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070B1 -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70B1
KR0172070B1 KR1019960011783A KR19960011783A KR0172070B1 KR 0172070 B1 KR0172070 B1 KR 0172070B1 KR 1019960011783 A KR1019960011783 A KR 1019960011783A KR 19960011783 A KR19960011783 A KR 19960011783A KR 0172070 B1 KR0172070 B1 KR 017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esonance
silencer
nois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438A (ko
Inventor
육지헌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1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70B1/ko
Publication of KR970070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부 커버(11)(12)로 이루어지는 소음기 몸체(15)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16)로 구획하여 흡음실(13)과 공명실(14)을 형성하고, 상기 흡음실(13)에 천공 파이프(17)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천공 파이프(17)와 공명실(14)을 공명 파이프(18)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며, 상기 흡음실(13)의 천공 파이프 양측에 배기 파이프의 입구관(19) 및 출구관(20)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천공 파이프의 한 쪽에는 두 개의 포트를 갖는 연결부재(22)가 결합되어 이 연결부재의 일측 포트에는 공명 파이프가 결합되고, 타측 포트에는 입구관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천공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로프(21)가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흡음 기능에 의한 고주파 대역의 소음뿐만 아니라 공명 기능에 의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고, 또 내부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여, 다시 말하면 공명 파이프의 경, 길이 및 공명실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차량의 구조에 따른 소음 용량을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배기 소음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제1도는 종래 부소음기의 외관 사시도.
제2도는 종래 부소음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소음기의 외관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소음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2 : 상,하부 커버 13 : 흡음실
14 : 공명실 15 : 소음기 몸체
16 : 칸막이 17 : 천공 파이프
18 : 공명 파이프 19 : 입구관
20 : 출구관 21 : 금속제로프
22 : 연결부재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는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수 대역의 배기소음을 감쇄시키는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하는데는 실린더내에 혼합기를 흡입하고, 연소후의 가스를 배출하여야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흡배기장치이다.
배기장치는 각 실린더의 배기가스를 종합하는 배기 매니폴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배기 파이프 및 배기소음을 저하시키는 소음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소음기는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온도와 압력을 저하시켜 급격한 팽창과 폭음을 억제하여 감쇄시키는 장치로써, 이러한 소음기는 통상 주소음기와 부소음기로 분리되어 배기 파이프에 설치되어진다. 상기 부소음기는 배기소음 중 고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감쇄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어지며, 제작방법에 따라 롤형과 스템프형으로 나뉘어진다.
[종래 기술]
상술한 바와 같은 부소음기의 전형적인 한 예가 제1도에 도시되어 있고, 그의 내부 구조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상부 커버(1)와 하부 커버(2)로 이루어지는 소음기 몸체의 내부에 흡음실(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음실(3)을 가로지르는 천공파이프(4)가 상,하부 커버(1)(2)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천공 파이프(4)의 일측에는 입구관(5)이, 타측에는 출구관(6)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 파이프(4)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로프(7)가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된 일반적인 부소음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배기 파이프의 주소음기 전방에 연결, 설치되는 바, 소음기 몸체의 양측에 연결된 입구관(5) 및 배기관(6)이 배기 파이프에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설치되어 고주파 대역의 배기 소음을 흡음하여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배기소음을 흡음실에서 흡음하는 단순 작용에 의해 감쇄시키는 구성으로써, 방사음 및 특정 주파수 대역의 배기 소음의 감쇄에는 불리하게 작용하는 등 소음 감쇄 성능면에서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흡음 기능에 더불어 공명 기능을 갖춤으로써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의 구조에 따라 소음 용량을 자유롭게 확장할 수 있고, 내부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여 소음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상,하부 커버로 이루어지는 소음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로 구획하여 흡음실과 공명실을 형성하고, 상기 흡음실에 천공 파이프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천공 파이프와 공명실을 공명 파이프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며, 상기 흡음실의 천공 파이프 양측에 배기 파이프의 입구관 및 출구관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배기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소음 중에서 고주파 대역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는 데, 이 때 흡음 기능에 의한 고주파 대역의 소음뿐만 아니라 공명 기능에 의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고, 또 내부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여, 다시 말하면 공명 파이프의 경, 길이 및 공명실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차량의 구조에 따른 소음 용량을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배기 소음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를 첨부하는 도면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소음기의 외관 사시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소음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 부호 11은 상부 커버, 12는 하부 커버이고, 13은 흡음실, 14는 공명실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커버(11)(12)가 서로 맞대어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소음기 몸체(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음실(13)과 공명실(14)은 소음기 몸체(15)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16)로 구획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흡음실(13)에는 천공 파이프(17)가 흡음실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 천공 파이프(17)와 소음기 몸체 상부의 공명실(14)이 공명 파이프(18)에 의해 연결되어 연통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명 파이프(18)는 소음기 몸체(15)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16)의 일측을 관통하여 그 단부가 공명실의 중간부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천공 파이프(17)의 양측에는 배기 파이프의 입구관(19)과 출구관(20)이 각각 소정의 결합방법에 의하여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로프(21)가 감겨져 있다.
또한 상기 천공 파이프(17)의 공명 파이프 연결측에는 두 개의 포트를 갖는 연결부재(22)가 결합되어, 이 연결부재(22)의 일측 포트에는 공명 파이프(18)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 포트에는 입구관(19)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부소음기는 기존의 소음기와 같은 방법, 즉 소음기 몸체(15)의 양측에 연결된 입구관(19) 및 출구관(20)을 배기 파이프에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설치되며, 설치 위치는 주소음기의 전방이다.
이와 같이 설치된 부소음기는 배기 가스와 함께 배기되는 배기 소음 중에서 고주파 대역의 소음을 감쇄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 때 흡음 기능에 의한 소음 감쇄에 더하여 공명 기능에 의한 소음 감쇄를 병행하여 하게 되므로, 고주파 대역의 소음 뿐만 아니라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명 나이프의 경(지름), 길이 및 공명실 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차량의 구조에 따른 적정의 소음기 용량을 자유롭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배기 소음 감쇄 성능의 향상을 기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는, 흡음 기능에 의한 고주파 대역의 소음뿐만 아니라 공명 기능에 의한 특정 주파수 대역의 소음도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고, 또 내부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여, 다시 말하면 공명 파이프의 경, 길이 및 공명실의 용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차량의 구조에 따른 소음 용량을 자유롭게 확장시킬 수 있어, 전체적인 배기 소음 감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상,하부 커버로 이루어지는 소음기 몸체의 내부 공간을 칸막이로 구획하여 흡음실과 공명실을 형성하고, 상기 흡음실에 천공 파이프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천공 파이프와 공명실을 공명 파이프로 연결하여 연통시키며, 상기 흡음실의 천공 파이프 양측에 배기 파이프의 입구관 및 출구관을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파이프의 한 쪽에는 두 개의 포트를 갖는 연결부재가 결합되어 이 연결부재의 일측 포트에는 공명 파이프가 결합되고, 타측 포트에는 입구관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 파이프의 외주면에는 금속제의 로프가 감겨져 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KR1019960011783A 1996-04-18 1996-04-18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KR017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83A KR0172070B1 (ko) 1996-04-18 1996-04-18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783A KR0172070B1 (ko) 1996-04-18 1996-04-18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438A KR970070438A (ko) 1997-11-07
KR0172070B1 true KR0172070B1 (ko) 1999-03-20

Family

ID=1945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783A KR0172070B1 (ko) 1996-04-18 1996-04-18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0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438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450B2 (en) Exhaust muffler device
CN112253287B (zh) 一种用于农业机械的具有防噪音的柴油机
KR0172070B1 (ko) 차량용 배기장치의 부소음기
JPH0240243Y2 (ko)
JP3078253B2 (ja) 内燃機関用消音器
JPH0637514U (ja) 消音器
JPS62291413A (ja) 排気消音器
JPH0219285B2 (ko)
KR0128973Y1 (ko) 자동차의 머플러
JPS595134Y2 (ja) 消音装置
JPS6221702Y2 (ko)
KR102234338B1 (ko)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
JP3441814B2 (ja) 内燃機関用のマフラー
KR0128975Y1 (ko) 자동차의 머플러
JP3061817U (ja) 消音装置
KR100288234B1 (ko) 내연기관의 소음기
JPS6246805Y2 (ko)
JPS593131Y2 (ja) 排気消音器
JPS5943446Y2 (ja) 消音器
SU844787A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отработавших газов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JP2518099Y2 (ja) 吸音型消音器
KR19980049137A (ko) 흡수·공명식 소음기
JPH0634568Y2 (ja) エンジンの排気騒音低減装置
RU2038509C1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S63640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