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154B1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1154B1 KR0171154B1 KR1019950010585A KR19950010585A KR0171154B1 KR 0171154 B1 KR0171154 B1 KR 0171154B1 KR 1019950010585 A KR1019950010585 A KR 1019950010585A KR 19950010585 A KR19950010585 A KR 19950010585A KR 0171154 B1 KR0171154 B1 KR 01711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 feature point
- current frame
- signal
- block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3708 edge det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139 quant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44 ada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 H04N19/54—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using feature points or mesh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 프레임 부호화된 영상 시이퀀스에서 다중구조의 특징점을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에 의한 비디오 신호의 부호화 장치 및 기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 현재 프레임과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간의 블록매칭 알고리즘을 통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고, 현재 프레임과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산출하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현재 프레임과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에 의거하는 에러신호 및 이전 프레임에서 검출된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움직임 영역에서의 정합오차에 근거하는 전역 움직임과 국부적 움직임에 상응하여 그 크기가 가변적인 그리도 점을 형성한 다음 이 가변적인 그리드 점과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선택되는 특징점 정보와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며, 선택된 특징점과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화소값을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제 2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장치를 갖는 전형적인 비디오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 대한 블럭구성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대한 블럭구성도
제 3 도는 영상의 전역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 4 도는 본 발명의 움직임 추정방법에 따라 국부적 움직임 영역과 새로이 생긴 영역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되는 육각 그리드가 움직임 영역에 구성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
제 6 도는 정합오차에 근거하여 세분되는 영상의 전역 움직임 영역과 국부적 움직임 영역에 따라 서로 각각 적용되는 다른 크기의 육각 그리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8,1914 : 프레임 메모리 12,1913 : 감산기
13 : 영상신호 부호화 블록 14 :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
15 : 버퍼 16 : 영상신호 복호화 블록
17 : 가산기 19 : 움직임 예측 및 보상블럭
1911 :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
1912 : 블록기반 움직임보상기 1915 : 에지 검출기
1916 : 움직임 영역 선별기 1917 : 그리드 점 형성기
1918 : 특징점 선택기 1919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기
1920 :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기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 기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같이 이산된 화상신호의 전송은 아날로그 신호보다 좋은 화질을 유지할 수 있다. 일련의 이미지 프레임 으로 구성된 비디오 신호가 디지탈 형태로 표현될 때, 특히 고품질 텔레비젼의 경우 상당한 양의 데이타가 전송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송 채널의 사용 가능한 주파수 영역은 제한되어 있으므로, 많은 양의 디지탈 데이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전송되는 데이타를 압축하여 그 양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데이타를 압축하는 다양한 압축 기법 중에서, 확률적 부호화 기법과 시간적, 공간적 압축기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하이브리드 부호화 기법은 움직임 보상 DCPM (차분 펄스 부호 변조), 2차원 DCT(이산 코사인 변환), DCT계수의 양자화, VLC(가변장부호화)등을 이용한다. 움직임보상 DPCM은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물체의 움직임을 결정하고,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재 프레임을 예측하여 현재 프레임과 예측치간의 차이을 나타내는 차분신호를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예를 들어 Staffan Ericsson 의 Fixed and Adaptive Predictors for Hybrid Predictive/Transform Coding,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3, NO.12 (1985년, 12월) 또는 Ninomiy와 Ohtsuka의 A motion Compensated Interframe Coding Scheme for Television Picture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0, NO.1 (1982년, 1월)에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원 DCT 는 영상 데이타간의 공간적 리던던시를 이용하거나 제거하는 것으로서, 디지탈 영상 데이타 블록, 예를 들면 8 X 8 블록을 DCT 변환계수로 변환한다. 이 기법은 Chen 과 Pratt 의 Scene Adaptive Coder,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 COM-32, NO.3 (1984년, 3월)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DCT 변환계수는 양자화기, 지그재그 주사, VLC 등을 통해 처리됨으로써 전송할 데이타의 양을 효과적으로 감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움직임보상 DPCM 에서는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에 추정된 물체의 움직임에 따라, 현재 프레임을 이전 프레임으로 부터 예측한다. 이와같이 추정된 움직임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나타내는 2차원 움직임 벡터로 나타낼 수 있다.
통상적으로, 물체의 변위를 추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접근방법이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타입으로 분류되는데 하나는 블록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이다.
한편, 불럭단위 움직임추정에서는, 현재 프레임의 블록을 이전 프레임의 블록들과 비교하여 최적 정합블럭을 결정하며, 이것으로부터, 전송되는 현재 프레임에 대해 블록 전체에 대한 프레임간 변위 벡터(프레임간에 블록이 이동한 정도)가 추정된다. 그러나, 블록단위 움직임추정에서는 움직임 보상과정에서 블록경계에 블록킹효과(blocking effect)가 발생할 수 있고, 블록내의 모든 화소가 한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추정값이 올바르지 않아서 그 결과 부호화 효율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을 이용하면 변위는 각각의 화소 전부에 대해 구하여진다. 이러한 방법은 화소값을 더 정확히 추정할 수 있고 스케일변화(예를들어, 영상면에 수직한 움직임인 주밍(zooming))도 쉽게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반면에, 움직임 벡터가 모든 화소 각각에 대해 결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모든 움직임 벡터를 수신기로 전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방법에 있어서는 선택된 한세트(set)의 화소(즉, 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수신측에 전송하는데, 이때 특징점은 인접 화소들을 대표할 수 있는 화소들로서 수신기에서 비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는 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로부터 복원될 수 있다.
동일인에 의해 1995 년 2 월 28 일자로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인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95-3955 호의 화소단위 움직임 예측을 이용한 비디오 신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Pixel-by-pixel Motion Estimation)에 개시된,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 추정기법을 채용한 부호화기에서는 우선 이전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화소로부터 특징점이 선택된다. 그리고 난후, 선택된 각 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가 결정된는데 이때 각 움직임벡터는 이전 프레임의 하나의 특징점과 현재 프레임의 해당 정합점간의 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 각각의 특징점에 대한 정합점을 현재 프레임의 탐색영역에서 찾는데 이때 탐색영역은 해당 탐색점의 위치를 포함하는 기설정된 넓이의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 프레임 부호화된 영상 시이퀀스에서 다중구조의 특징점을 이용하는 움직임 보상에 의한 비디오 신호의 부화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특징점기반 움직임 추정응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함으로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 현재 프레임과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간의 블록매칭 알고리즘을 통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 상기 재구성된 이전프레임에서 물체의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에 의거하는 에러신호 및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의 정합오차에 근거하는 전역 움직임과 국부적 움직임에 상응하여 그 크기가 가변적인 그리드 점을 형성한 다음 이 가변적인 그리드 점과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특징점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와 상기 특징점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상기 각 특징점에 대한 측징점 움지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는 단계 : 및 상기 선택된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화소값을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제 2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은,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함으로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한는 입력 현재 프레임과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간의 블록매칭 알고리즘을 통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래임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기간 움직임 보상수단: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블록기반 움직임 부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감산수단: 상기 감산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에러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에서 보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의 에러신호 및 상기 에지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움직임 영역 선별수단: 블록간의 정합오차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 영역 선별수단을 통해 선별된 전역 움직임과 국부적 움직이어 상응하여 그 크기가 가변적인 그리드 점을 형성한 다음 이 가변적인 그리도 점과 상기 에지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특징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 상기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와 상기 특징점 선택수단으로 부터의 특징점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상기 각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기 위한 특징점 기반 움직인 추정수단: 및 상기 특징점 선택수단으로 부터의 선택된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수단으로 부터의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화소값을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제 2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수단으로 이루어진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장치를 갖는 전형적인 비디오 신호 부호화 시스템에 대한 불럭구성도를 나타낸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신호 부호화 시스템은 제 1 프레임 메모리(10), 감산기(12), 영상신호 부호화 블록(13),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4), 버퍼(15), 영상신호 복호화 블록(16), 가산기(17), 제 2 프레임 메모리(18) 및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은 본 발명에 실질적으로 관련되는 특징점을 기반으로 하여 움직임을 추정하는 장치로서, 그 세부적인 구성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입력되는 현재 프레임 신호는 제 1 프레임 메모리(10)에 저장된 다음 라인 L11 및 L10을 통해 감산기(12)와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에 각각 제공된다.
먼저,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에서는 제 1 프레임 메모리(10)로부터 제공되는 라인 L10 상의 현재 프레임 신호와 제 2 프레임 메모리(18)로 부터 제공되는 라인 L14 상의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에 기초하여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등을 통해 화소단위로 현재 프레임을 예측한 다음 라인 L15 상에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여 상술한 감산기(12)와 가산기(17)에 각각 제공하며, 또한 라인 L16 상에 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발생하여 전술한 엔트로피 부호화 불럭(14)에 제공한다. 이러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의 상세한 설명은 제 2 도를 참조하여 후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제 1 도를 참조하면, 감산기(12)에서는 라인 L11을 통해 제 1 프레임 메모리(10)에서 제공되는 현재 프레임 신호로부터 라인 L15를 통해 상술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럭(19)으로부터 제공되는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며, 그 결과 데이타, 즉 차분화소값을 나타내는 에러신호는 영상신호 부호화 블록(13)을 통해 이산 코사인 변환(DCT)과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양자화 방법들중의 어느 하나를 이용함으로서, 일련의 양자화된 변환계수들로 부호화된다. 이때, 영상신호 부호화 블록(13)에서의 에러신호에 대한 양자화는 출력측의 버퍼(15)로 부터의 데이타 충만도에 의거하여 그 스텝사이즈가 조절된다.
그런다음, 이와같이 양자화된 변환게수들은 엔트로피 부호화블럭(14)과 영상신호 복호화 블록(16)으로 보내진다. 여기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블럭(14)에 제공된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은, 예를들면 가변길이 부호화 기법등을 통해 부호화되어 출력측의 버퍼(15)에 제공되며, 이러한 부호화된 영상신호는 수신측으로의 전송을 위해 전송기(도시생략)로 전달된다.
한편, 영상신호 부호화 블록(13)으로부터 영상신호 복호화블럭(16)에 제공되는 양자화된 변환계수들은 역양자화 및 역이산 코사인 변환을 통해 다시 재구성된 프레임 신호로 변환된 다은, 가산기(17)에 제공되며, 가산기(17)에서는 영상신호 복호화 블록(16)으로 부터의 재구성된 프레임 신호와 전술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으로부터 제공되는 예측된 현재 프레임신호를 가산하여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며, 이와같이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 신호는 제 2 프레임 메모리(18)에 저장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로를 통해 부호화 처리되는 매 프레임에 대한 바로 이전 프레임 신호가 계속적으로 갱신되며, 이와같이 갱신된 이전 프레임 신호는 움직임 보상을 위해 전술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으로 제공된다.
제 2 도에는 제 1 도에 도시된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에 대한 상세한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동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움직임 예측 및 보상 블록(19)은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기(1912), 감산기(1913), 프레임 메모리(1914), 에지 검출기(1915), 움직임 영역 선별기(1916), 그리드점 형성기(1917), 특징점 선택기(1918),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기(1919) 및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기(1920)를 포함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부재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특징점에 의한 움직임 보상을 이용하여 두 영상(프레임 또는 픽쳐) 사이의 중간 영상을 구성하고자 하는 기법으로, 특히 인터 프레임 부호화된 영상기에 움직임벡터 및 에러신호를 최대한 이용하여 다중구조의 특징점을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서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인터 프레임 부호화의 경우 전술한 바와같이 움직임 보상(MC) - DCT 형태를 고려하는 경우 하나의 입력 영상, 즉 부호화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은 서로 겹치지 않는 여러개의 블록들(예를들면, 16 X 16 등)로 나뉘어지며, 현재 프레임의 각각의 블록들은 기준 프레임(제 1 도의 제 2 프레임 메모리(18)로부터 제공되는 이전 프레임)내의 대응하는 각 블록들에 대해 움직임벡터를 각각 갖는다. 또한, 현재 프레임에 대한 각각의 블럭들은 기준 프레임에 대한 그것들과의 차분신호를 갖는다. 이때, 물체의 이동이 단순한 경우에는 대응 블록간의 차분신호값은 작고, 물체의 이동이 복잡한 경우, 예를들면 주밍, 회전 또는 스케일링 등, 에는 대응 블록간의 차분신호는 크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움직임 보상을 이용하여 두 영상(프레임)사이에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중간 영상을 구성하고자 할 때, 특히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을 이용하여 중간 영상을 구성하고자 할 때는 특징점을 효과적으로 적용시킬 영역선정이 필요하다. 여기에서의 영역선정은 본 발명에 따라 다중구조의 특징점을 적용시키지 위해서이다. 이러한 특징점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는 방법은 본 출원인에 의해 1995 년 3 월 20 일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95-5868호로서 출원되어 현재 계류중인 비디오 신호 부호화 장치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잇다. 이 방법에서는 직각 그리드 또는 육각 그리드와 같은 여러 가지 형태의 그리드를 이용하는 그리드 기법에 의해 특징점을 결정하거나 또는 에지 검출과 그리도 기법에 의해 특징점을 결정하거나 또는 에지 검출과 그리드 기법을 함께 사용하여 특징점을 결정한다. 이때, 전자의 경우에는 그리드의 노드에 특징점이 위치하게 되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리드와 에지와의 교차점이 특징점으로 선택된다.
실질적으로, 기존 방식에서의 움직임 보상에 주로 이용되어 왔던 단일 구조의 특징점은 영역선정이 별도로 필요치 않고 움직임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해서만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 구조의 특징점이 아닌 다중 구조의 특징점을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특징점의 구조를 두 레벨(전역 움직임(global motion), 국부적 움직임(local motion))인 경우라 가정하여 설명하겠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특징점의 구성 조건에 따라 두 개의 레벨이 아닌 다른 복수개의 레벨로도 구성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라 움직임이 있는 연속된 영상을 크게 두 종류의 움직임으로 분류해 볼 수 있는데, 그 하나는 카메라의 상하, 수평 이동등에 기인하는 전역 움직임이고, 다른 하나는 영상내의 물체등이 세부적으로 변화하는 국부적 움직임이다. 이때, 전역 움직임은 일반적으로 블록매칭 움직임 추정기법등의 방법을 통해 움직임 보상을 쉽게 실현할 수 있는 반면에, 국부적 움직임의 경우에는 그 반대, 즉 움직임 추정이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영역을 두가지, 즉 전역 움직임 영역과 국부적 움직임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영역에 이중 구조의 특징점을 적용한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에서는 움직임 추정을 위해 블록매칭 알고리즘이 사용된다. 따라서,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에서는 m x n 블록의 이전 프레임 데이타를 제 1 도에 도시된 제 2 프레임 메모리(1g)부터 라인 L14 를 통해 검색한 다음, 제 1 도에 도시된 제 1 프레임 메모리(10)로부터 탐색영역, 즉 상기한 이전 프레임의 m x n (예를들면, 5x5 등)블럭 보다 적어도 큰 M x N(예를들면, 10x10 등)블럭의 현재 프레임 테이타에 포함된 동일한 크기의 다수개의 후보블럭중 가장 유사한 후보블럭을 결정함으로서 라인 L20을 통해 현재 프레임에 대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들을 발생한다. 여기에서, 움직임벡터들의 각 세트들은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가장 유사한 블록간의 변위이다.
한편,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기(1912)에서는 라인 L20을 통해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벡터들의 새트들을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각각의 블록들을 제 1 도의 제 2 프레임 메모리(18)로부터 인출한다. 따라서, 감산기(1913)에서는 라인 L10을 통해 제 1 도의 제 1 프레임 메모리(10)로부터 제공되는 현재 프레임 신호와 상기한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기(1912)로 부터의 재구성된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며, 그 결과 데이타(두 프레임간의 차신호), 즉 에러신호는 프레임 메모리(1914)에 저장된다.
다른한편, 에지 검출기(1915)에서는 라인 L14를 통해 제 1 도의 제 2 프레임 메모리(18)로부터 제공되는 이전 프레임에서 에지를 검출, 즉 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바와같이, 원영상내의 각 화소간의 밝기분포등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한 다음 라인 L21 통해 이전 프레임 신호에 대한 에지 데이타를 발생한다.
따라서, 움직임 영역 선별기(1916)에서는 상술한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로부터 라인 L20을 통해 제공되는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현재 프레임 신호와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된 예측된 프레임 신호에 기초하는 프레임 메모리(1914)로 부터의 에러신호 및 에지 검출기(1915)로 부터의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내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한다.
보다 상세하게, 블록매칭에 의하여 발생된 에러신호가, 일예로서 제 3 도에 도시된 현재 영상에서와 같이 생성된다고 가정한면, 이들 에러신호의 위치에 해당되는 기준영상(이전 프레임)에서의 위치는 간단하게 역전된 움직임벡터에 의해 구할 수가 있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영상의 에러신호는 물체등의 에지를 따라 존재하므로, 움직임 영역 선별기(1916)에서는 기준영상내의 에지중에서 매칭에러가 크게 발생된 부분을 탐색한다. 즉, 움직임 영역 선별기(1916)에서는 매칭에러가 기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해당 영역이 국부적 움직임 영역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 일예로서 제 4 도에서 d 로서 표시된 바와같이, 에지가 없는 영역에서 발생된 에러영역은 새로이 발생된 영상신호에 의한 것으로 간주하여 이를 무시하며, 동도면에서 a,b,c 로서 표시된 바와같이 에지가 존재하는 영역에서 발생된 매칭에러가 큰 영역만을 국부적 움직임 영역으로 결정한다. 이때, 매칭에러가 작은 영역은 전역 움직임 영역으로 간주된다. 여기에서,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은 영역세분을 위해 설정되는 임계값의 조절을 통해 움직임 보상의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그리드 점 형성기(1917)에서는 상술한 움직임 영역 선별기(1915)로부터 세분화된 해당 움직임 영역에 대응하는 그리드 점, 일예로서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육각 그리드 점을 구성하여 특징점 선택기(1918)에 제공한다. 이때, 그리도 점 형성기(1917)에서의 그리드는 움직임 보상에 의한 블록간의 정합오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이하이면, 즉 움직임 영역이 전역 움직임인 경우 해당 움직임 영역에는 제 6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그리드가 구성되고, 정합오차가 기설정된 임계값 보다 크게 발생되면, 즉 움직임 영역이 국부적 움직임인 경우, 제 5 도에서 빗금친 부분, 해당 움직임 영역에는 일예로서 제 6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촘촘한 그리드가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블록매칭 움직임 보상된 블록의 정합오차값에 근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전역 움직임 영역과 국부적 움직임 영역으로 세분한 다음 특징점 선정을 위한 그리드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적용함으로서, 데이타 발생을 억제하면서도 움직임 보상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특징점 선택기(1918)에서는 상술한 에지 검출기(1915)로부터 라인 L21을 통해 제공되는 에지 데이더와 그리드에 의거하여 움직임 영역에서의 특징점을 선택하여 라인 L22를 통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에지검출 기법과 그리드 기법이 함께 사용되는 이 기법에서는 그리드와 이동체의 에지간의 교차점이 특징점으로 선택된다. 여기에서의 특징점 선택은 기존의 특징점을 이용한 영상신호 부호화 방법에서와 같이 각각의 그리드 점(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루는 점)을 영상의 에지로 이동시키면서 수행되며, 이때 주의해야 할 것은 각 그리드가 꼬이지 않게 하고, 또한 삼각형의 매우 작거나 한점으로 모이지 않게 하는 것이다. 그런다음, 선택된 특징점들의 세트들은 라인 L22를 통해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기(1919)와 움직임 보상기 (1920)에 제공된다.
한편,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기(1919)에서는 라인 L20을 통해 블록기반 움직임 추정기(1911)로부터 제공되는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와 상기한 특징점 선택기(1918)로부터 라인 L22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된 특징점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여 움직임 보상기(1920)에 제공한다. 여기에서, 검출되는 각각의 움직임벡터 세트들은 라인 L14를 통해 제 1 도의 제 2 프레임 메모리(18)에서 제공되는 이전 프레임의 특징점과 라인 L10을 통해 제 1 도의 제 1 프레임 메모리(10)에서 제공되는 현재 프레임에서 가장 유사한 화소간의 변위이다. 또한,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기(1919)는 라인 L16 상에 각각의 특징점에 대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발생하여 제 1 도에 도시된 엔트로피 부호화 블록(14)에 제공한다.
따라서,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기(1920)에서는 상기한 특징점 선택기(1918)로부터 라인 L22를 통해 제공되는 선택된 특징점과 움직임 추정기(1919)로 부터의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화소값을 라인 L14 상의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현재 프레임을 예측한 다음 라인 L15 상에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여 제 1 도의 감산기(12)와 가산기(17)에 각각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의 움직임 영역에서 그 움직임의 전역 또는 국부적인 형태에 따라 그리도 점을 가변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움직임 보상에 근거하는 신뢰할 수 있는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벡터들을 얻을 수기 있어, 결과적으로 영상의 부호화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징점에 기초하는 화소단위의 움직임 보상기법을 채용함으로서 움직임벡터만으로도 주밍, 회전 및 스케일링을 할 수가 있기 때문에 기존의 블록단위 움직임 보상에 비해 보다 양질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함으로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 현재 프레임과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간의 블록매칭 알고리즘을 통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산출하는 단계 :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에서 물체의 에지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에 의거하는 에러신호 및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 영역에서의 정합오차에 근거하는 전역 움직임과 국부적 움직임에 상응하여 그 크기가 가변적인 그리드 점을 형성한 다음이 가변적인 그리드 점과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특징점을 선택하는 단계 :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와 상기 특징점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상기 각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는 단계 : 및 상기 선택된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될 화소값을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제 2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선택을 위한 그리드는 육각 그리드이며, 상기 국부적 움직임 영역에 적용되는 그리드를 이루는 삼각형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전역 움직임 영역에 적용되는 그리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을 에지 검출수단(1915) : 상기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 상기 메모리수단으로 부터의 에러신호 및 상기 에지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영상의 움직임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움직임 영역 선별수단(1916) : 블록간의 정합오차에 근거하여 상기 움직임 영역 선별수단을 통해 선별된 전역 움직임과 국부적 움직임에 상응하여 그 크기가 가변적인 그리드 점을 형성한 다음 이 가변적인 그리드 점과 상기 에지 검출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에지 데이타에 의거하여 특징점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1917,1918) : 상기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와 상기 특징점 선택수단으로 부터의 특징점 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상기 각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검출하기 위한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수단(1919) : 및 상기 특징점 선택수단으로 부터의 선택된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수단으로 부터의 선택된 특징점과 상기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수단으로 부터의 특징점 움직임벡터들의 세트를 특징으로 하는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의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움직임벡처를 검출함으로서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하는 입력 현재 프레임과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간의 블록칭 알고리즘을 통한 움직임벡터들의 세트에 의거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는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수단(1911,1912) : 상기 현재 프레임과 상기 블록기반 움직임 보상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제 1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감산하여 에러신호를 산출하기 위한 감산수단(1913) : 상기 감산수단으로 부터의 상기 에러신호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1914) :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에서 물체의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이용하여 예측하고자 하는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화소값을 상기 재구성된 이전 프레임으로부터 인출하여 화소단위로 제 2 의 예측된 현재 프레임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수단(1920)으로 이루어진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특징점 선택을 위한 그리드는 육각 그리드이며, 상기 국부적 움직임 영역에 적용되는 그리드를 이루는 삼각형의 크기는 적어도 상기 전역 움직임 영역에 적용되는 그리드의 그것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0585A KR0171154B1 (ko) | 1995-04-29 | 1995-04-29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US08/498,553 US5612743A (en) | 1995-04-29 | 1995-07-05 | Method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feature point based motion estimation |
CN95109998A CN1135148A (zh) | 1995-04-29 | 1995-07-13 | 利用基于特征点的运动估算编码视频信号的方法 |
JP20286595A JPH08307873A (ja) | 1995-04-29 | 1995-07-17 | ビデオ信号符号化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0585A KR0171154B1 (ko) | 1995-04-29 | 1995-04-29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9997A KR960039997A (ko) | 1996-11-25 |
KR0171154B1 true KR0171154B1 (ko) | 1999-03-20 |
Family
ID=1941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0585A KR0171154B1 (ko) | 1995-04-29 | 1995-04-29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612743A (ko) |
JP (1) | JPH08307873A (ko) |
KR (1) | KR0171154B1 (ko) |
CN (1) | CN1135148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124897A (en) | 1996-09-30 | 2000-09-26 | Sigma Design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alibration of analog video chromakey mixer |
KR100235344B1 (ko) * | 1994-12-29 | 1999-12-15 | 전주범 | 영역 분할 부호화 방식의 전경/배경 화상 선택 장치 |
US6026182A (en) * | 1995-10-05 | 2000-02-15 | Microsoft Corporation | Feature segmentation |
US5764283A (en) * | 1995-12-29 | 1998-06-09 | Lucent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moving objects in real time using contours of the objects and feature paths |
US6037988A (en) * | 1996-03-22 | 2000-03-14 | Microsoft Corp | Method for generating sprites for object-based coding sytems using masks and rounding average |
US5982438A (en) * | 1996-03-22 | 1999-11-09 | Microsoft Corporation | Overlapped motion compensation for object coding |
KR100501902B1 (ko) * | 1996-09-25 | 2005-10-10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영상정보부호화/복호화장치및방법 |
DE69716694T2 (de) * | 1996-09-25 | 2003-07-31 | Hyundai Curitel, Inc.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ideokodierung mit einem beweglichen Raster von Bildelementen |
US6289112B1 (en) * | 1997-08-22 | 2001-09-11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block direction in fingerprint images |
US6400831B2 (en) | 1998-04-02 | 2002-06-04 | Microsoft Corporation | Semantic video object segmentation and tracking |
US6711278B1 (en) * | 1998-09-10 | 2004-03-23 | Microsoft Corporation | Tracking semantic objects in vector image sequences |
US6580812B1 (en) * | 1998-12-21 | 2003-06-17 | Xerox Corporation |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ally adding motion lines representing motion to a still image |
US6690834B1 (en) * | 1999-01-22 | 2004-02-10 | Sigma Designs, Inc. | Compression of pixel data |
US6499060B1 (en) | 1999-03-12 | 2002-12-24 | Microsoft Corporation | Media coding for loss recovery with remotely predicted data units |
US7352386B1 (en) * | 1999-06-22 | 2008-04-01 | Microsoft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a three-dimensional scene from two-dimensional images |
JP3859989B2 (ja) * | 2000-10-30 | 2006-12-20 | 株式会社モノリス | 画像マッチング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利用可能な画像処理方法と装置 |
US7346217B1 (en) * | 2001-04-25 | 2008-03-18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Digital image enhancement using successive zoom images |
KR20030041285A (ko) * | 2001-11-19 | 2003-05-2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동영상의 정수단위 모션추정 방법 |
GB2387056A (en) * | 2002-03-28 | 2003-10-01 | Sony Uk Ltd | Differential encoding and decoding |
US7817717B2 (en) * | 2002-06-18 | 2010-10-19 | Qualcomm Incorporated | Motion estimation techniques for video encoding |
US8085844B2 (en) * | 2003-09-07 | 2011-12-27 | Microsoft Corporation | Signaling reference frame distances |
US7577198B2 (en) * | 2003-09-07 | 2009-08-18 | Microsoft Corporation | Number of reference fields for an interlaced forward-predicted field |
US20050163221A1 (en) * | 2004-01-14 | 2005-07-28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otion vector detecting device |
JP4671696B2 (ja) * | 2004-01-14 | 2011-04-2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
US8634413B2 (en) | 2004-12-30 | 2014-01-21 | Microsoft Corporation | Use of frame caching to improve packet loss recovery |
CN100370808C (zh) * | 2005-06-13 | 2008-02-20 | 北京中星微电子有限公司 | 一种运动检测方法 |
CN100407795C (zh) * | 2005-09-08 | 2008-07-30 | 上海广电(集团)有限公司中央研究院 | 一种帧场自适应检测方法 |
KR101270167B1 (ko) | 2006-08-17 | 2013-05-3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저복잡도의 이미지 압축 방법 및 장치, 저복잡도의 이미지복원 방법 및 장치 |
US20080212895A1 (en) * | 2007-01-09 | 2008-09-04 | Lockheed Martin Corporation | Image data processing techniques for highly undersampled images |
KR101366093B1 (ko) * | 2007-03-28 | 2014-02-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JP4813517B2 (ja) * | 2008-05-29 | 2011-11-09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電子機器 |
JP5213613B2 (ja) * | 2008-09-26 | 2013-06-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
JP2010124397A (ja) * | 2008-11-21 | 2010-06-03 | Toshiba Corp | 高解像度化装置 |
WO2010087125A1 (ja) * | 2009-01-29 | 2010-08-05 | 日本電気株式会社 | 時間区間代表特徴ベクトル生成装置 |
PT2809810T (pt) | 2012-01-06 | 2020-02-14 | Viomics Inc | Sistema e método de detetar rnas alterados por cancro do pulmão no sangue periférico |
FR3047381A1 (fr) * | 2016-02-02 | 2017-08-04 | Stmicroelectronics (Grenoble 2) Sas | Procede et dispositif d'encodage d'un signal numerique multidimensionnel, en particulier un signal d'image, et procede et dispositif correspondants de decodag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5585A (ja) * | 1989-10-11 | 1991-05-28 | Mitsubishi Electric Corp | 画像信号の符号復号化器 |
US5150432A (en) * | 1990-03-26 | 1992-09-22 | Kabushiki Kaisha Toshiba | Apparatus for encoding/decoding video signals to improve quality of a specific region |
JPH0813138B2 (ja) * | 1990-11-28 | 1996-02-07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画像符号化装置 |
JPH05189571A (ja) * | 1992-01-13 | 1993-07-30 | Nikon Corp | パターンマッチング方法及び装置 |
KR0181063B1 (ko) * | 1995-04-29 | 1999-05-01 | 배순훈 |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에서의 그리드 형성방법 및 장치 |
-
1995
- 1995-04-29 KR KR1019950010585A patent/KR017115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5-07-05 US US08/498,553 patent/US5612743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5-07-13 CN CN95109998A patent/CN1135148A/zh active Pending
- 1995-07-17 JP JP20286595A patent/JPH08307873A/ja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612743A (en) | 1997-03-18 |
CN1135148A (zh) | 1996-11-06 |
JPH08307873A (ja) | 1996-11-22 |
KR960039997A (ko) | 1996-11-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0171154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 |
KR0181063B1 (ko) |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에서의 그리드 형성방법 및 장치 | |
KR0171146B1 (ko) |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검출 장치 | |
KR0171118B1 (ko) | 비디오신호 부호화 장치 | |
KR0171120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부호화에서의 움직임 영역 설정방법 및 장치 | |
KR0181027B1 (ko) | 화소 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
US568930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pixel-by-pixel motion prediction | |
KR0181034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움직임 벡터 검출 방법 및 장치 | |
KR0181069B1 (ko) | 움직임 추정장치 | |
KR100209793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장치 | |
US5673339A (en) | Method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feature point based motion estimation | |
KR0174454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에서의 에지 검출, 세선화 방법 및 장치 | |
JPH08242453A (ja) | 動きベクトル推定装置 | |
US5638129A (en) |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pixel-by-pixel motion estimation based on feature points | |
KR0178229B1 (ko) | 특징점에 근거한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 |
EP0731612B1 (en) |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search grids for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 |
US602092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video signal using pixel-by-pixel motion prediction | |
KR0178230B1 (ko) | 특징점에 의한 움직임 추정을 이용한 영상 처리 장치 | |
KR0174455B1 (ko) | 화소단위 움직임예측을 이용하는 영상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0181068B1 (ko) | 움직임 추정장치 | |
KR0174439B1 (ko) | 특징점 기반 움직임 보상에서의 에지선 세선화 방법 및 장치 | |
KR100207397B1 (ko) | 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움직임 예측장치 및 방법 | |
KR0174956B1 (ko) | 픽셀단위 움직임예측을 이용하는 영상신호 부호화 방법 및 장치 | |
KR0178228B1 (ko) | 이미지 신호 복호화용 개선된 움직임 벡터 추정 방법 및 장치 | |
KR0159374B1 (ko) | 서치 그리드를 이용한 영상신호 부호화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