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952B1 - 변속기어위치 감지기 - Google Patents

변속기어위치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952B1
KR0169952B1 KR1019920700961A KR920700961A KR0169952B1 KR 0169952 B1 KR0169952 B1 KR 0169952B1 KR 1019920700961 A KR1019920700961 A KR 1019920700961A KR 920700961 A KR920700961 A KR 920700961A KR 0169952 B1 KR0169952 B1 KR 0169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cam
position sensor
sensing member
gear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4047A (ko
Inventor
파슨스 데이빗
존 영 알라스테어
Original Assignee
니겔 존스 고브
콘스버그 테크메틱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겔 존스 고브, 콘스버그 테크메틱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니겔 존스 고브
Publication of KR920704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4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9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46Signals to a clutch outside the gear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변속기어 위치감지기가 다수의 변속비중에서 하나가 변속트랜스미션(12)에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도록 사용된다. 감지기(23)는 감지변환기부재(53)와 협동부재(42)로 구성된다. 부재(42)는 제1방향과 이 제2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2방향으로 각각 변속비의 하나에 일치하는 사전에 결정된 다수의 상태를 향하여 변환기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부재(52,42)사이의 협동으로 변환기(53)는 특정변속비가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부재(42)는 변환기(53)의 작동돌출봉과 협동하는 캠형태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제1도는 차량의 변속 트랜스미션의 일부를 통한 단면과 엔진 및 클러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변속기 셀렉터 암을 보이고 제1도의 Ⅱ-Ⅱ선을 따라 제1도의 캠을 통한 단면도.
제3도와 제4도는 제1도의 Ⅲ-Ⅲ 및 Ⅳ-Ⅳ선 단면도.
제5도는 캠의 여러 위치에 대한 선형 변환기로부터의 전압출력을 보인 설명도.
제6도는 감지기를 재배치하도록 수정된 케이싱을 갖는 트랜스미션의 일부를 보인 제1도와 유사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보인 구성을 이용하여 얻은 전압출력을 보인 제5도와 유사한 설명도.
제1도에서, 엔진(10)은 차량(도시하지 않았음)용의 반자동 변속 트랜스미션(12)을 포함한다. 이 트랜스미션은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 스프링 클러치인 클러치(14)와, 하나 이상의 바퀴에 회전 구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변속기(16)로 구성된다. 변속기(16)는 기어변속레바(17)의 사전에 결정된 적당한 수동조작으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변속비를 다른 요구된 변속비로 바꾸어 선택할 수 있도록 상호 배타적으로 선택가능한 다수의 변속비를 갖는다. 클러치를 자동적으로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클러치 제어장치는 전자제어기(18)와 유체 제어기(19)로 구성된다. 전자제어기는 컴퓨터 수단으로 구성된다. 클러치는 이 클러치와 공지의 방식으로 상호작용하는 해제레바, 즉 포크(20)를 이용하여 분리 및 재결합된다. 어느 순간에서 이러한 클러치의 결합 또는 분리의 속도와 그 정도가 전자제어기(18)와 유체제어기(19)에 의하여 제어된다. 기어변속레바(17)는 본원 출원인의 국제출원 PCT/GB89/01199호에 기술된 형태의 것일 수 있으며 본문에서는 설명치 않았다. 이 기어변속레바는 운전자가 변속하고자 하는 소량을 나타는 손잡이(22)에 가하여진 수동의 힘에 의하여 작동된다. 전자제어기(18)는 손잡이(22)의 기울기에 응답하여 동작하고 유체제어기(19)가 클러치(14)를 분리시키도록 하는 클러치 분리출력신호를 발생한다. 이후에 요구된 변속비의 선택이 변속기어 위치감지(23)에 의하여 감지되고 이 변속기어 위치감지는 라인(24)을 따라 전자제어기(18)에 변속기어 선택완료신호를 보낸다. 이에 응답하여 전자제어기(18)는 유체제어기(19)에 재결합 출력신호를 보내어 자동적으로 클러치(14)가 재결합토록 한다.
제1도는 제1, 제2, 제3, 제4 및 제5의 전자변속비와 하나의 후진변속비를 갖는 변속기에서 기어변속레바(17)에 대한 전형적인 이동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속비 중에서 요구된 하나가 기어변속레바(17)를 기어이동팬턴의 위치 1, 2, 3, 4, 5도는 R에 이동시켜 선택될 수 있다. 변속비가 중립일때에 이 레바는 이동로(N)의 위치에 있게 된다.
레바(17)는 셀렉터 암(25)의 일측단부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고 셀렉터 암의 타측단부는 볼(16)의 형태로 구성되어 변속기(16)의 고정케이싱(28)에 착설된 베어링(27) 내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된다. 암(25)은 그 중앙부분이 유니버셜 베어링(30)내에서 축설되고 이 베어링에는 이 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제 슬리이브(32)가 구비되어 있다. 암(25)은 레바(17)에 의하여 선택된 변속비에 일치하는 위치 5, 3-4, 1-2 및 R로 이동된다. 베어링(30)은 케이싱(28)에 형성된 통공(35)(36)내에서 활동 및 회전가능한 셀렉터 축(3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레바(33)에 재가된다. 셀렉터 축(34)(이는 상기 언급된 셀렉터 요소를 구성한다)은 요구된 변속비의 선택을 위하여 변속기(16)내의 셀렉터 포크(도시하지 않았음)를 작동토록 배설되어 있다. 슬리이브(31)가 셀렉터 축(34)과 케이싱(28)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암(25)은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변속비 5, 3-4, 1-2 및 R이 선택되도록 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다. 암(25)의 운동은 레바(33)가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은 위치 5, 3-4, 1-2 및 R로 이동될 수 있도록 레바(33)에 전달된다.
셀렉터 축(34)은 구동핀(38)에 의하여 슬리이브(37)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슬리이브(37)에 상기 언급된 협동부재의 하나를 구성하는 캠부재(42)가 활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평행측벽(40)을 갖는 외측 요구(39)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재는 각각 동축상의 통공(45)(46)이 형성된 상하측 플랜지(43)(44)를 가지며 상기 통공을 통하여 셀렉터 축(34)이 활동가능하게 관통된다. 스프링(47)은 플랜지(43)를 슬리이브(37)의 상측 단부에 대하여 평상시 하측으로 탄지시키도록 슬리이브(37)와 플랜지(44)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캠부재(42)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앙 수직통로면(49)으로부터 연장된 두 개의 캠면부(48a)(48b)로 구성된 상부 셋트의 캠면(48), 수직 통로면(49)의 양측부로 연장된 하측 캠면(50)과, 수직 통로면의 양측부로 각각 연장된 캠면부(51a)(51b)로 구성된 중간셋트의 캠면(51)을 갖는다. 수직 통로면(49)이 상기 언급된 공통면을 구성한다.
트랜지스미션 케이싱(28)에는 상기 언급된 협동부재의 다른 하나를 구성하는 선형변환기(53)의 취부 베이싱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변환기(53)는 평상시 캠부재(42) 측으로 탄지된 작동돌출봉(54)을 갖는다. 선형변환기(53)는 라인(24)을 통하여 전자제어기(18)에 연결된다.
상측, 하측 및 중간캠면(48)(50)(51)은 제1도-제4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각 변속비 3-5-4, 1-2 및 R이 선택될때에 작동돌출봉(54)의 위치에 놓이게 된다.
셀렉터 레바(17)가 중립위치(N)에 있을때에 작동돌출봉(54)이 캠부재(42)의 수직통로면(49)상에 놓이며, 이 수직 통로면이 상기 언급된 중간위치를 점유한다.
후진변속비를 선택하기 위하여 셀렉터 레바(17)는 중립위치(N)을 따라서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좌측단으로 이동되어 셀렉터 암(25)이 그 우측 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1도와 제2도의 위치에서 상측으로 회전되게 한다. 이러한 운동으로 레바암(33), 셀렉터 축(34)과 캠부재(42)는 선형변환기(53)에 대하여 상기 언급된 제1방향으로 상향 이동된다. 그리고 작동돌출봉(54)는 수직 통로면(49)상에서 하측 캠면(50)과 정렬되며 R 위치로 향하는 셀렉터 레바(17)의 운동으로 셀렉터 암(25)은 제2도에서 보인 R 위치를 향하여 회전하므로서 셀렉터 축(34)이 회전하고 작동돌출봉(54)이 하측 캠면(50)에 결합되게 한다. 셀렉터 축(34)의 회전운동이 상기 언급된 제2방향으로의 운동을 구성한다. 그리고 선형변환기로부터의 출력으로 전자제어기(18)에 대한 적당한 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대하여서는 제5도에 관련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변속비 1을 선택하기 위하여 셀렉터 레바(17)가 중립위치에서 후측으로 이동되고 중립로(N)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1을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운동으로 셀렉터 암(25)은 캠부재(42)가 중립위치로 후진하고 셀렉터 축(34)이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셀렉터 축(34)이 더욱 회전하여 작동돌출봉(54)이 중간캠면의 캠면부(51a)에 결합되기 전에 수직로(49)가 작동돌출봉(54)을 따라 이동한다.
변속비 2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어변속레바(17)는 중립위치(N)를 따라 이동되어 2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운동으로 셀렉터 축은 캠면부(51b)가 작동돌출봉(54)에 접촉토록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레바(17)가 중립로(N)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3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운동으로 축(34)이 회전되고 캠면(51b)이 작동돌출봉(54)에서 분리되며, 연속하여 축이 하측으로 이동되어 수직통로면(49)이 작동돌출봉(54)에 대하여 이동되고 최종저으로 축(34)이 회전하여 캠면부(48a)가 작동돌출봉(54)에 접촉한다.
변속비 4를 선택하기 위하여, 레바(17)는 중립로를 가로질러 4의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운동으로 셀렉터 축(34)은 캠면부(48b)가 작동돌출봉(54)에 접촉되게 회전시킨다.
변속비 3과 4에서, 캠부재의 플랜지(44)는 케이싱(28)의 면(55)에 결합하거나 이에 인접되게 배치된다.
변속비 5를 선택하기 위하여 기어변속레바(17)는 중립위치로 되돌아가서 작동돌출봉(54)는 수직 통로면(49)에 결합한다. 그리고 레바(17)는 중립로(N)를 따라 우측으로 이동되어 5의 위치에 이른다. 이러한 운동으로 축(34)이 회전하여 캠면(48b)이 작동돌출봉(54)으로부터 분리되고 축(34)이 그 최하측 위치에 이를때까지 축(34)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캠부재(42)의 플랜지(44)는 면(55)을 넘어서까지 이동될 수 없으므로 축(34)의 하향운동으로 스프링(47)이 압축된다. 5의 위치를 향한 레바(7)의 운동으로 축(34)이 회전하여 캠면(48a)이 작동돌출봉(54)에 접촉한다. 따라서 변속비 5에서 작동돌출봉(54)은 변속비 3과 같이 동일 캠면부(48a)에 결합한다. 그러나, 변속비 3을 선택시에 축(34)의 회전운동은 변속비 5의 선택시 보다 약간 작다. 또한 중립위치와 변속비 2와 4가 선택되는 위치 사이에서 축(34)의 회전운동은 중립위치와 변속비 1, 3, 5 및 R이 선택되는 위치사이의 경우보다 크다. 축의 회전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캠면(48)(59)(51)의 길이는 회전운동에 있어서 이러한 차이에 적응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5도에서 선택된 변속비에 대한 변환기(23)으로부터의 출력이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부호 1, 2, 3, 4, 5, R 및 N은 제1도에서 보인 이동위치에 일치하고 변환기(53)로부터의 전압출력은 부호 V로 표시되어 있으며 중립위치(N)의 양측에서 셀렉터 축(34)의 회전위치가 부호 A로 표시되어 있다.
기어변속레바(17)는 한 변속비(예를 들어 변속비 1)를 선택하여 클러치가 분리되도록 중립위치(N)에서 이동되므로 변속비는 변속 트랜스미션 내에 있는 기어셀렉터 디텐트(도시하지 않았음)가 작동되어 트랜스미션이 변속비 1을 유지하게 되는 위치 T1으로 셀렉터 레바가 완전히 이동되기 전에 점 E1에서 선택될 것이다. E1에 이르렀을때에 클러치는 변환기(53)로부터의 신호 Vb에 응답하여 재결합된다. 위치 T1에 이르렀을때에 전압 Vc이 발생되어 디텐트 결합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레바(17)가 중립로(N)로 되돌아가므로 변속비가 점 D1에서 풀리고 여기에서 클러치가 분리되도록 하는 신호 Vb가 변환기에 의하여 발생된다.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그리고 다음 표에서 보인 바와 같이 다른 변속비에 대하여서도 유사한 과정이 이루어진다.
후진변속비 R이 선택될때에 캠면(50)은 작동돌출봉(54)이 다른 캠면에 의하여 이동될 때보다 먼 거리를 이동토록한다. 이러한 운동으로 레바(17)가 그 완전한 자기의 위치 TR을 향하여 이동하였을 때에 큰 출력전압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운동중에, 그 출력전압은 전압 Vc보다 높고 후진램프 와/또는 다른 후진지시기를 스위치 온시키도록 전자제어기(18)내의 파워 트랜지스터 또는 릴레이를 충분히 작동시킬 수 있는 출력전압보다 높은 RL 범위로 진입한다. 또한 레바가 완전히 자기 위치를 향하여 이동될때에 변환기(53)가 후진지시기를 스위치 온 시키도록 작동하는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선형변환기(53)는 평상시 트랜스미션의 후진램프 스위치에 의하여 점유된 위치를 점유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트랜스미션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같은 경우 캠부재(42)는 셀렉터 축(34)상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통상의 후진램프 스위치가 선형변환기(53)로 간단히 대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변속기 케이싱이 주조제품이든간에 관계없이 어떠한 수정도 필요없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에 이와같은 구성은 가장 유리한 것이다.
케이싱(28)이 제6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선형변환기(23)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케이시을 재배치하도록 수정되는 경우, 캠부재(142)는 그 전체 축방향 이동거리를 통하여 셀렉터 축(34)과 함께 이동토록 셀렉터 축(34)에 직접 결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캠부재가 셀렉터 축의 전체하향 이동거리를 통하여 하향이동할 수 없도록 하는 제1도의 구성과 같은 스프링(47)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제6도에서, 캠부재에는 변속비 5에서 돌출봉(54)와의 결합을 위한 캠면(15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면(150)은 수직통로면(49)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변속비 5에 대한 D5, E5 및 T5에서의 출력전압이 변속비 3에서 D5, E5 및 T5이 경우와 동일하게 될 것이다. 제6도의 구성에 대한 출력은 제7도와 다음표에 보인 바와 같다.
다른 모든 관점에서 제6도에서 보인 구성은 제1도와 동일하다.
다수의 변속비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셀렉터(34)를 이용하는 대신에 레인지변속기의 경우와 같이 두 변속비중에서 하나를 선택토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변속기어 위치감지기와 이러한 감지기가 구비된 차량용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차량용 트랜스미션은 상호 배타적으로 선택되어 어느 경우든지 단 하나의 변속비가 선택될 수 있는 다수의 변속비를 갖는 변속기와, 제1 및 제2의 반대 방향과 이들 제1 및 제2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3 및 제4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어 상기 변속비의 각각에 대한 선택에 일치하는 다수의 사전에 결정된 위치 중에서 요구된 또 하나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된 가동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사전에 결정된 위치에 대한 상기 가동부재의 운동으로 해당변속비의 선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속비의 선택이 감지될 수 있는 개선된 변속기어 위치감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라서, 변속비 또는 일련의 변속비 중에서 하나의 변속비가 변속 트랜스미션에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가 제공되는 바, 이 감지기는 감지부재와 캠부재와 같이 협동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중 하나가 변속비의 하나에 일치하는 다수의 사전에 결정된 상태가 되도록 제1방향과 이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2방향으로 다른 하나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 사이의 협동으로 감지부재는 상기 변속비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다.
변속기어 위치감지기에 대하여서는 영국특허 G-A-2 127 802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감지기는 다수의 홀효과 변환기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자석을 사용하여야 하고 구조가 복잡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2관점에 따라서, 다수의 변속비가 변속 트랜스미션에서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가 제공되는 바, 이 감지기는 감지부재와 캠부재와 같이 협동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부재중에 하나가 변속비의 하나에 일치하는 다수의 사전에 결정된 상태 중의 하나를 향하여 제1방향과 이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2방향으로 다른 하나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으며, 이들 부재 사이의 협동으로 감지부재는 특정 변속비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상기 부재중의 하나는 다른 부재의 일부와 협동하는 캠면을 갖는다.
캠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자석을 이용하거나 구조적으로 부수적인 복잡성이 없이 적극적인 신호의 발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라서 다수의 변속비의 하나가 변속 트랜스미션에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가 제공되는 바, 이 감지기는 감지부재와 캠부재와 같이 협동하는 가동부재로 구성되고 이들 중 하나는 각각 변속비의 하나에 일치하는 다수의 사전에 결정된 상태 중에서 어느 한 상태로 제1방향과 이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2방향으로 다른 하나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이들 부재 사이의 협동으로 감지부재는 특정 변속비가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고, 이 감지부재는 각 선택가능한 변속비에 일치하는 다수의 상기 신호를 발생토록 구성된 단일 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성된다.
단일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다수의 홀효과 변환기를 필요로 하는 영국 특허 GB-A-2 171 802의 구성보다 간단하다.
본 발명의 제3관점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에는 캠면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상기 제2관점의 것을 포함하는 상기 언급된 캠면은 각각의 상태에서 다른 부재, 즉 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와 협동하는 다수의 표면부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된 다수의 표면부는 제1운동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표면부는 제2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운동방향은 각각 선형 및 회전운동 방향으로 구성된다.
상기 언급된 표면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된 공통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 공통면은 상기 제1운동방향과 평행한 협소 직선로의 형태이다.
캠의 형태가 결정되었을 때에 이는 비교적 정확하게 제작될 수 있으며 변속기어 감지기의 조립은 감지기가 조립될 때마다 많은 소형자석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어야 하는 영국 특허 GB-A-2 171 802의 경우보다 용이하다.
상기 부재, 즉 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 중에서 다른 하나는 선형 변환기이고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부재들 사이에 상대운동이 일어날 때에 상기 캠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 작동돌출봉과 같은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표면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었을 때에 중간위치로부터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은 이들 표면부와 타측부재, 즉 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 사이의 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공통면이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경우에 이는 상기 중간위치에 놓이는 것이 좋다.
상기 언급된 중간위치는 트랜스미션의 중립위치와 일치한다.
통상적으로 협동하는 가동부재, 예를 들어 캠면이 형성된 부재는 상기 상태로 이동가능한 부재이며, 이와 같은 경우 감지부재는 고정된 상태에 놓인다.
또한, 통상적으로 감지부재는 평상시 후진 램프 스위치에 의하여 점유되는 트랜스미션 상의 위치를 점유할 수 있다.
감지부재는 상기 변속비가 선택된 후에, 그러나 선택된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변속 트랜스미션에서 역지수단의 작동 전에 해제가능한 클러치가 결합되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감지부재는 상기 변속비가 해제된 후에 해재가능한 클러치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선택 변속비의 하나는 후진 변속비이고 감지부재는 후진 지시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후진 변속비가 선택될 때에 후진 지시기가 작동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할 것이다. 후진 지시기가 작동토록 하는 작동신호는 다른 변속비가 선택될 때에 감지부재에 의하여 발생되는 신호레벨 이라는 다른 레벨이다.
후진 변속비에 일치하는 상태로 타측부재, 즉 변환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와 작동하는 캠의 표면부 중에서 하나는 감지부재가 상기 상이한 레벨의 신호를 발생토록 하는 감지부재의 일부의 운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배설된다.
후진 변속비가 선택되었을 때에 감지부재의 상기 부분이 이동된 이동량은 다른 변속비가 선택되었을 때에 상기 표면부의 다른 하나에 의하여 이동된 이동량보다는 크다.
가동부재는 변속비를 선택토록 주어진 거리를 이동하는 셀렉터 요소상에 이동 가능하게 착설된다. 이와 같은 경우 가동부재는 상기 주어진 거리보다 짧은 거리를 상기 셀렉터 요소와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허용된다. 셀렉터 요소는 가동부재가 상기 짧은 거리를 통하여 이동된 후에 상기 주어진 거리까지 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한다.
셀렉터 요소는 탄성평향에 대향하여 상기 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탄성평향은 적당한 스프링에 의하여 제공된다.
가동부재에는 셀렉터 요소가 이 가동부재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셀렉터 요소가 활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스프링은 통공이 형성된 가동부재의 표면과 셀렉터 요소 또는 이에 고정된 부재의 표면 사이에 배설된다.
본 발명의 제4관점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본 발명의 제1, 제2 또는 제3관점, 또는 이들에 관련된 관점에 따른 변속기어 위치감지기가 결합된 차량용 트랜스미션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laims (15)

  1. 다수의 변속비 중에서 하나가 변속트랜스미션(12)에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변속기어 위치 감지기로서, 상기 변속트랜스미션(12)이 각각 변속비의 하나에 일치하는 다수의 사전에 결정된 상태 중이 어느 하나를 향하는 제1방향과 선택된 변속비에 결합토록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셀렉터 축(34)을 포함하고, 감지기(23)가 감지부재(53)와 캠부재(41; 142)로 구성되고 이들 감지부재(53)와 캠부재(42; 142)중이 하나가 셀렉터 축(34)과 함께 이동토록 이에 착설되고 감지부재(53)와 캠부재(42; 142)중의 다른 하나는 병렬배치되게 착설되는 것에 있어서, 캠면(48,50,51)을 형성하는 캠부재(42; 142)가 상기 제1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통로면(49)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다수의 캠면부(48a,48b,50; 50,51a,51b)로 구성되고, 상기 캠면부(48a,48b,50; 50,51a,51b)가 상기 수직통로면(49)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캠면(48,50,51)이 감지부재(53)의 일부분(54)에 결합되고, 상기 감지부재(53)의 일부분(54)은 셀렉터 축(34)이 제1방향으로 이동될때에 상기 수직통로면(49)에 결합되며 셀렉터 축이 제2방향으로 이동될때에 상기 캠면부(48a,48b,50; 51a,51b)의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일부분(54)은 감지부재(53)의 가동부분이며, 상기 감지부재(53)가 상기 일부분(54)의 후퇴정도에 따른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캠면부(48a,48b,50; 50,51a,51b)는 상기 일부분(54)을 결합된 변속비에 따른 상이한 각도로 후퇴시킬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캠면이 각 상태에서 감지부재(53)의 상기 일부분(54)과 협동하는 다수의 캠면부(48a,48b,50; 50,51a,51b)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캠면부(48a,50; 150,51a)가 상기 제1운동방햐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캠면부(48a,48b)가 상기 제2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의 운동이 각각 직선 및 회전운동임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6. 제4항에 있어서, 제2방향으로의 원동이 회전운동이고, 중간위치로부터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운동으로 캠부재(48a,48b)와 감지부재의 일부분(54) 사이의 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7. 제1항에 있어서, 캠부재(42; 142)가 셀렉터 축(34)과 함께 이동토록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8. 제1항에 있어서, 감지부재(53)가 통상적으로 후진 램프위치에 의하여 점유되었던 트랜스미션(12) 상의 위치를 점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9. 제1항에 있어서, 선택가능한 변속비중의 하나가 후진변속비(R)이고 후진변속비가 선택될때에 감지부재(53)가 후진지시기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되는 작동신호를 발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0. 제9항에 있어서, 후진지시기가 작동토록 하는 작동신호가 다른 변속비의 선택시 감지부재(53)에 의하여 발생된 신호의 레벨과는 다름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부(50; 150)는 감지부재가 상기 상이한 레벨의 신호를 발생토록하는 감지부재(53)이 상기 일부분(54)의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배설된 후진변속비(R)에 일치하는 상태에서 감지부재(53)의 상기 일부분(54)과 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후진변속비(R)의 선택시에 감지부재(53)의 상기 일부분(54)이 이동하는 이동량이 다른 변속비(1,2,3,4,5)의 선택시 상기 캠표면부(48a,48b,51a,51b)의 다른 하나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량보다 큼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3. 제1항에 있어서, 캠부재(42; 142)가 변속비를 선택토록 주어진 거리를 이동하는 셀렉터 축(34)상에 이동가능하게 착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캠부재(42)가 상기 주어진 거리보다 작은 감소된 거리를 상기 셀렉터 축(34)과 함께 이동토록 허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셀렉터 축(34)이 상기 감소된 거리를 통하여 캠부재(42)가 이동된 후에 상기 주어진 거리까지 캠부재(42)에 대하여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어 위치감지기.
KR1019920700961A 1990-01-25 1990-12-21 변속기어위치 감지기 KR0169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01745.0 1990-01-25
GBP001745.0 1990-01-25
GB9001745A GB2240372B (en) 1990-01-25 1990-01-25 Gear position sensor
PCT/GB1990/002014 WO1991011638A1 (en) 1990-01-25 1990-12-21 Gear position 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4047A KR920704047A (ko) 1992-12-19
KR0169952B1 true KR0169952B1 (ko) 1999-01-15

Family

ID=1066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961A KR0169952B1 (ko) 1990-01-25 1990-12-21 변속기어위치 감지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513026B1 (ko)
JP (1) JP2994034B2 (ko)
KR (1) KR0169952B1 (ko)
DE (1) DE69023148T2 (ko)
ES (1) ES2077840T3 (ko)
GB (1) GB2240372B (ko)
WO (1) WO19910116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07360B1 (fr) * 1993-07-08 1995-08-11 Renault Dispositif de détection du rapport engagé sur une boîte de vitesses mécanique.
DE19507621B4 (de) * 1994-03-18 2007-08-09 Volkswagen Ag Schalthebelbetätigungssensor
DE4427330C2 (de) * 1994-08-02 1999-10-21 Mannesmann Sachs Ag Anordnung und Verfahren zum Bestimmen des Schaltstellungszustandes eines Kraftfahrzeug-Schaltgetriebes
DE19581439D2 (de) 1994-12-24 1997-06-05 Luk Getriebe System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steuern eines zwischen einer Antriebseinheit und einem Getriebe wirksamen Drehmomentübertragungssystemes
GB2324346B (en) * 1994-12-24 1999-06-09 Luk Getriebe Systeme Gmbh Operating a torque transmission device
FR2731489B1 (fr) * 1995-03-08 1997-04-30 Renault Boite de vitesses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detection du rapport engage
FR2742836B1 (fr) * 1995-12-22 1998-01-16 Valeo Dispositif de detection du rapport engage d'une boite de vitesses et boite de vitesses equipee d'un tel dispositif
FR2746477B1 (fr) * 1996-03-22 1998-04-24 Valeo Dispositif de detection de la selection et/ou de l'engagement d'un rapport d'une boite de vitesses et boite de vitesses equipee d'un tel dispositif
GB2311570B (en) * 1996-03-27 1998-05-13 Ap Kongsberg Holdings Ltd Gear position sensor
IT1285861B1 (it) * 1996-05-07 1998-06-24 Magneti Marelli Spa Dispositivo di rilevamento della posizione di un albero di comando per l'esecuzione di una manovra di selezione ed una manovra di innesto
EP0906525B1 (en) 1997-04-07 2003-06-25 Luk Leamington Limited Gear position sensor
KR100497823B1 (ko) * 1998-12-02 2005-09-27 루크 레밍턴 리미티드 변속기어위치감지기
DE19929038A1 (de) * 1999-06-25 2000-12-28 Hydraulik Ring Gmbh Wegmeß- und Kontroll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9929632A1 (de) * 1999-06-29 2001-01-18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Positionserfassung von zwei Achsbewegungen
EP1350991B1 (de) * 2002-03-26 2005-09-28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Sensoranordnung zur Bestimmung der Schaltwalzenstellung
SE0400621L (sv) * 2004-03-12 2005-09-13 Kongsberg Automotive Asa System för att utföra växling
DE102005034865B4 (de) * 2005-07-26 2012-03-22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Stellvorrichtung für ein Getriebe
DE102005061794A1 (de) * 2005-12-23 2007-07-12 Schaeffler Kg Signalgeb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6488A (en) * 1972-01-24 1975-02-18 Toyota Motor Co Ltd Manually operated shift assembly with restraining action for shifting to reverse
FR2240672A5 (ko) * 1973-08-06 1975-03-07 Berliet Automobiles
DE2646393C3 (de) * 1976-10-14 1981-07-02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Anzeigesystem für ein Stufenwechselgetrieb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SE423067B (sv) * 1978-12-07 1982-04-13 Saab Scania Ab Anordning for att orientera om vexellegen i en vexelforarmekanism till en manuellt manovrerbar fordonsvexellada
JPS5591422A (en) * 1978-12-29 1980-07-11 Nissan Motor Co Ltd 2-wheel/4-wheel drive change-over device of transfer
GB2159217A (en) * 1984-05-25 1985-11-27 Automotive Products Plc Gear selection indicator in a multi-ratio transmission
SE445585B (sv) * 1985-02-28 1986-06-30 Saab Scania Ab Arrangemang vid en magnetisk legesgivare
DE3542812A1 (de) * 1985-12-04 1987-06-11 Ford Werke Ag Schaltsperre fuer den rueckwaertsgang eines mehrgaengigen wechselgetriebes
GB2207508A (en) * 1987-08-01 1989-02-01 Crystalate Electronics Potentio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3148D1 (de) 1995-11-23
ES2077840T3 (es) 1995-12-01
EP0513026B1 (en) 1995-10-18
JP2994034B2 (ja) 1999-12-27
GB2240372B (en) 1994-03-02
WO1991011638A1 (en) 1991-08-08
KR920704047A (ko) 1992-12-19
DE69023148T2 (de) 1996-03-21
GB2240372A (en) 1991-07-31
EP0513026A1 (en) 1992-11-19
JPH05503984A (ja) 1993-06-24
GB9001745D0 (en) 199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952B1 (ko) 변속기어위치 감지기
EP0784766B1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EP0760917B1 (en) Shift control mechanism to manually shift an automatic transmission
US4974468A (en) Compound transmission and shift control therefor
CA2161477C (e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5000060A (en) Compound transmission and shift control therefor
CN101523087B (zh) 用于自动化的或自动的变速器的换档装置
DE60214958T2 (de) Schaltvorrichtung
KR100306979B1 (ko) 변속기시프트제어장치
KR950013518B1 (ko) 전동장치
EP0438489B1 (en) Gear position sensor
JP2003312301A (ja) 手動変速モードを具備した自動変速機用コラムタイプシフトレバーの構造
JPH02503589A (ja) 制御台
US6874382B2 (en) Software controlled gear change mechanism for a motor vehicle
US6311552B1 (en) Gear position sensor
WO1998045625A1 (en) Gear position sensor
KR102498154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KR100497823B1 (ko) 변속기어위치감지기
JPS6233161Y2 (ko)
JPH04123821U (ja) 自動変速車両のシフトチエンジ操作レバー装置
JPH0926019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H04117254U (ja) 自動変速車両のシフトチエンジ操作レバー装置
KR20030083262A (ko) 수동 변속 모드가 구비된 자동 변속기용 컬럼 타입 시프트레버구조
KR19990058558A (ko) 자동변속기의 가변 모드 변속레버
KR20030083263A (ko) 수동 변속 모드가 구비된 자동 변속기용 컬럼 타입 시프트레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