 파형의 플레이트(516)와 상기 구동벨트(513)의 사이에서 복수개의 자성체 수납 공간(516')를 정의하며, 그러므로서 상기 복수개의 자성체(516")를 그 안에 알맞게 수납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벨트(513)의 내면에는 두개의 길이방향 열의 치부(515)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는 상기 파형인 길이방향의 플레이트(516)가 상기 구동벨트상에 고정되며, 각각의 구동휠(511)과 피동휠(512)은 스퍼 기어(spur gear)로서 구성되며, 그 외주면은 상기 구동벨트(513)의 치부(515)와 맞물리도록 치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713)는 이를 통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일 열의 가이드 개구들(715)을 가지며, 상기 구동휠(711)과 피동휠 각각은 방사상으로 그리고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벨트(713)의 상기 가이드 구멍(715)과 맞물리는 고정된 짧은 핀이 복수개 형성된 외주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벨트(813)의 내면과 외면은 평평하고, 구동휠(811)과 피동휠 각각은 벨트 풀리로서 구성되어 그 외주면이 마찰면을 형성하여 구동 벨트(813)의 내면과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제직 직기.
KR1019990032318A 1999-08-06 1999-08-06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KR20010017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18A KR20010017025A (ko) 1999-08-06 1999-08-06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318A KR20010017025A (ko) 1999-08-06 1999-08-06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7025A true KR20010017025A (ko) 2001-03-05

Family

ID=37525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318A KR20010017025A (ko) 1999-08-06 1999-08-06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1702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211A (zh) * 2021-05-24 2021-08-10 湖州现代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升降运动的走梭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319A (en) * 1975-10-04 1978-02-14 Mayer & Cie Shuttle monitoring device, particularly for multiple-shuttle weaving machines
JPS6236085U (ko) * 1985-08-12 1987-03-03
EP0391770A2 (en) * 1989-04-05 1990-10-10 Chi-Shuang Huang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JPH08302544A (ja) * 1995-05-09 1996-11-19 Woo Chen Choan 磁動シャットル織機のスレー構造
JPH1077548A (ja) * 1996-08-21 1998-03-24 Toen Ri 織機用の緯糸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3319A (en) * 1975-10-04 1978-02-14 Mayer & Cie Shuttle monitoring device, particularly for multiple-shuttle weaving machines
JPS6236085U (ko) * 1985-08-12 1987-03-03
EP0391770A2 (en) * 1989-04-05 1990-10-10 Chi-Shuang Huang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JPH08302544A (ja) * 1995-05-09 1996-11-19 Woo Chen Choan 磁動シャットル織機のスレー構造
JPH1077548A (ja) * 1996-08-21 1998-03-24 Toen Ri 織機用の緯糸案内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211A (zh) * 2021-05-24 2021-08-10 湖州现代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能够实现升降运动的走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07A (zh) 控制经纱张力的方法和带有经纱张紧部件的织机
US2845093A (en) Method of and means for weaving
EP1074646B1 (en) Weaving loom with magnetic shuttle
US4762153A (en) Weaving loom with magnetic shuttle
US6269842B1 (en) Weaving loom with circulating magnetic shuttle
KR20010017025A (ko) 자성 셔틀을 가지는 제직 직기
EP0391770A2 (en)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US4901768A (en) Picking apparatus for a loom
KR910006407B1 (ko) 원형 직기의 축 구동장치
CN202415850U (zh) 一种剑杆织机
US2412353A (en) Weaving apparatus
JP2002227060A (ja) 循環磁気シャットルを有する織機
MXPA99007343A (en) Weaving loom with magnetic shuttle
CZ9902815A3 (cs) Tkalcovský stav s magnetickým člunkem
US3150692A (en) Stick loom shedding means
US4176692A (en) Rotating driving mechanism for imparting reciprocatory motion to a driven element
US3951178A (en) Shuttleless loom
US4285370A (en) Shed retainer
CN202415849U (zh) 一种剑杆织机
CN110760979A (zh) 一种用于纬纱束编织的剑杆织机及其操作方法
US2748806A (en) Single shaft loom
CN212611123U (zh) 一种具有纱线限位装置的片梭织机
US1684789A (en) Loom
SU646923A3 (ru) Ткацкий рапирный станок
KR200292887Y1 (ko) 세폭직기의 직물 권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