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497B1 -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497B1
KR0167497B1 KR1019950062446A KR19950062446A KR0167497B1 KR 0167497 B1 KR0167497 B1 KR 0167497B1 KR 1019950062446 A KR1019950062446 A KR 1019950062446A KR 19950062446 A KR19950062446 A KR 19950062446A KR 0167497 B1 KR0167497 B1 KR 0167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r
car phone
relay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5944A (ko
Inventor
김태구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497B1/ko
Publication of KR970055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5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카폰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폰 장치는 이동중인 차량에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차량의 사용에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는 장치의 하나로서, 종래의 차량용 카폰 장치에서는 전화번호기억 기능 등과 같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카폰 자체에 내장된 밧데리 소모율이 매우 높아서 카폰의 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에 구비되는 카폰 장치에 있어서, 카폰 밧데리의 전원을 카폰 회로에 공급하는 회로 부분에 차량의 밧데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부분을 추가한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를 제공하므로써, 카폰의 부대기능 사용시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차량 밧데리 공급 회로가 작동하여 카폰에 내장된 밧데리 전원 대신에 차량의 밧데리가 공급되도록 하여 카폰 밧데리가 절약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카폰의 블럭도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의 블럭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후크스위치 2 : 크리스탈 발진기
3 : 다이얼 IC 4 : 키패드
41 : 버튼 5 : 카폰 밧데리
6 : 다이오드 7 : 저항
8 : 릴레이 1 9 : 전압분배기
10 : 릴레이 2 11 : 차량 밧데리
본 발명은 차량용 카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탑재된 카폰에서 전화번호기억 기능 등과 같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차량의 밧데리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카폰 자체에 내방된 밧데리를 절약하게 하기 위한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폰 장치는 이동중인 차량에서 전화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로서, 차량의 사용에 있어서 편의를 제공하는 장치의 하나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카폰 장치에서는 전화번호기억 기능 등과 같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 카폰 자체에 내장된 밧데리 소모율이 매우 높아서 카폰의 효율을 떨어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에 구비되는 카폰 장치에 있어서, 카폰의 내장 밧데리 전원을 카폰 회로에 공급하는 회로 부분에 차량의 밧데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회로부분을 추가하여 카폰에서 카폰의 부대기능 사용시에는 자동적으로 상기 차량 밧데리 공급 회로가 작동하여 카폰에 내장된 밧데리 전원 대신에 차량의 밧데리가 공급되도록 하여 카폰 밧데리가 절약되도록 하는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카폰의 송수화기를 들면 온되는 후크스위치와, 상기 후크스위치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키패드의 부대기능 사용 의사를 카폰에 전달하기 위하여 누르는 버튼스위치 역할을 하는 키패드(4)상의 STD 버튼을 누르고 키패드의 필요한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와, 상기 키패드의 버튼이 눌리면 구동되는 다이얼 IC와, 상기 다이얼 IC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번호를 누르도록 숫자나 기호가 각인된 버튼을 소정 개수 만큼 수용하고 있는 키패드와, 상기 다이얼 IC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폰 밧데리와, 상기 카폰 밧데리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다이오드와, 상기 다이오드의 순방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치 보다 높게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과, 상기 저항과 후크스위치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 IC가 구동되면 작동되어 카폰 밧데리 대신에 차량 밧데리가 카폰 회로에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릴레이 1과, 상기 릴레이 1과 차량 밧데리 사이에 연결되어 전압을 분압하여 3V의 직류 전원을 카폰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기와, 상기 릴레이 1과 다이얼 IC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1이 구동되면 같이 구동되어 다이얼 IC에 차량 밧데리의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상기 후크스위치 단과 상기 릴레이 1단을 절환시키는 릴레이 2와, 상기 릴레이 2가 릴레이 1측의 단자로 절환되면 카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밧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카폰의 블럭도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카폰의 송수화기(도면 미표시)를 들면 온되는 후크스위치(1)와, 상기 후크스위치(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영하기 위하여 키패드(4)의 부대기능 사용 의사를 카폰에 전달하기 위하여 누르는 버튼스위치 역할을 하는 키패드(4)상의 STD 버튼(41)을 누르고 키패드(4)의 필요한 버튼(41)을 누르면 해당 버튼(41)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2)와, 상기 키패드(4)의 버튼(41)이 눌리면 구동되는 다이얼 IC(3)와, 상기 다이얼 IC(3)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번호를 누르도록 숫자나 기호가 각인된 버튼(41)을 소정 개수 만큼 수용하고 있는 키패드(4)와, 상기 다이얼 IC(3)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폰 밧데리(5)와, 상기 카폰 밧데리(5)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다이오드(6)와, 상기 다이오드(6)의 순방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치 보다 높게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7)으로 이루어져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카폰 밧데리 전원 공급 회로에서는, 사용자가 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송수화기를 들면 상기 후크스위치(1)가 온되고, 이후 카폰 내장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키패드(4)의 STD 버튼(41)을 누르고 다른 필요한 버튼(41)을 누르면 상기 크리스탈 발진기(2)가 펄스를 발생시켜서 다이얼 IC(3)를 통하여 카폰의 본 회로(도면 미표시)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 IC(2)가 구동되면 카폰 밧데리(5) 전원이 다이오드(6)와 저항(7)을 거쳐 상기 다이얼 IC(2)의 VDD단자를 통하여 상기 다이얼 IC(2)에 공급되게 된다.
그러므로써,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폰의 회로기판에 납땜되어 있는 카폰 밧데리(5)를 사용하게 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의 전원 소모율이 높게 된다.
한편,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밧데리(11)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의 블럭 회로도이다.
여기서는, 사용자가 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카폰의 송수화기를 들면 온되는 후크스위치(1)와, 상기 후크스위치(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키패드(4)의 부대기능 사용 의사를 카폰에 전달하기 위하여 누르는 버튼스위치 역할을 하는 키패드(4)상의 STD 버튼(41)을 누르고 키패드(4)의 필요한 버튼(41)을 누르면 해당 버튼(41)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2)와, 상기 키패드(4)의 버튼(41)이 눌리면 구동되는 다이얼 IC(3)와, 상기 다이얼 IC(3)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번호를 누르도록 숫자나 기호가 각인된 버튼(41)을 소정 개수 만큼 수용하고 있는 키패드(4)와, 상기 다이얼 IC(3)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폰 밧데리(5)와, 상기 카폰 밧데리(5)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다이오드(6)와, 상기 다이오드(6)의 순방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치 보다 높게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7)과, 상기 저항(7)과 후크스위치(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 IC(3)가 구동되면 작동되어 카폰 밧데리(5) 대신에 차량 밧데리(11)가 카폰 회로에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릴레이 1(8)과, 상기 릴레이 1(8)과 차량 밧데리(11) 사이에 연결되어 전압을 분압하여 3V의 직류 전원을 카폰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기(9)와, 상기 릴레이 1(8)과 다이얼 IC(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1(8)이 구동되면 같이 구동되어 다이얼 IC(3)에 차량 밧데리(11)의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상기 후크스위치(1)단과 상기 릴레이 1(8)단을 절환시키는 릴레이 2(10)와, 상기 릴레이 2(10)가 릴레이 1(8)측의 단자로 절환되면 카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밧데리(11)로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는, 사용자가 전화번호 기억 등과 같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송수화기(도면 미표시)를 들면 번저, 후크스위치(1)가 온되고 이어서 키패드(4)의 SRD 버튼(41)을 누르고 필요한 버튼(41)을 누르면 상기 크리스탈 발진기(2)가 발진하여 해당 버튼(41)에 상응하는 펄스를 발생시키는 한편, 카폰 밧데리(5)의 전원이 다이오드(6)와 저항(7)을 거쳐 릴레이 1(8)을 구동시킨다.
그러면, 릴레이 1(8)이 카폰 밧데리(5)의 출력단이 후크스위치(1) 단자에 연결되어 있던 전원 공급 선로를 릴레이 2(10)측으로 절환시키고, 릴레이 2(10)에서는 상기 릴레이 1(8)이 구동될 때 동시에 작동되어 다이얼 IC(3)의 VDD단자가 후크스위치(1)측과 연결된 전원공급 선로를 릴레이 1(8)측으로 절환시킨다.
그러므로써, 카폰 밧데리(5)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차량 밧데리(11)의 전원이 카폰 회로에 공급되는데, 이때 전압분배기(9)가 차량 밧데리(11)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3V의 직류전압으로 분압시켜서 다이얼 IC(3)의 VDD단에 공급하게 하여 카폰 밧데리(5)의 전원을 절약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사용자가 카폰을 사용하기 위하여 카폰의 송수화기(도면 미표시)를 들면 온되는 후크스위치(1)와, 상기 후크스위치(1)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카폰의 부대기능을 사용하기 위하여 키패드(4)의 부대기능 사용 의사를 카폰에 전달하기 위하여 누르는 버튼스위치 역할을 하는 키패드(4)상의 STD 버튼(41)을 누르고 키패드(4)의 필요한 버튼(41)을 누르면 해당 버튼(41)에 상응하는 펄스신호를 생성시키는 크리스탈 발진기(2)와, 상기 키패드(4)의 버튼(41)이 눌리면 구동되는 다이얼 IC(3)와, 상기 다이얼 IC(3)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필요한 번호를 누르도록 숫자나 기호가 각인된 버튼(41)을 소정 개수 만큼 수용하고 있는 키패드(4)와, 상기 다이얼 IC(3)에 전원을 공급하는 카폰 밧데리(5)와, 상기 카폰 밧데리(5)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다이오드(6)와, 상기 다이오드(6)의 순방향측에 연결되어 상기 카폰 밧데리(5)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규정치 보다 높게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압강하를 일으키는 저항(7)으로 이루어지는 카폰 밧데리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저항(7)과 후크스위치(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다이얼 IC(3)가 구동되면 작동되어 카폰 밧데리(5) 대신에 차량 밧데리(11)가 카폰 회로에 공급되도록 스위치를 절환시키는 릴레이 1(8)과, 상기 릴레이 1(8)과 차량 밧데리(11) 사이에 연결되어 전압을 분압하여 3V의 직류 전원을 카폰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분배기(9)와, 상기 릴레이 1(8)과 다이얼 IC(3)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1(8)이 구동되면 같이 구동되어 다이얼 IC(3)에 차량 밧데리(11)의 전원을 공급시키도록 상기 후크스위치(1) 단과 상기 릴레이 1(8) 단을 절환시키는 릴레이 2(10)와, 상기 릴레이 2(10)가 릴레이 1(8)측의 단자로 절환되면 카폰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차량 밧데리(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KR1019950062446A 1995-12-28 1995-12-28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KR0167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446A KR016749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446A KR016749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4A KR970055944A (ko) 1997-07-31
KR0167497B1 true KR0167497B1 (ko) 1999-02-01

Family

ID=1944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446A KR0167497B1 (ko) 1995-12-28 1995-12-28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4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5944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88971A3 (en) Monolithic integrated circuit device
US20010024967A1 (en) Energy-saving circuit based on control of a display device of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in dependence on the operating state
KR100306275B1 (ko) 휴대용무선통신단말기에서시계기능을이용한빽라이트제어방법
US5692203A (en) Power up/power down for electronic hardware which conserves electric power
US5363223A (en) Illumination of displays with control which switches illuminator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isplay
KR0167497B1 (ko) 차량 밧데리를 이용한 카폰 밧데리 절약 회로
JP2003054846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233089B1 (ko) 백라이트 발광다이오드 제어장치
KR1006326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내 알람기능을 이용한 전원 온/오프 장치
KR200500528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부 백라이트 전원제어장치
KR100266812B1 (ko) 발광다이오드 구동장치
JPH0718202Y2 (ja) オンフックダイヤル回路
KR950005628B1 (ko) 클럭절환기능을 갖춘 휴대용 무선호출기
GB2401261B (en) Apparatus for extending the standby time of a mobile unit
JP2658142B2 (ja) 論理装置
GB2366458B (en) Electronic circuit
JPH03108851A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1283264A (ja) メモリダイヤル電話機
KR810000477B1 (ko) 콤퓨터형 전화기의 전원제어장치
JPH08279868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19564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950010296B1 (ko) 건전지 교체시 계수표시장치의 기능선택회로
KR910001699Y1 (ko) 시간 통보 장치를 갖는 전화기
JP2000316193A (ja) 赤外線リモコン装置
KR930024365A (ko) 휴대용 전화기의 백 라이트 제어회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