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138B1 - 분쇄기 - Google Patents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138B1
KR0168138B1 KR1019940032016A KR19940032016A KR0168138B1 KR 0168138 B1 KR0168138 B1 KR 0168138B1 KR 1019940032016 A KR1019940032016 A KR 1019940032016A KR 19940032016 A KR19940032016 A KR 19940032016A KR 0168138 B1 KR0168138 B1 KR 0168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grinding
processing
axial flow
processed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972A (ko
Inventor
쯔요시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하라다 타다시
미쓰이 코잔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라다 타다시, 미쓰이 코잔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하라다 타다시
Priority to KR1019940032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138B1/ko
Publication of KR96001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8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with a basket media milling device arranged in or on the container, involving therein a circulatory flow of the material to be m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6Mills in which a fixed container houses stirring means tumbling the charge
    • B02C17/163Stir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15Cooling or he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공급한 처리물을 미세분말형상으로 분쇄하는 분쇄기로서,이 분쇄기는 처리물이 공급된 처리탱크와, 종형의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승강장치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있는 분쇄탱크와, 이 분쇄탱크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구동부에서 회전가능한 교반축 및 이 교반축에 부착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교반부재와,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분쇄탱크와 연이어 통할 수 있는 통형상의 케이스및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형상의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날개로 형성된 축류펌프부재를 갖추고, 처리탱크의 내부에 처리물을 공급하고,이 처리물을 분쇄탱크내에서 상기 교반부재로 교반하면서 분쇄탱크의 내부와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와의 사이를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어, 상기 축류펌프부재에 의해서 분쇄탱크의 내부에서 축류가 발생한다. 즉, 공급되는 처리물은 분쇄탱크에서 분쇄된후, 축류펌프부재에 의해서 처리탱크내에 배출된다. 이 때문에 운전중에는 처리물은 처리탱크와 분쇄탱크를 순환하고, 이 순환과정에서 분쇄처리가 행해진다. 따라서,처리물의 점도에 관계없이, 항상 균일한 분쇄처리가 가능해지며, 특히 고점도의 처리물을 취급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처리를 하고, 제품의 고품질을 확보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분쇄기
제1도는 전체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제2도는 요부를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경사케이스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평면도.
제6도는 터어빈 날개의 저면도.
제7도는 터어빈날개의 정면도.
제8도는 터어빈날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서포오트 2 : 분쇄탱크
3 : 쟈켓 3a : 도입구
3b : 배출구 4 : 천정판
5 : 누름판 6,13 : 볼트
7 : 교반축 8 : 아암
9 : 매질 10 : 세퍼레이터
11 : 경사날개 11a : 고정부
11b : 날개부 12 : 경사케이스
14 : 터어빈날개 14a : 부착부
14b : 날개부 16 : 안내판
18 : 처리탱크 19 : 축류(軸流)펌프부재
20 : 축류촉진부재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분쇄탱크의 내부에 투입된 처리물을 교반하여 분쇄함으로써 미세분말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쇄기는, 종형 원통형상의 분쇄탱크의 내부에 교반부재를 설치하고,펌프로 처리물을 보내어 넣으면서 교반부재를 회전시켜서 처리물을 교반하여 분쇄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분쇄탱크의 내부에서,경질의 매질과 함께 처리물을 교반하여 분쇄하도록 되어있는 분쇄기는, 분쇄탱크의 내부에 세정하는 경우에는, 분쇄탱크의 분해, 교반부재의 발출 외에, 매질을 떼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세정작업이 대단히 번거롭고 시간이 들 뿐만 아니라, 세정중에는 분쇄작업이 중단하므로, 운전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각 부에 부착하고 있던 처리물을 씻어 흘려보내기 위해서 처리물의 회수율이 저하한다.
세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슬러리형상의 처리물을 넣은 처리탱크의 내부에, 자기흡수식의 분쇄탱크를 삽입하고, 처리탱크 내의 슬러리형상의 처리물이 분쇄탱크를 통해서 순환하도록 한 분쇄기가 있다.
그러나, 슬러리형상의 처리물을 순환시키는 방식의 분쇄탱크를 가진 분쇄기에서는 , 처리물을 점도가 비교적 높은 때에는 충분히 사용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세정이 용이한 순환식의 분쇄처리를 행함과 동시에, 그 분쇄시에 있어서의 처리물의 순환요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러리형상의 처리물의 점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도 충분히 분쇄할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발명에 의한 분쇄기는, 종형 원통형상의 분쇄탱크(2)에,그 중심부에 회전이 가능한 교반축(7)이 수직방향을 향해서 설치되고, 이 교반축(7)에 아암(8)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쇄탱크(2)의 하부에 축류펌프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류펌프부재(19)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지름이 넓어지는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세퍼레이터(10)를 통해서 상기 분쇄탱크(2)에 연이어 통할수 있도록 고정되는 경사케이스(12)와 상기 교반축(7)의 하부에 연결되어서 경사케이스(12)내에 배치되고, 각 앞끝단부가 경사케이스(12)의 안둘레면을 따라서 회전하는 경사날개(11)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쇄탱크(2)의 하부에, 상기 축류펌프부재(19)를 통해서 축류촉진부재(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축류촉진부재(20)는 경사케이스(12)에 세로방향으로 부착된 여러개의 안내판(16)과, 교반축(7)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경사케이스(12)의 아래쪽 개구부에 위치하는 터어빈날개(14)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처리물(C)이 들어간 처리탱크(18)의 내부에 상기 분쇄탱크(2)가 상기 축류펌프부재(19)및 축류촉진부재(20)와 함께 삽입된다.
그리고, 축류펌프2부재(19)의 펌프작용에 의하여, 경사케이스(12) 내부의 처리물(C)에 축류를 발생시키고, 처리물(C)이 처리탱크(18)의 내부에서 분쇄탱크(2)를 통해서 순환한다. 이 순환시에, 상기 축류촉진부(20)의 동작에 의하여, 경사케이스(12)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C)을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적극적으로 방출하고, 축류펌프부재(19)에서 발생한 처리물(C)의 축류가 촉진된다.
또한, 상기 분쇄탱크(2)의 내부에서 처리물(C)은 아암(8)에 의해서 매질(9)과 함께 교반되어 분쇄된다.
상기 처리탱크(18)는, 윗쪽에 개구하는 종형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분쇄탱크(2)는, 종형의 원통형상을 이루고, 윗쪽 개구부에는, 고리형상의 천정판(4)이 그 바깥둘레단부를 누름판(4)으로 눌러진 상태에서 볼트(6)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아래쪽 개구부에는, 스크린등으로 형성된 세퍼레이터(10)가 폐쇄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분쇄탱크(2)의 내부에는 천정판(4)과 세퍼레이터(10)가 구획된 분쇄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쇄탱크(2)에는, 그 외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덮도록하여서 쟈켓(3)이 부착되고, 분쇄탱크(2)와 쟈켓(3)과의 사이에 유통로가 형성되고, 이 쟈켓(3)에 서포오트(1a,1b)가 연결되어 있다.
이 서포오트(1a,1b)는, 물이 통할 수 있는 관형상부재로서, 분쇄탱크(2)와 쟈켓(3)과의 사이의 유통로에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도입하기 위한 서포오트(1a)와 도입된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배출하기위한 서포오트(1b) 로 형성되어있다.
상기 서포오트(1a)는, 그 한쪽의 끝단부가 쟈켓(3)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도입구(3a)에 도통이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되고, 다른 쪽의 끝단부가 외부배관에 접속된다.
또한, 서포오트(1b)는, 그 한쪽의 끝단부가, 쟈켓(3)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배출구(3b)에 도통이 가능한 상태에서 접속되고, 다른 쪽의 끝단부가 외부배관부에 접속된다.
양 서포오트(1a,1b)의 다른 쪽의 끝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치에 부착되고, 승강장치의 구동에 의하여 분쇄탱크(2)는 서포오트(1a,1b)를 통해서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외부에 설치된 구동원에서 회전하는 교반축(7)은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치에 의하여 분쇄탱크(2)와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분쇄탱크(2)의 중심으로 수직 하강하여, 그 하단부가 세퍼레이터(10)를 관통하고 있다.
이 교반축(7)은 분쇄탱크(2)의 윗쪽 개구부에 설치된 천정판(4)와의 사이에 고리형상의 간극(e)을 가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e)을 통해서 분쇄탱크(2)의 내부와 상기 처리탱크(8)의 내부가 연통하고, 간극(e)이 처리물(C)의 유로가 된다.
상기 분쇄탱크(2)의 분쇄실의 내부에 위치하는 교반축(7)의 부분에는, 아암(8)이 부착된다. 이 아암(8)은, 봉형상 또는 날개형상을 이루고, 교반축(7)을 중심으로 지름방향으로 방사형상으로, 또한, 복수단으로 부착되어 있다.
상기 분쇄탱크(2)의 하부에는, 경사케이스(12)와 경사날개(11)로 형성된 축류펌프부재(19)에 설치되어있다. 이 축류펌프부재(19)의 한쪽을 형성하는 경사케이스(12)는, 제3도~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지름을 넓게 하는 절두원추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분쇄탱크(2)의 축선과 일치한 상태에서 분쇄탱크(2)의 바닥부 아래면에 볼트(13)로 고정한다.
상기 축류펌프부재(19)의 다른 쪽을 형성하는 경사날개(11)는, 세퍼레이터(10)의 아래쪽에 돌출하는 교반축(7)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11a)와, 이 고정부(11a)에 방사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는 여러개의 날개부(11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케이스(12)의 내부에, 고정부(11a)및 날개부(11b)가 위치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날개부(11b)의 앞끝단부는, 경사케이스(12)의 내면에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날개부(11b)의 회전시에는, 그 앞끝단부가 경사케이스(12)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둔 상태로 회전한다.
상기 분쇄탱크(2)의 하부에는, 축류펌프부재(19)를 통해서 축류촉진부재(20)를 설치한다. 상기 축류촉진부재(20)는 안내판(16)과 터어빈날개(14)로 형성된다.
상기 안내판(16)은, 제3도~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케이스(12)의 하단부에 여러개가 고르게 부착된다. 상기 안내판(16)은 , 경사날개(11)의 날개부(11b)의 아래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터어빈날개(14)는, 제6도~제8도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날개(11)를 통해서 교반축(7)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부착부(14a)와, 이 부착부(14a)에 바깥방향으로 향하도록 2개가 균등하게 부착된 날개부(14b)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부(14b)가 경사케이스(12)의 아래쪽 개구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교반축(7)의 하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각 날개부(14b)는, 회전시의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앞끝단부를 다른 부위보다도 회전방향 뒷쪽에 위치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질(9)은 세퍼레이터(10)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어 분쇄탱크(2)의 분쇄실내에 여러개 수용되어 있고, 아암(8)이 회전하면, 분쇄실내의 처리실(C)이 이 매질(9)와 함께 교반되어 분쇄되는데, 이것에 의해서, 보다 효율적인 분쇄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의 구성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처리탱크(18)내에, 원료인 슬러리형상의 처리물(C)을 도입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승강장치의 구동에 의해서, 윗쪽으로부터 분쇄탱크 분쇄탱크(2)및 교반축(7)을 상하 이동시켜서 처리탱크(18)의 내부에 삽입하고, 외부의 구동원을 기동하여 상기 교반축(7)을 회전시킨다.
이 때, 분쇄탱크(2)는 그 상부에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처리탱크(18)의 내부에 위치하였을때에, 처리물(C)에서 완전히 침체되는 정도로 처리물(C)을 처리탱크(18)의 내부에 공급해 놓을 필요가 있다.
상기 처리탱크(19)의 내부에서 분쇄탱크(2)의 천정판(4) 윗쪽에 존재하는 처리물(C)은, 천정판(4)과 교반축(7)과의 사이의 고리형상의 간극(e)에서 형성된 유로로부터 분쇄탱크(2)의 분쇄실의 내부에 도입된다.
이 분쇄실에서는, 교반축(7)의 회전으로 회전하는 아암(8)에 의해서, 처리물(C)이 매질(9)과 함께 교반되고, 이때에 아암(8)및 매질(9)과 처리물(C)과의 사이에 생기는 충격력이나 전단력으로 처리물(C)이 분쇄된다.
그리고, 분쇄실에서 분쇄된 처리물(C)은, 분쇄탱크(2)의 하부에 설치된 축류펌프부재(19)의 흡입작용에 의해서, 세퍼레이터(10)를 통과한 후 축류촉진부재(20)를 통하여 경사케이스(12)의 아래쪽 개구부로부터 처리탱크(18)내로 배출된다.
즉, 축류펌프부재(19)의 경사날개(11)는, 교반축(7)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날개부(11a,11b)사이에 존재하는 처리물(C)을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축심부분이 부압되고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경사날개(11)의 바깥둘레를 포함하는 경사케이스(12)는, 아래쪽으로 향해서 지름이 넓어지는 통형상을 이루고, 내면이 경사면으로 되어있으므로, 경사날개(11)에서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방출된 처리물(C)은, 경사케이스(12)의 내면을 따라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해서, 축선방향의 흐름(축류)을 발생하게 하고, 분쇄실내의 처리물(C)을 경사케이스(12)의 내부에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축류펌프부재(19)의 흡입작용에서 생긴 축류는, 안내판(16)과 터어빈날개(14)로 형성된 축류촉진부재(20)의 촉진작용에 의해서 촉진된다.
상기 안내판(16)은, 경사케이스(12)의 하단부에 수직상태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경사케이스(12)의 내부의 경사날개(11)에 의한 처리물(C)의 둘레방향의 흐름을 저지하여 축류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터어빈날개(14)는, 교반축(7)과 함께 회전하므로, 날개부(14b)사이네 존재하는 처리물(C)을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방출하고 경사케이스(12)내의 처리물(C)을 적극적으로 배출하는 토출력이 얻어진다.
따라서, 상기 터어빈날개(14)에서 얻어지는 토출력으로, 안내판(16)및 경사케이스(12)에서 발생하는 축류가 촉진되고, 경사케이스(12)의 내부를 처리물(C)이 아래쪽 개구부로부터 효과적으로 배출된다.
상기의 운전이 소정시간에 행하여지고, 처리물(C)의 전체가, 처리탱크(18)내에서 분쇄탱크(2)를 통과하여 순환하고, 그 과정에서 분쇄실에서 교반·분쇄가 연속해서 행하여져서 분쇄가 진행되고, 이 결과, 소정의 입도(粒度)의 분쇄물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교반축(7)의 회전에 의하여 처리물(C)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간극(e)를 통해서 분쇄탱크(2)의 내부에 이르고, 그 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축류펌프부재(19)및 축류촉진부재(20)에 의해서 처리탱크(18)내에 배출되며, 이 흐름이 반복되는데, 상기 교반축(7)을 상기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처리물( C)의 흐름은 제1도에 나타낸 화살표와 반대로 되는데, 이 경우에는, 촉류촉진부재(20)응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축류펌프부재(19)를, 아래쪽으로 향하여 지름을 넓게하는 절두원추형상을 이룬 경사케이스(12)와, 절두원추형상의 고정부(11a)의 경사면에 부착되어 앞끝단이 경사케이스(12)에 근접하고있는 날개부(11b)로 구성하여 바깥쪽으로 넓어진 축류가 발생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교반축(7)과 동축의 통형상의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내부에 근접하는 앞끝단부를 가지는 날개로부터 축류펌프부재를 구성하고, 교반축(7)의 축선을 따라가는 방향의 축류가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구종원에 의한 교반축(7)의 회전방향은 어느 방향이라도 상관없고, 회전방향에 따라서 처리물(C)이 축류펌프부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흐르거나 혹은 윗쪽 방향으로 흐른다.
또한, 상기 운정중에 있어서는, 분쇄탱크(2)와 쟈켓(3)과의 사이에 형성된 유통로에 서포오트(1a)로부터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공급하고, 또한, 유통로내에 공급된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서포오트(1b)에서 배출하고 있기 때문에, 쟈켓(3)내의 유통로에는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순환한다.
이에 의해서, 분쇄탱크(2)의 내부의 처리물(C)과 처리탱크(18)내의 처리물(C)이, 가열 또는 냉각되고, 처리물(C)이 항상 적정온도로 유지되도록 되어, 분쇄처리의 균일화 및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상기의 분쇄기는, 처리탱크(18)내의 처리물(C)의 순환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것은, 분쇄탱크(2)의 하부에 축류펌프부재(19)를 통해서 축류촉진부재(20)를 설치하였으므로, 축류펌프부재(19)에 의해서 축선방향의 처리물(C)의 흐름(축류)이 발생함과 동시에, 축류촉진부재(20)에서 처리물(C)을 축류를 촉진시키므로, 분쇄탱크(2)의 분쇄실에서 분쇄된 처리물(C)의 단위시간당의 배출량을 많게 할 수가 있다.
즉, 분쇄탱크(2)의 하부에, 경사날개(11)와, 경사케이스(12)로 형성된 축류펌프부재(19)를 설치하였으므로, 축류의 발생을 조장한다.
즉, 경사날개(11)의 회전에 의해서, 날개부(11b)사이에 존재하는 처리물(C)이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방출되면, 경사날개(11)의 축심부분에 흡입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방출된 처리물(C) 이 경사케이스(12)의 내면의 경사에 의해서 축선방향의 아래쪽으로 안정되기 때문에, 처리물(C)의 축류가 발생하기 쉽다.
즉, 분쇄탱크(2)의 하부에, 교반축(7)에 연결되는 날개부재를 간단히 설치한 것만으로는, 축류가 부족하나, 안내판(16)에 의해서, 경사케이스(12)의 내부에서의 처리물(C)의 회전운동을 일단 저지함과 동시에, 그 처리물(C)을 축선 아래쪽으로 안내하므로, 축류가 촉진되게 되어 있다.
첨가하여, 축류촉진부재(20)를 형성하는 터어빈날개(14)의 회전력에 의해서, 날개부(14a,14b)사이에 존재하는 처리물(C)이, 경사케이스(12)의 아래쪽 개구부에서 지름방향의 바깥쪽으로 방출되므로, 경사케이스(12)의 내부 처리물(C)의 단위시간당의 토출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터어빈날개(14)의 날개부(14b)는, 회전시에 처리탱크(18)의 바닥부에 존재하는 처리물(C)을 교반하는 작용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처리탱크(18)의 내부 균질화에 도움이 된다.
상기의 결과, 축류펌프부재(19)및 축류촉진부재(20)와의 상승작용에의해서, 경사케이스(12)의 내부에 커다란 흡입력과 토출력이 없어지므로, 경사케이스(12)의 아래쪽 개구부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C)의 유량이 증가한다.
이에 따라서, 분쇄실을 통과하는 처리물(C)의 순환량이 증가하고, 이 결과로서, 처리탱크(18)의 내부 처리물(C)을 항상 균일한 상태로 할 수 가 있다.
따라서, 처리탱크(18)에 들어가는 슬러리형상의 처리물(C)이 비교적 고점도인 경우에도, 처리탱크(18)내에서의 대량순환이 가능하고, 분쇄처리가 충분히, 또한, 효율적으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분쇄기는, 나중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즉, 분쇄처리가 끝나면, 분쇄탱크(2)를 텅비게 한 후에 약간 운전을하면, 분쇄탱크(2)의 내부에 남아 있던 처리물(C)이 용이하게 낙하하므로, 처리물(C)의 거의 완전한 회수가 가능하다.
또한, 분쇄탱크(2)를 세정하는 경우에는, 처리탱크(18)내에 용제등을 투입하여 분쇄시와 마찬가지로 운전하면, 분쇄탱크(2)내는 깨끗이 세정되게 된다. 따라서, 분쇄탱크(2)를 분해할 필요가 없으므로, 세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의 분쇄기는, 그 구조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즉, 분쇄탱크(2)의 바깥둘레에 쟈켓(3)을 설치하고, 처리물(C)을 가열하는 열매체 또는 냉각하는 냉매체의 유통로를 형성하여, 이 분쇄탱크(2)를 처리탱크(18)내의 처리물(C)에 침체하도록 하였으므로, 쟈켓(3)내를 유통하는 열매체 또는 냉매체는, 분쇄탱크(2)내의 처리물(C)과 처리탱크(18)내의 처리물(C) 과의 쌍방으로 작용한다.
이에 의해서, 분쇄탱크(2)와 처리탱크(18)에 따로 쟈켓(3)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분쇄탱크(2)를 아래로 달아매는 서포오트(1a)를 열매체 또는 냉매체를 유통시키는 배관으로 겸용시켰으므로, 다른 부재로 배관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을 확보한 상태에서의 구조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처리탱크(18)를 여러개 준비하고, 그 각 바닥부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분쇄처리가 끝날 때마다 처리탱크(18)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처리물(C)이 분쇄실 및 세퍼레이터(10)을 통과하는 경우의 저항(압력손실)은 대단히 커지므로, 특히, 고점도의 처리물(C)을 대량으로 처리탱크(18)내에서 순환시키기 위해서는, 커다란 흡입력 또는 토출력을 분쇄탱크(2)의 하부에 작용하는것이 중요하다.
이 실시예에서는 분쇄탱크(2)의 하부에, 경사날개(11)와 경사케이스(12)로 형성한 축류펌프부재(19)와, 안내판(16)과 터어빈날개(14)로 형성한 축류촉진부(20)를 설치하였으므로, 분쇄탱크(2)의 하부에 커다란 흡입력을 작용시키고, 처리물(c)의 점도가 높은 경우에도 처리탱크(18)내의 대량순환을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축류촉진부재(20)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충분한 대량순환이 가능하다.
즉, 분쇄탱크(2)의 하부에 축류펌프부재(19)를 설치하였으므로, 분쇄탱크(2)의 하부에 축류를 발생하기 쉽게 하고 흡입력이 확실히 얻어지도록 되었으므로, 처리탱크(18)내에서 분쇄탱크(2)를 통과하도록 순환하는 처리물(C)의 순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처리탱크(18)내의 처리물(C)이 항상 균일한 상태가 되고,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분쇄탱크(2)의 하부에, 축류펌프부재(19)를 통래서 축류촉진부재(20)를 설치하였으므로, 축류펌프부재(19)에서 얻어진 흡입력을 한층 더 강력히 할 수가 있고, 처리물(C) 의 순환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특히, 고점도의 처리물을 처리하는 경우에도 충분한 순환이 가능하며, 이 결과, 입도분포가 샤아프하고 균일한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축류펌프부재및 축류촉진부재는, 간단한 구조임과 동시에, 분쇄처리시의 세정을 간당히, 또한, 단시간에 할 수 있으므로, 본기계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Claims (7)

  1. 공급한 처리물을 미세분말형상으로 분쇄하는 분쇄기로서, 이 분쇄기는, 처리물이 공급되는 처리탱크와, 종형의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승강장치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위치가능하게 되어 있는 분쇄탱크와, 이 분쇄탱크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원으로 회전이 가능한 교반축 및 교반축에 부착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교반부재와, 원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분쇄탱크와 연이어 통할 수 있는 통형상의 케이스 및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형상의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날개로 형성된 축류펌프부재를 구비하고, 처리탱크의 내부에 상기 분쇄탱크를 위치하여 분쇄탱크의 내부에 처리물을 공급하고, 이 처리물을 분쇄탱크내에서 상기 교반부재로 교반하면서 분쇄탱크의 내부와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와의 사이를 순환시키도록되어 있으며, 상기 축류펌프부재에 의해서, 분쇄탱크의 내부에서 축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펌프부재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스는, 상기 분쇄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쪼록으로 향하여 지름이 넓어지는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분쇄탱크에 연이어 통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되는 분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펌프부재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스는, 상기 분쇄탱크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는 분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탱크는 2개의 관형상의 서포오트를 통해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위치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양 서포오트는 분쇄탱크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쟈켓을통해서 서로 연이어 통하고 있고,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도입되는 분쇄기.
  5. 공급한 처리물을 미세분말형상으로 분쇄하는 분쇄기로서, 이 분쇄기는, 처리물이 공급되는 처리탱크와, 종형의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승강장치로 상하 이동하고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위치가능하게 되어 있는 분쇄탱크와, 이 분쇄탱크의 중심부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구동원으로 회전이 가능한 교반축 및 이 교반축에 부착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아암으로 이루어진 교반부재와, 상기 분쇄탱크의 하부에 설치되고, 아래쪽으로 향하여 지름이 넓어지는 원통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분쇄탱크에 연이어 통할 수 있는 상태에서 고정되는 경사케이스 및 상기 교반축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경사케이스내에 배치되는 경사날개로 형성된 축류펌프부재를 구비하고, 처리탱크의 내부에 상기 분쇄탱크를 위치하여 분쇄탱크의 내부에 처리물을 공급하고, 이 처리물을 분쇄탱크내에서 상기 교반부재로 교반하면서 분쇄탱크의 내부와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와의 사이를 순환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축류펌프부재에 의해서, 분쇄탱크의 내부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흐르는 축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쇄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류펌프부재를 통해서 축류촉진부재를 설치하고, 이 축류촉진부재를, 상기 경사케이스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안내판과, 상기 교반부재의 교반축의 하단부에 부착되는 터어빈날개로 형성한 분쇄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탱크는 2개의 관형상의 서포오트를 통해서 상하 이동하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에 위치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양 서포오트는 분쇄탱크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쟈켓을 통해서 서로 연이어 통하고 있고, 열매체 또는 냉매체가 도입되는 분쇄기.
KR1019940032016A 1994-11-30 1994-11-30 분쇄기 KR016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016A KR0168138B1 (ko) 1994-11-30 1994-11-30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2016A KR0168138B1 (ko) 1994-11-30 1994-11-30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72A KR960016972A (ko) 1996-06-17
KR0168138B1 true KR0168138B1 (ko) 1999-01-15

Family

ID=19399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016A KR0168138B1 (ko) 1994-11-30 1994-11-30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8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49B1 (ko) * 2008-02-13 2009-11-23 김경호 바스켓 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04132B (zh) * 2022-09-06 2023-07-21 洁美来(山东)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生态清洁粉原料破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49B1 (ko) * 2008-02-13 2009-11-23 김경호 바스켓 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972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75498Y2 (ja) 粉砕機の構造
JPH0260380B2 (ko)
US6585180B2 (en) Pipeline beads mill and dispersing system having the pipeline beads mill
JP2006239577A (ja) メディア攪拌型湿式粉砕機
KR20100051927A (ko)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이 가능한 통합형 분쇄분산시스템
TW201313322A (zh) 介質攪拌式粉碎機
JPH04281855A (ja) 連続湿式粉砕装置
US3605836A (en) Grinder with temperature regulation and stirring means
KR0168138B1 (ko) 분쇄기
KR0168131B1 (ko) 분쇄기
KR0168137B1 (ko) 분쇄기
CN216756330U (zh) 一种便于物料降温的煮胶装置
CN206622174U (zh) 纳米级研磨机
KR100862329B1 (ko) 공급 유로가 형성된 나노 파우더 밀
CN107855180A (zh) 纳米级研磨机
CN210385591U (zh) 一种用于水煤浆添加剂的高剪切化药装置
KR100525305B1 (ko) 교반분쇄기
RU2016657C1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и мельниц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KR100862328B1 (ko) 강제 순환 방식의 나노 파우더 밀
JP2022546336A (ja) 流体中で粒子を分散及び粉砕する方法
CN211838225U (zh) 一种涂料研磨用立式砂磨机
KR100773493B1 (ko) 원심분쇄밀
JP3246973B2 (ja) 攪拌ミルを有する粉砕装置
CN213835324U (zh) 一种侧孢芽孢杆菌破碎机
CN220878412U (zh) 一种高速均质乳化生产反应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