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897B1 -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 Google Patents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897B1
KR0166897B1 KR1019950014660A KR19950014660A KR0166897B1 KR 0166897 B1 KR0166897 B1 KR 0166897B1 KR 1019950014660 A KR1019950014660 A KR 1019950014660A KR 19950014660 A KR19950014660 A KR 19950014660A KR 0166897 B1 KR0166897 B1 KR 0166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ct
block
output
class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885A (ko
Inventor
전형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4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897B1/ko
Priority to US08/658,830 priority patent/US5845014A/en
Publication of KR970004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2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ccording to a given display mode, e.g. for interlaced or progressive display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8×8 DCT 또는 2×4×8 DCT 블럭에 따른 클래스 결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블럭 구조로 변환하는 블럭화 회로와, 상기 블럭화된 디지털 화상 신호의 정지/움직임을 검출하고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결정부와, 상기 모드 결정부의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블럭화 회로에서 출력되는 블럭에 대해 8×8 DCT 또는 2×4×8 DCT변환하는 DCT회로와, 상기 모드 결정부에서 출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라 DCT 데이타 계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DCT회로에서 8×8 DCT 블럭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8×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으로 데이타를 스캔하고, 2×4×8 DCT 블럭이 출력되면 2×4×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으로 데이타를 지그재그 스캔하는 스캔부와, 상기 스캔부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계수값을 소정개의 문턱값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 회로와, 상기 비교 회로에서 출력되는 비교값에 따라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래스 결정부로 구성되어 8×8 DCT 블록과 2×4×8 DCT 블럭에 따라 다르게 발생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를 이용하여 해당 블럭의 클래스를 결정함으로써, 2×4×8 DCT 블럭의 수평 에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한다.

Description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
제1도는 (a)는 일반적인 8×8 이산여현변환(DCT)계수 패턴을 나타낸 약선도.
(b)는 일반적인 2×4×8 액티비티(Activity)검출형태 패턴을 나타낸 약선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8×8 DCT 또는 2×4×8 DCT에서 발생하는 계수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3도는 상기 제1도의 8×8 DCT 블럭에서 액티비티 검출 영역을 표시하는 약선도.
제4도는 본 발명의 DCT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를 나타낸 블럭도.
제5도는 상기 제4도의 클래스 결정에 이용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을 나타낸 약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럭화 회로 20 : 모드 결정부
30 : 이산여현변환(DCT)부 40 : 제어부
50 : 스캔부 60 : 비교 회로
61 : 최대값 출력부 62 : 제1비교기
63 : 제2비교기 64 : 제3비교기
70 : 클래스 결정부
본 발명은 이산여현변환(Discrete Cosine Transform ; 이하, DCT라 칭함.) 블럭에 따른 클래스 결정 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이 다르게 발생하는 8×8 DCT 블럭과 2×4×8 DCT 블럭의 클래스를 각 블럭의 DCT 계수에 따라 결정하여 에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DCT 블록 클래스 결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화상 전송 장치에서 DCT란 영상 데이터의 공간 중복성(Spatial Redundancy)을 제거하기 위하여 영상을 공간 영역으로부터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하는 방법으로서, 한 화면에서 서로 인접한 화소끼리는 거의 비슷한 값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 공간 중복성 개념이 나왔다.
여기서, DCT가 수행되면 공간 주파수에 대응한 편중이 생겨 구해진 계수값들의 상관 관계가 적고 에너지가 저주파 쪽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보인다. 이는 고주파 부분의 정부, 즉 영상에서 화소간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부분(에지가 많은 부분 : 얼굴의 경계선, 코 경계선, 흩날리는 머리카락등)을 버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8×8 DCT뿐만 아니라 움직임이 큰 블럭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2×4×8 DCT를 사용한다. 제1도 (a)는 8×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서, 좌측 맨 위에 DCT값이 있고 우측과 아래로 내려가면서 고주파 계수가 있게 된다.
또한, 제1 (b)는 2×4×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측4×8블럭에는 필드간 합에 대한 주파수 값이 있고 하측 4×8 블록에는 필드간 차에 대한 주파수 값이 있다. 즉, 2×4×8 DCT는 4×8 액티비티 검출 형태를 2개 합친 형태를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이 DCT된 블럭은 액티비티(Activity)를 측정하여 클래스(Class)를 4단계로 결정한다.
이때, 액티비티가 작은 블럭에 대해서는 낮은 클래스를 할당하고 낮은 양자와 폭을 가지게 함으로서 세밀하게 부호화하고, 액티비티가 높은 블럭에 대해서는 높은 클래스를 할당하고 큰 양자화 폭을 가지게 함으로서 화질의 열화가 크지 않는 높은 부호화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에지가 있는 블럭은 높은 클래스를 할당하여 큰 양자화 쪽으로 부호화하면 화질의 왜곡이 눈에 띄게 된다.
즉, 전체적으로 복잡한 모양의 블럭은 높은 클래스를 할당하여도 괜찮으나, 에지 모양을 가진 블럭은 에지의 모양을 고려하여 클래스를 할당하여야 한다.
제2도는 세가지 형태의 에지와 이 에지 블럭을 8×8과 2×4×8 DCT 했을 때 나타나는 계수 패턴을 나타낸 것으로서, 빗금친 부분이 큰 값을 나타내고 나머지 부분은 0에 가까운 값을 의미한다.
즉, 제2도 (a)와 같이 수직 방향의 에지가 포함된 블럭을 DCT 변환하면 제1행만으로 계수 데이타가 발생하며, 이것은 8×8 DCT와 2×4×8 DCT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행의 계수 데이타는 액티비티 검출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또한, 제2도 (b)와 같이 수평 방향의 에지가 포함된 블럭을 DCT 변환하면 제1열만으로 계수 데이타가 발생하며, 이것은 역시 8×8 DCT와 2×4×8 DCT가 동일하다. 따라서, 제1열의 계수 데이타는 액티비티 검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한편, 제2도 (c)와 같이 수직 방향의 에지를 포함한 화상에 약간의 움직임이 있고 프레임내 DCT(8×8 DCT)가 될 때는 수직 방향의 고주파 성분이 증가하고 좌하코너의 계수 데이타 값이 크게 된다. 이 결과 제3도 (a)에 표시한 액티비티 검출대상 범위가 설정된다.
그러나, 상기 제2도 (c)와 같은 에지 화상을 2×4×8 DCT 변환하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행으로 계수 데이타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것은 8×8 DCT 변환했을때와 계수 패턴이 전혀 다르며 상기 2개 행의 계수 데이타는 액티비티 검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즉, 제3도 (a) 및 (b)는 상기 제2도 (c)의 에지 블럭을 8×8 DCT 변환했을 때 액티비티 결정에 이용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빗금친 부분의 위치의 액티비티 검출형태는 액티비티 판정에 이용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용하지 않는다.
이상에서와 같이 8×8 DCT 블럭과 2×4×8 DCT 블럭의 계수 패턴은 에지 모양에 따라 각각 다르게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지 않고 8×8DCT 블럭과 2×4×8 DCT 블럭의 액티비티를 8×8 DCT데이타 계수를 이용하여 결정함으로써, 2×4×8 DCT 블럭의 경우 수평 에지의 열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8×8 DCT 블럭과 2×4×8 DCT블럭에 따라 액티비티를 다르게 결정함으로써,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DCT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DCT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의 특징은, DCT된 디지털 화상 신호 블럭의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래스 결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블럭 구조로 변환하는 블럭화 수단과, 상기 블럭화된 디지털 화상 신호의 정지/움직임을 검출하여 8×8 DCT 모드 또는 2×4×8 DCT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결정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의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블럭화 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럭에 대해 8×8 DCT 또는 2×4×8 DCT 변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DCT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에서 출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라 DCT된 데이타 계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DCT 수단에서 8×8 DCT 블럭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8×8 액티비티 패턴으로 데이타를 지그재그 스캔하고, 2×4×8 DCT 블럭이 출력되면 2×4×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으로 데이타를 지그재그 스캔하는 스캔 수단과, 상기 스캔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계수값을 소정개의 문턱값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 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서 출력되는 비교값에 따라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래스 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DCT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의 블럭도이다.
제4도를 보면,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블럭(예컨데, 8×8 DCT 블럭) 구조로 변환하는 블럭화 회로(10)에는 상기 블럭화 회로 (10)에서 출력되는 블럭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DCT 선택 모드 신호를 출력하는 모드 결정부(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블럭화 회로(10)에는 상기 모드 결정부(20)에서 출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블럭화 회로(1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8×8 DCT 또는 2×4×8 DCT 변환하는 DCT 회로(3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모드 결정부(20)에는 8×8 DCT 또는 2×4×8 DCT 변환에 따라 달라지는 계수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40)가 연결되고, 상기 DCT 회로(30)에는 상기 제어부(40)의 제어 신호에 따라 8×8 DCT된 데이타 계수 또는 2×4×8 DCT된 데이타 계수 패턴으로 상기 DCT 회로(3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를 지그재그 스캔하는 스캔부(50)가 연결된다.
상기 스캔부(50)에는 스캔부(50)을 통해 출력되는 데이타 계수값과 적어도 2개 이상의 문턱값과를 비교하여 해당 비교값을 출력하는 비교 회로(60)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 회로(60)에는 상기 비교값에 따라 액티비티를 판정하고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랜스 결정부(7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비교 회로(60)는, 상기 스캔부(50)에서 출력되는 8×8 DCT된 데이타 계수 또는 2×4×8 DCT된 데이타 계수의 절대값이 가장 큰 값을 출력하는 최대값 출력부(61)와, 상기 최대값 출력부(61)의 출력과 제1문턱값(TH1)을 비교하는 제1비교기(62)와, 상기 최대값 출력부(61)의 출력과 제2문턱값(TH2)을 비교하는 제2비교기(63)와, 상기 스캔부(50)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계수중 DC를 제외한 모든 AC계수들을 제3 문턱값(TH3)과 비교하는 제3비교기(64)로 구성된다.
제5도는 상기 스캔부(50)를 통해 출력되는 DCT데이타 계수로서, 제5도는 (a)는 직류 성분이외의 전체 계수 데이타이고, 8×8 DCT와 2×4×8 DCT가 같으며 비교 회로(60)의 제3비교기(64)로 출력된다. 또한, 제5도 (b)는 상기 제2도(c)와 같은 에지 블럭을 8×8 DCT 변환했을 때 나타나는 데이타 계수 패턴이고, 제5도(c)는 상기 제2도 (c)와 같은 에지 블럭을 2×4×8 DCT 변환했을 때 나타나는 데이타 계수 패턴으로서, 상기 스캔부(50)에 의해 지그재그 스캔되어 최대값 출력부(61)로 제공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입력 단자(1)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비데오 데이타는 블럭화 회로(10)에서 두 필드로 구성된 한 프레임의 영상을 소정 블럭 예컨대, 8×8 DCT 블럭의 구조로 변환하여 모드 결정부(20)와 DCT회로(30)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모드 결정부(20)는 상기 블럭화 회로(10)에서 출력되는 블럭의 움직임을 검출한다.
이때, 상기 모드 결정부(20)는 상기 블럭화 회로(10)에서 출력되는 블럭이 움직임이 없는 정지 화상이라고 판정되면 상기 DCT회로(30)와 제어부(40)로 8×8 DCT 모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블럭에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되면 2×4×8 DCT 모드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DCT회로(30)는 상기 모드 결정부(20)로부터 8×8 DCT 모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블럭화 회로(10)에서 출력되는 블럭에 대해 8×8 DCT 변환을 수행하고, 2×4×8 DCT 모드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블럭에 대해 2×4×8 DCT 변환을 수행하여 스캔부(50)로 출력한다.
즉, DCT 회로(30)에서 소정 블럭에 대해 8×8 또는 2×4×8 DCT가 이루어지면 8×8의 계수 데이타(즉, 직류분 DC, 교류분 AC의 계수 데이타)가 제5도(a)와 같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DCT회로(30)에서 발생한 8×8 계수 데이터내의 직류분 DC는 액티비티 결정에서 제외되고, 직류분을 제외한 63개의 교류분 AC만이 비교 회로(60)의 제3비교기(64)로 제공되어 액티비티 결정에 이용된다.
한편, 상기 스캔부(50)는 제어부(40)에서 8×8 DCT 모드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DCT회로(30)에서 출력되는 8×8 DCT 블럭의 교류분이 계수 데이타를 차수가 낮은 교류분에서 높은 쪽으로 지그재그 스캔하고, 상기 제어부(40)에서 2×4×8 DCT 모드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DCT 회로(30)에서 출력되는 2×4×8 DCT 블럭의 교류분의 계수 데이타를 차수가 낮은 교류분에서 높은 쪽으로 지그재그 스캔하여 비교 회로(60)로 출력한다.
만일, 8×8 DCT 모드일 경우, 제5도(a)와 같은 직류 성분이외의 전체 AC 계수 데이타는 제3비교기(64)로 출력되어 제3문턱값(TH3)과 비교된다. 그리고, 제5도(b)와 같은 액티비티 검출형태는 최대값 출력부(61)로 제공되고, 최대값 출력부(61)는 익력된 계수값들 중 절대치값이 가장 큰 값을 제1, 제2 비교기(62,63)로 출력하여 제1, 제2 문턱값(TH1, TH2)과 각각 비교한다.
여기서, 제5도(b)와 같은 액티비티 검출형태는 상기 제2도(c)와 같은 에지가 있는 블럭을 8×8 DCT 변환했을 때 나타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이다.
이때, 클래스 결정부(70)는 상기 제3비교기(64)로 제공되는 데이타 계수에 제3문턱값(TH3)보다 높은 계수가 존재하면, 그 블럭은 무조건 클래스 3으로 결정한다. 한편, 제3비교기(64)로 제공되는 데이타 계수에 제3문턱값(TH3)보다 높은 계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5도(b)와 같이 입력된 데이타 계수에 제2비교기(63)의 제2 문턱값(TH2)보다 높은 계수가 존재하면 상기 클래스 결정부(70)는 그 블럭을 클래스 2로 결정하고, 상기 제2문턱값(TH2)보다는 낮고, 제1비교기(62)의 제1문턱값(TH1)보다는 높으면 클래스 1로 결정하며, 제1문턱값(TH1)보다 낮으면 클래스 0으로 결정한다.
즉, 8×8 DCT 블록인 경우, 제5도(a)에 표시된 계수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3문턱값(TH3)보다 큰 값이 있으면 가장 높은 액티비티를 가진 클래스 3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5도(b)에 표시된 계수들을 제2, 제1문턱값(TH2, TH1)과 비교하여 클래스 0,1,2를 결정한다.
여기서, 문턱값(TH1, TH2,TH3)들은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게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0 TH1 TH2 TH3 255
여기서, 클래스 0가 가장 액티비티가 작고, 1,2,3 순으로 액티비티가 높다. 한편, 2×4×8 DCT 모드일 경우, 제5도(a)와 같은 직류 성분이외의 전체 AC 계수 데이타는 제3비교기(64)로 출력되어 제3문턱값(TH3)과 비교된다. 그리고, 제5도(c)와 같은 액티비티 검출형태는 최대값 출력부(61)로 제공되고, 최대값 출력부(61)는 입력된 계수값들 중 절대치값이 가장 큰 값을 제1,제2비교기(62,63)로 출력하여 제1,제2문턱값(TH1,TH2)과 각각 비교한다. 여기서, 제5도(c)와 같은 액티비티 검출형태는 상기 제2도(c)와 같은 에지가 있는 블록을 2×4×8 DCT 변환했을 때 나타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이다.
이때, 클래스 결정부(70)는 상기 8×8 DCT 모드일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5도(a)에 표시된 계수들 중 어느 하나라도 제3비교기(64)의 제3문턱값(TH3)보다 큰 값이 있으면 가장 높은 액티비티를 가진 클래스3으로 분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5도 (c)에 표시된 계수들을 제2, 제1비교기(63, 62)의 제2, 제1문턱값(TH2,TH1)과 비교하여 클래스 0,1,2를 결정한다.
따라서, 상기 클래스 결정부(70)에서 결정된 클래스는 상기 DCT 블럭을 양자화할 경우 최적의 양자화가 이루지도록 한다.
이때, 양자화는 상기 클래스 결정부(70)에서 결정된 클래스와 양자화 스텝을 이용하여 상기 DCT를 거친 데이타들을 제한된 비트수로 표시함으로써 데이타 양을 줄이는 과정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DCT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에 의하면, 8×8 DCT 블럭과 2×4×8 DCT 블럭에 따라 다르게 발생되는 액티비티 검출형태를 각각 소정의 문턱값과 비교하여 해당 블럭의 클래스를 결정함으로써, 2×4×8 DCT 블럭의 수평에지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화질의 열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이산여현변환(DCT)된 디지털 화상 신호 블럭의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래스 결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화상 신호를 소정의 블럭 구조로 변환하는 블럭화 수단과, 상기 블럭화된 디지털 화상 신호의 정지/움직임을 검출하여 8×8 DCT 모드 또는 2×4×8 DCT 모드 신호를 발생하는 모드 결정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의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블럭화 수단에서 출력되는 블럭에 대해 8×8 DCT 또는 2×4×8 DCT 변환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이산여현변환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에서 출력되는 모드 신호에 따라 이산여현변환된 데이타 계수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상기 모드 결정 수단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산여현변환 수단에서 8×8 DCT 블럭이 출력되면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의해 8×8 액티비티 검출형태 패턴으로 데이타를 지그재그 스캔하고, 2×4×8 DCT 블럭이 출력되면, 2개의 영역의 블럭으로 분리하여 분리된 영역별로 각각 액티비티를 검출하는 액티비티 검출수단과, 상기 스캔 수단에서 출력되는 데이타 계수값을 소정개의 문턱값과 각각 비교하는 비교수단과, 상기 비교 수단에서 출력되는 비교값에 따라 클래스를 결정하는 클래스 결정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비티 검출수단은, 2×4×8 DCT 블럭 모드 결정시 한 블럭내에 수평으로(상하) 2등분하여 주는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 회로.
KR1019950014660A 1995-06-02 1995-06-02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KR0166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660A KR0166897B1 (ko) 1995-06-02 1995-06-02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US08/658,830 US5845014A (en) 1995-06-02 1996-05-31 Circuit for deciding DCT block c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660A KR0166897B1 (ko) 1995-06-02 1995-06-02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85A KR970004885A (ko) 1997-01-29
KR0166897B1 true KR0166897B1 (ko) 1999-03-20

Family

ID=19416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660A KR0166897B1 (ko) 1995-06-02 1995-06-02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845014A (ko)
KR (1) KR01668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66A (ko) 2018-01-13 2019-08-12 고창용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환경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9029A (en) * 2003-12-11 2005-06-15 Sony Uk Ltd Face detection
US7315661B2 (en) * 2004-04-01 2008-01-01 Mediatek Inc. Directional interpolation method using DCT information and related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090B2 (ja) * 1992-02-28 1996-09-04 三星電子株式会社 映像信号符号化装置
JP2940304B2 (ja) * 1992-06-15 1999-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能率符号化装置および高能率符号化方法および高能率符号化装置の復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766A (ko) 2018-01-13 2019-08-12 고창용 가축분뇨 처리시설의 환경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885A (ko) 1997-01-29
US5845014A (en) 1998-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39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движущихся изображений
US7203234B1 (en) Method of directional filtering for post-processing compressed video
US5369439A (en) Orthogonal transform encoder using DC component to control quantization step size
US6226050B1 (en) Signal adaptive filtering method for reducing ringing noise and signal adaptive filter
JP5391290B2 (ja) テクスチャレベルに基づく量子化調整
JP5039777B2 (ja) Dcシフトアーチファクトに対する量子化調整
JP4455487B2 (ja) 復号化装置及び復号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6845180B2 (en) Predicting ringing artifacts in digital images
KR20040006065A (ko) 장면전환검출장치 및 그 방법
US5387938A (en) Adaptive interframe/intraframe block 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5602591A (en) System for generating a weighting coefficient using inter-frame difference signals at a center pixel for detecting motion information and at pixels surrounding the center pixel and quantizing the difference signal at the center pixel
JP200517607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KR100204069B1 (ko) 적응적인 양자화 조절 기능을 갖는 개선된 영상 부호화 시스템 및 그 양자화 제어방법
KR100708202B1 (ko) 블록킹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 방법
JP4235162B2 (ja)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0166897B1 (ko) 이산여현변환 블럭 클래스 결정회로
US6456655B1 (en) Image encoding using activity discrimination and color detection to control quantizing characteristics
JPH0884342A (ja) 映像信号復号化装置
JP2507215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H047989A (ja) 画像信号符号化制御方式
JP3517455B2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2502862B2 (ja) 画像符号化方法及び画像符号化装置
KR0129578B1 (ko) 적응적 변환 부호화를 위한 영상블록 분할 방법
JPH0284894A (ja) 画像符号化方式
JPH07123274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