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127B1 -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 Google Patents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127B1
KR0167127B1 KR1019950704024A KR19950704024A KR0167127B1 KR 0167127 B1 KR0167127 B1 KR 0167127B1 KR 1019950704024 A KR1019950704024 A KR 1019950704024A KR 19950704024 A KR19950704024 A KR 19950704024A KR 0167127 B1 KR0167127 B1 KR 0167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blade
blade
semifinished product
cutting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0851A (ko
Inventor
씨. 블레커슬리 리챠드
엘. 키친 리챠드
Original Assignee
랄프 이. 하퍼
더 글리슨 워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이. 하퍼, 더 글리슨 워크스 filed Critical 랄프 이. 하퍼
Publication of KR96070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1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1/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23F21/12Milling tools
    • B23F21/22Face-mills for longitudinally-curved gear tee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FMAKING GEARS OR TOOTHED RACKS
    • B23F21/00Too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achines for manufacturing gear teeth
    • B23F21/12Milling tools
    • B23F21/22Face-mills for longitudinally-curved gear teeth
    • B23F21/223Face-mills for longitudinally-curved gear teeth with inserted cutting elements
    • B23F21/226Face-mills for longitudinally-curved gear teeth with inserted cutting elements in exchangeable arran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4Cutters, for shaping with chip breaker, guide or defl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Accessories And Tools For Shearing Machines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40)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는 일정한 길이의 막대형 스톡재료로 제조되고 길이방향으로 균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다. 반제품 및 블레이드의 상면은 한쌍의 장착면(48,5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면경사면(52)과 연결면(54)은 그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블레이드 반제품(40)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는 기어 및 관련된 톱니형물품의 제조시와 같은 절삭작업 동안에 커터헤드에서 더 안정하다. 단일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은 커터회전방향과 상관없이 내부 및 외부블레이드를 가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및 제2도는 각각 종래기술유형의 절삭블레이드의 등각도 및 평면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각 다른 유형의 종래기술 절삭블레이드의 등각도 및 평면도.
제5도는 커터헤드의 슬롯안에 위치되어 있는 종래기술 절삭블레이드를 묘사하는 도면.
제6도는 커터헤드의 표면으로부터 바라본 커터헤드슬롯안의 제5도의 절삭블레이드를 예시하는 도면.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교체용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측면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으로부터 제조된 동일한 방향의 커터회전을 위한 내부 및 외부 블레이드를 예시하는 도면.
제12도 및 제13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절삭블레이드의 등각도 및 평면도.
제14도 및 제15도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절삭블레이드의 등각도 및 평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각각 커터헤드의 슬롯안에 위치되어 있는 제12도의 절삭블레이드 및 커터헤드면으로부터 바라본 슬롯안의 제12도의 절삭블레이드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기어 및 관련된 톱니형물품을 절삭하기 위한 절삭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길이의 막대형 스톡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기어 및 관련된 톱니형물품의 제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절삭블레이드의 한가지 유형으로는 일정한 길이의 M2 고속강과 같은 막대형 스톡재료로부터 제조된 스틱형 절삭블레이드로서 공지된 블레이드가 있다. 복수의 이와같은 블레이드는 기어절삭기계장치의 커터축선 상에 장착된 커터헤드 안에 체결되어 있고, 반제품에 이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기어반제품과 접촉상태로 진행된다.
이와같은 절삭블레이드를 이용하는 기어절삭기계장치는 예를 들어 크렌저외 다수 (Krenzer et al.) 명의의 미합중국 특허 제 4,981,402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에서 공지되어 있다.
스틱형 절삭블레이드의 한가지 형태는 절삭블레이드를 연마하면서 블레이드의 상면을 보호하기 위해서 전면 및 측면(가압측면 및 여유측면) 만이 연삭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들 절삭블레이드는 프로파일 연마된 절삭블레이드로서 공지되어 있다.
프로파일 연마된 절삭블레이드는 각각의 블레이드의 길이가 각각의 연마에 의해서 감소되기 때문에 블레이드가 상면 절삭면 길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블레이드는 표면프로파일을 회복하기 위한 적당한 스톡을 제공하도록 요구되는 바와 같이 커터헤드슬롯안에서 축선방향으로 진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절삭블레이드의 예는 리얀외 다수 (Ryan et al.)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260,299호, 키친외 다수 (Kitchen et al.) 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621,954호 및 블레커슬리 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575,285호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참조 특허공보에서 예지된 바와 같은 절삭블레이드는 2개의 부위, 기초부분과 절삭 끝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초부분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이다. 그러나, 절삭끝부분은 블레이드의 상면을 가로질러서 거의 측면 대 측면으로 뻗어 있고 절삭날로부터 떨어져서 여유가 생기도록 측정경사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있다. 이런 형상으로 인하여 블레이드는 예를 들어, 우회전 커터(반시계 방향 커터회전)로 내부 (볼록) 기어이뿌리면을 절삭하기 위해서, 또는 좌회전커터(시계방향커터회전)로 외부 (오목) 기어이뿌리면을 절삭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우회전커터로 외부기어이뿌리면을 또한 좌회전커터로 내부기어이뿌리면을 절삭하기 위해서는 경상(mirror-image) 절삭블레이드가 필요하며, 이와같은 블레이드는 상술된 절삭블레이드와 비교할 때 상면의 대향측면상에 절삭날을 가지고 있는 상면을 가로질러서 대향방식으로 뻗어 있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절삭블레이드가 처음에 커터헤드의 슬롯안에 장착될 때 기초부분과 절삭끝부분 둘다는 소정의 공작물을 기계가공하는데 필요가 있다면 충분한 절삭끝부분만이 커터헤드면 너머로 뻗어 있는 상태로 커터헤드의 슬롯안에 위치된다. 커터헤드면 너머로 블레이드 길이가 너무 나와 있으면 커터를 불안정하게 한다. 절삭블레이드가 연마되고 연마 공정으로 인한 감소된 길이로 인하여 슬롯안에서 블레이드를 축선방향으로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을지라도 절삭끝부분의 일부분은 슬롯안에 남아 있는다.
절삭블레이드의 기초부분이 커터헤드안에서 완전히 지시되더라도 커터헤드 슬롯안에 위치된 절삭끝부분은 절삭블레이드의 경사면의 형성에 의해서 제거된 블레이드 몸체의 부분때문에 완전하게 지지되지 않는다.
슬롯안에서 블레이드의 축선방향 진행이 블레이드의 기초부분만이 슬롯안에 남아있는 지점에 도달할 때, 다시말하면, 축선방향으로의 진행이 커터헤드면과 실질적으로 정면으로 되어있는 경사면과 인접하여 기초부분의 일부를 생기게 할 때 그때 절삭블레이드는 완전하게 지지될 것이다.
그러나, 블레이드의 축선방향으로의 진행상태에서 이 지점은 블레이드의 또 다른 연마를 허용하도록 블레이드의 상면상에 불충분한 양의 경사면을 종종 남아 있게 하기 때문에 유효길이의 절삭블레이드의 끝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공작물의 절삭동안에 기초부분은 직사각형 단면이기 때문에 4개의 코너 전체에서 지지를 허용하는 반면에 커터헤드 슬롯안에서 4개의 코너 전체(절삭끝부분)에서 지지되지 않은 절삭블레이드의 부분은, 많은 절삭적용에서 안정하지만, 다량의 스톡재료가 공작물의 치면슬롯을 통하여 절삭블레이드의 각각의 통과에 의해서 제거될 때와 같은 절삭부하 및 응력이 높은 조건하에서 비틀리는 경향이 있다. 절삭블레이드의 비틀림은 블레이드의 절삭날의 위치를 실제로 바꾸고, 그리고 형성되는 만족스럽지 않은 이뿌리면을 생기게 한다. 절삭블레이드의 내용수명의 최종단계를 제외한 블레이드를 완전하게 지지하지 못함으로 인한 위치 불안정한 조건은 커터작업 동안에 언제나 존재한다.
상기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621,954호에서, 절삭블레이드의 배면의 한쪽측면상의 폭이 좁은 부분은 단일 슬롯안에 위치된 한쌍의 절삭블레이드 사이에 여유를 제공하도록 포함된다. 그러나, 배면상에 이들 폭이 좁은 부분이 포함된 것을 블레이드의 절삭끝부분의 상면에 아무런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경사면의 형성에 의해서 제거된 블레이드의 부분을 완전하게 지지하지 못한다는 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 경사면을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절단되는 치면 또는 커터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절삭블레이드로 제조될 수 있는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절삭블레이드가 길이전체에 걸쳐 상면 경사면을 구비하게 되더라도 절삭작업 동안 커터헤드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장착면을 구비하고 있는 절삭블레이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의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은 대향끝면, 한쌍의 대향측면, 배면 및 한쌍의 장착면, 상면 경사면 및 연결면을 포함하고 있는 상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면 경사면과 연결면은 장착면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면 경사면은 한쌍의 장착면 중의 하나로부터 뻗어 있고 그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다. 연결면은 그 쌍의 장착면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 경사면으로 뻗어 있고, 그 경사면과 교차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앞서 언급된 블레이드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있다.
절삭블레이드는 가압측면, 여유측면 및 전면을 포함하고 있다.
가압측면은 측면에 대하여 소정의 압력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고, 절삭날은 가압측면과 상면의 교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여유측면은 측면에 대하여 소정의 여유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고, 여유날은 여유측면과 상면의 교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논의될 것이다.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참조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이용된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일정한 길이의 막대형 스톡재료로 제조된 종래의 프로파일 연마된 스틱형 절삭블레이드의 한가지 유형을 예시하고 있다. 이 절삭블레이드는 기초부분(2)과 절삭끝부분(4)으로 이루어져 있다. 기초부분(2)은 상면(6)을 포함하고 있다. 측면(8) 및 배면(14)은 절삭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다.
절삭끝부분(4)은 기초 상면(6)의 연장부인 폭이 좁은 상면(7), 특정경사각(K)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경사면(10), 숄더(12), 가압측면(16), 전면(18) 및 여유측면(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절삭날(17)은 가압측면(16)과 경사면(10)과의 교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여유날(21)은 여유측면(20)과 경사면(10)의 교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전면(18)은 각도 (λ)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배면으로 여유를 두고 있고, 절삭날(17)은 측면(8)에 대하여 압력각(φ)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고, 그리고 여유날(21)은 측면(8)에 대하여 여유각(β)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다.
제3도 및 제4도는 종래의 프로파일 연마된 절삭블레이드의 다른 한가지 유형을 도시하고 있다. 이런 유형의 절삭블레이드의 대부분의 특징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절삭블레이드의 유형과 유사하지만 제3도 및 제4도의 절삭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롯에 의해서 형성된 제2면(25)을 더 포함하고 있다. 제2면(25)은 경사각(K)과 같지 않은 각도로 방향이 정해져 있다. 여유면(20)과의 교점에서 제2면(25)은 치면슬롯의 바닥의 일부분과 절삭날(17)에 의해서 절삭되어 있는 여유면에 대향하는 이뿌리면의 일부분을 절삭하는데 이용되는 2차 절삭날(26)을 형성하고 있다. 칩차단면(27)은 면(10과 25)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5도 및 제6도는 커터헤드(32)의 슬롯(30)안에 위치된 제1도에 도시된 절삭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기초부분(4)과 절삭끝부분(2)의 일부는 슬롯(30)안에 위치되어 있다. 절삭블레이드가 길이가 감소되어서 그 결과 슬롯(30)안에서 축선방향으로 위치를 바꿀 필요가 있을 때 조차 기초부분(2)과 절삭끝부분(4)의 일부는 슬롯안에 존재할 것이다.
커터헤드(32)의 표면으로부터 슬롯(30)안으로 도시된 제6도를 참조하면, 직사각형 기초부분(2)이 슬롯(30)안의 모든 측면상에 완전하게 지지될지라도 절삭끝부분은 경사면(10)을 따라 지지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램핑블록(도시되지 않음) 또는 유사한 구조물은 슬롯(30)안의 정위치에서 절삭블레이드를 유지하도록 절삭블레이드의 외부측면에 접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램핑 장치는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므로 목적을 명백하게 하기 위해서 설명되어 있지 않다. 절삭블레이드의 상면의 거의 대부분을 가로지른 경사면(10)의 형성은 절삭블레이드의 상면 여유측 코너를 제거하여서 절삭블레이드와 슬롯(30)의 표면사이에 틈새(34)를 생기게 하였다. 틈새는 커터헤드안에 위치될 때 제3도의 절삭블레이드에도 또한 존재한다는 것을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출원인은 제1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절삭블레이드가 일정한 작업 조건하에서 커터헤드 슬롯에서 비틀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비틀림효과는 블레이드의 절삭날을 이동시켜서 공작물상에 정확하지 않은 치면을 생기게 한다. 비틀림은 경사면(10)이 절삭블레이드의 측면(8)과 교차하는 블레이드의 상면 여유측 영역에서 절삭끝부분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생각된다. 절삭블레이드의 이 영역에서 스톡재료가 없기 때문에 블레이드는 절삭헤드슬롯의 표면에 완전히 지지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틈새(34)는 상당한 절삭작업 동안에 절삭끝부분이 비틀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절삭블레이드 반제품과 커터헤드 슬롯에서 비틀림이 제거된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런 신규한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은 또한 단일블레이드 반제품이 커터회전의 방향에 상관없이 내부 또는 외부치면을 위한 절삭블레이드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종래기술을 능가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 반제품(40)은 종래기술에서 처럼 별개의 기초 및 절삭끝부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에, M2고속강과 같은 일정한 길이의 막대형 스톡재료로 제조된 블레이드 반제품(40)은 전체길이에 걸쳐서 균일한 단면을 가지고 있다. 블레이드 반제품(40)은 끝년(42와 43), 배면(46) 및, 제1 장착면(44) 및 제2 장착면(45)과 동일한 한쌍의 대향측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블레이드 반제품(40)의 상면은 한쌍의 장착면(48과 50), 경사면(52) 및 연결면(54)을 포함하고 있다. 경사면(52)과 연결면(54)은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일반적인 형태의 홈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지름부분(56)은 경사면(52)과 연결면(54)의 교점에 제공되어 있다.
절삭 및 마모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리는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상면에, 특히 하다못해 경사면(52)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처리는 예를 들어, 질화티탄(TiN)과 같은 내마모성 물질의 코팅으로 이루어져 있는 야금처리이다. 프로파일 연마된 블레이드의 측면 프로파일면 만이 연마동안에 연삭되기 때문에 상면(52)과 그 위의 모든 코팅은 여러 연마과정 전반에 걸쳐서 보호된다.
제9도는 절삭블레이드 반제품(40)이 블레이드 반제품(40)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를 위한 전면 여유각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각도(λ)로써 여유를 두고 있는 끝면을 포함하는 제7도의 변형을 도시하고 있다.
블레이드 반제품(40)의 단면이 길이를 따라서 균일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블레이드 반제품은 사실은, 절삭블레이드가 커터회전방향에 상관없이 내부 또는 외부이뿌리면 중의 하나를 절삭히기 위해서 블레이드 반제품(40)으로 제조될 수 있는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이다. 예를 들어, 제10도는 절삭날(60)과 여유날(62)이 형성되는 끝이 존재하는 끝(42)을 구비하고 있는 제7도에 도시된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절삭블레이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터에서는 외부블레이드로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터에서는 내부블레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그러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터를 위한 외부블레이드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커터를 위한 내부블레이드를 형성하기 위해서 경상 블레이드 반제품이 필요한 대신에 본 발명의 블레이드 반제품(40)은 이들 블레이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 반제품의 방향을 정하기 위해서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될 수 있다.
제11도는 절삭날(60)과 여유날(62)이 형성되는 끝이 존재하는 블레이드 반제품(40)의 끝(43)(제7도)을 구비하고 있는 절삭블레이드를 예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특유의 끝을 간단히 선택하기 위해서 모든 절삭블레이드가 절삭되는 이뿌리면 또는 커터의 회전방향과 상관없이 단일블레이드 반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2도 및 제13도는 제7도의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절삭블레이드는 숄더(57), 가압측면(58), 여유측면(61), 숄더(63) 및 전면(64)으로 이루어져 있다. 용어전면은 단지 편의상 사용되는 것이지 절삭블레이드의 특정방향을 가리키려고 의도된 것이 아님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절삭블레이드의 상면은 절삭날(60)과 여유날(62)이 각각 교차할 때까지 절삭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장착면(48과 50)을 포함하고 있다. 장착면(48과 50)은 각각의 측면(44와 45)에 인접하여 위취되어 있고 이들 측면은 절삭블레이드 상에 상면코너를 형성하고 있다. 장착면(48과 50)사이에 위치된 것은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K) (일반적으로 약 10도 내지 약 30도)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경사면(52)과 연결면(54)이다.
바람직하게는, 끝면(50)과 연결면(54)은 숄더(63)에서 끝을 형성하고 여유날(62)과 교차하지 않는다. 다시말하면, 여유날(62)은 반지름부분(56)과의 교점에서 종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홈안에 채워지는 칩이 최소화되고 홈안에 채워질 모든 칩이 절삭공정을 간섭하지 않을 정도로 블레이드의 절삭영역과 블레이드의 상면의 홈 사이에 충분한 여유를 제공한다.
경사면(52)은 경사각(K)으로 제1장착면(48)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제2장착면(50)을 향하여 뻗어 있어서 절삭날(60)로부터 떨어져서 여유를 두로 있는 경사면은 절삭블레이드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면(54)은 경사면(52)과 교차하고 장착면(50)에 대하여 각도(α)로 방향이 정해지도록 장착면(50)으로부터 일반적으로 배면(46)을 향하여 뻗어있다. 약 90도를 초과하는 각도는 구조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측면(45)과 반지름부분(56) 사이의 거리를 장착면(50)의 폭보다 현저하게 더 작아지게 하기 때문에 각도(α)는 약 90도 보다 더 크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52)과 연결면(54)은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제14도 및 제15도는 절삭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추가의 폭이 좁은 평평한 면(70)이 포함된 것외에는 제12도와 유사한 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면(70)은 일반적으로 배면(46)과 평행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으나 배면으로부터 약 10도까지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어쨌든, 면(70)의 경사각은 경사면(52)의 경사각과 다르다. 여유측면(61)과 면(70)의 교점에서 2차 절삭날(72)은 이의 바닥면의 일부뿐만 아니라 절삭날(60)에 의해서 절삭되는 대향하는 이뿌리면의 일부를 절삭하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다. 칩단자면(73)은 면(52와 70)사이에서 형성되어 있다.
제16도 및 제17도는 커터헤드(32)의 슬롯(30)안에 위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절삭블레이드를 도시하고 있다. 상면장착면(48과 50)으로 인하여 절삭블레이드는 커터헤드슬롯(30)의 면과 접촉하는 전체길이를 따라 4개의 코너 전체에서 지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7도를 제16도와 비교하면, 종래의 절삭블레이드에 기인한 커터헤드에 존재하는 틈새(34)는 본 발명 절삭블레이드에 존재하지 않는다. 절삭블레이드는 4개의 코너전체에서 지지되므로 틈새(34)의 존재때문에 겪게되는 비틀림이 방지된다. 각각의 블레이드는 이 분야에 공지된 클램핑장치(예시되어 있지 않음)에 의해서 정위치에서 죄어진다. 각각의 클램핑장치는, 예를 들어, 앞서 논의된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621,954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절삭블레이드가 연마에 기인한 감소하는 길이에 의해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커터헤드슬롯(30)에서 축선방향으로 진행될 때 절삭블레이드의 균일한 단면은 연속하는 4개의 코너지지를 제공하여 블레이드의 축선방향에 상관없이 비틀림을 방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절삭블레이드는 프로파일 연마된 절삭블레이드의 면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이 분야에서 공지된 기계장치로 연마될 수도 있다. 이와같은 기계장치의 예는 엘웡거외 다수(Ellwanger et al.)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4,144,678호와 페더슨외 다수(Pedersen et al.)명의의 미합중국 특허공보 제 5,168,661호에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을 제조하는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M2 또는 ASP23강과 같은 막대형 스톡재료의 조각은 절삭블레이드를 위한 소정의 길이, 예를 들어 약 4인치(102mm)로 절삭된다. 그리고나서 경사면(52)과 연결면(54)은 블레이드 반제품의 상면에서 홈을 기계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기계가공, 바람직하게는 밀링공정에서 공구는 경사면(52)과 연결면(54)을 동시에 형성하도록 블레이드 반제품의 길이방향으로 횡단되어져 장착면(48과 50)으로서 기능하도록 상면의 코너에서 홈폼의 하나의 측면상에 충분한 스톡재료를 남기게 된다. 장착면의 폭은 최소로 일반적으로 약 0.030인치 (0.762mm)이면서 최대치수는 절삭블레이드의 치수 및/또는 커터헤드슬롯의 치수에 좌우된다.
바람직하다면 약 0.080인치 (약 2mm)의 폭을 가지고 있는 추가의 폭이 좁은 면(70)(제14도와 제15도)은 경사면 내로 바람직하게는 밀링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고 블레이드 반제품 전체길이를 따라 뻗어있다.
그리고나서, 블레이드 반제품의 끝면(42와 43)의 적어도 하나,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둘다는 반제품 상면으로부터 배면(46)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 일반적으로는 약 3 내지 약 25도로 절삭 또는 연삭에 의해서 여유를 두게될 수도 있다. 그리고나서, 블레이드 반제품은 열처리에 의해서 경화될 수도 있고, 최종적으로 측면(44와 45), 배면(46), 장착면(48과 50) 및 경사면(52)은 소정의 치수로 최종연삭을 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마모성코팅, 예를 들어 TiN은 적어도 경사면(52)과, 존재한다면, 추가의 폭이 좁은 면(7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르게는, 경화된 일정한 길이의 막대형 스톡재료가 제공될 수도 있고, 그리고 상면 경사면(52), 연결면(54) 및 장착면(48과 50)은 경화된 막대형 스톡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절삭블레이드의 제조시에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은 적당한 끝에서 실질적으로 소정의 압력으로부터 전면 및 여유면이 거친연삭되고 나서 이들 면은 소정의 지정으로 최종연삭된다. 절삭날(60)의 압력각(φ)은 측면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약 8 내지 약 40도이고 여유날(62)은 측면에 대하여 여유각(β), 일반적으로 약 0 내지 약 35도로 방향이 정해져 있다.
본 발명은 내부 및 외부 이뿌리면을 절삭할 수 있는 절삭블레이드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사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필요성을 극복한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반제품의 균일한 단면은 정밀한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을 제공하고 그것에 의하여 내부 또는 외부절삭블레이드는 소정의 절삭 및 여유면을 형성하기 위한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의 적당한 끝을 선택함으로써 좌회전 또는 우회전 커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커터헤드에서 장착될 때 절삭블레이드의 4개의 코너전체를 지지하므로 현저하게 더 안정한 절삭블레이드를 제공한다. 한쌍의 상면장착면의 존재는 절삭블레이드의 상면 여유측면영역을 지지하지 않으므로 절삭블레이드의 앞서 언급된 비틀림을 제거하고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자세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알고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주제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취지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속하며 이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변형을 포함한다고 생각된다.

Claims (7)

  1. 우회전 또는 좌회전 중의 어느 하나로 회전되는 동일한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으로 제조되는 커터용 내부 또는 외부 절삭블레이드를 가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길이방향을 따라 균일한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끝이 끝면을 가지고 있는 상태로 대향끝을 포함하고 있고, 한쌍의 대향측면, 배면, 상기 대향측면 중의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측면으로 상기 블레이드 반제품의 코너를 형성하고 있는 제1 장착면과 상기 대향측면 중의 다른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상기 다른 하나의 측면으로 상기 블레이드 반제품의 또 다른 코너를 형성하고 있는 제2장착면을 가지고 있는 상면, 상기 제1 장착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상기 제2장착면을 향하여 뻗어 있고 상기 장착면에 대하여 경사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상면 경사면 및, 상기 제2 장착면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상기 배면을 향하여 뻗어 있고 상기 상면경사면과 교차하고 있는 연결면을 더 포함하고 있는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을 제공하는 단계, 커터회전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커터회전방향을 위해서 상기 동일한 절삭블레이드 반제품으로 제조되는 상기 내부 및 외부블레이드 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절삭면이 상기 경사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여유면이 상기 연결면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는 선택된 내부 또는 외부블레이드에 대응하는 상기 대향끝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절삭면, 상기 여유면 및 전면을 제조하기 위해서 선택된 끝으로부터 스톡재료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과 상기 경사면은 서로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끝면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상기 배면을 향하여 여유를 두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반제품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고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과는 다른 경사각으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추가의 폭이 좁은 평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은 상기 제2장착면에 대하여 약 90도 보다 더 크지 않은 각도로 방향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끝은 끝이기 때문에 우회전커터용 내부 절삭블레이드 또는 좌회전커터용 외부 절삭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선택된 끝은 끝이기 때문에 좌회전커터용 내부 절삭블레이드 또는 우회전커터용 외부 절삭블레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50704024A 1993-03-24 1994-02-03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KR01671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31293A 1993-03-24 1993-03-24
US8/036312 1993-03-24
US08/036,312 1993-03-24
PCT/US1994/001384 WO1994021414A1 (en) 1993-03-24 1994-02-03 Universal cutting blade blank and cutting blade form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0851A KR960700851A (ko) 1996-02-24
KR0167127B1 true KR0167127B1 (ko) 1999-02-01

Family

ID=2188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024A KR0167127B1 (ko) 1993-03-24 1994-02-03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477755A (ko)
EP (1) EP0690761B1 (ko)
JP (1) JP3002542B2 (ko)
KR (1) KR0167127B1 (ko)
CN (1) CN1046648C (ko)
AU (1) AU669615B2 (ko)
CA (1) CA2158046C (ko)
DE (1) DE69411715T2 (ko)
WO (1) WO1994021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39851A2 (en) * 1996-04-25 1997-10-30 The Gleason Works Cutting tool for toothed articles
US20040182216A1 (en) * 2002-07-31 2004-09-23 Electrolux Professional Outdoor Products, Inc. Coating for a chainsaw chain
WO2004103624A1 (de) * 2003-05-22 2004-12-02 Klingelnberg Gmbh Verfahren, stabmesser und verwendung desselben zum fräsen von spiralkegel- und hypoidrädern
US20050193566A1 (en) * 2003-11-10 2005-09-08 Brown Donald A. Utility knife
CN100423875C (zh) * 2004-11-25 2008-10-08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齿轮型刀
US7736099B2 (en) * 2005-12-16 2010-06-15 Cole Carbide Industries, Inc. Gear milling tool with replaceable cutting inserts
EP2152459B1 (en) * 2007-05-10 2011-06-22 The Gleason Works Tool for improved chip flow
US20100272521A1 (en) * 2009-04-23 2010-10-28 Wimberley David L Lathe toolholder incorporating side rake and back rake
EP2919938B1 (en) * 2012-11-13 2019-01-09 The Gleason Works Dual-hand cutter head for gear manufacture
CN109227034B (zh) * 2017-12-31 2020-01-07 绍兴市华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扭曲件的制造方法及金属扭曲件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4678A (en) * 1977-07-05 1979-03-20 The Gleason Works Method for resharpening cutting blades for gear cutting machinery
US4272927A (en) * 1978-04-13 1981-06-16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ethod of manufacturing a broaching tool
US4260299A (en) * 1979-05-25 1981-04-07 The Gleason Works Cutting tools having compound cutting faces
DE3303319A1 (de) * 1983-02-01 1984-08-02 Fa. Muhr und Bender, 5952 Attendorn Profilstahlbearbeitungsanlage
US4575285A (en) * 1984-11-19 1986-03-11 The Gleason Works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e
US4575286A (en) * 1984-11-19 1986-03-11 The Gleason Works Gear cutter assembly
ATE69749T1 (de) * 1986-09-22 1991-12-15 Holler Karl Heinz Schneidwerkzeug zur spanabhebenden metallbearbeitung, insbesondere nutendrehwerkzeug.
DE3752340T2 (de) * 1987-08-24 2002-07-25 Gleason Works Mehrfachachsenzahnradwälzmaschine zur Herstellung von Kegelrädern und Hypoidrädern
SU1505694A1 (ru) * 1987-11-23 1989-09-07 Туль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Зуборезна резцова головка
US5168661A (en) * 1990-05-30 1992-12-08 The Gleason Works Method of grinding the surfaces of cutting blades and grinding wheel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11715D1 (de) 1998-08-20
DE69411715T2 (de) 1998-12-17
JP3002542B2 (ja) 2000-01-24
AU6135494A (en) 1994-10-11
CA2158046C (en) 1998-04-07
JPH08507973A (ja) 1996-08-27
KR960700851A (ko) 1996-02-24
EP0690761A1 (en) 1996-01-10
US5477755A (en) 1995-12-26
WO1994021414A1 (en) 1994-09-29
CA2158046A1 (en) 1994-09-29
CN1046648C (zh) 1999-11-24
AU669615B2 (en) 1996-06-13
CN1119839A (zh) 1996-04-03
EP0690761B1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5285A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0167127B1 (ko) 만능 절삭블레이드 반제품 및 그 반제품으로 제조된 절삭블레이드
US6427572B2 (en) Circular tool for cutting rolls of paper and similar
JPH02298415A (ja) 回転式フライス
KR930003533B1 (ko) 절단용 공구
KR100200473B1 (ko) 프로파일 연마절삭 블레이드를 연마하는 방법
JPH02256412A (ja) エンドミル
US4260299A (en) Cutting tools having compound cutting faces
CA1188141A (en) Machine tool cutter
JPH0319002B2 (ko)
CA1074985A (en) Machine tool cutter
US2831240A (en) Compound duplex cutting tool bit
JPS6389214A (ja) エンドミル
JP3434990B2 (ja) 高耐摩耗性粉砕刃を有するブレークソー
JPH11156622A (ja) 球状刃エンドミル
SU1007855A2 (ru) Сборный инструмент дл обработки отверстий
JPS6130846B2 (ko)
JPH06218614A (ja) エンドミル
JPS6337137Y2 (ko)
JPH0735703Y2 (ja) センタカット刃付きエンドミル
JPH04310310A (ja) ボールエンドミ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51692B2 (ko)
JPS60232811A (ja) 植刃切削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