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200B1 -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200B1
KR0169200B1 KR1019960021003A KR19960021003A KR0169200B1 KR 0169200 B1 KR0169200 B1 KR 0169200B1 KR 1019960021003 A KR1019960021003 A KR 1019960021003A KR 19960021003 A KR19960021003 A KR 19960021003A KR 0169200 B1 KR0169200 B1 KR 016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esin composition
moisture
molecular weigh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135A (ko
Inventor
권오승
김오영
황재연
Original Assignee
구형우
한솔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형우, 한솔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형우
Priority to KR101996002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200B1/ko
Publication of KR98000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pe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용융지수 범위를 갖는 폴리올레핀과 특정 무게평균분자량를 갖는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옥사이드 중합체를 용융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를 첨가하여 용융 혼합시킨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로 라미네이션된 방습지가 고지로서 재활용시 해리공정에서 우수한 해리성능을 발현하는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방습지용 라미네이선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용융지수 범위를 갖는 폴리올레핀과 특정 무게평균분자량을 갖는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옥사이드 중합체를 용융 혼합하고 선택적으로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를 첨가하여 용융 혼합시킨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로 라미네이션된 방습지가 고지로서 재활용시 해리공정에서 우수한 해리성능을 발현하는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이는 물이나 수분 등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인쇄물이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포장지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종이의 한면 또는 양면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수지를 라미네이션하거나, 또는 왁스계 에멀젼, 아크릴계 에멀젼,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에멀젼 등을 코팅하는 등 내수성이 강한 고분자 재질로 복합화하고 있다. 이외에도 다른 고분자 물질을 사용하여 방습성을 가지도록 종이와 복합시키는 방법도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습지는 대부분이 천연펄프로 이루어진 종이에 열가소성수지로서 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압출기의 티다이로부터 용융압출시킨 후, 종이와 함께 동시에 냉각롤로 압력을 가해 종이에 압착시며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사용되는 포장지나 포장용기 등에 대한 재활용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재활용 측면에서 종이는 다른 소재에 비해 재활용 율이 높은 편이지만, 방습지의 경우 플라스틱 필름 등 각기 다른 소재와 복합화되어 있어 해리공정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을 해리하기란 쉽지않으므로 방습지의 재활용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
현재 방습지로는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성능이 우수한 폴리올레핀을 압출 라미네이션시킨 방습지를 가장 폭넓게 사용하고 있는데, 폴리올레핀 특히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수분에 대한 내성이 매우 우수하고 강도가 높아 성능 및 가격면에서 매우 우수한 소재이다. 그러나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기 때문에 화학적·물리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하여 재활용하기는 매우 어렵다. 즉, 제지공정의 하나인 회수된 종이를 다시 천연섬유인 펄프형태로 만드는 해리 공정에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투입되는 경우 주로 종이만으로 이루어진 고지와는 달리 표면의 폴리에틸렌 필름에 의하여 수분의 침투가 늦고 해리공정에서 사용하는 화학약문에 대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기 때문에 방습지는 쉽게 해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분리된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불규칙한 크기의 파편으로 남게되어 제거가 어렵다.
또한, 성능이 매우 좋은 필터 및 분리설비를 사용한 제지 제조설비의 개조를 통해 문제가 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지만, 이에 따른 설비비의 증가 및 제거능력의 한계로 투자비에 대한 효율 및 경제성에 문제가 있어 회수와 재활용이 대규모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상업적으로 경제적이지 못하여 대부분 제지업체에서 외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리공정에 의해 플라스틱 필름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은 고지(古紙)를 사용하여 제조한 종이의 경우, 고지에 함유되어 있는 폴리에틸렌필름이 비극성을 띄고 셀룰로오즈계 섬유로 구성된 펄프는 강한 극성을 띄고 있어 상호간에 접착력이 매우 낮으므로 플라스틱 필름을 함유하는 고지를 사용하여 제조된 종이는 강도가 낮거나 부분적인 박리 등이 발생하고, 또한 이러한 종이를 사용하여 인쇄할 경우 불순물로 혼입된 불규칙한 폴리에틸렌 파편들로 인한 인쇄불량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또한, 공정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정수에 이들 플라스틱 필름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통상의 폐수처리 방법에 의해 쉽게 처리 및 제거되기가 어렵고, 일단 폐수로 배출되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심각한 환경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
따라서, 폴리올레핀을 비롯한 플라스틱 필름이 함유되어 있는 방습지는 경제성 및 공정상의 문제 등으로 현재 대부분 소각하거나 매각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각하면 대기오염의 문제가 있고, 매립하면 폴리에틸렌 같은 재질의 플라스틱 필림은 토양 중의 미생물 또는 햇빛 등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토양에서의 자연순환작용을 방해하여 토양을 황폐화시킨다.
이에 재활용이 가능한 방습지를 제조하기위한 연구가 그동안 다각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예를들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부분검화물, 폴리아클릴산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폴리메틸하이드로실록산 등의 수산기를 가지는 유기실란화합물과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 그리고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접착 및 박리조정제로 사용하였다[일본특허공개 제92-211932호].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종이와 폴리에틸렌 필름의 라미네이트지는 단시간에 박리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접착 및 박리조정제로 사용되는 물질의 내수성이 낮아 충간의 접착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제조된 방습지를 우유팩 등에 사용하게 되면 내용물의 수증기가 통과하고 이로써 층간의 접착력이 떨어지므로 내용물의 압력이 상승하는 포장지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방습지에 요구되는 물성은 물론 해리공정에서도 문제가 없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료의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 바, 수용성의 에멀젼을 코팅물질로 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왁스계 에멀젼 단독 혹은 합성고무와의 혼합액을 코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개 제91-10759호]과 아크릴계 에멀젼을 왁스계 에멀젼과 혼합하여 종이에 코팅하는 방법[일본 특허공개 제90-1671 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어느 정도 해리성은 만족시킬수 있지만, 방습지의 방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들 도막의 두께가 두꺼워야 되며 또한 히트실링성이 불량하고 접히거나 꺽이는 부분의 방습성과 고습도에서의 방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타이렌/아크릴의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아크릴의 공중합체에 왁스 에멀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며[일본특허공개 제94-200498호], 이 방법에 의해서는 꺽이거나 구부러지는 곳의 방습성을 다소 개선하는 효가가 있지만, 히트실링성과 방습성 그리고 방습지의 강도면에 있어서는 아직도 미흡한 상태이다.
또한, 분해성수지인 폴리락타이드를 용융 압축하여 라미네이션 방습지를 제조하는 방법[국제특허공개 제94/08090호]이 공지되어 있는 바, 폐기시 공해문제를 유발시키지 않고 히트실링성이 좋으며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여 매우 양호한 소재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생분해성 수지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보다 가격이 수배 내지 수십배에 이르는 매우 고가(高價) 제품이므로 아직까지 대량생산이 어려워 경제성이 없고, 대량생산까지는 아직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여 실용성 측면에서 아직 부적합하다.
이밖에 해리시에 사용하는 약품인 수산화나트륨 등의 약품농도를 높여 폴리에틸렌을 분리시키는 방법 등도 제안되고 있지만, 이는 기계적인 처리를 장시간 하여야 분리시킬수 있으며 분리도 균일하지 못하게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산업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올레핀으로 라미네이선된 방습지를 고지로서 재활용시 해리공정에서 우수한 해리성능을 갖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올레핀에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를 그리고 선택적으로 폴리옥사이드 화합물을 용융 혼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라미네이션용 수지로 사용되어온 폴리에틸렌과 비교하여 동등한 수준의 방습성, 강도 등을 유지하면서도 해리공정에서 빠른 시간내에 균일하고 매우 미세하게 종이의 셀룰로오즈 섬유 크기로 해리되는 특징을 갖고 또한 히트실링성도 우수하여 라미네이션 가공에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을 소각시에도 그을음 발생이 적고, 매립시 토양 중의 수분에 의하여 매우 작은 크리고 분해되지 때문에 토양오염 문제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30~95 중량%에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10,000,000g/mole 범위인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가 5~70중량% 용융 혼합되어 있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을 그 특지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g/mole 이하인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 화합물을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에 대하여 0.1~20중량% 첨가시킨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을 포함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은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에 일정비율로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를 용융 혼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은 티다이를 부착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종이 위에 용융압출한 후 압착하여 방습지로 제조할시 강도, 방습성, 히트실링성 및 해리성이 우수한 방습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은 올레핀계 화합물을 단독중합시킨 단독중합체(homopolymer)이거나 공중합시켜 제조한 공중합체(copolymer)이다. 폴리올레핀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풀리프로필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에틸린, 1-부텐, 1-헥센, 1-펜텐, 메틸펜텐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알파올레핀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살, 메틸메타아크릴산, 스티렌,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인산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 이들 공중합체에 무수말레인산 등이 그라프트된 변성 공중합체; 또는 상기 예시된 중합체 사슬의 일부를 술포네이션(sulfonation)시킨 것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틸렌 단독중합체인 고밀도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에틸렌을 주성분으로 하여 비닐 단량에 예를들면 1-부텐, 1-헥센, 1-펜텐, 메틸펜텐, 비닐아세테이트,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메틸메타아크릴산, 에틸아크릴산, 프로필아크릴산, 부틸메타아크릴산, 스트렌,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 및 말레인산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1종 이상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 이들 공줍합체에 무수말레인산 등이 그라프트된 변성 공중합체; 또는 상기 예시된 중합체 사슬의 일부를 솔포네이션(sulfonation)시킨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에 있어서, 바람직하기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이고, 특히 바람직하기로는 저밀도폴리에틸렌 또는 플로프로필렌이다.
그리고 라미네이션용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의 용융지수 1~150 g/10분, 바람직하기로는 1~50 g/10분이다. 만약 용융지수가 1g/10분 미만이면 종이와의 접착성이 떨여져 라미네이션이 어렵고, 150g/10분을 초과하면 점도가 낮아 피립성형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라미네이션을 하는 두께는 6~1,000 ㎛, 바람직하기로는 10~500 ㎛이며, 라미네이션 두께고 6 ㎛미만이면 방습성이 떨어지고, 1,000 ㎛를 초과하면 해리성이 낮아 해리공정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이라할 수 있는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는 수용성이고 또한 폴리올레핀과의 상용성이 우수하여 폴리올레핀과 용융 혼합이 용이하여 균일한 수지조성물을 형성함으로써 방습성, 강도, 히트실링성 및 해리성이 우수한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수 있는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를 구제적으로 예시하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메틸렌/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메틸렌/프로필렌) 옥사이드 등과 같이 산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 탄소원자수 4미만의 알키렌이 결합되어 있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가 적당하다. 산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 결합되어 있는 알킬렌의 탄소원자수가 4 이상이면 해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는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10,000,000 g/mole, 바람직하기로는 30,000~1,000,000 g/mole 범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물성과 가공성에서 유리하다.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의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 g/mole 미만이면 물성이 저하되고, 10,000,000 g/mole을 초과하면 가공점도가 높아 용융혼합이 어려움은 물론 라미네이션 가공 후 해리속도가 늦어져 본 발명에서 기대하는 효과를 기대할수 없다.
본 발여의 라미네이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폴리올레핀과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데,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올레핀계 고분자 화합물과 고분자량의 탄호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를 30~95 중량% : 5~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50~90 중량% : 10~50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다. 만약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의 함량이 5 중량%미만이면 해리성이 매우 낮아지게 되고, 70 중량%를 초과하면 해리성은 높아지나 방습성이 떨어지고 기계적인 물성도 저하되며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재료비가 상승하게 되어 경제성도 점차적으로 없어지게 된다.
또한, 폴리올레핀과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로 이루어진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무게평균분자량 10,000 g/mole 이하의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 화합물을 첨가하여 용융 혼합하면 용융혼합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을 수 있다.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 화합물로는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무두가 사용이 가능하며, 그 사용량은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에 대하여 20 중량%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중량% 이하이다.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 화합물의 첨가량이 2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오리혀 본 발명의 수지소성물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층을 형성하는 종이는 대부분의 종이 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라이너지, 아트지, 백상지, 레이온지 등 모든 종이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로 라미네이션된 방습지는 주로 우유팩, 과즙음료용기, 시낵과자용 포장지, 햄버거 포장지, 이형지, 식품이나 분말세제용 포장지, 종이용 포장지 등 각종 산업용 방습지 등에 수분의 통과를 막기 위한 용도로 널리 사용할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길이/직경의 비가 40인 이축압출기에서 용융지수 7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80 중량%와 건조된 무게평균분자량이 200,000 g/mole 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20 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 시킨 다음, 냉각수조를 통과시킨 후 일반적인 압출용 크기의 칩으로 제조하였다. 티자형 다이를 부착한 라미네이션용 압출기에서 평량이 80g/m2인 크라프티지 위에 상기에서 제조한 칩을 평균 두께가 20㎛가 되도록 용융시키면서 냉각롤의 방습지에 대한 가압력을 5기압으로 하여 라미네이션을 시킴으로써 방습지를 조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5g/10분 저밀도 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85 중량%와 건조된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0 g/mole 인 폴리(메틸렌/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15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7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85중량%, 건조된 무게평균분자량이 500,000 g/mole 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13 중량%, 그리고 무게평균분자량 3,000 g/mole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한국폴리올제) 2중량%를 270℃에서 용융합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5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무수말레인산이 약 2 mole% 그라프트된 변선 폴리에틸렌공중합체(호남석유화학제; 애드폴리(Adpoly) 85 중량%와 무게평균분자량 200,000 g/mole 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15 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 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살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7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100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비교예 2]
고형분이 40% 인 아크릴 에멀젼 100중량부에 방습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고형분이 40%인 파라핀왁스계 에멀젼 60중량부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도공량이 10g/m2이 되도록 도공기의 에어나이프를 조절하여 도공한 후, 130℃에서 약 30초 동안 건조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고형분이 40%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부타디엔의 공중합으로 구성된 에멀젼 100중량부에 고형분이 40%인 파라린계 왁스 60중량부를 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여 도공액을 제조하였다. 도공량이 10g/m2이 되도록 하여 도공한 후, 130℃에 서 약 30분간 건조시켜 방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5g/10분인 저밀도폴리에틸렌에 무수말레인산이 약 2mole% 그라프트된 변성 폴리에틸렌(호남석유화학제; 애드폴리(Adpoly)) 100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7g/10분인 저밀도 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98 중량%와 무게평균분자량이 200,00 g/mole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2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비교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방습지를 제조하되, 다만 용융지수 3g/10분인 자밀도폴리에틸렌(대림산업제; 대림포리(Dalim poly)) 20중량%와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0 g/mole인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유니온 카바이드제; 폴리옥스(Polyox)) 80중량%를 280℃에서 용융압출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한 방습지는 다음과 같은 방벙에 의해 그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에 나타내었다.
투습도 : 방습지의 시혐편을 40℃의 항온과 상대습도 90%의 조건에서 투과되는 수분의 양으로서 측정하였다.
해리도 : 교반속도 분당 3000회의 타피(Tappi) 표준해리기를 이용하여 50℃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pH 10으로 조절하고, 가로와 세로가 각각 2.5cm인 시험편의 농도가 3%가 되게 하여 해리를 행하였다. 그리고 해리도는 육안으로 관찰하여 방습지가 완전히 단섬유로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으로서 측정하였다.
히트실링성 : 히트실링기를 사용하였다. 2cm × 10cm 크기의 방습지를 폭이 0.5cm되도록 자르고 방습지의 수지층을 용융하여 실링할 수 있는 온도에서 약 1기압으로 시편의 하단에 열융착하였다. 그리고 손으로 서서히 당겨 강도와 떨어지는 상태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4, 비교예 1 및 비교예 4~6은 130℃에서 5초동안 실링하였고, 비교예 2와 비교예 3은 90℃에서 5초동안 실링하였다. 실링은 방습면과 방습면간 혹은 방습처리가 되지 않은 면과 방습면과의 2가지를 동시에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 : 용착면 사이에서 분리가 일어나지 않음
: 융착면 사이의 분리가 상당히 어려운 정도임
△ : 융착면 사이에서 쉽게 분리되거나 강도가 약함
상기 표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4는 낮은 투습도에 우수한 히트실링설을 가지며 폴리올레핀이 가지지 못하는 해리성을 보이는 등 라미네이션 소재로서 우수성을 갖는다. 그러나 비교예 1~5는 해리성, 투습도 및 히트실링성을 모두 만족시키지 못하여, 특히 비교예 6은 해리성은 우수하나 조성물의 필름 강도가 매우 낮다.

Claims (6)

  1. 폴리올레핀을 함유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30~95 중량%에 무게평균분자량이 30,000~10,000,000 g/mole 범위인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가 5~70 % 용윱 혼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은 용융수지가 1~150g/10분 범위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는 산소원자와 산소원자 사이에 탄소원자수 4 이하의 알킬렌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메틸렌/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메틸린/프로필렌) 옥사이드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 로 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에 무게평균분자량이 10,000g/mole 이하인 저분자량의 폴리옥사이드 화합물이 고분자량의 탄화수소계 옥사이드 중합체에 대하여 20중량% 이하 첨가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6. 통상의 종이에 제1항 내지 제5항의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이 6 ~1,000㎛ 두께로 라미네이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지.
KR1019960021003A 1996-06-12 1996-06-12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KR016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003A KR0169200B1 (ko) 1996-06-12 1996-06-12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1003A KR0169200B1 (ko) 1996-06-12 1996-06-12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35A KR980002135A (ko) 1998-03-30
KR0169200B1 true KR0169200B1 (ko) 1999-03-20

Family

ID=1946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1003A KR0169200B1 (ko) 1996-06-12 1996-06-12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2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29B1 (ko) * 2000-07-28 2007-05-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종이 코팅용 수성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329B1 (ko) * 2000-07-28 2007-05-03 한화석유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종이 코팅용 수성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135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12551T3 (de) Flüssigkristalline Polyesterharz-Zusammensetzung
DE69634504T2 (de) Verbundmaterial und aus diesem Material hergestellter Papierpackbehälter
JPH10502882A (ja) バリアフィルム構造体
EP0578056B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N1957033A (zh) 用于可剥离和/或永久性密封的聚合物共混物
JP4444827B2 (ja) 多層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その使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U692026B2 (en) Heat sealable multilayer film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layer
US7544742B2 (en) Antistatic polyamide composition and articles therewith
EP0626979B1 (en) Package consumable in melt processing
KR0169200B1 (ko) 방습지용 라미네이션 수지조성물
EP0659815B1 (en) Polypropylene films suitable for packaging
Najarzadeh et al. Sealability and seal characteristics of PE/EVA and PLA/PCL blends
EP0399439B1 (en) Process for producing a laminate
CA2229670A1 (en) Multi-layer structure, container using sam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2374447C (en) Polymeric film structures useful as shrink bags
KR100411191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
KR100500600B1 (ko) 재생성 방습지 및 그 제조방법
KR0174331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방습지용 수지조성물
JPH0848833A (ja) オレフィン重合体から成る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EP0792915B1 (en) Melt-processed blends containing poly (vinyl alcohol)
JPH11293068A (ja) 樹脂組成物
CA2315069A1 (en) Polymeric films
KR200427164Y1 (ko) 재생성 방수 및 방습지
US5744546A (en) Melt-processed blends containing poly(vinyl alcohol)
JPH06298847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共重合体ケン化物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