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781B1 -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 Google Patents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781B1
KR0171781B1 KR1019950049841A KR19950049841A KR0171781B1 KR 0171781 B1 KR0171781 B1 KR 0171781B1 KR 1019950049841 A KR1019950049841 A KR 1019950049841A KR 19950049841 A KR19950049841 A KR 19950049841A KR 0171781 B1 KR0171781 B1 KR 0171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right sides
center
housing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952A (ko
Inventor
김동규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781B1/ko
Publication of KR970047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7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충격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내면이 타원형상을 이루고서 볼(2)이 충격을 받으면 자유자재로 구를수 있도록 수용된 하우징(1)내에 중앙의 오목홈(3)과 좌우양측의 오목홈(4,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의 오목홈(3)에는 자석(6)이 부착됨과 더불어 좌우 양측의 오목홈(4,5)에는 볼이 안착될 때에 볼에 의해 접점되게 되는 2개의 전극(7,8)이 각각 갖춰진 구조로 되어,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우수하게 된다.

Description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받아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볼
3 : 중앙오목홈 4 : 좌측오목홈
5 : 우측오목홈 6 : 영구자석
7,8 : 전극
본 발명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극이 형성된 하우징내에서 충격을 받아 구르는 볼을 매개로 충격을 감지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된 기계식 충격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충격을 받았을 때에 이를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가 여러 종류로 개발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감지센서들은 대부분이 전자식 센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가격이 비싸고, 반복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내구성이 미흡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전극이 형성된 하우징내에 충격을 받게 되면 굴러서 접점시키는 보올을 매개로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동충격량의 조절이 용이하고 내구성도 우수하여 반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 기계식 충격감지세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면이 타원형상을 이루고서 볼이 자유자재로 구를 수 있도록 수용된 하우징내에 중앙의 오목홈과 좌우양측의 오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의 오목홈에는 자석이 부착됨과 더불어 좌우 양측의 오목홈에는 볼이 안착될 때에 볼에 의해 접점되게 되는 2개의 전극이 각각 갖춰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이 받는 충격이 볼을 중앙의 오목홈에 안착시키도록 당기는 있는 자력보다 크게 되면 볼이 어느 한쪽으로 오목홈속에 안착되어 전극을 서로 접점시킴으로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가 중립위치에 있을 때의 단면도인 바, 즉 타원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내에 볼(2)이 자유자재로 구를수 있도록 수용되면서 하우징(1)의 중앙에는 중앙오목홈(3)이 형성됨과 더불어 좌우 양측에도 각각 오목홈(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오목홈(3)의 바닥에는 영구자석(6)이 설치되어 있는 반면에 상기 좌우 양측의 각 오목홈(4,5)에는 볼(2)이 오목홈(4,5)에 안착될 때에 볼(2)에 의해 서로 접점되게 되는 전극(7,8)이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상기한 구조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받지 않을 중립상태를 나타내는 것인 바, 즉 볼(2)이 하우징(1) 내부에서 중앙오목홈(3)속에 안착되어 영구자석(6)에 의해 안정되게 위치되어 있다.
한편 제2도는 제1도의 중립상태에서 하우징이 충격을 받아 볼이 어느 한쪽의 오목홈속에 안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인 바, 즉 하우징(1)에 가해진 충격이 볼(2)을 중앙오목홈(3)속에 안정되게 안착시키는 영구자석(6)의 자력보다 클 경우에 볼(2)은 좌우 양측의 오목홈중에 어느 한쪽의 오목홈속에 안착되게 되고, 이에 따라 볼(2)에 의해 2개의 전극(7,8)이 서로 접점되게 되어, 충격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한 구조는 기계적으로 간단하게 구성되어 값싸게 제작할 수 있고, 내구성이 뛰어나서 반복적으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영구자석(6)의 자력의 크기를 조절하면 작동충격량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영구자석 대신에 전자석을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충격감지센서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값싸게 제작할수 있고, 또 내구성이 우수하여 오랫동안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작동충격량의 조절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내면이 타원형상을 이루고서 볼(2)이 충격을 받으면 자유자재로 구를수 있도록 수용된 하우징(1)내에 중앙의 오목홈(3)과 좌우양측의 오목홈(4,5)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중앙의 오목홈(3)에는 자석(6)이 부착됨과 더불어 좌우 양측의 오목홈(4,5)에는 볼이 안착될 때에 볼에 의해 접점되게 되는 2개의 전극(7,8)이 각각 갖춰진 구조로 된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KR1019950049841A 1995-12-14 1995-12-14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KR0171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41A KR0171781B1 (ko) 1995-12-14 1995-12-14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841A KR0171781B1 (ko) 1995-12-14 1995-12-14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52A KR970047952A (ko) 1997-07-26
KR0171781B1 true KR0171781B1 (ko) 1999-05-01

Family

ID=1944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841A KR0171781B1 (ko) 1995-12-14 1995-12-14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7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75A (ko) * 2002-04-23 2003-10-30 강선우 충격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9104A (ko) * 2001-05-17 2002-11-29 주식회사 태림테크 충격 감지 장치와 이를 이용한 충격 감지 회로 및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78987B1 (ko) *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3475A (ko) * 2002-04-23 2003-10-30 강선우 충격 감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95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55706B2 (ja) テーパー付きの二極の磁石を用いる非接触式のポジションセンサ
KR0171781B1 (ko) 기계식 충격감지센서
JP2008210637A (ja) 傾斜センサ
WO1995022741A1 (en) Sensor apparatus and light unit including such apparatus
GB2168149A (en) Level sensing device
JP2006208342A (ja) 傾斜振動センサー
WO2021020541A1 (ja) 回転角度検出センサ
JPH02298815A (ja) 回転角度センサ
KR101272010B1 (ko) 미소 변위 측정 센서
US8169333B2 (en) Motion detector for animals
JP2006292436A (ja) 加速度センサおよび加速度センサ装置
JP3028176B2 (ja) 液面測定装置および同装置用フロート
KR200273322Y1 (ko) 자기적 성질을 이용한 진동감지센서
JP2001351488A (ja) スイッチ
JP4038535B2 (ja) 衝撃振動検知スイッチ
RU2164692C2 (ru) Датчик ударных ускорений
JPH10325719A (ja) 傾斜・加速度センサ
JPH09101323A (ja) 加速度センサ
JPS61167869A (ja) 加速度センサ
JP3867473B2 (ja) 姿勢センサ
JPH04164258A (ja) 加速度センサ
RU206300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механических воздействий
RU2130665C1 (ru) Инерцион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JPH0650775Y2 (ja) 加速度センサ
JP2550133B2 (ja) 加速度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