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062B1 - Op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aper money - Google Patents

Op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aper mone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062B1
KR0169062B1 KR1019960001652A KR19960001652A KR0169062B1 KR 0169062 B1 KR0169062 B1 KR 0169062B1 KR 1019960001652 A KR1019960001652 A KR 1019960001652A KR 19960001652 A KR19960001652 A KR 19960001652A KR 0169062 B1 KR0169062 B1 KR 0169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paper
operating device
transfer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6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0048A (en
Inventor
류이치 오노모토
Original Assignee
다데이시 요시오
오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데이시 요시오, 오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데이시 요시오
Publication of KR96003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00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06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4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and introducing into a pi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과제][assignment]

본 발명은 지폐를 포함하는 지엽류의 소속이 거래 처리 장치(지엽류 처리 장치)측이나 지엽류 운용 장치측을 명확히 살펴서 지엽류의 정확한 관리가 확실하게 되는 지엽류 운용 장치 및 지엽류 처리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heet management system and 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in which paper sheets including bills are clearly examined on a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paper processing device) side or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side to ensure accurate management of paper sheets. It i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해결수단][Resolution]

본 발명은 지엽류 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지엽류의 보충 또는 회수 처리를 실행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이송하는 이송 경로상에 지엽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송로의 이송 방향 상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와, 하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의 소속을 각각 독립하여 관리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the paper sheet operating apparatus which connects to 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erforms replenishment or collection | recovery processing of a paper sheet, it sets the reference position which distinguishes paper sheet management on the conveyance path | route which conveys the said paper sheet, and It is characterized by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which independently manages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and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downstream side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position.

Description

지엽류 운용 장치 및 지엽류 처리 시스템Paper sheet operation system and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제1도는 운용 장치를 ATM에 접속한 내부 구성도,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connecting the operating device to the ATM,

제2도는 운용 장치의 제어 회로 블록도,2 is a control circuit block diagram of an operating device;

제3도는 다른 실시예의 운용 장치를 ATM에 접속한 내부 구성도.3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of another embodiment is connected to an ATM.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31 : ATM 12.32 : 운용 장치11,31: ATM 12.32: operating device

27 : 운용측 보충 경로 28 : 운용측 회수 경로27: Supplementary side of the management side 28: Recovery side of the management side

30a, 30b, 40, 45 : 소속 절환 셔터 36 : 보충 이송로30a, 30b, 40, 45: Member switching shutter 36: Supplemental transport path

42 : 회수 이송로 51 : CPU42: recovery transfer path 51: CPU

A, 34 : 지폐 R1 : 보충 이송 롤러A, 34: banknote R1: supplementary feed roller

R2 : 회수 이송 롤러 S1 내지 S4, S31, S32 :검지 센서R2: recovery feed rollers S1 to S4, S31, S32: detection sensor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 예금 지불기나 자동 지불기와 같은 거래 처리 장치에서 지폐나 장표등의 지엽류를 보충 또는 회수 처리하는지엽류 운용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지엽류의 보충 또는 회수 관리에 우수한 처리 기능을 갖는 지엽류 운용 장치 및 지엽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for replenishing or retrieving paper sheets, such as banknotes and bills, in a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n automatic deposit payment machine or an automatic payment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replenishment or recovery management of paper shee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and 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having excellent processing functions.

[종래기술][Private Technology]

상기 자동 예금 지불기나 자동 지불기와 같은 거리 처리 장치(지엽류 처리 장치)에 자동이동 기능과 지엽류의 자동 보충 또는 회수의 기능을 구비한 지엽류 운용 장치를 접속하고, 지폐 등의 거래 매체를 보충 또는 회수 처리하여 거리 처리 장치의 운용 유지와 계원 조작의 경감을 도모한 처리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A paper handling device equipped with an automatic moving function and a function of automatic replenishment or retrieval of paper sheets is connected to a distance processing device (paper processing device) such as an automatic deposit machine or an automatic payment machine to replenish transaction media such as bills. Or the processing system which collect | recovered and proposed the operation maintenance of a distance processing apparatus, and reduction of a cashier operation is proposed.

이 처리 시스템에서 지엽류 운용 장치가 지폐의 보충이나 회수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동작 중에 지폐의 잼(걸림)등의 이송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performs the refilling or retrieving the banknotes in the processing system, a transfer obstacle such as jams of the banknotes occurs,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현금 수량의 관리 점에서 걸린 지폐를 꺼내어서 복구하여도 상기 지폐가 거래 처리 장치에 장전되어지는지 지엽류 운용 장치에 장전되어지는지가 불명료하고, 본래 거래 처리 장치에 장전되는 지폐를 지엽류 운용 장치에 장전하면, 상기 거래 처리 장치의 보충 또는 회수 매수는 메모리상의 매수와 실제 매수가 다르게 되어 금액 차이가 생기는 문제로 된다.That is, it is unclear whether the banknotes are loaded in the transaction processing apparatus or the paper sheet operating apparatus even when the banknotes are picked up and recovered at the cash point management point. When loaded into the device, the number of replenishment or retrieval of the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is different from the number of purchases in the memory and the actual number of purchases, resulting in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money.

또한, 분실 위험성의 점에서 이송로의 접속부에서 지폐가 걸림을 일으킨 상태로 지엽류 운용 장치를 거래 처리 장치로부터 분리하면 걸린 지폐가 노출 상태로 되어 모두 관리되지 않는 상태에 놓이며, 이 노출된 걸린 지폐를 분실한 위험성이 생기는 문제로 된다.In addition, if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is removed from the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in a state in which the paper money is jamm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conveyance path in view of the risk of loss, the paper money becomes exposed and is not managed all. It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risk of losing the bill.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Problem to Solve Invention]

볼 발명은 상술한 예와 같은 지폐를 포함하는 지엽류의 소속이 거래 처리 장치(지엽류 처리 장치)축이나 지엽류 운용 장치측을 확실히 확인하여 지엽류의 정확한 관리가 확실하게 되는 지엽류 운용 장치 및 지엽류 처리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n the invention, the paper sheet management device in which the paper sheet containing the banknotes as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 is confirmed on the side of the transaction processing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xis or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side to ensure accurate management of the paper sheet. And a paper sheet treatment system.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볼 발명의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지엽류 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지엽류의 보충 또는 회수 처리를 실행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이송하는 이송 경로상에 지엽류 관리를 간막이하는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송로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와, 하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의 소속을 각각 독립하여 관리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를 특징으로 한다.In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erforms replenishment or retrieval of paper sheets, paper sheet management is carried out on a conveyance path for conveying the paper sheets. It is characterized by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that sets a reference position for the partition and independently manages the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upstream side of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downstream side with the reference position as a boundary. It is done.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에 구성에 더해서, 상기 이송로의 기준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송로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이송로 각각에서 구동 제어되는 이송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1, the conveying means which are driven and controlled in each of the conveying path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conveying direction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onveying path as a boundary.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항에 구성에 더해서 상기 이송로의 기준 위치에 이송로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간막이하는 간만이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nly the means for partitioning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transfer path at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transfer path is provided.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제1항에 구성에 더해서 상기 이송로에 지엽류의 이송 이상을 검지하는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의 이송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이송 방향을 역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claim 1, is provided with a feed abnormal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eed abnormality of paper sheets in the feed path, and the feed abnormality detecting means of the feed abnormality detecting means. Based on this, the conveyance direction is drive-contro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의 구성에 더해서 상기 이송로에 지엽류의 이송 이상을 검출하는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의 이송 이상 검지에 의해 상기 기준 위치보다 하류측의 이송을 단속하여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claim 1,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eed abnormality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feed abnormality of a paper sheet in the transfer path, and the feed abnormality detecting means detects the feed abnormality. It is characterized by controlling the drive by controlling the feed on the downstream side from the reference position.

본 발명의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1항에 따른 지엽류 운용 장치와, 지엽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6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comprising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nd a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엽류 운용 장치의 지엽류를 이송하는 이송로상에 설정한 지엽류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 또는 격벽 수단을 경계로하여 이송로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와 하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의 소속을 각각 독립하여 관리하는 것으로, 걸려진 지엽류는 상술한 기준 위치 또는 격벽 수단을 경계로하여 그 소속이 명확하게 되고 지엽류를 소속별로 취급하여 소속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송 수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per sheets and downstream existing in the conveying direction upstream of the conveying path with a reference position or partition means for separating the management of the paper sheets set on the conveying path for conveying the paper sheets of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It is to manage the belongings of the papers existing on the side independently. The jammed papers can be clearly identified by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position or the partition wall means, and the papers can be distinguished by treating the papers by their belongings. As a result, the transfer quantity can be managed accurately.

또한, 이송로의 소속 위치에 따라서 색이라 형상을 변경 하기도 하고, 기호를 표시한 경우에는 계원 복구 조작시 걸림 지엽류의 소속이 명확하게 된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belonging to the conveying path, the color may be changed in shape, and when the symbol is displayed, the belonging of the jammed paper sheets becomes clear during the member restoring operation.

더욱이 상기 이송로의 기준 위치 또는 격벽 수단을 경계로하여 이송로의 이송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이송로 각각에서 구동 제어되는 이송 수단을 설치했으므로, 예를 들면 보충시에 반복 이송되는 지엽류는 이송 수단에 의해 확실히 이송 처리된 지엽류만을 지엽류 처리 장치측으로 이송 공급하기 때문에 장치 사이에서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회수시에 지엽류 처리 장치로부터 반복되는 이송되는 지엽류는 이송 처리되어져온 지엽류를 이송 수단으로 확실하게 밀어 넣기 때문에 장치 사이에서의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방지할 수가 있으며, 장치의 다운(고장)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지엽류 처리 장치로부터 지엽류 운용 장치를 분리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엽류를 분실할 염려가 없고 신뢰성이 높은 지엽류의 계수(계산)관리할 수가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onveying means driven and controlled in each of the conveying path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ar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position or the partition wall means of the conveying path, Since only papers conveyed by the conveying means are conveyed and supplied to th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side, jamming or remaining between the devices can be prevented, and paper sheets that are repeatedly conveyed from th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t the time of collection are conveyed. Since the processed paper sheets are reliably pushed by the convey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jams and residuals between the devices, and to avoid the down of the devices.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from th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counting (calculation) of the paper sheets with high reliability without fear of losing the paper sheets.

또한, 이송 수단의 이송로상으로 이송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송로를 바꾸어서 역으로 이송하면 지엽류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켜서 지엽류의 소속 변경을 그 이송 도중에 정지시킬수 있다. 이 때문에 지엽류의 소속이 항상 명확하게 되고 지엽류 매수를 확정할 시에 계산값없이 계수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ot convey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means, if the conveying path is reversed and conveyed in reverse, the paper shee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hange of belonging of the sheet can be stopped during the conveying. For this reason, the belonging of the paper sheet is always clear, and the coefficien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without calculating the value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paper sheets.

또한, 이송시에 걸림이 발생하여도 가급적으로 단속하는 것에 의해 격벽 수단에 차단된 소속이 명확한 지엽류를 이송 단속하여 보충 또는 회수 이송을 완료시킬 수가 있고, 이송로상에 지엽류의 잔류를 방지할 수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a jam occurs during the transfer, if possible, the paper sheets with clear belongings blocked by the partition wall means to be intermittently removed to complete replenishment or retrieval transfer, thereby preventing paper residues from remaining on the transfer path. You can do it.

더욱이, 지폐나 전표 용지 등의 지엽류를 취급하는 ATM등의 장치이외에 판매물등의 지엽류를 자동 취급하는 형상의 지엽류 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가 있다.Furtherm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having a shape that automatically handles paper sheets such as merchandise, in addition to devices such as ATMs that handle paper sheets such as banknotes and journal paper.

[실시예]EXAMPLE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이하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자동 예금 지불기(ATM ; 11)에 지폐를 보충 또는 회수 가능하게 접속된 지엽류 운용 장치(이하 운용 장치라 한다 ; 12)를 도시하고, 이 운용 장치(1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M(11)에 착탈가능하게 접속하여 지폐(A)를 1매(한장)씩 보충 또는 회수 동작하는 것이며, ATM(11)에는 전면의 입출금 개구(13)와, 배면의 접속부(14) 및 회수 접속부(15)와의 사이를 보충 경로(16), 입출금 경로(17) 및 회수 경로(18)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following drawings. FIG. 1 shows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ing device; 12) connected to an automatic deposit payment machine (ATM) 11 so that bills can be replenished or collected. The operating device 12 is shown in FIG. As shown in the figure, the ATM 11 is detachably connected to replenish or retrieve the bills A one by one, and the ATM 11 has a front entrance and exit opening 13 and a rear connection portion ( 14) and the recovery connection part 15 are connected via the replenishment path 16, the withdrawal path 17, and the recovery path 18. As shown in FIG.

즉, 보충 경로(16)의 내측방향에는 금종(돈의 종류)별로 제1내지 제3 스택커(19a 내지 19c)를 배치하고, 운용 장치(12)로부터 보충된 지폐(A)를 보충 결로(16)를 거쳐서 각 스택커(19a 내지 19c)에 수납 대기시킨다. 여기에 수납 대기된 지폐(A)는 출금 거래시에 계속해서 입출금 개구(13)로 방출 처리하고, 또한 입금 거래시에 입출금 개구(13)로부터 지폐(A)를 취입 처리한다.That is, the first to third stackers 19a to 19c are arranged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replenishment path 16 for each kind of money (kind of money), and the replenishment condensation of the banknote A replenished from the operating device 12 ( The stackers 19a to 19c are stored in storage via 16. The bill A waiting to be stored is discharged to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ning 13 at the time of withdrawal transaction, and the bill A is withdrawn from the deposit and withdrawal opening 13 at the time of withdrawal transaction.

또한, 스택커(19a 내지 19c)로부터 지폐(A)를 회수하는 경우에는 스택커(19a 내지 19c)로부터 계속해서 지폐(A)를 회수경로(18)를 거쳐서 회수 접속부(15)로 이송하고, 이것에 의해 배면측에 접속되는 운용 장치(12)측으로 회수된다.In addition, when collecting banknote A from stacker 19a-19c, banknote A is continuously transferred from stacker 19a-19c to collection | recovery connection part 15 via the collection | recovery path 18, Thereby, it collect | recovers to the operating apparatus 12 side connected to the back side.

더욱이, 이들 각 이송 경로(16 내지 18)에는 일시 보유부(20), 식별부(21) 및 지폐 회수 상자(22)를 접속하여 지폐중 2장을 내보내거나 불량 지폐를 식별하여 일시 보유 및 회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Furthermore, each of these transfer paths 16 to 18 is connected to a temporary holding unit 20, an identification unit 21, and a bill collecting box 22 to export two sheets of bills or to identify and retain bad bills. It is possible.

한편, 운용 장치(12)측에 있어서는 배면에 운용측 보충 접속부(23)와 운용 회수 접속부(24)를 가지며, ATM(11)의 보충 접속부(14)와 회수 접속부915)에 각각 접속 대응하여 이들 접속부(23, 24)와, 내부의 금종별 카트리지(25a, 25b) 및 일시 보유부(26)와의 사이를 운용측 보충 경로(27), 운용측 회수 경로(28)를 거쳐서 접속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peration apparatus 12 side, it has the operation side supplementary connection part 23 and the operation | work recovery number connection part 24 on the back, and connects to the supplemental connection part 14 and the recovery connection part 915 of ATM11, respectively. The connection parts 23 and 24 are connected between the internal gold type cartridges 25a and 25b and the temporary holding part 26 via the operation side replenishment path 27 and the operation side recovery path 28.

또한, 금종별 카트리지(25a, 25b)에 수납된 지폐(A)는 보충시에 운용측 보충 경로(27)를 거쳐서 운용측 접속부(23)로 이송되고, 이 이송중간에 배치된 운용측 식별부(29)에서 금종, 매수등을 식별하여 ATM(11)측으로 보충한다.In addition, the bank notes A stored in the gold type cartridges 25a and 25b are transferred to the operation side connecting portion 23 via the operation side replenishment path 27 at the time of replenishment, and the operation side identification portion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In (29), the cash grades and the number of sheets are identified and supplemented to the ATM 11 side.

이것에 대해서, 회수시는 ATM(11)의 회수 접속부(15)로부터 공급된 지폐를 운용측 회수 경로(28)를 거쳐서 밀어 넣고, 이것에 의해 금종별의 각 카트리지(25a, 25b)에 분배 수납한다. 또한, 보충 또는 회수시에 식별이상 지폐가 발생할때에는 그 지폐를 ATM측의 지폐 회수 상자(22)에서 회수 처리하고, 또한 2매 보내는 등의 경우에는 일시 보유부(20, 26)에서 보유처리한다.On the other hand, at the time of collection | recovery, the banknote supplied from the collection | recovery connection part 15 of ATM11 is pushed in via the operation side collection | recovery path 28, and it distributes and stores in each cartridge 25a, 25b according to a gold type by this. do. When a banknote that is identified abnormally during replenishment or collection occurs, the banknote is collected by the bank note collection box 22 on the ATM side and held by the temporary holding units 20 and 26 in the case of sending two sheets. .

이와 같이, ATM(11)은 운용 장치(12)로부터 지폐를 수입하여 보충함과 동시에 지폐(A)를 운용 장치(12)로 방출하여 회수하고, 이ATM(11)의 지폐 수납량을 항상 적정하게 운용 유지한다.In this way, the ATM 11 imports and replenishes the bills from the operating device 12, releases and collects the bills A to the operating device 12, and collects the bills of the ATM 11 properly at all times. Maintain operation.

그런데, 운용측 보충 접속부(23) 내측 방향의 이송 위치에는 정역 회전을 허용하여 지폐를 1장씩 끼워 유지하여 이송하는 보충 이송 로러(R1)를 배치하고, 더욱이 이 롤러(R1)를 거친 내측방향 이송 위치에는 소속 절환 셔터(30a)를 배치하며, 또한 운용측 보충 접속부(23)의 위치에는 보충 접속부 검지 센서(S1)를, 소속 정환 셔터(30a)의 위치에는 보충 소속 검지 센서(S2)를 배치하여 보충 동작을 검지하고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yance position of the operating side replenishment connection part 23 inside direction, the replenishment conveyance roller R1 which arranges and holds a banknote one by one and permits forward / reverse rotation is arrange | positioned, Furthermore, the inward direction passing through this roller R1 is carried out. The position switching shutter 30a is disposed at the position, and the supplementary connection detecting sensor S1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side supplementary connection 23, and the supplementary belonging detection sensor S2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a. Supplementary operation is detected.

또한, 운용측 회수 접속부(24) 내측방향의 이송 위치에는 정역 회전을 허용하여 지폐를 1장씩 끼워 유지하여 이송하는 회수 이송 롤러(R2)를 배치하고 더욱이 이 롤러(R)를 거쳐서 내측방향 이송 위치에는 소속 절환 셔터(30b)를 배치하고, 또한 운용측 회수 접속부(24)의 위치에는 회수 소속 검지 센서(S3)를, 소속 절환 셔터(30b)의 위치에는 회수 소속 검지 센서(S4)를 배치하여 회수 동작을 검지하고 있다. 또한, 각 이송 경로(27, 28)는 이송 롤러(R3) 및 도시하지 않은 이송 벨트를 구비하여 지폐를 끼워 유지하여 이송하고, 또한 분기 위치에 설치된 각 플랩퍼(flapper; f)에서 지폐를 분배 처리하고 있다.In addition, at the transport position in the inner side of the operation-side recovery connection section 24, a recovery feed roller R2 is arranged to allow forward / reverse rotation to hold and transfer banknotes one by one, and furthermore, through the roller R to move inwardly.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b is arranged at the position, and the recovery belonging detection sensor S3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side recovery connection section 24, and the recovery belonging detection sensor S4 is disposed at the position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b. The recovery operation is detected. Each of the conveying paths 27 and 28 includes a conveying roller R3 and a conveying belt (not shown) to hold and convey the bills, and further distribute the bills from each flapper f provided at the branch position. Processing.

더욱이, 상술한 각 소속 절환 셔터(30a, 30b)는 이 위치를 지폐(A)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에 설정하고, 이 기준 위치를 분기점에서 보충 또는 회수되는 지폐(A)의 소속을 확정하는 것에 있어서 지폐의 보충 또는 회수시에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 셔터를 개방하여 이송 경로(27, 28)를 차단하고, 각 셔터(30a, 30b)의 격벽 작용에 의거하여 지폐(A)를 ATM측인지 운용 장치측인지의 소속별로 취급하여 모든 지폐의 소속을 명확히 구별한다.Moreover, each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a, 30b mentioned above sets this position to the reference position which distinguishes banknote A management, and determines the belonging of the banknote A which is supplemented or collect | recovered from this branch position. In the case where a jam occurs at the time of replenishment or retrieval of banknotes, the shutters are opened to block the conveying paths 27 and 28, and the banknotes A are ATM side based on the partition wall action of the shutters 30a and 30b. It is treated by the affili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side to clearly distinguish the affiliation of all bills.

또한, 셔터(30a, 30b)의 위치를 기점으로 이것에 의해 내측방향의 이송 경로와 외측방향의 이송 경로와의 색을 바꾸어서 이송 경로를 구성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계원 복구 조작 시에는 색이 다르기 때문에 한눈에 이송 경로(27, 28)상의 걸린 지폐의 소속을 판별을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tarting from the positions of the shutters 30a and 30b, the transfer path is configured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transfer path in the inner direction and the transfer path in the outer direc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discriminate the belonging of the jammed bills on the conveyance paths 27 and 28 at a glance because the colors are different at the time of the manor recovery operation.

더욱이, 운용측 보충 접속부(23)와 소속 절환 셔터(30)와의 사이에 보충 이송 롤러(R1)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보충시에 계속해서 이송되는 지폐(A)는 이 롤러(R)의 이송 작용을 받아서 확실하기 이송 처리하고, 이 이송 처리한 지폐만을 ATM측으로 이송 공급하기 때문에 ATM 측에서의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Furthermore, the banknote A which is continuously conveyed at the time of replenishment by providing the replenishment conveying roller R1 between the operating side replenishing connecting portion 23 and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 is a transfer action of the roller R. FIG. The transfer is securely carried out, and only the transferred banknote is transferred to the ATM side,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jams and residuals on the ATM side.

동시에 운용측 회수 접속한(24)와 소속 절환 셔터(30b)와의 사이에 회수 이송 롤러(R20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회수시에 확실하게 취입하기 위해 양 장치(11, 12) 사이에서의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방지할 수가 있고, 그 때문에 지폐 분실의 우려를 회피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의 다운을 미연에 회피할 수가 있다.At the same time, the occurrence of a jam between the devices 11 and 12 in order to reliably blow in at the time of collection by providing the collection feed roller R20 between the operation side collection connection 24 and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b. Residuals can be prevented, thereby avoiding the possibility of banknotes being lost and at the same time avoiding downtime of the device.

제2도는 운용 장치(12)의 제어 회로 블록도를 도시하고, CPU(51)는 ROM(52)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 회로 장치를 제어하며, 그 제어 데이터를 RAM(53)에서 판독 가능하게 기억한다.2 shows a control circuit block diagram of the operating device 12, wherein the CPU 51 controls each circuit device in accordance with a program stored in the ROM 52, and the control data can be read from the RAM 53. FIG. Remember to.

이송 모터(M)는 보충 또는 회수 지령 신호에 의거하여 운용측 보충 경로(27)와, 운용측 회수 경로(28)를 구동하여 지폐(A)를 보충 또는 회수 처리하고, 셔터 솔레이드(54)는 각 소속 절환 셔터(30a, 30b)를 개폐 구동하며, 플렙퍼 솔레노이드(55)는 이송 경로상의 각 분기 위치에 설치된 플랩퍼(f)를 분배 동작한다.The transfer motor M drives the operating side replenishment path 27 and the operating side retrieval path 28 based on the replenishment or retrieval command signal to replenish or retrieve the bill A, and the shutter solede 54 The opening and closing drive of each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a, 30b), the flapper solenoid 55 distributes the flapper (f) provided at each branch position on the transfer path.

그런데, CPU(51)는 보충 접속부 검지 센서(S1), 보충 소속 검지 센서(S2), 회수 접속부 검지 센서(S3) 및, 회수 소속 검지 센서(S4)를 거쳐서 양 장치(11, 12)사이의 접속 부분을 통과하는 지폐를 검지 확인하고, 이때 예를 들면 보충측에 있어서는 물리적으로 착탈되는 장치(11, 12) 상기의 접속 부분을 검지하는 보충 접속부 검지 센서(S1)와 , 운용측 보충 경로(27)상에서 지폐의 소속을 구분하는 소속 절환 셔터(30a)의 격벽 위치를 검지하는 보충 소속 검지 센서(S2)와의 쌍방에서 검지하는 것에 의해 이 검지 부분을 중복하여 감지할 수 있고, 이 접속 부분을 확실히 검지할 수가 있다. 또한 회수측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배치 구성된 센서(S3, S4)가 검지 대응하여 접속 부분을 확실하게 검지한다.By the way, the CPU 51 is connected between the devices 11 and 12 via the replenishment connection detection sensor S1, the replenishment belonging detection sensor S2, the retrieval connection detection sensor S3, and the retrieval connection detection sensor S4. The supplementary connection part detection sensor S1 which detects the banknote which passes through a connection part, and detects the said connection part physically detachable on the replenishment side, for example, and the operation side replenishment path | This detection part can be detected in duplicate by detecting with both the supplementary belonging detection sensors S2 which detects the partition position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a which distinguishes belonging of a banknote on 27), and this connection part can be detected. It can be detected definitely. Moreover, also in the collection | recovery side, the sensor S3, S4 arrange | positioned similarly detects and responds reliably and detects a connection part.

또한, CPU(51)는 지폐 이송중에 걸림이 발생한 경우에 그 걸림 발생 위치에 의해 소속 절환 셔터(30a, 30b)를 개폐 제어하고, 또한 가급적 이송 단속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걸림 발생시에 이송 경로상에 지폐 잔류를 방지하고, 그 소속을 명확히 하기 위한 것으로, 소속 절환 셔터(30a, 30b)의 위치를 미통과 이송 지폐는 보충 또는 회수 동작을 중단시키고, 셔터 위치를 통과한 지폐는 이송 단속하여 이송 목적 위치의 스택커(19a 내지 19c)나 카트리지 (25a, 25b)까지 이송시켜서 이송 완료된다.In addition, when a jam occurs during banknote transfer, the CPU 51 controls opening / closing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s 30a and 30b according to the jam occurrence position and sets the transfer interruption as much as possible. This is to prevent banknotes from remaining on the conveyance path when the jam occurs and to clarify its belonging. The position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s 30a and 30b is not passed, and the conveyed banknotes stops the replenishment or retrieval operation and passes through the shutter position. One bill is interrupted by transfer and transferred to the stackers 19a to 19c or the cartridges 25a and 25b at the transfer destination position to complete the transfer.

또한, 셔터 위치에서 걸림이 발생하여 이송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이송 방향을 절환하여 이송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소속 변경 동작을 그 이송 중간에서 중지할 수가 있어서, 걸림 발생에 구속되지 않고 항상 지폐의 소속이 명확하게 되며, 지폐 매수의 확정시에 수백 내지 수천매의 지폐를 셀 필요없이 계수 관리할 수도 있고, 정사 처리의 수고를 생략할 수가 있다.In addition, when a jam occurs at the shutter position and is difficult to transfer, the transfer direction is switched. This allows the banknote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hange of belonging operation can be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so that belonging to the banknote is always clear without being jammed, and hundreds to thousands of banknotes are determined at the time of confirming the number of banknotes. The counting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without the need for counting the bills, and the trouble of orthodontic processing can be omitted.

이와 같이 구성된 운용 장치(12)는 ATM(11)에 접속하여 보충 또는 회수 처리를 실행하고, 이때 예를 들면 지폐 보충중에 운용 장치(12)측에서 걸림이 발생한 경우는 CPU(51)가 계속해서 중간의 보충 지폐를 일시 보유부(26)로 유도함과 동시에 소속 절환 셔터(30a)를 닫아서 운용측 보충 경로(27)를 차단하고 이 보충 규제 상태에서 셔터(30a)의 위치를 통과한 지폐가 보충 완료할때까지 이송 계속한다. 이것에 의해, 양 장치(11, 12)간의 접속 부분에서 지폐의 잔류를 방지하고, 또한 이때 셔터(30a)의 위치를 기점으로 소속이 정해진 지폐의 매수를 보충 접속부 검지 센서(S1) 및 보충 소속 검지 센서(S2)에서 검지 확인하여 보충 처리 매수와 ATM(11) 및 운용 장치(12)에 수납되어 있는 전체 매수를 정확하게 계수 관리한다.The operating device 12 configured in this manner is connected to the ATM 11 to execute replenishment or withdrawal processing.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a jam occurs on the operating device 12 side during replenishing banknotes, the CPU 51 continues to execute. The banknote which guided the intermediate supplementary banknote to the temporary holding part 26 and blocked the operation side supplementary path 27 by closing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a, and passed the position of the shutter 30a in this supplementary regulation state is supplemented. Continue the transfer until complete. This prevents the banknotes from remaining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vices 11 and 12, and at this time, refills the number of sheets of banknotes determined to belong to the position of the shutter 30a as the connection part detecting sensor S1 and supplemental belonging. The detection sensor S2 detects and detects the number of supplementary processing sheets and the total number of sheets stored in the ATM 11 and the operating device 12 accurately.

또한, 지폐 보충중에 ATM(11)측에서 걸림이 발생한 경우는 일시 보유부(26)측에서 분배되는 플랩퍼(f)의 위치에 도달하지 않는 지폐는 전체로 일시 보유부(26)측에서 분배되어 회수 처리되고, 한편 플렙퍼(f)를 이미 통과하고 있는 지폐는 모두 ATM(11)측으로 이송되도록 셔터(30a)를 개방 유지하여 이송 단속한다. 이것에 의해 셔터(30a)의 위치에 지폐를 잔류시키지 않고 종료할 수가 있고, 이 결과 ATM에서 발생한 걸림이 원인으로 운용 장치 내에서 운용 장치 내에서 연쇄적으로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when a jam occurs on the ATM 11 side during banknote replenishment, the banknotes which do not reach the position of the flapper f distributed on the temporary holding part 26 side are all distributed on the temporary holding part 26 side. And the banknotes which have already passed through the flapper f are held open to keep the shutter 30a open so as to be transferred to the ATM 11 side.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inish without leaving the banknote at the position of the shutter 30a, and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the jam in the ATM prevents the occurrence of the jam in the operating apparatus in the operating apparatus.

또한 지폐 회수중에 ATM 또는 운용 장치(12)에서 걸림이 발생한 경우는 ATM 으로부터 계속해서 이송 중간의 지폐를 일시 보유부(20) 또는 지폐 회수 상자(22)로 도입함과 동시에 이들 보유 또는 회수 위치를 통과한 지폐가 셔터(30b)의 위치를 통과할 때까지 셔터(30b)를 개구해 두고, 최후의 지폐가 통과하면 소속 절환 셔터(30b)를 닫아서 운용측 회수 경로(28)를 차단 하며, 이 회수 규제 상태로 셔터(30b)의 위치를 통과한 지폐가 회수 완료될때까지 이송 계속한다. 또한 셔터(30b)의 접속 부분에 걸림 지폐가 있으면, ATM 측으로 역이송되어 양 장치(11, 12) 사이의 접속 부분에 지폐 잔류를 방지하고, 또한 이때 셔터(30b)의 위치를 기점으로 소속이 정해진 지폐의 소속 매수를 회수 접속부 검지 센서(S3) 및 회수 소속 검지 센서(S4)에서 검지 확인하고, CPU(51)는 회수 처리 매수와 ATM(11)이나 운용 장치(12)의 전체 매수를 정확하게 계수 관리한다.If a jam occurs in the ATM or the operating device 12 during the banknote collection, the banknotes in the middle of the transfer are continuously introduced from the ATM into the temporary holding unit 20 or the banknote collection box 22, and at the same time, these holding or collecting positions are transferred. The shutter 30b is opened until the passed banknote passes the position of the shutter 30b, and when the last banknote passes,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30b is closed to block the operating side recovery path 28. The conveyance continues until collection | finish of banknote which passed the position of the shutter 30b by collection | recovery regulation state is completed. If there is a jammed bill 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hutter 30b, it is transferred back to the ATM side to prevent the remaining of the bill at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vices 11 and 12, and at this time, belonging to the shutter 30b is started. The number of sheets belonging to the determined banknote is detected by the collection connection detection sensor S3 and the collection belonging detection sensor S4, and the CPU 51 accurately identifies the number of collection processing and the total number of the ATM 11 or the operating device 12. Coefficient manage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보충시에 장치간의 접속 부분을 통과하는 지폐는 보충 이송 롤러에 이송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이송되고, 이 이송된 지폐만을 ATM측으로 이송 공급하기 위해 각 장치 사이에서의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회수시에 ATM으로부터 계속해서 이송되는 지폐는 이송 처리되어온 지폐를 회수 이송 롤러에 의해 확실하게 취입하기 때문에, 장치 사이에서의 걸림 발생이나 잔류를 방지할 수 있고, 장치의 다운을 회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ATM측으로부터 운용 장치를 착탈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지폐를 분실할 우려가 없고, 신뢰성이 높은 지폐를 계수 관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ills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devices at the time of replenishment are reliably transferred to the replenishing transfer roller by the transfer roller, and jamming or remaining between the devices is carried out in order to transfer and supply only the transferred bills to the ATM side. In addition, since the banknotes continuously conveyed from the ATM at the time of collection are reliably blown out of the banknotes which have been processed, the occurrence of a jam or remaining between the apparatuses can be prevented. Down can be avoided. Therefore, even when the operation apparatus is detached from the ATM side, there is no risk of losing the banknote, and the banknote can be managed with high reliability.

또한, 보충 또는 회수되는 지폐는 소속 절환 셔터의 위치를 분기점에서 지폐의 소속을 확정하면 소속별로 취급되어서 전체 지폐의 소속을 명확히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송 수량을 정확히 계수 관리할 수가 있다. 또한, 보충 이송 롤러의 이송 경로상으로 이송되지 않는 경우는 이송 경로는 절환하여 역이송하면, 지폐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서 지폐의 소속 변경을 그 이송 중간에서 중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지폐의 소속이 항상 명확하게 되고, 지폐 매수를 확정할 때의 계산함 없이 계수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이송 경로의 소속 위치에 따라서 색이나 형상을 바꾸기도 하고, 기호를 표시한 경우는 계원 복구 조작시의 걸린 지폐 소속이 명확하게 된다.In addition, the banknotes to be replenished or recovered can be handled for each belonging if the position of the belonging switching shutter is determined at the branching point so that the belongings of the whole banknote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so that the number of transfers can be accurately coun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not being conveyed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replenishing conveying roller, when the conveying path is switched and reverse conveyed, the banknote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change of belonging of the banknote can be stopped in the middle of the conveying. For this reason, the affiliation of a banknote always becomes clear, and counting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without calculating when determining the number of banknotes. In addition, the color or shape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belonging to the conveyance path, and when a symbol is displayed, the jammed paper belonging to the cashier's recovery operation becomes clear.

더욱이, 장치간의 접속 부분의 보충 또는 회수시의 이송을 감시하면, 그 이송 처리 상태를 시종 확인할 수 있고, 신뢰성이 높게 운용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송시에 걸림이 발생하여도 가급적 이송 단속하는 것에 의해 소속이 명확한 지폐를 이송 완료시킬 수가 있고, 이송경로상에서의 지폐의 잔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지폐를 취급하는 ATM등의 장치 이외의 판매물등의 지폐를 자동 거래하는 등의 지폐 처리 시스템에 적용할 수가 있다.Furthermore, by monitoring the transfer at the time of replenishment or retrieval of the connection portions between the devices, the transfer processing state can be confirmed at all times, and opera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with high reliability. In addition, even if a jam occurs at the time of transfer, by intercepting the transfer as much as possible, it is possible to complete transfer of the banknotes with clear belonging and to prevent the banknotes from remaining on the transfer path.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bill handling system such as automatically trading bills such as sales items other than devices such as ATMs that handle bills.

제3도는 다른 예를 도시하며 이 예에 의하면, ATM(31)에 운용 장치(32)를 접속하여 보충 처리한 경우, 운용 장치(32)의 금종별 카트리지(33a, 33b)로부터 보내진 지폐(34)는 지폐 식별부(35)에서 식별한 후, 보충 이송로(36)를 거쳐서 ATM(31)의 금종별 스택커(37a, 37b, 37c)에 분배되어 수납된다. 이때 보충된 지폐는 보충 매수 검지 센서(S31)에서 1매씩 계산되어 운용 장치(32)의 소속으로부터 ATM(31)의 소속으로 절환된다. 보충시 식별 불량 지폐는 플랩퍼(38)에 의해 분배되어서 지폐 회수부(39)에서 회수된다.FIG. 3 shows another example, and according to this example, when the operating device 32 is connected to the ATM 31 for supplementary processing, the banknote 34 sent from the gold type cartridges 33a and 33b of the operating device 32 is shown. ) Is identified by the banknote identification unit 35, and distributed to the gold type stackers 37a, 37b, 37c of the ATM 31 via the replenishment transfer path 36 and stored therein. At this time, the replenished banknotes are calculated one by one in the refill number detecting sensor S31 and are switched from belonging to the operating device 32 to belonging to the ATM 31. Upon replenishment, the bad identification banknote is distributed by the flapper 38 and recovered by the banknote collection unit 39.

그리고, 지폐(34)의 이송 출구 위치에 배치한 셔터(40)의 위치를 지폐(34)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에 설정한다. 또한, 지폐 회수시에 있어서는 ATM(31)의 금종별 스택커(37a 내지 37c)로부터 보내진 지폐(34)는 지폐 식별부(41)에서 식별된 후 회수 이송로(42)를 거쳐서 운용 장치(32)의 금종별 카트리지(33a, 33b)에 분배되어 수납되고, 이때 회수된 지폐는 회수 매수검지 센서(S32)에서 1장식 계수되어 ATM(31)의 소속으로부터 운용 장치(32)의 소속으로 절환된다. 또한 회수시 식별불량 지폐는 플랩퍼(43)에 의해 분배되어서 지폐 회수 상자944)에 회수된다.And the position of the shutter 40 arrange | positioned at the transfer exit position of the banknote 34 is set to the reference position which distinguishes management of the banknote 3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t the time of banknote collection, the banknotes 34 sent from the stackers 37a to 37c of the ATM 31 are identified by the banknote identification unit 41 and then the operating device 32 via the collection transfer path 42. The paper money is collected and stored in the gold type cartridges 33a and 33b of the < RTI ID = 0.0 >). ≪ / RTI > At this time, the collected banknote is counted by the collected number detecting sensor S32 and switched from belonging to the ATM 31 to belonging to the operating device 32. . In addition, at the time of collection | recovery, a bad banknote is distribute | distributed by the flapper 43, and it collect | recovers in the banknote collection box 944.

그리고, 운용 장치(32)측에선 지폐(34)의 이송 입구 위치에 배치한 셔터(45)의 위치를 지폐(34)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에 설정한다.And on the operating device 32 side, the position of the shutter 45 arrange | positioned at the transfer entrance position of the banknote 34 is set to the reference position which distinguishes management of the banknote 34. As shown in FIG.

상기 실시예와 같이 운용 장치(32)측의 이송 출입구 위치 부근에 배치된 셔터(40, 45)의 위치를 지폐(34)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에 설정하여도 지폐(34)의 소속을 명확히 구별할 수가 있다.Even if the positions of the shutters 40 and 45 disposed in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entrance / exit position on the operating device 32 side as in the above embodiment are set at the reference position that separates the management of the banknotes 34, the belonging of the banknotes 34 is maintained. It can be clearly distinguished.

본 발명과 상기 실시예의 구성과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지엽류 관리 장치는 상기 실시에의 ATM(11, 31)에 대응하고, 이하 동일하게 지엽류 운용 장치는 운용 장치(12, 30)에 대응하며, 지엽류는 지폐(A, 34)에 대응하고, 격벽 수단은 각 소속 절환 셔터(30a, 30b, 40, 45)에 대응하며, 이송 수단은 보충 이송 롤러(R1)와 회수 이송 롤러(R2)에 대응하고,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은 보충 접속부 검지 센서(S1)와 보충 소속 검지 센서(S2)와 회수 접속부 검지 센서(S3)와 회수 소속 검지 센서(S4)와 CPU(51)에 대응하며, 이송로는 운용측 보충 경로(27)와 운용측 회수 경로(28)와 보충 이송로(36)와 회수 이송로(42)에 대응하므로,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예의 구성만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correspondence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the paper sheet manage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ATMs 11 and 31 in the above embodiment, and the paper sheet operating apparatus is similarly described below with the operating apparatuses 12 and 30. Paper sheets correspond to banknotes A and 34, and partition means correspond to respective belonging switching shutters 30a, 30b, 40 and 45, and the conveying means comprises replenishment conveying roller R1 and recovery conveying roller. Corresponding to (R2), the transfer abnormality detecting means corresponds to the replenishment connection sensor S1, the replenishment belonging detection sensor S2, the retrieval connection part detecting sensor S3, the retrieval belonging detection sensor S4 and the CPU 51. The transfer path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side replenishment path 27, the operation side retrieval path 28, the replenishment transfer path 36, and the recovery transfer path 42,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 embodiment only. Do not.

Claims (6)

지엽류 처리 장치에 접속하여 지엽류의 보충 또는 회수 처리를 실행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이송하는 이송 경로상에 지엽류 관리를 구분하는 기준 위치를 설정하고, 상기 기준 위치를 경계로 하여 이송로의 이송방향 상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와, 하류측에 존재하는 지엽류의 소속을 각각 독립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In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which is connected to a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performs paper sheet replenishment or retrieval processing, a reference position for classifying paper sheet management on a transfer path for transferring the paper sheet is set, and the reference position is set. A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upstream side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paper sheets existing on the downstream side are independently managed as a bounda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의 기준 위치를 경계로하여 이송로의 이송 방향 상류측과 하류측의 이송로 각각에서 구동 제어되는 이송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veying means driven and controlled in each of the conveying paths upstream and downstream of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ing path is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reference position of the conveying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의 기준 위치에 이송로의 상류측과 하류측을 구분하는 격벽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The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rtition wall means for separating an upstream side and a downstream side of the transfer path is provided at a reference position of the transfer pat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에 저엽류의 이송 이상을 검지하는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의 이송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이송 방향을 역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The transfer path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transfer abnormality of the low leafs is provided in the transfer path, and the drive direction is controlled in the reverse direction based on the transfer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transfer abnormality detecting means.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로에 지엽류의 이송 이상을 검출하는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송 이상 검지 수단의 이송 이상 검지에 의거하여 상기 기준 위치보다 하류측의 이송을 단속하여 구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운용 장치.The conveyance abnormality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conveyance abnormality of a paper sheet is provided in the said conveyance path, and is driven by interrupting the conveyance downstream from the said reference position based on the conveyance abnormality detection of the said conveyance abnormality detection means. Paper sheet opera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제1항에 따른 지엽류 운용 장치와, 지엽류 처리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처리 시스템.The paper sheet processing system provided with the paper sheet operating apparatus of Claim 1, and a paper sheet processing apparatus.
KR1019960001652A 1995-01-26 1996-01-26 Op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aper money KR01690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530 1995-01-26
JP3153095 1995-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48A KR960030048A (en) 1996-08-17
KR0169062B1 true KR0169062B1 (en) 1999-03-20

Family

ID=66219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652A KR0169062B1 (en) 1995-01-26 1996-01-26 Op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aper mone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062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76B1 (en) * 2005-01-31 2007-08-20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101939542B1 (en) 2018-08-31 2019-01-16 정성진 Film form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76B1 (en) * 2005-01-31 2007-08-20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Paper sheet handling device
KR101939542B1 (en) 2018-08-31 2019-01-16 정성진 Film form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0048A (en)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8610B1 (en) The bills treatment apparatus
EP1307859B1 (en) Self-service terminal
JPH0793637A (en) Cash processing system
KR101092057B1 (en)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automatic transaction device
JP3248972B2 (en) Banknote deposit / withdrawal device
JP3983992B2 (en) Banknote deposit and withdrawal processing system
JP3365540B2 (en) Banknote depositing / dispensing machine
KR0169062B1 (en) Operation device and processing system of paper money
KR20200037685A (en) Apparatus for bill receiving and dispensing
KR102255889B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H0585948B2 (en)
JP4686940B2 (en) Front / reverse inversion mechanism
JP2005200118A (en) Transporting device
JP2679114B2 (en) Currency handling device with a function for confirming recovery from transport failure
JP3792076B2 (en) Paper sheet processing equipment
JPH08263724A (en) Paper sheets operat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KR20150032545A (en) Financial device
JPH085566B2 (en) Failure recovery method for paper handling equipment
JP2864481B2 (en) Cash management system
KR102528781B1 (en) Apparatus for storing meium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614312B2 (en) Cash deposit and withdrawal device
JPH11232524A (en) Paper money storage cassette
JP2002074456A (en) Coin-receiving and dispensing device
JP3052415B2 (en) Automatic transaction machine
KR20220091218A (en) Apparatus for storing meium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