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7043B1 -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 Google Patents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7043B1
KR0167043B1 KR1019960001448A KR19960001448A KR0167043B1 KR 0167043 B1 KR0167043 B1 KR 0167043B1 KR 1019960001448 A KR1019960001448 A KR 1019960001448A KR 19960001448 A KR19960001448 A KR 19960001448A KR 0167043 B1 KR0167043 B1 KR 0167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amine
gallstones
mono
stones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710A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19960001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7043B1/ko
Publication of KR97005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7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7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3Amines having hydroxy groups, e.g. sphingos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탄올아민(ethanolamine)의 담석 용해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발성 간내 담석의 치료를 위해 담관 또는 담낭내에 직접 주입되는 에탄올아민(ethanolamine)의 접촉성 용해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제1도는 갈색석에서의 접촉성 용해제에 의한 건조 중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제2도는 혼합석에서의 접촉성 용해제에 의한 건조 중량의 변화를 나타낸다.
제3도는 용해전의 갈색석의 사진이다.
제4도는 모노-에탄올아민에 의한 용해 2시간 후의 갈색석의 사진이다.
제5도는 용해전의 혼합석의 사진이다.
제6도는 모노-에탄올아민에 의한 용해 2시간 후의 혼합석의 사진이다.
제7도는 개를 이용한 용해제의 독성 실험을 나타낸다. 개복하여 담낭에 카테타를 위치시킨 후 담낭내로 용해제를 주입하고 있다.
제8도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주입한 후의 담낭의 조직 소견을 나타낸다. 뚜렷한 염증 소견은 나타나지 않는다.
제9도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주입한 후의 간의 조직 소견을 나타낸다.
뚜렷한 염증 소견은 나타나지 않는다.
제10도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주입한 후의 십이지장의 조직 소견을 나타낸다. 뚜렷한 염증 소견은 나타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에탄올아민(ethanolamine)의 담석 용해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원발성 간내 담석의 치료를 위해 담관 또는 담낭내에 직접 주입되는 에탄올아민(ethanolamine)의 접촉성 용해제로서의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이다.
간내 담석은 원발성 간내 담석(primary intrahepatic stones)과 이차적 간내 담석(secondary intrahepatic stones)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원발성 간내 담석이란 담석이 처음부터 간내 담도에서 생성된 것이며 이차적 간내 담석은 담석이 담낭이나 총 담관에서 형성된 후 이차적으로 간내 담관으로 이동한 것을 말한다. 특히 원발성 간내 담석은 결석의 갯수가 많아 보통 한 환자에서도 수 십개 이상의 결석이 발견되고 간내 담도 협착을 동반할 뿐만 아니라 치료가 잘 되지 않는 경우 담도염, 패혈증 및 담즙성 간 경변증 등으로 진행할 수 있는 난치성 질병이다 (Kim et al., Am. J. Gastroenterol. 90: 540-548, 1995).
접촉성 용해법이란 담관 또는 담낭내에 접촉성 용해제(contact solvent)를 주입하여 직접 담석과 접촉시킴으로 용해시키는 방법으로, 경구적으로 약제를 투입하여 담즙 내의 화학 조성의 변화를 유발시킴으로 담석을 용해하는 간접적 용해법과 비교된다.
간내 담석은 여러가지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어 그 종류가 다양하다. 1966년 민 등은 간내 담석 5예를 분석하여 콜레스테롤을 함유하는 담석을 보고하고 이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담석 건조 중량의 18.5% 라고 하였으며, 1972년 남 등은 42예의 간내 담석 성분을 모두 조사하여 전 예를 빌리루빈 담석으로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담석은 콜레스테롤 함량이 20%를 넘지 못하는 갈색석(calcium bilirubinate stone)이 대부분이지만 최근에 들어서 기존의 갈색석 이외에 콜레스테롤 함량이 50%에 달하는 혼합석이 보고되고 있다 (민 등, 대한외과학회잡지 8:93-103, 1966; 남 등, 대한외과학회잡지 14: 33-37, 1972; Kim et al., Dig.Dis. Sci. 40: 2143-2151, 1995; 서 등, 대한소화기병학회지 22: 918-923,1990).
담석의 종류와 그 위치에 따라 사용되는 현재까지의 치료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담낭 결석의 경우 보통 담낭 절제술을 이용하여 그리고 총 담관 결석의 경우 내시경을 사용한 결석 제거술을 이용하여 거의 완전한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원발성 간내 담석은 다발성 간내 담도의 협착을 동반하고 결석의 수가 많음으로 인하여 결석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실제로 간내 담석의 경우 수술로 완치되는 환자는 대상 환자의 약 20%에 불과하며 나머지 환자들은 반복되는 치료에도 불구하고 간내 담도의 잔류 결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보통의 경우 수술로서 결석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환자에서는 경피적 경로(percutaneous approach)를 통한 제거술, 예를 들어 중재적 방사선적 요법 또는 담도경 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 요법과 더불어 담석 용해 효과가 뛰어나고 독성이 적은 접촉성 용해제를 개발하여 함께 경피적 경로를 통해 담도내에 주입한다면 결석의 제거율을 높이고 치료 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특히 수술적 적응이 되지 않는 환자에게 있어서는 기존의 경피적 경로를 통한 방사선 결석 제거술과 함께 성능이 뛰어난 접촉성 용해제를 주입하면 치료 효과를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경피 경간으로(percutaneous transhepatic) 간내 담관에 튜브를 위치시키는 것은 개복수술이 필요하지 않고 반복 치료가 용이하여 입원 기간이 단축되고 또한 수술에 대해 적응이 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통상적으로 경피 경간적으로 결석을 제거하는 담도경이나 중재적 방사선 요법을 사용하므로 접촉성 용해제를 주입하기 위해 별도의 시술이 필요하지 않아 매우 유용하다.
우수한 접촉성 용해제(contact solvent)는 결석 용해 효과가 뛰어나고 체내에서 독성이 적어야 한다.
먼저 담석은 일반적으로 담즙내에서 가라앉으므로 용해제의 점도가 낮다면 담즙내에서 위로 뜨게 되어 용해제와 담석이 유리되므로 담석을 빠른 시간내에 녹이기 위해서는 용해제의 점도(viscosity)가 중요하고 용해제의 끊는 점이 37.5℃ 보다 높아서 체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여야 한다. 그리고 용해제는 부작용 없이 비교적 오랜 시간 담관에서 머물 수 있는 것이 이상적이다.
또한 용해제를 사용할 때에는 장관에서의 각종 소화기 증상의 발현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용해제의 혈관이나 복강내에서는 독성의 유무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콜레스테롤 용해제의 경우 지용성이므로 만일 혈관내로 들어가거나 간 실질에 접촉하는 경우에 용혈이나 괴사의 위험이 없어야 한다. 또한 용해제와 튜브 재질간의 화학적 변화 및 안전성을 고려해야 한다. 안전성은 환자뿐만 아니라 이를 취급하는 의료인에게도 중요하므로 폭발성과 발화성이 낮아 취급하기에 안전하고 냄새도 독하지 않은 용해제가 선택되어야 한다 (Bergman et al., Gut. 35: 1653-1658, 1994; Hoffman et al., Gastroenterology Clinics of North America 20: 183-199, 1991, Padova et al., Gastroenterol. 91: 1296-1300, 1986).
이러한 담석의 직접 용해제에 대한 개발은 콜레스테롤 담석을 이용하여 주로 이루어졌는데, 19세기말 다이에틸에테르(diethylether)를 담낭내로 주입하여 담도 결석을 녹이려는 시도가 있었고 1950년대 이를 다시 임상에서 사용하려고 하였으나 다이에틸에테르의 끊는 점이 체온보다 낮아 쉽게 기화하므로 담도내에 용해제가 흘러 내려갈 때 통증이 심하여 포기하였다(Althan et al., Acta Chir. Scand. 116: 437-449, 1959). 1950년대에 결석에서 지질인 콜레스테롤을 용해할 목적으로 클로로포름(chloroform)을 사용하였으나 마취 효과, 담도염, 췌장염, 출혈성 십이지장 궤양, 간 괴사 등의 부작용이 있어 사용이 중단되었다( Best et at., Arch. Surg. 67: 839-853,1953). 그외에도 헤파린(heparin), 파파인(papain) 등의 사용을 시도하였으나 결석 용해 효과는 저조하였다. 1972년에는 웨이 등이 콜레이트 나트륨을 이용하였고 그외에도 데옥시콜레이트(deoxycholate), 체노데옥시 콜릭산(chenodeoxycholic acid) 등의 담즙산 용액을 개발하였으나 그 용해 효과가 미미하고 독성이 심하여 현재는 사용을 중단하였다(way et al., Ann. Surg. 176: 344-359, 1972; Mark et al., Surg. Forum 28: 408-409, 1977; Motson RW Br. J, Surg. 68: 203-208, 1981).
현재 임상에서는 모노옥타노인(monooctanoin, glycerol-1-mono -octanoate)과 메틸터트부틸에테르(methyl tert-butyl ether, MTBE)를 콜레스테롤 담석을 용해시키는데 사용하고 있다. 모노옥타노인은 70년대 중반에 미국에서 개발 · 보고되어 국내에서도 이용된 바 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이 40% 이상인 간내 담석에 처리한 경우 모든 담석이 30% 이상 용해되고 잔재도 곱게 부스러진다고 보고되었다(Thistles et al., Gastroenterol.78: 1016-1022, 1980). MTBE는 미국의 Thistles에 의해 콜레스테롤 담석 용해제로 개발되었으며 에테르의 일종이지만 끊는점(b.p.= 55.2℃)이 체온보다 높아서 다이에틸에테르에 비해 기화성이 낮다. 이는 모노옥타노인 보다 콜레스테롤 용해 효과는 우수하나 냄새가 독하고 마취 효과가 있으며 드물게는 용혈 현상과 급성 신부전의 부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Allen et al., N. Engl. J, Med. 312: 217-220, 1985; Neoptolemos et al., Br. J. Surg. 73: 515-524, 1986; Ponchon et al., Lancet 2: 276-277, 1988).
갈색석에 대해서는 1978년에 나가무라 등이 EDTA를 이용하여 빌리루빈산 칼슘(calcium bilirubinate) 결석의 용해를 시도하였고 Leuschner 등은 2Na-EDTA 1.0%에 UDCA 0.5%, 콜릭산 0.5%를 가미하여 용해를 시도하였다(Nakamura et al., Tohoku J. Exp. Med. 125: 121-134, 1978). 또한 헥사메타포스페이트도 결석내 칼슘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었고 일본에서 이기미가 원래 소염 작용과 진통 작용이 있는 약품으로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 환자에게 방광 세척제(bladder irrigant)로 이용되는 물질인 디메틸설포옥사이드(DMSO)를 결석내 빌리루빈을 용해하는데 사용하였다(Hisatsugu T,, Igaku Kenkyu 29: 1773-1787,1959; Igimi et al., Gastroenterol. 88: A1666, 1985; Ek et al., Scand. J. Urol. Nephrol. 12: 129-131, 1978). 빌리루빈과 결합되어 있는 뮤신 단백질을 용해할 수 있는 사이올(thiol) 제제도 뮤신 내의 디설파이드 결합을 환원시킴에 의해 담석을 분해하므로 용해제로 시도되었다(Smith BF and LaMont JF, J. Clin. Invest. 76: 439-445, 1985; Martin et al., Am. Rev. Resp. Dis. 121: 495-499, 1980).
콜레스테롤 담석의 경우 MTBE와 모노옥타노인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접촉성 용해제로 현재도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으나 갈색석과 혼합석에 관한 한 아직까지 임상에서 이용할만한 우수한 약제가 개발되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담석 환자의 10-15%를 차지하고 있는 원발성 간내 담석은 서양에서는 매우 드물 뿐만 아니라 기존의 콜레스테롤 담석 용해제로는 녹지 않는다. 또한 원발성 간내 담석은 개복 수술은 물론 내시경적 또는 방사선학적 방법을 동원하여도 결석의 완전한 제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현재까지 임상에서 완치되기 어려운 질환인 원발성 간내 담석을 용해할 수 있는 접촉성 용해제를 개발하고자 여러가지 용해제를 시도한 결과 기지의 물질인 에탄올아민이 이미 알려진 용해제에 비해 획기적으로 담석을 용해하는 효과가 탁월함을 최초로 밝혀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원발성 간내 담석을 포함하는 담석의 치료에 경피적으로 주입되는 접촉성 용해제로서의 에탄올아민의 용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에탄올아민(ethanolamine)은 아민 계통의 약품으로, 모노-에탄올아민(MEA)은 약간의 인체 독성을 지니므로 간 , 신장에 손상을 주며 30%이상의 농도에서 피부자극 효과를 나타내고 지금까지 비누, 세제 및 광택을 내는 원료로 이용되어 왔다(Smith et al., J, Industrial Hygiene and Toxicology 23: 259-268, 1941). 모노-에탄올아민의 정확한 구조식은 HOCH2CH2NH2로서 맑은 액체이며 끓는 점이 170.5℃이고 비중은 1.0179 이며 물과 친화성이 크다. 다이-에탄올아민(DEA)은 모노-에탄올아민과 같은 약간의 독성을, 트리-에탄올아민(TEA)은 실제상은 거의 독성이 없으며 세제, 유화제, 상업적인 화장품(cosmetics) 원료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실험 쥐에게 경구 투여시 측정한 LD50은 MEA의 경우 2.74g/kg, DEA의 경우 1.82g/kg 그리고 TEA의 경우 9.11g/kg 라고 보고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20% MEA 농도에서 실험 쥐의 LD50은 10.2g/kg로 알려져 있다. 에탄올아민은 아직까지 담석 용해의 목적으로는 보고된 바가 없고 임상에서 다이-에탄올아민을 이용하여 위석(gastric bezoar)을 용해하고자 경구 투여된 적이 있었으나 이를 접촉성 용해제로서 경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최초이다(Grzebieniak et al., Mykosen 23(9): 530-534, 1980).
간내 담석중 갈색석의 주성분은 빌리루빈산 칼슘이고 혼합석의 주성분은 콜레스테롤이고 또한 갈색석의 경우 빌리루빈산 칼슘이외에 콜레스테롤, 단백질, 지방산 등이 유기 매트릭스(organic matrix)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내 담석의 용해하는 접촉성 용해제로는 빌리루빈산 칼슘 내의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을 제거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이온 착화합물, 담석의 기질을 구성하는 뮤신 단백의 S-S 결합을 해리시켜 담석을 용해하는 사이올 제제, 빌리루빈을 녹이는 빌리루빈 용해제 그리고 콜레스테롤 용해제로 나누어 그 효과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는 착화합물로서 EDTA를, 세제로서 토로콜릭산(taurocholic acid)을, 사이올 제제로서 N-아세틸시스테인(N-acetylcystein, NAC)을, 빌리루빈 용해제로서 DMSO를 그리고 콜레스테롤 용해제로서 MTB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모노-에탄올아민에서의 용해 효과와 비교한다(제1도 및 제2도). 이 때 모노-에탄올아민의 결석 용해 효과 뿐만 아니라 위에 기술한 각 용해제에 에탄올아민을 추가한 결석 용해도도 나타낸다.
표 1과 표 2에서 보듯이 갈색석과 혼합석 모두에 있어서 모노-에탄올아민의 용해 효과가 위에 기술한 기지의 용해제의 효과에 비해 탁월하다.
체외에서 직접 접촉성 용해제를 이용한 결석 용해 효과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결석이 녹은 용액 중에 콜레스테롤, 빌리루빈,단백질 등을 측정하거나 또는 담석의 작은 절편을 용해제로 녹인 후 특수한 염색을 이용하여 담석내에서 어느 성분이 녹았는지를 관찰하는 확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보통의 경우 용해제 투여 전후의 담석의 건조 중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경피적으로 용해제를 주입하는 경우 중재적 방사선학적 또는 담도경적 결석 제거술이 병용되므로 결석의 크기로도 용해 효과를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간내 담석을 갈색석(제3도)과 혼합석(제5도)으로 세별한 후 각각의 군에서 접촉성 용해제의 효과를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용해 효과는 용해제 처리 전후의 결석의 건조 중량의 변화와 결석의 직경의 크기를 측정하여 조사한다(제4도 및 제6도).
그러나 같은 용해제를 이용하더라도 외국의 용해 성적과 국내의 성적이 다를 수 있는데, 이는 갈색석이라 하더라도 구체적인 성분의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서양의 경우 갈색석이 대부분 담낭 절제 후 총 담관에서 생긴 결석인데 비해 국내에서는 서양에서 매우 드문 경우인 간내 담석이다. 간내 담관에서 발생한 갈색석은 간외 담관에서 발생한 갈색석에 비하여 담석내에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고 빌리루빈의 함량이 낮다(Yamashita et al., Dig. Dis. Sci. 33: 449-453, 1988; Kobayashi A. and Tanimura H. J. Biliary Tract Pancreas 5: 1609-1613, 1984).
용해 효과를 조사할 때 용해제 주입시의 조건들이 중요한데, 용해시 담석을 온전한 상태로 이용하였는지 아니면 결석 가루나 원판을 만들어 용해제와 접촉시켰는지에 따라서 용해 성적이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용해제의 교환 여부, 시험관을 가만히 놔두었는지 또는 가볍게 흔들어 주었는지 등에 따라 용해 효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용해 효과의 비교시 이를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에탄올아민은 모노-에탄올아민 뿐만 아니라 모든 에탄올아민류를 포함할 수 있으며, 50%이하의 농도를 갖는 용액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해제는 간내 담석 뿐만 아니라 경피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여러 기관에서 발생하는 결석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노-에탄올아민은 경피적으로 카테타를 통해 10 -30m1/시간 이하의 속도로 3시간까지 투여할 수 있다. 그 이상의 투여 양에서는 독성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체외에서의 결석 용해 효과)
본 발명에서는 다음의 접촉성 용해제들을 함께 이용하여 모노-에탄올아민의 결석 용해 효과를 실험하였다. 첫째, 칼슘과 결합하여 칼슘을 제거하는 용도로 이용되는 1%, pH9.0의 EDTA(시그마사 제품); 둘째, 세제(detergent)로서 작용을 하는 1% 토로콜릭산(시그마사 제품): 세째, 뮤신(mucin) 단백을 용해하는 2% N-아세틸시스테인(NAC, 시그마사 제품): 네째, 빌리루빈을 용해하는 원액 DMSO(시그마사 제품): 다섯째, 콜레스테롤을 용해하는 원액 MTBE(Merck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이 때 에탄올아민으로는 20%의 모노-에탄올아민을 사용하였다.
(1-1) 건조 중량의 변화로 본 용해 효과
모노-에탄올아민의 결석 용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시험관에 담석과 5ml의 용해제를 넣고 실온에서 가볍게 흔들어 주면서 용해제를 2시간마다 교환해 주었다. 용해 효과는 건조 중량의 변화 및 결석 크기의 변화로 판정하였다.
용해가 시작된 후 24시간까지의 결과를 살펴보면 갈색석과 혼합석 모두에서 모노-에탄올아민의 용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는데, 갈색석의 경우는 용해전의 건조 중량의 45%가 녹지 않고 남고 혼합석의 경우는 21%가 녹지 않고 남았다.
건조 중량에 대한 중량 변화(%)로서 갈색석과 혼합석의 결석 용해도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2) 결석 직경으로 본 용해 효과
각 결석 용해제에 의한 용해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결석의 직경 변화를 살펴보았다. 용해전 결석의 직경은 갈색석이 평균 10.1±1.2mm, 혼합석이 8.0±1.7mm 이었으나, 갈색석과 혼합석 모두에서 모노-에탄올아민을 사용한 경우 용해 후 24시간에도 녹지 않고 남아있는 결석 조각들의 직경이 2mm 이하였다. 그러나 모노-에탄올아민을 제외한 다른 용해제들은 녹지 않고 남아있는 결석 직경이 3mm 이상으로서 결석 직경의 변화로 볼 때 모노-에탄올아민이 가장 우수하였다.
(1-3) 모노-에탄올아민 단독 또는 모노-에탄올아민과 다른 용해제를 혼합한 경우의 용해 효과
모노-에탄올아민을 단독으로 이용했을 때와 모노-에탄올아민에 위에서 열거한 용해제를 하나씩 함께 혼합했을 때의 용해 효과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용해 결과는 모노-에탄올아민만을 가한 결과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동물을 이용한 독성 실험)
접촉성 용해제의 생체내에서의 독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동물 실험을 수행하였다(제8도). 실험은 잡견(평균 무게 30kg) 5마리를 이용하였으며 개복 후 담낭에 카테타를 위치시킨 후 모노-에탄올아민을 25ml/시간의 속도로 3시간 동안 투여하였다. 용해제 주입전과 주입이 완료된 후 혈액학적 검사와 담낭(제8도), 십이지장(제9도) 그리고 간(제10도)에서 각각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모노-에탄올아민이 이들 기관에 미치는 혈액학적 및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2-1) 접촉성 용해제 투입 전후의 조직학적 변화
모노-에탄올아민 투입 전후에 실험 개에서 나타나는 담낭, 십이지장, 및 간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했을 때 뚜렷한 염증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2-2) 접촉성 용해제 투입 전후의 혈액학적 변화
모노-에탄올아민 투입 전후에 실험 개에서 나타나는 백혈구, 혈색소 및 간 기능 검사 소견은 표 3에서 보듯이 용해제 투여 전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기한 실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노-에탄올아민는 기존의 접촉성 용해제인 DMSO, EDTA, MTBE, N-아세틸시스테인,토로콜릭산 등과 비교했을 때 훨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사용시의 독성도 심하지 않으므로 결석 제거에 매우 유용하다.
이제까지의 경피적 경로를 통한 결석 제거술은 담도의 협착이 심한 경우, 결석이 담도 등을 막고 있는 경우, 간내 담도에 기형 또는 변형이 존재하는 경우 등에서 결석 제거 효과가 매우 저조하였는데, 본 발명의 에탄올아민의 담도내 주입 방법은 수술없이 직접 담석을 용해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도경이나 중재적 방사선학적 결석 제거술과 병용할 수 있으므로 원발성 간내 담석 등의 치료제로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모노-에탄올아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접촉성 담석 용해제.
  2. 제1항에 있어서, 모노-에탄올아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원발성 간내 담석 용해제.
  3. 제1항에 있어서, 모노-에탄올아민은 50% 이하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성 담석 용해제.
  4. 제3항에 있어서, 모노-에탄올아민은 20%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성 담석 용해제.
  5. 제1항 내지 제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노-에탄올아민에 더하여 EDTA(1%, pH 9.0), 토로콜릭산(1%), N-아세틸시스테인(2%), DMSO, MTBE 중에서 선택되어지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성 담석 용해제.
  6. 기존의 담도경 요법과 중재적 방사선 요법을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에탄올아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접촉성 담석 용해제.
KR1019960001448A 1996-01-24 1996-01-24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KR0167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448A KR0167043B1 (ko) 1996-01-24 1996-01-24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448A KR0167043B1 (ko) 1996-01-24 1996-01-24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10A KR970058710A (ko) 1997-08-12
KR0167043B1 true KR0167043B1 (ko) 1999-01-15

Family

ID=1944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448A KR0167043B1 (ko) 1996-01-24 1996-01-24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7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844B1 (ko) 2016-09-20 2020-02-2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석 용해제를 포함하는 담낭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710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ray Heparin in thrombosis and embolism
Bertani et al. Tubulo-interstitial lesions mediate renal damage in adriamycin glomerulopathy
CN103118683B (zh) 重建高密度脂蛋白制剂及其生产方法
Igimi et al. The use of d-limonene preparation as a dissolving agent of gallstones
JPH0813742B2 (ja) 血液凝固阻止剤
Calne et al. Renal transplantation in man
KR0167043B1 (ko) 담석의 접촉성 용해제
JP2000026300A (ja) 血管内皮細胞保護医薬組成物
Cannon et al. The distribution of urate in human and primate kidney
Somayaji et al. Norethisterone jaundice in two sisters.
Gomez et al. Protective action of luminal bile salts in necrotizing acute pancreatitis in mice.
JPH0558900A (ja) 胆石崩壊剤
Motson Dissolution of common bile duct stones
Calne et al. Cyclosporin A in patients receiving renal allografts from cadaver donors. 1978.
JPS638337A (ja) 抗血液凝固剤
JPH02134321A (ja) 変形関節炎治療用薬剤を製造するための6―ハロ―4―キノロン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薬学的組成物の使用
RU2112504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лечения заболеваний предстательной железы "витапрост"
Takizawa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the repeat dose toxicity of grepafloxacin and a number of other fluoroquinolones in rats
JPS6355489B2 (ko)
Leuschner et al.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Investigations of the Toxicity of a Capmul Preparation and a Bile Salt--EDTA Solution in Patients with Bile Duct Stones.
JPH03284620A (ja) 腸管洗浄用組成物
Chiba et al. Reconstruction of intrahepatic bile ducts in congenital biliary atresia
Farman 5 ANAESTHESIA FOR TRANSPLANT SURGERY
ES2730943T3 (es) Fármaco para tratar lesiones hepáticas causadas por la acción de agentes químicos o biológicos
Levin Death due to gangrenous cholecystitis and peritonitis following unrelated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