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635B1 -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635B1
KR0167635B1 KR1019950043057A KR19950043057A KR0167635B1 KR 0167635 B1 KR0167635 B1 KR 0167635B1 KR 1019950043057 A KR1019950043057 A KR 1019950043057A KR 19950043057 A KR19950043057 A KR 19950043057A KR 0167635 B1 KR0167635 B1 KR 016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focusing
laser beam
intensity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876A (ko
Inventor
유이치 가미오카
겐지 고이시
다이스케 오가타
시게루 후루미야
Original Assignee
모리시따 요오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따 요오이찌, 마쓰시타 덴키 산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모리시따 요오이찌
Publication of KR960019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6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6Circuits, methods or arrangements for laser control or stabili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by monitoring the optical output parame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for focusing onl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4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specially adapted to record on, or to reproduce from, more than one track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40Arrangement of two or more semiconductor las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S5/02 - H01S5/30
    • H01S5/4025Array arrangements, e.g. constituted by discrete laser diodes or laser bar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브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은 포커스 서브 제어의 응답 시간보다 짧다.

Description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의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제어장치에 이용된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를 도시하는 개략도.
제2도는 레이저 장치(100)를 구현하는 광 디스크(120)용 시스템인 재생 시스템 및 피이드 백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3a도는 선행 기술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의 섹터 포맷 및 레이저 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 섹터 포맷 및 레이저 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3c도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의 섹터 포맷 및 레이저 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5도는 레이저 소자(101) 및 광 검출기(105)에 관하여 제4도에 도시된 회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회로도.
제6도는 레이저 소자(101)의 제어 전압을 도시하는 타임도.
제7도는 상기 모니터된 전압에 따라 제3b도에 기술된 레이저 파워 제어로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의 각 레이저 빔 상태 및 각 출력 파워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8도는 제3b도에 도시된 예 1의 변형도.
제9a도는 종래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9b도는 본 발명의 예 2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라 보간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보간된 트랙킹 에러 신호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10도는 제9b도에 도시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2도에 도시된 장치에 더 포함된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예 3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라 레이저 소자의 상태 및 레이저 소자 선택 신호를 도시하는 도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예 3에 따라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3도는 예 3의 방법 및 장치의 변화를 기술하는 타이밍도.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구현하는 예 3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변화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예 4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라 레이저 소자의 레이저 파워 및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예 4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예 4에 대한 장치의 변화를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a ~ 14d : 증폭기 100 : 반도체 레이저
101 ~ 104 : 레이저 소자 105 : 광 검출기
111 ~ 114 : 레이저 빔 120 : 광 디스크
19,140 : 스위칭 회로 200,210 : 포커싱 액츄에이터
300 : 제어 전압 발생기
[본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의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지 한 개의 광 검출기 및 복수의 광 방출 소자를 구비하는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의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에, 비디오/오디오 데이터는 급속히 디지털화되고 있다. 특히, 비디오 신호는 디지털화될 때 많은 양의 데이터를 발생한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 기록/재생 장치는 대용량을 수용할 수 있고 데이터 고속 전송율을 갖는 것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광 디스크를 이용하는 기록/재생 장치에 대하여 큰 데이터 용량 및 고속 데이터 전송율을 실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한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 시퀀스는 복수의 헤드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므로써 디스크상의 복수의 트랙에 신호를 병렬로 기록 및 재생시킨다. 이 방법은 각 헤드의 전송율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복수의 트랙에 의해 실행된 전체 전송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헤드의 갯수를 증가시킴에 따라, 복잡한 제어 및 비용 증가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복수의 헤드 대신에 복수의 발광 소자를 제공하여 복수의 트랙상에 신호를 동시에 기록/재생하는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된다.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는 한 개 패키지내에 복수의 광발광 소자(레이저 다이오드 같은) 및 광 검출기를 갖는다. 상기 발광 소자들을 사용하므로써 각 출력 파워를 분리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를 제공함으로써, 소수의 헤드 갯수에도 불구하고 신호들을 고속 전송율로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에 제공된 광 검출기는 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 강도를 모니터하는데 이용된다. 특히, 발광 소자중 한 개가 기록/재생동안 한 개 트랙상에 광 빔을 방출할 때, 상기 광의 일부분은 상기 발광 소자 근처에 배치되는 광 검출기를 비춘다. 이 광 검출기는 광의 일부를 받아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의 강도와 비례하게 모니터된 전류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모니터된 전류를 모니터된 전압으로 전환하고, 이 모니터된 전압을 레이저 다이오우드의 구동 회로로 피이드 백함으로써, 일정한 레벨이 되도록 상기 발광 소자에 의해 출력된 광의 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많은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하여 단지 한 개의 광 검출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광 검출기는 복수의 발광 소자에 의해 출력된 레이저 파워에 응답하여 한 개의 모니터된 전류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에 있어서, 상기 광 검출기는 한 개 발광 소자의 레이저 파워를 다른 발광 소자의 레이저 파워와 구별할 수 없다. 이것은 복수의 발광 소자중 한 개 이상에 대하여 동시에 파워를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파워를 제어할 때, 파워 제어에 제공되는 발광 소자 이외의 모든 발광 소자는 오프 상태로 되는 것이 틀림없고, 즉, 광을 방출하지 않는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3-102656호는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에 대한 파워 제어를 개시하고 있다. 이 공보에 따르면, 파워 제어에 제공되는 상기 한 개의 광 방출 소자 이외의 모든 발광 소자는 오프 (즉, 광을 방출하지 않음)이고, 그 결과, 레이저용 구동 전류에 대한 레이저 광 강도의 특성을 측정하는 단계는 시분할 방법으로 행해진다. 그러나, 파워 제어에 대한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제공되는 레이저 빔이 방출되지 않는 시간 기간이 존재한다.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용 레이저 빔의 부재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부재시키므로써, 상기 포커싱 및 트랙킹은 차후의 기록/재생상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커다란 에러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보에 공개된 방법의 파워 제어는 상기 장치의 활성 시간 또는 디스크의 로딩동안, 즉, 포커싱 제어 또는 트랙킹 제어를 실행하기 전에 실행된다.
재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상에 기록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자기 광기록 및 위상 변화 기록이다. 기록 매체의 비결정질(amorphous) 상태와 결정(crystallized) 상태 사이의 반사의 차이가 신호로서 재생됨에 따라, 위상 변경 기록은 자기광 기록과 비교하여 직접 오버라이팅(overwriting)할 수 있고, 고레벨 재생 신호를 갖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위상 변경 기록 프로세스에 있어서, 기록 매체가 비결정질 상태인지 결정 상태인지 여부는 단지 기록 매체에 제동된 열에 의존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 기록은 자기광 기록을 행하는 것보다 반도체 레이저에 대한 더욱 정교한 파워 제어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장치를 활성화하는 시간 또는 디스크의 로딩 동안에 파워 제어를 수행하는 방법은 레이저 파워가 시간에 거쳐 변하기 때문에 적합한 파워 레벨에서 기록/재생을 실현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반도체 레이저용 구동 전류와 광 출력 파워 사이의 관계는 주위 온도에 따라 변하고, 상기 장치의 활성이후의 시간 경과에 따라 변한다. 따라서, 위상 변경 가능한 디스크상의 신호 기록/재생의 경우에서와 같이 정확한 파워 조정이 필요할 때, 기록/재생 동안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파워 제어를 실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 실행 단계, 및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은 포커스 서보 제어의 응답 시간 보다 짧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는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매 N 섹터당 1번씩 제어되는데, 상기 N은 자연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가 제어되는 시간 동안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 동안 유지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트랙상에 상기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포커싱은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를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기간 동안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포커싱 서보 제어기의 응답 시간보다 짧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하는 섹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서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는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매 N 섹터당 1번씩 제어되는데, N은 자연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를 제어하는 기간에 거쳐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상기 레이저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에 거쳐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하여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를 홀딩하는 홀드 섹션을 구비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포커싱을 실행하는 포커싱 섹션을 구비한다.
택일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 디스크의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는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다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에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동안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기 위하여 포커싱하는데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제어하는 섹션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반도체 레이저의 광 검출기로부터 모니터된 전류 출력은 전류/전압 변환에 제공된 후, 상기 레이저에 대한 구동 전류 레벨을 설정하기 위해서 소정의 기준 전압에 대하여 비교된다. 또한, 이러한 소정의 값을 유지하고 이 유지된 값에 따라 레이저 구동 전류를 제공하는 레이저 파워 제어 회로는 각 발광 소자에 제공된다.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레이저 파워의 조정은 상기 레이저 파워 제어 프로세스를 시분할하고, 각 섹터 또는 각 소수 섹터에 대하여 상기 시분할된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시분할에 기초한 상기 레이저 파워 제어에 있어서, 파워 제어에 제공되는 상기 한 개의 발광 소자 이외의 모든 광 방출 소자는 각각의 발광 소자의 레이저 파워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 오프가 되는 것이 확실히 필요하다. 그러나, 복수의 발광 소자중 한 개의 출력 광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트랙킹 제어 및 포커싱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장치는 포커싱/트랙킹에 제공된 발광 소자가 오프일때 서보가 쇠퇴한다.
따라서,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포커싱/트랙킹에 이용된 발광 소자가 제어 루프의 응답시간 보다 짧게 되는 레이저 파워 제어를 위하여 오프인 기간을 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것은 복수의 섹터에 걸쳐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행하므로써 실현될 수 있다. 택일적으로, 복수의 발광 소자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포커싱 제어 루프 및 트랙킹 제어 루프에, 상기 파워 제어동안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 발광 소자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방사하는 것에 의해 수신 방해를 예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 광 방출 소자가 오프인 기간에 포커싱 에러 신호 또는 트랙킹 에러 신호를 얻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오프 기간 동안, 상기 오프 기간이 시작되기 직전에 유지되었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의 값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상의 영향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트랙킹/포커싱 제어는 단지 한 개의 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광 빔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는 오히려 레이저 파워 제어(즉, 현재 온)에 제공되는 발광 소자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결과적으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항상 얻는 것이 가능하다. 택일적으로, 상기 포커싱/트랙킹 제어에 끼치는 영향은 레이저 파워 제어에 제공되는 발광 소자로 순차 스위칭하는 대신에, 포커싱/트랙킹 제어용 발광 소자의 오프 기간을 최소화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선택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선행 기술에 있어서, 파워 제어에 제공되는 한 개의 발광 소자 이외의 모든 발광 소자는 오프이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라서, 포커싱/트랙킹 제어에 이용되는 상기 발광 소자는 레이저 파워 제어에 제공된 후에도 소정의 파워 레벨에서 활성인 채로 유지되므로써, 제어 루프상의 왜란을 막는다. 포커싱/트랙킹 제어에 이용되는 것 이외에 발광 소자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할 때, 포커싱/트랙킹 제어에 이용된 발광 소자에 의해 방출된 소정의 파워와 같은 값은 전기적으로 삭제된다. 결과적으로, 제어 루프상에 왜란을 일으킴이 없이 모든 발광 소자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발광 소자 및 한 개의 광 검출기를 갖는 멀티 빔 레이저에 대해 정확한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고, 포커싱 제어 또는 트랙킹 제어상에 레이저 파워 제어의 영향을 줄이는 장점을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
[예 1]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의 파워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이용된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4개의 빔을 방출할 수 있는 상기 멀티 빔 반도체 레이저(100)(이후, 레이저 장치로만)는 그 패키지내에 4개의 레이저 소자(101내지 104) 및 광 검출기(105)를 구비한다. 680n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반도체 레이저는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같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소자 (101 내지 104)는 광 디스크(120)의 랜드(land) 및 그루브(groove)로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을 방출한다. 4개의 레이저 빔이 4개의 레이저 소자를 이용함으로서 광 디스크(120)상에 방사될지라도, 본 발명은 이용된 레이저 소자의 개수를 제한하지 않는다. 예컨대, 2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2개의 레이저 소자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광 디스크(120)는 위상 변경 가능한 디스크이고, 위상 변경 가능한 디스크상에 데이터를 판독, 기록 및 소거하기 위해서, 3개의 다른 강도를 갖는 레이저 빔이 필요시된다. 특히, 판독 데이터에 이용된 판독력(Pr), 기록 데이터에 이용된 피크 파워(Pp), 및 소거 데이터에 이용된 바이어스 파워(Pb)는 필요하고 관계식 Pr〈Pb〈Pp를 만족해야 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가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을 방출할 때, 상기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은 레이저 장치(100)를 채우는 몰드내에서 불규칙한 반사를 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의 일부분은 광 검출기(105)로 들어간다. 상기 광 검출기(105)는 상기 광의 강도에 비례하는 전류의 출력을 제공한다. 다르게, 상기 광 검출기(105)는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의 각 강도에 비례하는 전류(이후, 모니터된 전류로 언급)를 출력한다. 광 검출기(105)같이, 광 다이오우드는 레이저 빔(111 내지 114)에 의해 방출된 파장(약 680nm)영역에서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후,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는 레이저 파워로서 언급될 수 있다.
제2도는 레이저 장치(100)를 구체화하는 광 디스크에 대한 재생 시스템 및 피이드 백 제어 시스템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4개의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는 상기 광 디스크(120)의 랜드 및 및 그루브상에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을 방출한다. 상기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은 데이터 기록/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 랜드 및 그루브의 기록막상에 모인다. 상기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은 광 디스크(120)에서 반사되고, 또한, 하프(half) 미러(12a 내지 12d)에 의해 반사되는 검출기(13a 내지 13d)로 입력한다. 상기 검출기(3a 내지 13d)는 각각의 동시 레이저 빔(111 내지 114)에 따라 재생된 신호를 증폭기(14a 내지 14d)로 출력한다. 이 증폭기(14a 내지 14d)는 상기 재생된 신호를 증폭하여 이 증폭된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검출기(13a)는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증폭기(15a 및 16a)에 출력한다.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4개의 스프릿(split) 광 다이오우드를 이용하는 비점수차(astigmatism)방법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증폭기(15a)는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FE)를 증폭하여 이 증폭된 포커싱 에러 신호(FE)를 포커싱 액츄에이터(200)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네가티브 피이드 백은 포커싱 에러양에 따라서 부가된다. 상기 포커싱 액츄에이터(200)는 상기 광축과 병렬 방향으로 대물렌즈(220)를 이동하여, 광 디스크(120)의 해당 트랙(즉, 랜드 또는 그루브)상에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의 스폿 크기를 줄이는데 피이드백 제어를 수행한다. 이 제어는 포커싱 제어로 언급될 것이다.
상기 증폭도기(16a)는 상기 트랙킹 에러 신호(FE)를 증폭하여 이 증폭된 에러 신호(TE)를 트랙킹 액츄에이터(210)로 출력한다. 결과적으로, 네가티브 피이드 백은 포커싱 에러량에 따라서 부가된다. 상기 트랙킹 액츄에이터(210)는 광 디스크(12)의 반경 방향에 따라 대물렌즈(220)를 이동하여 상기 광 디스크(120)의 해당 트랙(즉, 랜드 또는 그루브)상에 레이저 빔(111 내지 114)의 스폿을 위치시키는 피이드 백 제어를 수행한다. 제3a도는 선행 기술에 따른 레이저 파워 제어의 섹터 포맷 및 레이저 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b도 및 제3c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파워 제어의 섹터 포맷 및 레이저 소자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3a도에 도시된 섹터(1 내지 4)는 트랙(즉, 랜드 또는 그루브)상에 위치된다. 각 섹터는 상부에서의 레이저 파워 제어 영역(이후 제어 영역으로 언급)(LPC1 내지 LPC4)을 구비한다. 제어 영역(LPC1 내지 LPC4)에 있어서,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의 각각의 레이저 파워 레벨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 영역(LPC1 내지 LPC4) 다음에는 데이터 영역(DATA)이 있다. 데이터의 기록/재생은 데이터 영역(DATA)에서 실행된다. 레이저 빔이 제어 영역(LPC1 내지 LPC4)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TLPC)은 1㎲ 정도이다. 레이저 빔이 상기 데이터 영역(DATA)을 통과하는데 필요한 시간(TDATA)은 1ms 정도이다.
제3a도에 도시된 각 섹터에서, 레이저 소자(101)는 제어 영역에 레이저 빔을 방사하고(이후, 레이저 소자의 이러한 상태는 온 상태로 언급될 것이다), 제어 영역(LPC2 내지 LPC4)에는 레이저 빔을 방사하지 않을 것이다(이후, 레이저 소자의 이러한 상태는 오프 상태로 언급), 상기 데이터 영역(DATA)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데이터의 기록 재생을 실행하기 위해서 반드시 온상태이다.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레이저 소자(10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은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다. 따라서,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FE)나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오프상태인 동안 얻어지지 않는다(즉, 레이저 소자(101)가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 그 결과, 왜란은 상기 포커싱 제어 트랙킹 제어 포함된 제어 루프에 일어난다. 그러나, 왜란이 일어나는 시간의 기간이 소정의 기간(이후에 기술)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어 루프는 실제적으로 그것의 영향에서 벗어난다. 상기 왜란이 소정의 기간 보다 긴 기간동안에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어 루프는 상기 왜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즉, 상기 포커싱 에러 및 트랙킹 에러는 기록/재생 동작에 오기능을 일으키기에 실제로 충분하다. 레이저 소자(101)가 오프 상태인 기간(Toff) 및 포커싱 제어 루프의 상승 시간(Tf)은 다음과 같은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Toff 〈 Tf 등식 1
등식 1을 만족해야 하는 이유는 광디스크가 회전하는 동안 포커싱 제어가 일정하게 실행되는 것이다. 다른한편, 상기 트랙킹 제어는 일반적인 기록/재생 동작 이외의 동작, 예컨대, 트랙 점프동안 실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트랙킹 제어 루프의 상승 시간(Tt)이 다음의 관계식 뿐만 아니라 등식 1에 기술된 관계식을 만족해야 한다.
Toff 〈Tt 등식 2
여기서, 제어 루프의 응답시간에 대해서 언급되는 상승시간은 압력 0.1에서 0.9까지 변하는 단위 스텝기능(0에서 1로 변화)에 필요한 시간동안 정의된다, 예 1에 있어서, Tf는 20㎲ 이고, Tt는 20㎲ 이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레이저 파워 제어에 있어서, Toff는 섹터(1 내지 4)중 한 개에 있어서 27㎲ 이고, 따라서 등식 1 및 등식 2를 만족하는데 실패한다. 따라서, 선행 기술에 의한 레이저 파워 제어는 레이저 소자(101)의 오프상태에 의하여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대하여 제어 루프에 제공되는 커다란 왜란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선행 기술에 따르면, 기록/재생 동작이 오기능할 때 기간(단지 수단)이 존재한다.
다른한편, 제3b 및 3c도에 기술된 본 발명의 파워 제어 방법에 따라서, 레이저 소자(101)의 오프 상태 기간은 종래의 오프 상태 기간 보다 짧다. 제3a,b도에 표현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2개의 레이저 소자의 레이저 파워는 각 섹터에서 제어된다. 특히, 제어 영역(LPC1 내지 LPC4)에 있어서,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2)의 레이저 파워는 제외된다. 제어 영역(LPC3 내지 LPC4)에 있어서, 레이저 소자(103 및 104)의 레이저 파워는 제어되고, 결과적으로 Toff는 섹터(1 및 3)의 TLPC(=9㎲)와 같다. Toff는 섹터(2 및 4)의 2TLPC(=18㎲)와 같다. 따라서, 등식 1 및 등식 2는 만족되고, 그 결과, 기록/재생에 영향을 받지 않는 범위의 왜란은 포커싱 제어 루프 및 트랙킹 제어 루프에 제공되지 않는다. 제3c도에 기술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한 개 레이저 소자의 레이저 파워는 각 섹터에서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Toff는 섹터 1에서 0초이고(즉, 레이저 소자(101)는 턴 오프되지 않는다), Toff는 섹터(2 내지4)에서 TLPC(=9㎲)와 같다. 따라서, 등식 1 및 등식 2는 또한 만족된다. 보다 사소한 왜란초라도 제3c도에 기술된 방법의 경우에서 보다 포커싱 제어 루프 및 트랙킹 제어 루프에 제공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파워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회로이다. 상기 레이저 장치(100)는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 및 광 검출기(105)를 구비한다. 전류/전압 변환기(3)는 광 검출기(105)에서 출력되고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의 각 레이저 파워 레벨에 비례하는 모니터된 전류를 전압(이후에 모니터된 전압으로 언급)으로 변환한다. 제2도에 도시된 포커싱 제어 루프, 트랙 제어 루프, 및 광 시스템이 제4도에서 생략될지라도, 이 제어 루프 및 광 시스템은 예 1에서 이용될 수 있다.
초기에 기술된 바와같이,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는 동일한 회로에 제공될 때 다른 레이저 파워 레벨은 가질 수 있다. 이것은 주로 레이저 소자 시간의 변화에 기인한다. 또한, 주어진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에 대해서, 동일한 전류는 동일한 레이저 파워 레벨에 기인하지 않는다. 이것은 레이저 소자의 온도 변화에 기인함으로써 (예컨대, 레이저 빔을 방출할 때 레이저 소자의 가열), 반도체 레이저용 구동 전류와 출력 광 파워 사이의 관계 변화를 일으킨다. 따라서, 적어도 각각의 소정 시간에서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중 한 개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하는데 적합하다.
제4도에 있어서,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회로(a 에서 d로 시작하는 낮은 알파벳 숫자에 의해서 지시된 소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레이저 소자(101)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회로는(a로 시작하는 알파벳 문자를 갖는 참조번호에 의해 지시된 숫자) 간소화하기 위해서 상세히 기술된다. 레이저 소자(102 내지 104)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회로는 레이저 소자(101)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 회로를 행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제4도에 있어서, 파워 공급기는 Vcc 및 Vss에 결합된다.
제5도는 레이저 소자(101) 및 광 검출기(105)에 관하여 제4도에 도시된 회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비교기(7ar, 7ap 및 7ab), 홀드 회로(8ar, 8ap, 8ab), 회로 소오스(9ar 및 9ap), 및 스위칭 회로(10a)는 각 제어 단자를 경유하여 제어 전압(RS, PS, BS, RH, PH, R, P 및 B)을 수신한다. 제4도에 있어서, 제어 단자는 제어 전압 발생기(300) 및 생략된 제어 단자 사이의 배선으로써 화살표로 지시된다. 이후에 기술된 바와같이, 각 소자의 기능은 제어 단자에 제공된 제어 전압이 L(저)레벨일때만 활성된다. 상기 제어 전압 발생기(300)는 모든 비교기, 홀드 회로, 전류 소오스, 및 스위칭 회로에 필요한 제어 전압을 출력한다.
기준 전압원(4a)은 판독 파워를 제어할 때 기준 전압을 발생한다. 상기 비교기(7ar)는 그것의 반전된 입력 단자를 거쳐 전류/전압 변환기(3)로부터 모니턴된 전압 출력을 받고, 그것의 비반전 출력 단자를 거쳐 기준 전압 소오스(4a)로부터의 기준 전압 출력을 받는다. 따라서, 비교기(7ar)는 모니터된 전압과 기준 전압 사이의 차에 비례하는 출력을 발생하여, 상기 출력을 홀드 회로(8ar)에 제공한다. 이 비교기(7ar)는 제어 전압(RS)이 L레벨일 때 압력 전압 사이의 차를 출력한다. 상기 홀드 회로(8ar)는 입력 전압을 홀드하여, 이 전압을 전류원(9ar)으로 출력한다. 이 홀드 회로(8ar)는 제어 전압(RH)이 H레벨에서 L레벨로 쉬프트되는 순간의 입력 전압을 샘플한다. 이 홀드 회로(8ar)는 압력 전압을 홀드하여 제어 전압(RH)이 L레벨일 때 그것을 출력하고, 상기 제어 전압(RH)이 H레벨일 때, 상기 홀드 회로(8ar)는 그 입력 전압이 상기 입력에서 출력으로 통과하게 한다. 상기 전류원(9ar)은 입력으로써 홀드 회로(8ar)에 유지된 전압을 받아서(모니터된 전압과 기준 전압 사이의 차에 따라서), 상기 유지 전압에 따른 구동 전류를 레이저 소자(101)로 출력한다. 상기 전류원(9ar)은 제어 전압(R)이 L레벨일때의 전류를 출력하지만, 제어 전압(R)이 H레벨일때의 전류는 출력하지 않는다.
상기 기술된 배치에 따라서, 상기 판독 파워를 제어하는 동안(이후, 상기 기간은 판독 파워 제어 기간으로 언급), 피이드 백 제어는 실행되어, 기준 전압원(4a)으로부터의 전압에 해당하는 판독 파워는 레이저 소자(101)로부터의 출력이다. 레이저 파워가 충분히 설정된 후, 레이저 파워는 유지되고, 판독 파워 제어 기간은 종료한다.
상기 기준 전압원(5a), 비교기(7ap), 홀드 회로(8ap), 및 전류원(9ap)은 판독 파워 제어와 비슷한 방법으로 피크 파워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비교기(7ap), 홀드 회로(8ap), 및 전류원(9ap)은 제어 전압(PS, PH 및 P)을 받는다. 상기 기준 전압원(6a), 비교기(7ab), 홀드 회로(8ab), 전류원(9ab), 및 스위칭 회로(10a)는 전류원(9ab)이 전류 드레이닝(draining)타입이고, 드레이닝을 제어하는 것 이외에, 상기 기술된 판독 파워 제어와 비슷한 방법으로 바이어스 파워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전원(9ab)은 제어 단자를 가지지 않고, 스위칭 회로(10a)의 제어 전압이 L레벨일 때 스위칭 회로(10a)를 거쳐 레이저 소자(101)를 통하여 전류를 드레인한다. 상기 비교기(7ab), 홀드 회로(8ab), 및 스위칭 회로(10a)는 제어 전압(BS, BH, 및 B)을 받는다.
상기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할 때, 전류원(9ar)으로부터의 전류는 레이저 소자(101)에 제공된다. 상기 피크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할 때, 전류원(9ar)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류원(9ap)으로부터의 전류 총계는 레이저 소자(101)에 제공된다. 바이어스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사할 때, 전류원(9ar)으로부터의 전류 및 전류원(9ap)으로부터 전류-전류원(9ab)으로 흐르는 전류는 레이저 소자(101)에 제공된다.
상기 판독 파워 제어 기간이 끝난후, 피트 파워 제어 기간(피크 파워가 제어되는 동안) 및 바이어스 파워 제어 기간이 뒤따른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용 레이저 파워 제어는 3종류의 레이저 파워가 모든 종료되는 것 같이 종료된다.
제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이저 소자(101)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가 섹터(1)의 제어 영역(LPC1)에서 끝날 때, 레이저 소자(102)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는 동일 섹터(1)안의 제어 영역(LPC2)에서 계속 실행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2)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가 끝날 때, 데이터의 기록/재생은 데이터 영역(DATA)에서 실행된다. 제3c도에 있어서, 레이저 소자(101)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가 섹터(1)의 제어 영역(LPC1)에서 끝날 때, 데이터의 기록/재생은 데이터 영역(DATA)에서 실행된다. 데이터 영역(DATA)의 데이터 기록/재생이 종료될 때, 레이저 소자(102)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는 섹터(2)의 제어 영역(LPC2)에서 실행된다.
제6도는 레이저 소자(101)의 제어 전압을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참조번호(t1 내지 t5)는 타임의 포인트를 지시한다. 이후, t1 내지 t5 사이의 기간은 기간(t1, t2)로 간단히 언급될 것이다. 상기 기간(t1, t2, t3, t4), 및 (t3, t4)는 각각 판독 파워 제어 기간, 피크 파워 제어 기간 및 바이어스 파워 제어 기간이다. 이 기간(t4, t5)은 다른 레이저 소자(예컨대, 제3b도의 경우의 레이저 소자(102))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 기간이다. 타임(55)에서, 기록/소거는 기록/소거될 데이터를 갖는 레이저 파워를 변조하고 피크 또는 바이어스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함으로써 실행된다.
특히, 바이어스 파워는 데이터 0에 해당하고, 상기 피크 파워는 데이터 1에 해당한다.
제6도는 레이저 소자(101)로부터의 레이저 파워 출력에 대한 파형(Power)을 도시한다.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이, 3종류의 레이저 파워, 즉, 상기 판독 파워(데이터 판독에 이용), 바이어스 파워(데이터 소거에 이용), 및 피크 파워(데이터 기록에 이용)는 이러한 순서로 증가한다 (즉, 판독 파워〈 바이어스 파워〈 피크 파워). 기록/소거시, 레이저 빔은 기록될 데이터에 따라서 다른 레이저 파워 레벨에서 방출된다.
상기 제어 전압은 모두 네가티브 로직에 기초한다. 즉, 이와 관련된 각각의 기능은 각 제어 전압이 L레벨에 있을 때 활성화된다(이후 온상태로 언급). 이와 반대로, 상기 H레벨은 오프 상태로 언급될 것이다. 상기 제어 전압(B)이 타임(t1)에서 온상태로 쉬프트하는 것같이,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상기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제어 전압(RS)이 동일한 시간에 온상태로 쉬프트하기 때문에, 상기 비교기(7ar)는 상기 기준 전압원(4a)으로부터의 기준 전압 출력과 상기 레이저 파워를 피이드백 제어로 제공하기 위해서 상기 모니터된 전압과 비교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의 판독 파워는 2㎲의 시간에 걸쳐 기준 전압원(4a)에 의해 설정된 전압에 해당하는 레이저 파워 레벨로 바꾼다. 상기 기간(t1, t2)이 약 3㎲이기 때문에, 상기 판독 파워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는 타임(t2)전에 종료될 것이다.
상기 제어 전압(RS)이 타임(t2)에서 오프 상태로 쉬프트 하는 것같이, 상기 제어 전압(RH)은 온상태로 쉬프트한다. 다르게, 상기 홀드 회로(8ar)는 비교기(7ar)에 의해 제어된 전압을 타임(t2)에서 샘플하여 타임(t5)에서 기간(t2, t4)동안 전압을 홀드한다.
상기 전류원(9ar)은 상기 제어 전압(R)이 온상태일 때 상기 홀드 회로(8ar)에 유지된 전압에 따라 구동 전류를 레이저 소자(101)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 전압(R)은 타임(t5)에서 기간(t1, t4)동안 온상태에 있고, 그 결과,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이러한 기간동안 최소의 판독 파워의 레이저 빔을 방출한다.
또한, 상기 피크 파워 제어는 상기 판독 제어와 비슷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상기 제어 전압(P 및 PS)은 상기 판독 파워 제어가 종료되는 시간(t2)에서 온상태로 쉬프트한다. 상기 제어 전압(PS)이 기간(t2, t3)에서 온상태에 있기 때문에, 피이드백 제어는 레이저 소자(101)의 피크 파워로 실행됨으로써, 상기 피크 파워는 기준 전압원(5a)에 의해 설정된 전압에 해당하는 레이저 파워로 변할 것이다. 상기 기간(t2, t3)동안,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전류원(9ar) 및 (9ap)으로부터의 전류의 합계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 피크 파워 제어가 종료하는 시간(t3)에서, 상기 제어 전압(PH)이 온상태로 쉬프트하기 때문에, 상기 홀드 회로(8ap)는 상기 피이드백 제어에 의해 변환된 바와 같이 비교기(7ap)로부터의 출력을 홀드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가 피크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할 때, 전류원(9ar 및 9ap)으로부터의 전류는 레이저 소자(101)로 흐른다. 결과적으로, 상기 전류원(9ap)은 판독 파워와 피이크 파워 사이의 차에 해당하는 구동 전류를 레이저 소자(101)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르게, 상기 피크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데 필요한 전류는 2개의 전류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전류원의 출력 전류량은 단지 한 개의 전류원에 의해 전류를 제공하는 경우보다 작게 될 수 있다. 또한, 적은 시간은 단지 한 개의 전류원을 제공하는 경우와 비교되는 바와 같이 피크 파워로 끌어올리기 위해 레이저 파워가 필요시 된다.
상기 바이어스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할 때, 상기 전류원(9ab)은 상기 전류원(9ar 및 9ap)으로부터 접지로 흐르는 전류의 일부분을 드레인한다. 따라서, 전류원(9ab)은 피크 파워와 바이어스 파워 사이의 차와 같은 전류를 드레인한다. 스위칭 회로(10a)로의 제어 전압(B) 입력이 온상태에 있는 기간(t3, t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회로(10a)는 전도 상태에 있다. 그 결과, 전류원(9ar 및 9ap)으로부터의 일부 전류 출력을 바이패스하고 그 부분을 정지로 드레인한다. 기간(t3, t4)에서, 상기 제어 전압(BS)은 온상태에 있다. 따라서, 피이드백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레이저 소자(101)의 바이어스 파워는 상기 판독 파워 제어의 경우에서와 같이 기준 전압원(6a)에 의해 설정된 전압에 해당하는 레이저 파워 레벨로 변환된다.
상기 바이어스 파워 제어가 종료하는 시간(t4)에서, 상기 제어 전압(BH)은 상기 홀드 회로(8ab)가 피이드백 제어에 의하여 변환되는 바와 같이 비교기(7ab)로부터의 출력을 홀드하도록 온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기간(t1, t4)에서, 피이드백 제어는 상기 레이저 파워(101)의 판독 파워, 피이크 파워, 및 바이어스 파워가 실행된다. 시간(t4)에서, 각 레이저 파워의 이 변환된 값이 유지된다. 기간(t4, t5)에서, 다른 레이저 소자(예, 제3b도의 경우에 레이저 소자 102)의 레이저 파워는 비슷한 방법으로 제어된다.
시간(t5)에서, 레이저 빔은 온상태로 제어 전압(R)을 위치함으로써 상기 판독 파워에서 방출되고, 레이저 빔은 온상태로 제어 전압(R 및 P)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크 파워에서 방출되고, 레이저 빔은 온상태로 제어 전압(R, P 및 B)을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바이어스 파워에서 방출된다. 상기 광디스크(120)상에 데이터를 기록할 때, 상기 제어 전압(B)은 기록될 데이터의 동기로 턴온하거나 턴오프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기록될 데이터에 따라 피크 파워 및 바이어스 파워의 차분 파워 레벨만큼 변조된다.
제6도는 레이저 소자(101)에 관해서 3종류의 레이저 파워 제어를 도시한다. 제9도는 모니터된 전압에 따른 제3b도에 기술된 레이저 파워 제어로 각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의 상태(즉, 온 상태 및 오프 상태) 및 출력 파워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소자(101)의 Toff는 섹터(1)에서 TLPC이고, 섹터(2)에서 2TLPC이다. 따라서, Toff(=2TLPC)가 상기 언급된 등식 1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또한, Toff가 등식 2를 충족하여도 좋다.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상에 레이저 소자의 오프 상태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각 레이저 소자에 대하여 파워 제어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이저 파워 제어에 필요한 시간이 레이저 소자 및 상기 레이저 소자의 레이저 파워를 제어하는데 이용된 회로의 주파수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보다 낮은 한도를 갖는다.(즉, 최소의 가능한 값). 제공될 레이저 소자가 많을수록, 레이저 파워 제어는 길어진다. 그 결과, 등식 1 및 등식 2를 충족시키기 더욱 어렵다.
본 발명의 예 1에 따른 제어 장치 및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에 따라서, 상기 기술된 방법으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하는 기간은 나뉘어지고, 그 결과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대한 제어 루프의 응답 시간보다 긴 오프 상태가 아닌 것이 확실하다.
제8도는 제3b도에 도시된 예 1의 장치에 대한 변경을 도시한다. 제8도에 있어서, 레이저 파워 제어는 단일 섹터의 레이저 소자(101내지 104)에 대하여 실행된다. 레이저 소자(101)가 증가하여 오프 상태인 시간(Toff)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제어 영역(LPC2 및 LPC3) 사이에 위치된 기간(R1) 및 제어영역(LPC3 및 LPC4) 사이에 위치된 기간(R1)의 온상태에 위치된다. Toff는 등식 1을 충족해야 하고, 또한 Toff는 등식 2을 충족해야 한다. 여기서, 레이저 빔이 제어 영역(LPC2 및 LPC4)을 통과하는 시간 기간(TLPC)은 9㎲이다. Toff(=TLPC)가 9㎲이고, Tf가 20㎲이고, Tt가 20㎲이기 때문에, 등식 1 및 등식 2는 충족된다.
[예 2]
제9a도는 종래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9b도는 본 발명의 예 2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라서 보간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9a도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각각의 피이드백 제어 프로세서에 이용될 수 없는 값(예, 제로 레벨)을 취하는 반면,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오프 상태이다(제9a도에 비사용 영역으로 지시). 따라서, 레이저 소자(101)가 온 상태인 DATA 영역에서,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의 값은 피이드백 제어를 통하여 다시 모이지만, 제어 루프 설정 전에 몇시간을 가질 것이다. 특히,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가 기간(LPC2)이 개시할 때 각각의 값에서와 같이 제로가 아니게 오프셋되는 경우에,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다란 왜란은 DATA 영역에 들어갈 때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용 루프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DATA 영역의 초기 부분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기록/재생 동작에 나쁜 영향을 끼치며 폭넓게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 2에 따르면,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레이저 소자(101)의 오프 상태가 개시하기 전에 즉시 샘플되고, 그 값은 각 제어 루프에 제공되게 하기 위해서 오프 상태 기간을 통하여 유지된다. 특히, 상기 언급된 샘플링은 제9b도에 도시된 홀드 신호(HOLD)가 H레벨에서 L레벨로 쉬프트할 때 전도된다. 그 결과, 상기 샘플링된 값은 포커싱 제어 루프 및 트랙킹 제어 루프에 제공하기 위해서 LPC2 내지 LPC4 동안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9b도에 도시된 보간 포커싱 에러 신호 및 보간 트랙킹 에러 신호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신호들은 DATA 영역이 개시할 때 커다랗게 변하지 않는다.
제10도는 제9b도에 기술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제2도에 도시된 배치에 포함된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레이저 소자(101)로부터 레이저 빔을 수신할 때, 광검출기(13a)는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를 증폭기(15a 및 16a)로 출력하여 증폭된다. 상기 증폭된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는 홀드 회로(17 및 18)에 입력된다. 상기 홀드 회로(17 및 18)는 상기 보간된 포커싱 에러 신호(FE) 및 트랙킹 에러 신호(TE)(홀드 회로 17 및 18에 유지)를 제2도에 도시된 포커싱 액츄에이터(200) 및 트랙킹 액츄에이터(210)로 출력된다. 상기 홀드 회로(17 및 18)가 각 입력 신호를 유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홀드 제어 전압(HOLD)은 제4도에 도시된 제어 전압 발생기(300)에 의해 발생한다.
[예 3]
제11도는 본 발명의 예 3에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라서 레이저 소자 및 레이저 소자 선택 신호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시도이다.
예 1 및 예 2에 있어서,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는 상기 레이저 소자(101)로부터 방출된 레이저 빔을 수신하는 광검출기(13a)로부터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 출력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예 3에서,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는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로부터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을 수신하는 광검출기(13a 내지 13d)로부터의 각 포커싱 에러 신호 및 각 트랙킹 에러 신호 출력을 선택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특히, 레이저 소자(101)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제11도의 제어 영역(LPC1) 및 데이터 영역(DATA)에 이용되고, 레이저 소자(102 내지 104)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제11도의 제어 영역(LPC2 내지 LPC4)에 각각 이용되어,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실행한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예 3에 따른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을 수신하는 광검출기(13a 내지 13d)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스위칭 회로(19)에 출력한다. 상기 증폭기(15a)와 비슷하게, 증폭기(15b 내지 15d)는 광검출기(13b 내지 13d)로부터의 포커싱 에러 신호(FE) 출력을 증폭한다. 증폭기(16a)와 비슷하게, 증폭기(16b 내지 16d)는 상기 광검출기(13b 내지 13d)로부터의 트랙킹 에어 신호(TE) 출력을 증폭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19)는 레이저 소자(101 내지 104)에 대한 선택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선택된 트랙킹 에러 신호같이, L레벨인 선택 신호에 해당하는 레이저 소자로부터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레이저 소자(101)에 대한 선택 신호가 L레벨일 때, 광검출기(13a)로부터의 포커싱 신호 및 트랙킹 신호 출력은 스위칭 회로(19)에 의해 출력된다. 상기 스위칭 회로로부터의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각각 포커싱 액츄에이터(200) 및 트랙킹 액츄에이터(210)에 입력되어(제2도에 도시),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다.
제11도에 도시된 타이밍에서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포커스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항상 이용할 수 있으며(다르게, Toff=0), 그 결과, 왜란은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실제로 제공될 수 없다. 제13도는 제3도의 방법 및 장치의 변경을 기술하는 타이밍도이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에서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제13도의 제어 영역(LPC1 및 LPC2) 및 영역(DATA)에 이용되고, 레이저 소자(103)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는 제13도의 제어 영역(LPC3 내지 LPC4)에 이용되어,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를 실행한다. 결과적으로, 적합한 포커싱 에러 신호는 트랙킹 신호는 제어 영역(LPC2 내지 LPC4)에서 얻어질 수 없다.
상기 포커싱 제어는 제어 영역(LPC2 및 LPC4)이 등식 1을 충족하는한 실제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Toff는 등식 2를 충족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 3에 있어서, 레이저 빔이 제어 영역(LPC2 내지 LPC4)를 통과하는 시간(TLPC)은 9㎲이다. Toff(=TLPC)가 9㎲이기 때문에, Tf는 20㎲이고, Tt는 20㎲이며, 등식 1 및 등식 2는 충족된다. 따라서, 포커싱 제어 시스템 및 트랙킹 제어 시스템은 실제로 왜란이 없을 것이다.
제14도는 제13도에 도시된 타임도를 구현하는 예 3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변경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위칭 회로(140)는 상기 광검출기(13a 및 13c)로부터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받아서, 상기 선택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 같이, 상기 광 검출기(13a 및 13c) 중 한 개로부터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출력한다. 이 스위칭 회로(140)는 상기 광검출기(13a 및 13c)중 한 개로부터의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 출력을 출력한다. 상기 스위칭 회로(140)는 상기 레이저 소자(101)에 대한 선택 신호가 L레벨일 때 상기 광검출기(13a)로부터의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레이저 소자(103)에 대한 선택 신호가 L레벨일때 상기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에러 신호를 광검출기(13c)로부터 출력한다.
[예 4]
제15도는 본 발명 예 4의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른 레이저 소자의 레이저 파워 및 상태를 도시하는 타이밍도이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는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한편, 레이저 파워 제어는 레이저 소자(103 내지 104)에 대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포커싱 에러 신호 및 트랙킹 신호는 항상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 레이저 소자의 오픈 상태에 기인한 왜란은 포커싱 제어 루프 또는 트랙킹 제어 루프에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레이저 소자(101)가 제어 영역(LPC1 내지 LPC4)의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하기 때문에, LPC2 내지 LPC4의 상기 모니터된 전압은 레이저 소자(101)의 판독 파워에 해당하는 전압에 의하여 위쪽으로 쉬프트된다. 이후, 상기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빔 방출에 기인한 상기 전압 쉬프트는 간단이 오프셋 전압으로 언급될 것이다. 다른 말로, 제어 영역(LPC2)의 모니터된 전압은 레이저 소자(102)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모니터된 전압 및 상기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소자(101)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모니터된 전압(즉, 오프셋 전압)의 합계이다. 상기 모니터된 전압은 판독 파워에서 레이저 소자(101)의 레이저 빔 방출에 의해 발생한 동일 오프셋 전압에 의하여 제어 영역(LPC3 및 LPC4)에 바이어스 된다.
이러한 오프셋 전압을 삭제함으로써 제어 영역(LPC2 내지 LPC4)뿐만 아니라 LPC1의 정확한 레이저 파워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레이저 소자(102 내지 104)에 대한 기준 전압원의 전압은 제15도의 신호(OFFSET)가 L레벨에 있는 기간의 오프셋 전압과 같은 전압에 의해 증가된다. 상기 오프셋 전압이 이러한 방법으로 삭제되지 않는 경우, 레이저 소자(102 내지 104)의 레이저 파워 레벨은 설정된 값보다 작은 레이저 파워 레벨로 변환하기 위해서 제어된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예 4에 대한 레이저 파워 제어 방법 및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6도는 생략된 레이저 소자(101,103 및 104)에 대한 회로로써 레이저 소자(102)용 회로만 도시한다. 제16도에 도시된 동일한 회로는 레이저 소자(103 및 104)에 제공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용 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와 비슷하다.
제16도에 도시된 회로는 오프셋 전압(즉, 기준 전압원 160에서의 전압 출력)을 기준 전압원(46,56 및 66)으로부터 출력된 전압(판독 파워, 피크 파워, 및 바이어스 파워)을 부가하는 가산기(205,209 및 206)가 제공되는 제5도의 회로와 다르다.
제15도의 OFFSET이 L레벨일 때, 상기 가산기(205,209 및 206)는 상기 기준 전압(160)에서의 전압 출력을 기준 전압원(46,56 및 66)으로부터의 전압 출력에 가산한다. 상기 기준 전압원(160)으로부터의 전압 출력은 제5도의 전압원(4a)으로부터의 전압 출력과 같다. 다른 방법으로, 제16도에 도시된 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가 행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능하다.
제16도의 제어 전압 발생기(310)는 모든 비교기, 홀드 회로, 전류원, 및 신호(OFFSET)를 포함하는 스위칭 회로에 필요한 제어 전압을 출력한다.
제17도에 본 발명의 예 4의 장치의 변경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17도는 생략된 레이저 소자(101,103 및 104)용 회로로써 레이저 소자(102)용 회로만을 도시한다. 제17도에 도시된 상기 동일한 회로는 각각의 레이저 소자(103 및 104)에 제공된다. 상기 레이저 소자(101)용 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와 비슷하다.
제17도에 도시된 회로는 오프셋 전압(즉, 기준 전압원 170으로부터의 전압 출력)을 전류/전압 변환기(3)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으로부터 감산하는 감산기(21)가 제공되는 것이 제5도에 도시된 회로와 다르다.
제15도의 OFFSET가 L레벨일 때, 상기 감산기(21)는 상기 기준 전압(170)으로부터의 상기 전압 출력을 전류/전압 변환기(3)로부터의 전압 출력에서 감산한다. 상기 기준 전압원(170)으로부터의 전압 출력은 제5도의 전압원(4a)으로부터의 전압과 같다. 다른 방법으로, 제17도에 도시된 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회로가 행하는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작용한다.
제17도의 제어 전압 발생기(320)는 모든 비교기, 홀드 회로, 전류원, 및 신호(OFFSET)를 갖는 스위칭 회로에 필요한 제어 전압을 출력한다.
예 4에 따라서,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용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임의의 레이저 소자는 반드시 온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 포커싱 제어 및 트랙킹 제어에 이용된 레이저 소자의 오프 상태에 기인한 왜란은 포커싱 제어 루프 또는 트랙킹 제어 루프에 적용되지 않는다.
기록/재생이 상기 기술된 예 1 내지 4의 레이저 소자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를 변경함으로써 실행될지라도,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일정 레벨에서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소자의 상기 소자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을 변조하는 광 셔터 소자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다른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에 어긋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 범위가 본원에 착수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보다 폭넓게 유추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한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은 포커스 서보 제어의 응답 시간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서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는 소정 범위이내가 되도록 N이 정수인 매 N 섹터당 한번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를 제어하는 기간에 걸쳐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4.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하여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하여 방출된 레이저 빔에 해당하는 포커싱 에어 신호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5.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은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6.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를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동안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7.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포커스 서보 제어의 응답 시간보다 짧게 되는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을 설정하는 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은 복수의 섹터로 분할되고, 상기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는 소정 범위 이내가 되도록 N이 정수인 매 N 섹터당 한번씩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9. 7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는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가 제어되는 기간에 걸쳐 레이저 빔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10.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가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빔을 방출하지 않는 기간에 거쳐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에 행당하는 포커싱 에러 신호를 홀딩하는 홀드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11.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각각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포커싱을 실행하는 포커싱 섹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12.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광디스크의 트랙상에 각각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의 강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상에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에 의해 방출된 복수의 레이저 빔중 한 개를 포커싱하는 포커싱 서보 제어기와,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에 따른 신호와 기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각각의 레이저 빔의 강도가 소정 범위내에 있도록 상기 강도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상기 한 개의 레이저 다이오우드 이외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에 의해 방출된 레이저 빔의 강도가 제어되는 동안 상기 레이저 빔을 방출하도록 상기 포커싱에 이용된 복수의 레이저 다이오우드중 한 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장치.
KR1019950043057A 1994-11-17 1995-11-17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KR01676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83410 1994-11-17
JP6283410A JPH08147745A (ja) 1994-11-17 1994-11-17 マルチビームレーザパワー制御方法及びマルチビーム光学的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876A KR960019876A (ko) 1996-06-17
KR0167635B1 true KR0167635B1 (ko) 1999-02-01

Family

ID=1766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057A KR0167635B1 (ko) 1994-11-17 1995-11-17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71209A (ko)
EP (1) EP0713214B1 (ko)
JP (1) JPH08147745A (ko)
KR (1) KR0167635B1 (ko)
DE (1) DE6952126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5425B1 (ko) * 1995-11-21 1999-07-01 구자홍 광 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및 방법
US5894467A (en) * 1997-02-19 1999-04-13 Hewlett-Packard Company Multiple VSEL assembly for read/write and tracking applications in optical disks
EP1152342B1 (en) * 1999-01-12 2009-01-07 Fujitsu Limited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recording medium
DE19942551C2 (de) * 1999-09-07 2003-05-08 Heidelberger Druckmasch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Ansteuerung von Laserdioden
JP3859416B2 (ja) * 2000-02-29 2006-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対物レンズ、これを用いた光ヘッド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3591468B2 (ja) * 2001-02-26 2004-11-17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2003077146A (ja) * 2001-08-31 2003-03-14 Sony Corp ディスク記録装置とディスク記録方法
JP3632641B2 (ja) * 2001-09-07 2005-03-23 ティアック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AUPS204302A0 (en) * 2002-04-30 2002-06-06 Cmc Power Systems Limited A connection assembly
DE10306894A1 (de) * 2003-02-18 2004-08-26 Deutsche Thomson-Brandt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m Kompensieren von Abtaststörungen optischer Aufzeichnungsträger
TW200739566A (en) * 2006-03-30 2007-10-16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asers power for a plurality of laser beams
WO2007116338A2 (en) * 2006-04-07 2007-10-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canning laser lighting device
JP2009176379A (ja) * 2008-01-28 2009-08-0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および発光素子の駆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252A (ja) * 1982-07-21 1984-01-31 Ricoh Co Ltd 半導体レ−ザ−アレイ出力制御方法
JP2542577B2 (ja) * 1986-02-26 1996-10-09 株式会社東芝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7111782B2 (ja) * 1986-08-13 1995-11-29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イスクの記録再生装置
JPS63198387A (ja) * 1987-02-13 1988-08-17 Hitachi Ltd 半導体レ−ザアレイ装置
JPH03102656A (ja) * 1989-09-14 1991-04-30 Asaka Co Ltd マルチビーム光ディスク装置
JP2923331B2 (ja) * 1990-06-12 1999-07-26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光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装置
JPH04153926A (ja) * 1990-10-15 1992-05-27 Nec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3066118B2 (ja) * 1991-07-19 2000-07-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検出装置
US5295125A (en) * 1992-02-03 1994-03-15 Hitachi, Ltd. Optical head device for recording/reproduction for recording medium using plural light spo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47745A (ja) 1996-06-07
DE69521269D1 (de) 2001-07-19
EP0713214B1 (en) 2001-06-13
EP0713214A3 (en) 1996-09-18
EP0713214A2 (en) 1996-05-22
DE69521269T2 (de) 2002-01-10
KR960019876A (ko) 1996-06-17
US5671209A (en) 1997-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56827B1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ata into/from an optical disc
US5216660A (en) Method of optimally controlling the power of a recording laser beam
KR100337945B1 (ko) 정보기록방법, 정보기록매체 및 정보기록장치
US6683836B2 (en) Laser control device
KR0167635B1 (ko) 복수의 레이저 빔 강도 제어 방법 및 장치
US5029155A (en) Optical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in which recording power is set prior to recording
EP0411120B1 (en) Laser reproduction apparatus
KR20020024550A (ko) 광 기록 장치, 및 광 기록 장치에서의 레이저 파워를제어하는 방법
US5442609A (en) Tracking error signal correcting system which adjusts gain such that rending tracking error signals and recording trucking error signals and recording tracking error signals are equal
US6787748B2 (en) High speed sampling circuit
JPH0963093A (ja) レーザ光出力制御回路
US5383175A (en) Laser power control with defocusing offset during data recording
US7109462B2 (en) Light beam output control apparatus, optical pickup apparatus, light beam emission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ed medium in which light beam emission control program is recorded
JPH07111783B2 (ja) 半導体レーザ制御回路
JPH09115167A (ja) レーザ光出力制御回路
JPH09326522A (ja) レーザ光出力制御回路
JP2631646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の駆動制御方法
JP3791101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方法
JP2006092664A (ja) 光情報記録装置
JPH07262560A (ja) 記録再生装置
JPH0191343A (ja) マルチビ−ム光磁気ピックアップの半導体レ−ザ出力制御方法
KR100922431B1 (ko) 회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광 디스크 드라이브
JP2733969B2 (ja) レーザパワー制御装置
JP2003085805A (ja) レーザ光出力制御回路
JPH03245327A (ja) 半導体レーザの発光パワー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