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258B1 -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258B1
KR0169258B1 KR1019950054817A KR19950054817A KR0169258B1 KR 0169258 B1 KR0169258 B1 KR 0169258B1 KR 1019950054817 A KR1019950054817 A KR 1019950054817A KR 19950054817 A KR19950054817 A KR 19950054817A KR 0169258 B1 KR0169258 B1 KR 0169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value
integer value
clamping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3460A (ko
Inventor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1995005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258B1/ko
Publication of KR970033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3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2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82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the machine tool function, e.g. thread cutting, cam making, tool direc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8Indexing equipment having means for clamp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together in the index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umerical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의 팔레트 테이블을 B축(또는 제4축)으로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 테이블 하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상판(10)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하판(20)을 상호 클램핑시킬 경우, 비정상적인 위치인 소숫점이하 위치에서는 클램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인가를 판단하여, 1˚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2000으로 나눈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고, 상기 정수값(A)을 다시 2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며,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가 아닐 경우, 5˚ 인덱스인가를 판단하여 5˚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10,000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고, 상기 정수값(A´)을 다시 10,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며,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머시닝 센터의 큐빅 커플링(CUBIC COUPLING)의 기본 기어 구조의 개략도.
제2도는 머시닝 센터의 팔레트 베이스 하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상판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하판이 클램핑이 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3도는 머시닝 센터의 팔레트 베이스 하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상판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하판이 클램핑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큐빅 커플링의 상판 20 : 큐빅 커플링의 하판
본 발명은 머시닝 센터의 팔레트 테이블을 B축(또는 제4축)으로 이동하여 상기 팔레트 테이블 하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이 상판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하판을 상호 클램핑(이물림)시킬 경우, 비정상적인 위치인 소숫점이하 위치에서는 클램핑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일번적인 머시닝 센터의 큐빅 커플링(CUBIC COUPLING)의 기본 기어 구조의 개략도로서, 머시닝 센터의 팔레트 베이스 하측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어, 공작물 이송 후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에는 상호 이물림 즉, 클램핑(CLAMPING)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생산하고 있는 수평형 머시닝 센터(HORIZONTAL MACHINING CENTER)에서 팔레트 테이블의 하측 및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원형의 큐빅 커플링의 기본 기어구조는 1˚ 인덱스와 5˚ 인덱스의 기어 구조로 구분되는 바, 1˚ 인덱스인 경우 기어 잇수는 360개를 갖도록 되어 있고, 5˚ 인덱스인 경우 기어 잇수는 1˚ 의 1/5인 72개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B축 1˚/ 5˚ 인덱스의 기어구조는 항상 정수배지령일때만 상호 정확하게 클램핑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머시닝 센터의 조작자가 정수배가 아닌 소숫점이하의 지령을 내리거나, 수동상태에서 소숫점이하 위치로 조작하여 이동시키면, 팔레트 테이블 하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상판(10)과 테이블 베이스 상측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하판(20)이 정확하게 클램핑되지 않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들뜬 상태가 되어, 공작물의 가공상태를 불량으로 만들게 되고 이로 인해 생산공정에 큰 차질을 빚게 할 뿐만 아니라 큐빅 커플링의 조기 마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NC 윈도우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의 B축 위치를 판별하도록 하여 1˚ 또는 5˚ 인덱스의 정수배 일때에만 B축이 클램핑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B축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이 마모 및 공작물의 불량품 발생요소를 미연에 제거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은,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인가를 판단하여, 1˚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2000으로 나눈 값을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고, 상기 정수값(A)을 다시 2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며,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가 아닐 경우, 5˚ 인덱스인가를 판단하여 5˚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10,000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수값(A´)을 계산하고, 상기 정수값(A´)을 다시 10,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며,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여,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므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명기하여 표시하였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머시닝 센타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을 보인 플로우챠트로서,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
1˚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2000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정수값(A)을 다시 2000으로 곱한 정수값(C)를 계산하는 제3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5단계와 :
상기 제1단계에서 1˚ 인덱스가 아닐 경우, 5˚ 인덱스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 :
5˚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10,000으로 나눈 값을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는 제7단계와 :
상기 정수값(A´)을 다시 10,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는 제8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는 제9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NC(Numerical Control) 윈도우 기능이란, NC 측에서 PMC (NC에 내장된 PLC)측으로전송하는 데이타에는 기계의 위치, 이송속도, 알람(에러) 상태등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들 데이타를 PMC측에서 읽어들임으로서 각종 데이타를 PMC내부에서 이용을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NC측의 데이타를 PMC측에서 읽어들일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와 같은 NC 윈도우 기능을 이용하여 B 축의 지령값 즉 데이타값은 PLC 내부영역의 소정 어드레스(R934)에 저장한다.
저장된 데이타 값을 소정의 정수값(예를 들어, 1˚ 인덱스인 경우 2000, 5˚ 인덱스인 경우 10,000)로 나누면 정수값일 때는 소수점이하가 나오지 않지만 정수값이 아닌 경우에는 소수점이 발생된 소정값이 나온다. 소수점이 나오더라도 이 소수점을 무시한 정수값(A)만을 PLC 내부영역의 소정 어드레스(R944)에 저장하고 나서, 이 저장된 정수값(A)을 다시 전술한 소정의 정수값(예를 들어, 1˚ 인덱스인 경우 2000, 5˚ 인덱스인 경우 10,000)을 곱하면 정수값(C)이 나온다. 이 값(C)을 PLC 내부영역의 소정 어드레스(R950)에 저장하고 나서, 이 저장된 정수값(C)을 PLC 내부영역의 소정 어드레스(R934)에 저장된 B축의 지령값과 비교하여 동일한 값인 경우에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NC 윈도우 기능을 이용하여 현재의 B축 위치를 판별하도록 하여 1˚ 또는 5˚ 인덱스의 정수배 일때에만 B축이 클램핑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B축에 설치된 큐빅 커플링의 마모 및 공작물의 불량품 발생요소를 미연에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B축 클램핑 지령시, 1˚ 인덱스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 1˚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2,000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는 제2단계와 : 상기 정수값(A)을 다시 2,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는 제3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는 제4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5단계와 : 상기 제1단계에서 1˚ 인덱스가 아닐 경우, 5˚ 인덱스인가를 판단하는 제6단계와 : 5˚ 인덱스일 경우, B축 지령값을 10,000으로 나눈 값의 소수점을 무시한 정숫값(A´)을 계산하는 제7단계와 : 상기 정숫값(A´)을 다시 10,000으로 곱한 정수값(C´)을 계산하는 제8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인가를 판단하는 제9단계와 : 상기 정수값(C´)이 B축 지령값이면 B축 클램핑을 정상적으로 수행하고, 아니면 에러 처리하여 테이블 클램핑이 되지 않고 공작물 가공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제10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 5˚ 인덱스 제어방법.
KR1019950054817A 1995-12-22 1995-12-22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KR0169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817A KR0169258B1 (ko) 1995-12-22 1995-12-22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4817A KR0169258B1 (ko) 1995-12-22 1995-12-22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460A KR970033460A (ko) 1997-07-22
KR0169258B1 true KR0169258B1 (ko) 1999-02-01

Family

ID=1944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4817A KR0169258B1 (ko) 1995-12-22 1995-12-22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2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632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74632A1 (en) 2018-12-26 2020-07-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346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0741A (ko) 공작기계의 공구 이상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EP0129092B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for use with a machine tool
KR0169258B1 (ko) 머시닝 센터의 nc 윈도우기능을 이용한 b축 1도/5도 인덱스 제어방법
JPH08263113A (ja) 異常処理制御装置
KR102453367B1 (ko) 공작기계 및 공작기계의 제어방법
EP0107147A2 (en) Numerically controlled process and machine operating according to the process
KR101892393B1 (ko) 자동 공구 교환 장치 및 방법
KR0169261B1 (ko) 공구 매거진의 공구 유무판별 방법
KR880004901A (ko) Nc 기계로 가공단계를 설정하는 방법
KR0155745B1 (ko) Z축 원점 오프셋량 자동설정방법
KR20190096018A (ko) 공작기계의 축이동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JPH11123637A (ja) Nc装置の工具寸法計測方法
KR0173294B1 (ko) 원터치 atc 원점 복귀 방법
KR100206135B1 (ko) 가공물 절삭 제어방법
KR100343000B1 (ko) 선반의 피가공물 가공방법
JPH0132027B2 (ko)
JP2004338065A (ja) ワーク加工装置及び方法
KR100203801B1 (ko) 테이블언클램프시절삭이송방지제어장치및방법
JPS60120404A (ja) 原点復帰装置
KR20210010252A (ko) 공작기계 및 공작기계의 제어방법
KR200237556Y1 (ko) 자동 팔레트 교환기 제어시스템
KR200266792Y1 (ko) 머시닝센터의 팔레트 위치 자동 판별 교환장치
JPH05177508A (ja) Nc工作機械の送り軸の位置ずれ監視方法
JPS60259361A (ja) 工作物の自動工作機械による加工方法
KR20010066642A (ko) 근접센서를 이용한 공구 교환시간 단축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