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582B1 -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582B1
KR0170582B1 KR1019950018751A KR19950018751A KR0170582B1 KR 0170582 B1 KR0170582 B1 KR 0170582B1 KR 1019950018751 A KR1019950018751 A KR 1019950018751A KR 19950018751 A KR19950018751 A KR 19950018751A KR 0170582 B1 KR0170582 B1 KR 017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hydrophobic resin
hollow fiber
solv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317A (ko
Inventor
김재협
김승현
허철
Original Assignee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시,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구광시
Priority to KR1019950018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582B1/ko
Publication of KR97000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3Chemical modification
    • B01D67/00931Chemical modification by introduction of specific groups after membrane formation, e.g. by graf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6Coa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83Therm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81After-treatment of organic or inorganic membranes
    • B01D67/0095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66Polymers having sulfur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8Polysulfones; Polyethersulf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2Hydrophil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38Hydrophobic membr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구금의 외부에는 소수성 수지, 첨가제, 용매로 이루어진 방사원액을, 내부에는 용매, 물로 이루어진 내부 응고제를 토출, 방사하여 외부응고제에 침적시켜 중공사형태의 분리막을 제조하고, 상기 분리막을 세정액으로 세정하고 연속적으로 친수화제 처리, 가교제 처리한 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상기 중공사막을 열처리하여 제조되는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은 건조시에도 투과성능이 우수하고, 파울링이나 농도분극 현상이 기존 소수성 분리막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단백질이나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수용액 처리시나 장기 운전시에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우수한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친수성 물질을 막의 표면에 고르게 부착시켜서 영구적으로 친수화됨으로써 건조시에도 투과성능이 유지되고 파울링(Fouling)이나 농도분극현상이 기존 소수성 분리막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막의 투과 성능이, 단백질이나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수용액 처리시나 장기 운전시에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수성 수지로 제조된 건조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분리막 기술은 에너지 절약 및 그 시스템의 콤팩트성 면에서 크게 주목되어 그 기술이 다양하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 선택투과성 분리막의 소재에는 많은 종류의 폴리머가 연구, 개발되어 셀룰로오즈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폴리설폰계 등의 다양한 폴리머가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폴리설폰계를 시초로 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페닐렌옥사이드계 등의 소수성 폴리머는 원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사용되어 오던 것으로서 내열성 또는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분리막의 소재로 선택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 수지에 비교하여 폴리설폰계 등의 소수성 수지는 매우 소수성이기 때문에, 특히 건조 분리막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현저하게 발수성이 되어 분리막이 물과 친화성이 없어지기 때문에 투과 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소수성 수지로 된 분리막을 건조시키지 않고 물 중에서 보습상태로 보존하게 되는 경우, 투수성이 유지는 되지만 물중에서 균이 증식하게 되어 청결한 상태를 필요로 하는 분리막에는 좋지 않으며 보관, 수성 및 가공등의 면에서 큰 애로점이 발생한다. 특히 중공사막을 제조할 경우는 포팅(Potting)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경우 건조는 불가피하게 된다. 따라서 폴리설폰계 등과 같이 소수성 수지로 된 건조분리막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그 투수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어떠한 방법으로든 친수화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소수성 표면에 흡착성이 강한 유기물이나 단백질등의 물질을 분리, 농축할 경우에는 쉽게 표면에 농도분극층을 형성하거나 파울링이 일어나 투과속도가 현저히 감소하고 분리성능이 변하게 된다. 또한 사용주기가 단축되어 공정효율을 감소시키고 일단 농도분극층이나 파울링이 형성되면 쉽게 제거하기가 힘들게 된다.
이와 같은 농도분극층이나 파울링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모듈의 디자인 및 조작방법을 변화, 즉 전단속도 증가나 난류촉진을 통한 방법이나 역세가 가능하게 하는 방법, 적정 분리조건(온도, 압력)을 설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개선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물리적인 개선방법으로 분리막의 소수성이 커질수록 분리막에 손상을 입혀 투과 성능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는 분리막의 소수성을 친수성 물질의 도입에 의해 상쇄시킴으로, 특히 친수성 물질을 표면에만 분포시켜 소수성 특유의 기계적 특성은 유지하면서 농도분극층이나 파울링의 형성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첫째 방법에 비해 모듈 디자인이나 조작 조건이 간단해지고 분리막에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소수성의 건조 분리막을 친수화시키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알려져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미국특허 제4,340,482호에는 분리막의 표면에 친수성 모노머를 그래프트시키는 방법이 고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분리막의 표면 상태가 약화되어 여과성능이 하락되기 쉽다. 또한 영국특허 제2,081,604호에는 분리막의 표면에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등의 친수성 폴리머를 도포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얻어진 분리막은 막의 친수성은 크게 향상되지만 막 표면의 미세공 크기가 크게 감소하게 되어 막의 투과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 일본국 특개소 60-246812 및 일본국 특개소 62-11503호 등과 같이 일단 소수성 수지로된 분리막을 재조한 후 이 분리막을 글리세린, 폴리비닐피롤리돈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친수성 물질이나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습윤제 용액에 침적시킨 후 건조함으로써 친수화된 소수성 수지로 된 건조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이 친수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도 습윤제수용액에 침적시킬 때, 소수성 수지로 된 분리막의 표면 및 내부로까지 친수화 물질이 고르게 부착되게 하기 위하여 수시간에서 수십시간 정도의 장시간의 침지시간을 필요로 하며, 이러한 장시간의 침지시간을 거친다 하더라고 소수성 수지로 된 분리막의 내부에까지 친수화 물질이 고르게 부착되기는 어려우며 다량의 습윤제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습윤제가 분리막의 표면에 과다하게 부착될 경우 제거시 많은 물이 필요하게 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불합리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친수화 효과가 일시적이어서 항상 장기 보관을 할 경우에는 미리 재 습윤화시키는 공정이 필요하다.
이외에 최근에 일본국 특개소 59-186604에서 플라즈마 방전처리에 의해 분리막 표면을 친수화시키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친수화 효과는 우수하지만 플라즈마 처리 장비가 고가이고 소비 전력이 높아 제조원가를 크게 상승시켜 실용화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 하는 과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친수화물질을 분리막의 표면에 고르게 부착시킴으로서 소수성 수지로 된 분리막을 영구적으로 친수화시켜서 건조시의 투과성능유지가 가능한 소수성 수지계 건조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둘째 파울링이나 농도분극 현상이 기존 소수성 분리막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단백질이나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수용액 처리시나 장기 운전시에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소수성 수지로 제조된 소수성 수지 건조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금의 외부에는 소수성 수지, 첨가제, 용매로 이루어진 방사원액을, 내부에는 용매, 물로 이루어진 내부 응고제를 토출, 방사하여 외부응고제에 침적시켜 중공사 형태의 분리막을 제조하고, 상기 분리막을 세정액으로 세정하고 연속적으로 친수화제 처리, 가교제 처리한 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상기 중공사막을 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친수화제의 농도는 5 내지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친수화제 처리는 30 초 내지 4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가교제는 알데히드류, 특히 글루타알데히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가교제 처리는 1 내지 5 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는 80 내지 150℃에서 1 내지 10 시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 처리는, 친수화제를 소수성 수지 분리막에 고착 및 불용화시키는 공정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친수성 물질이 부착된 소수성 수지로된 중공사형태의 건조분리막을 제조함에 있어서 구금의 외부에는 소수성 수지, 첨가제, 용매로 이루어진 방사원액을, 내부에는 물 또는 용매 0-50중량%, 물 100-50중량%로 이루어진 내부응고제를 토출, 방사하여 외부응고제에 침적시켜 응고시킨 후 세정, 친수화처리, 가교제 처리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게 된다.
중공사막이 제조가 되면 친수성 물질을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80-150℃의 고온에서 1-10 시간 정도 열처리를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면 친수성 물질이 물리적으로 친수화 물질 상호간과 막간에 가교화 되어 영구적인 친수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중공사형 분리막을 제조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습식방사 또는 건습식방사법에 의하여 중공사형 분리막을 얻게 되는데 이때 중공사형을 얻기 위해서는 튜브 인 오리피스(tube-in-orifice)형 구금을 이용한다. 이때 구금의 외부는 방사원액이, 내부는 내부응고제가 통과하여 구금에서 토출되어 외부응고제에 침적된다. 이때 외부응고제에 침적될때 공기층을 일단 거치게 되면 건습식 방사법이라 하고 공기층을 거치지 않고 바로 외부응고제에 침적되는 경우를 습식 방사법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사법에 있어서 어떤 특정한 방사방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외부응고제에 침적되어 중공사형태를 갖춘 분리막은 내부에 포함된 용매 및 기타 첨가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정시간 세정공정을 거친 후 일정 농도로 조절된 친수화 물질이 들어있는 친수화조를 일정 시간 거치고 연속적으로 가교액에 들어가게 된다. 가교액 처리가 끝나면 보빈에 일정 숫자로 권취된 후 고온 열처리를 하게 된다. 이 과정이 완료되면 제품으로서 특성평가를 하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이와같이 소수성 수지를 이용하여 중공사형 분리막을 제조하는 과정에 친수화 물질을 처리하고 가교액 처리와 고온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의해 막 표면에만 선택적으로 친수성 물질이 고착과 함께 가교에 의한 불용화가 이루어져 친수성 물질이 막의 표면에 고르게 부착되어 친수화 됨으로써 막의 투과성이 건조시에도 충분히 발휘되고 파울링이나 농도분극현상이 기존 소수성 분리막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단백질이나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수용액 처리시나 장기운전시에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소수성 수지로 제조된 소수성 수지 건조분리막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소수성 수지의 함량이 10-25 중량%이며, 상기 소수성 수지와 상용성이 있는첨가제를 1 내지 30 중량% 그리고 이들 두 성분을 용해시킬 수 있는 용매를 이용하여 방사원액을 제조한다.
이때 상기의 소수성 수지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친수성 고분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 알콜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용매로서는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MA),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N-메틸-2-피롤리돈(NMP) 등의 용매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원액 중에 첨가되는 첨가제는 염류,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등이 사용되고 내부응고제는 물과 용매의 혼합용매를 사용한다. 상기 내부응고제의 조성은 전체 내부응고제량의 0-50 중량%에 해당하는 용매 및 100-50 중량%에 해당하는물로 이루어진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용매는 방사원액을 제조할 때 사용한 것과 동일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방사원액 및 내부응고제를 이용하고 외부응고제로 물을 이용하여 건습식방사법 또는 습식방사법에 의한 방법으로 방사한 후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의 완전 제거 및 기타 첨가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물을 이용한 세정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방사원액 및 내부응고제에 포함되어 있는 용매, 첨가제등이 막의 외부로 확산되어 빠져나오게 된다.
세정공정을 거친 후 일정 농도로 조절된 친수화 물질이 들어 있는 친수화조를 일정시간 거치고 연속적으로 가교액에 들어가게 된다. 가교액 처리가 끝나면 권취후에 고온 열처리를 하게 된다.
즉 이 과정이 완료되면 제품으로서 특성평가를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친수화 물질의 종류 및 농도, 처리시간, 가교제 종류 및 시간,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의 적절한 배합이라고 할 수 있다.
친수화 물질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였다. 폴리비닐알콜을 선정한 이유는 말단에 수산화기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친수화 물질에 비해 친수화 효과가 크고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폴리비닐알콜의 농도는 5-30 중량%인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중량% 미만일 경우는 표면의 친수화 정도가 부족하고 30 중량% 초과할 경우는 표면의 친수화 정도는 좋으나 표면에 폴리알콜비닐 층을 두껍게 형성하여 투과속도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막의 구멍내부에서도 가교화되기 때문에 역시 투과속도를 크게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5-30 중량%의 폴리비닐알콜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온에서도 쉽게 용해되는 부분검화형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며, 침지시간은 30초에서 4분 사이가 적절하다. 본원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분검화형 폴리비닐알콜의 한가지 예로는 80%가 가수분해되고, 20%의 아세틸기가 남아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평균 분자량이 70,000 이하인 폴리비닐알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알데하이드류의 사용이 가능하지만 그 중에서도 글루탈알데하이드가 가장 좋은결과를 보였으며, 가교제의 농도는 진할수록 가교결합을 촉진하므로 바람직하지만, 글루탈알데하이드의 경우 일반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25%의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처리시간은 1-5분 정도가 제조 공정상 적절한 결과를 보였다.
열처리기는 가교제에 의해 가교가 일부 진행된 상태를 완결시키는 역할과 가교틈새를 균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열처리 온도는 80-150℃ 정도가 적절하였는데 80℃ 미만에서는 가교가 불안정하여 분리조작중에 폴리비닐알콜이 추출되어 나오고 일정 분리조작후에는 파울링이나 농도분극 현상이 심해지는 결과를 보였다. 150℃ 초과시에는 80-150℃에 비해 성능 개선이 없었고 폴리비닐알콜 층의 밀도가 높아져 투과속도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열처리 시간은 온도에 따라 다르지만 1-10 시간 사이가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하기한 실시예의 소수성 수지로된 중공사막을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후 실제로 친수성이 부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조 분리막의 순수투과계수(Lp)는 인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순수를 10분 정도 통수시켜 투과유량을 안정화시킨 후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건조 분리막의 용질배제율은 콘알부민(conalbumin:MW=87,000)과 γ-글로불린(γ-globulin:MW=150,000)을 pH 7.0 인산완충용액에 각각 100 ppm의 농도로 용해시켜 투과원액을 제조하고 순수투과계수 측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투과수를 얻어 원액 및 투과수중의 각 단백질의 농도를 UV 스펙트로포토미터(UV-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측정,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건조 분리막의 파울링과 농도분극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이 1 중량%, 단백질이 2 중량%의 조제수를 제조한 뒤 막에 일정유량으로 투과시킨 후 막의 전단압력변화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폴리설폰(아모코사 P3500) 20 중량%, 폴리에틸렌 글리콜(MW=600) 20 중량%, N-메틸-2-피롤리돈 60 중량%를 조성으로 하는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건습식 방사를 행하였다. 이때, 내부응고액은 물을 사용하여 방사하였으며, 이때 공기층의 거리는 10㎝, 응고조에서 침지시간은 약 5초, 방사속도는 40m/min의 건습식 방사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세정조는 30℃의 물을 이용하여 4분간 세정후 15 중량%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1분 통과시킨 후 시판되는 25% 농도의 글루탈알데하이드 용액에 3분간 통과시켰다. 권취가 끝나면 바로 120℃의 열풍오븐에서 3시간 열처리를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중공사막을 인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순수투과계수 및 용질배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된 중공사막의 파울링과 농도분극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이 1 중량%, 단백질이 2 중량%의 조제수를 제조한 뒤 막에 10 1/min의 유량으로 투과시킨 후 시간에 따른 막의 전단압력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폴리설폰(아모코사 P3500) 18 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MW=600) 15 중량%, N-메틸-2-피롤리돈 67 중량%를 조성으로 하는 방사 원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건습식 방사를 행하였다.
이때 공기층의 거리는 10㎝, 응고조에서 침지시간은 약 5초 방사속도는 40m/min의 건습식 방사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세정조는 30℃의 물을 이용하여 4분간 세정후 25 중량% 폴리비닐알콜 수용액에 2분 통과시킨 후 시판되는 25% 농도의 글루탈알데하이드 용액에 3분간 통과시켰다. 권취가 끝나면 바로 120℃의 열풍오븐에서 3시간 열처리를 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중공사막을 인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순수투과계수 및 용질배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된 중공사막의 파울링과 농도분극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이 1 중량%, 단백질이 2 중량%의 조제수를 제조한 뒤 막에 10 1/min의 유량으로 투과시킨 후 시간에 따른 막의 전단압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1과 동일 조성으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이용액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건습식 방사를 행하였다.
이때 내부응고액은 물을 사용하여 방사하였으며, 이때 공기층의 거리는 10㎝, 응고조에서 침지시간은 약 5초, 방사속도는 40 m/min의 건습식 방사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세정조는 30℃의 물을 이용하여 4분간 세정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설폰 중공사막을 24시간 침지후 60℃의 열풍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인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순수투과계수 및 용질배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된 중공사막의 파울링과 농도분극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이 1 중량%, 단백질이 2 중량%의 조제수를 제조한 뒤 막에 10 1/min의 유량으로 투과시킨 후 시간에 따른 막의 전단압력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 조성으로 방사원액을 제조한 후 이 용액을 30℃로 유지한 상태에서 건습식 방사를 행하였다.
이때 내부응고액은 물을 사용하여 방사하였으며, 이때 공기층의 거리는 10㎝, 응고조에서 침지시간은 약 5초, 방사속도는 40 m/min의 건습식 방사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세정조는 30℃의 물을 이용하여 4분간 세정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렇게 하여 얻어진 폴리설폰 중공사막을 글리세린 50 중량% 수용액중에 24시간 침지후 60℃의 열풍 건조기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인가압력을 변화시키면서 순수투과계수 및 용질배제율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제조된 중공사막의 파울링과 농도분극현상을 파악하기 위해 유기물 함량이 1 중량%, 단백질이 2 중량%의 조제수를 제조한 뒤 막에 10 1/min의 유량으로 투과시킨 후 시간에 따른 막의 전단압력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효 과]
상기한 (표)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분리막은 건조시에도 투과성능이 우수하고, 파울링이나 농도분극 현상이 기존 소수성 분리막에 비해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리막은 투과성능이 단백질이나 유기물이 많이 존재하는 수용액 처리시나 장기 운전시에도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우수한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이다.

Claims (10)

  1. 구금의 외부에는 소수성 수지, 제막과정 중 물에 용해되어 제거되는 첨가제, 용매로 이루어진 방사원액을, 내부에는 용매, 물로 이루어진 내부 응고제를 토출, 방사하여 외부응고제에 침적시켜 중공사 형태의 분리막을 제조하고; 상기 분리막을 세정액으로 세정하고 연속적으로 친수화제 처리, 가교제 처리한 후 권취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고; 상기 중공사막을 열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고분자를 물에 녹여 제조하는 것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의 농도는 5 내지 30 중량%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처리는 30초 내지 4분인 소수성 수지계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알데히드류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가교제 처리는 1 내지 5분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는 80 내지 150℃에서 실시하는 것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분리막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열처리는 1 내지 10 시간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친수화제 처리는, 친수화제를 소수성 수지 분리막에 고착 및 불용화시키는 공정인 소수성 수지계 건조분리막의 제조방법.
  10. 제1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소수성 수지계 건조 분리막.
KR1019950018751A 1995-06-30 1995-06-30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017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51A KR0170582B1 (ko) 1995-06-30 1995-06-30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751A KR0170582B1 (ko) 1995-06-30 1995-06-30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17A KR970000317A (ko) 1997-01-21
KR0170582B1 true KR0170582B1 (ko) 1999-01-15

Family

ID=19419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751A KR0170582B1 (ko) 1995-06-30 1995-06-30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5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36A (ko) * 2000-08-10 2002-02-20 이재근 제습막 모듈용 막필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습막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036A (ko) * 2000-08-10 2002-02-20 이재근 제습막 모듈용 막필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제습막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317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04560B2 (ja) 液体処理用の中空糸膜
JP5433921B2 (ja)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JP2008543546A (ja) ポリマー膜の架橋処理
JP2004525755A (ja) アシンメトリー中空ファイバー膜
EP1080777A1 (en) Ultrafiltration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dope composition used for the same
CN115041024A (zh) 非对称再生纤维素除病毒平板过滤膜的制备方法及产品
JPH05184891A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共重合体選択透過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284471A (ja) 高分子多孔質中空糸膜
JPS61283305A (ja) 多孔質中空糸膜
JP2000325765A (ja) 耐溶剤性微孔質ポリベンゾイミダゾール薄膜
JPH05317664A (ja) 多孔質中空糸膜
KR0170582B1 (ko) 소수성 수지계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025755B1 (ko) 투수도 및 기계적 강도가 개선된 한외여과막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40621A (ko) 친수화된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고강도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JPS61268302A (ja) 芳香族ポリスルホン複合半透膜の製造方法
KR100345511B1 (ko) 친수화처리된소수성수지계분리막의제조방법
JP6155908B2 (ja) 中空糸膜の製造方法
KR20130047226A (ko) 막의 물성이 개선된 수처리용 pvdf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8194647A (ja) 中空糸膜
KR20100046675A (ko) 폴리에테르 술폰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고유량 절곡형 카트리지 필터
KR20130040622A (ko) 고투과도를 갖는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이용한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KR20130040623A (ko) 친수화 폴리불화비닐리덴 복합 수지를 이용한 고투과 수처리용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JP2883406B2 (ja) 親水化膜
JP3524637B2 (ja) 高分子多孔質膜の製造方法
KR100231262B1 (ko) 재흡수성이 우수한 중공사막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