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6594B1 - 벨트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594B1
KR0166594B1 KR1019910004275A KR910004275A KR0166594B1 KR 0166594 B1 KR0166594 B1 KR 0166594B1 KR 1019910004275 A KR1019910004275 A KR 1019910004275A KR 910004275 A KR910004275 A KR 910004275A KR 0166594 B1 KR0166594 B1 KR 0166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shaft
belt
shaft
drive shaft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589A (ko
Inventor
료오이치 노무라
켄지 니시카와
Original Assignee
켄지 니시카와
엔 아이 씨 오오토텍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74276A external-priority patent/JP2540469B2/ja
Application filed by 켄지 니시카와, 엔 아이 씨 오오토텍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켄지 니시카와
Publication of KR91001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Drives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구동장치와, 이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자유회전가능한 종동축과, 상기한 구동축을 일단부에 보유하는 구동축측 기재와, 상기 종동축을 일단부에 보유하며, 상기한 구동축측 기재와는 독립적으로 대향 설치된 종동축측 기재와, 상기한 구동측과 종동축 사이에 걸쳐진 벨트와, 대향하는 상기한 각 기재를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장치와, 상기한 종동축측 기재를 부세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서, 벨트에 항상 소정의 장력이 걸려 벨트가 느슨해지거나 출렁거리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내는 부분파단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벨트 2,42 : 구동축
3 : 종동축 4 : 구동기어장치
7,47 : 구동축측 기재 8 : 종동축측 기재
10 : 코일스프링 11 : 투과구멍
12,13 : 가이드바아 35 : 에어실린더
43 : 제1종동축 45 : 제2종동축
본 발명은, 자동조립기계에 사용되어, 부품을 벨트위에 적재하여 반송하는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계의 자동조립기나, 전자부품의 자동공급장치에 사용되는 벨트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어 기계부품을 조립장치로 운반하는 벨트컨베이어는, 길이가 긴 기재(基材)의 양단에 구동축과 종동축이 각각 지지부재에 의해 부착되고, 이 양축 사이에 벨트가 설치되어 있었다. 이 벨트는, 항상 소정의 장력으로 팽팽하게 되어 있지 않으면, 벨트의 플래핑(flapping)이나 슬립(slip)이 생겨 부품공급에 지장을 발생하고, 벨트컨베이어 자체에 있어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 벨트의 장력조절은 극히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벨트는, 사용함에 따라 늘어나므로, 통상 소정기간마다 벨트컨베이어를 정지시킨 다음 장력조절을 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된 벨트의 장력조절기구는, 상기한 종동축이 부착된 지지부재 또는 상기한 기재의 일부를, 상기한 기재에 대하여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한 구동축과 종동축의 축간거리를 길게 하여, 소정의 장력으로 벨트를 팽팽하게 조절하고, 그 상태에서 볼트로 상기한 지지부재 또는 기재를 고정한다라는 것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 일단 장력조절을 하여도 벨트는, 사용함에 따라서 서서히 늘어나고, 또한 볼트의 풀림이나 지지부재 등의 이완에 의하여 장력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필연적으로 약해진다. 그리고, 벨트의 장력이 약해진 경우, 종래는 일일이 벨트컨베이어를 멈추고, 볼트를 풀어서 상기한 지지부재를 미끄럼이동시킨 후, 다시 벨트를 팽팽하게 하고, 재차 볼트를 조이지 않으면 안되는 극히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특히, 벨트컨베이어가 조립기계의 가운데까지 깊숙이 들어가 있는 경우나, 복잡한 기계 사이에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재조절이 극히 어려워 공수(工數)가 많이 소요되었다.
또, 벨트컨베이어의 설치공간이 일정하여 여유가 없는 경우나, 벨트컨베이어의 장력조절부가, 다른 벨트컨베이어 또는 기타의 부재와 접근하고 있는 경우는, 벨트가 늘어난만큼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를 신장하는 공간이 없어, 간단하게 벨트컨베이어의 길이를 늘일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장력조절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고, 항상 강한 장력으로 벨트를 팽팽하게 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컨베이어 길이를 바꾸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장력조절이 가능한 벨트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벨트를 설치한 구동축 및 종동축이 부착되어 있는 기재(基材)를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대향하는 상기한 각 기재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장치가 상기한 각 기재 사이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기재를 상기한 부세장치의 부세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벨트컨베이어이다.
또, 본 발명은, 벨트가 설치되는 구동측과 종동축의 간격을, 일정하게 고정해서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한 구동측과 종동축의 한쪽 근방에, 상기한 벨트가 설치되는 제2종동축을 설치하고, 이 제2종동축을 보존유지하고 있는 제2종동축측 기재를 상기한 벨트의 대략 진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보존유지하고, 상기한 제2종동축측 기재를 벨트진행방향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장치를 설치하여, 상기한 제2종동축측 기재를 부세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벨트컨베이어이다.
[실시예]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실시예는 기계부품을 운반하는 소형의 벨트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내유성(耐油性)의 벨트(1)가 구동축(2)과 종동축(3)에 설치된 각 로울러(2a),(3a)사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이 구동축(2)에는, 구동장치인 구동기어장치(4)가 접속되고, 구동기어장치(4)는 모우터(5)와 접속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2)은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를 보유하는 지지부재(6)에 축지지되고 지지부재(6)가 이들을 지지하는 구동축측 기재(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축측 기재(7)의 선단면(7a)레 대향하여 소정 간격을 두고, 종동국축 기재(8)가 설치되고, 종동축측 기재(8)에 종동축(3)을 도시하지 않은 축받이에 의해 축지지한 지지부재(9)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축측 기재(7)와 종동축측 기재(8)사이에는, 상기한 양쪽 기재를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는 코일스프링(10)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축측 기재(7)와 종동축측 기재(8)의 4귀퉁이에는 투과구멍(11)이 형성되고, 이 투과구멍(11)에, 단면이 원형인 가이드바아(12)가 각각 끼워져 있다. 이 가이드바아(12)는, 종동축측 기재(8)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은 핀 등으로 고정되고, 구동축측 기재(7)의 투과구멍(11)에 대해서는 미끄럼 자재하게 끼워져 있다. 또, 4개의 가이드바아(12)는, 코일스프링(10)에 대하여 4방향에서 맞닿아, 용이하게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구동축측 기재(7)에는, 벨트(1)위의 반송물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아(13)와, 가이드바아(13)의 양단에 설치된 가이드판(14)이 부착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어링(20)을 도면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반송하는 것으로, 벨트(1)에 올려진 베어링(20)은, 입구쪽의 가이드판(14)으로부터 가이드바아(13)에 안내되어, 출구측의 가이드판(14)으로 반송된다.
이때, 벨트(1)는, 베어링(20)의 무게나 회전축의 저항, 모우터(5)의 토오크변동등에 의하여 장력이 변하지만, 코일스프링(10)에 의해 연장방향으로 부세되어, 느슨해짐이나, 출렁거림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 벨트가 늘어나도, 코일스프링(10)에 의하여 종동축측 기재(8)가 구동축측 기재(7)에 대하여 떨어지는 방향으로 서서히 이동하여서, 항상 적절한 장력을 벨트에 부여한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에 의하면, 벨트(1)의 장력이 항상 최적상태로 유지되어, 기계부품의 반송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서도 벨트의 장력이 변하지 않아서, 장력조정을 위한 공수가 소요되지 않는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구동축측 기재(7)와 종동축측 기재(8)의 부세수단으로서 에어실린더(35)를 사용한 것이다. 에어실린더(35)는 유저통체(有底筒體)(31)내에 끼워맞춤되어 유저통체(31)의 저부를 부세하여 구동축측 기재(7)와 종동축측 기재(8)를 서로 간격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는, 가압에어파이프가 배관된 장소이면 간단하게 공기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기재(7)(8)의 간격이 진동 등에 의해 변화한 경우, 코일스프링은 부세력이 압축길이에 비례하지만, 에어실린더(35)의 경우, 항상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코일스프링으로부터 부세하는 경우에 비하여 벨트에 걸리는 장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제4도, 제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는, 구동축(42)에 대형로울러(42a)가 부착되고, 구동축(42)은 지지부재(46)에 축지지되어 있다. 지지부재(46)에는, 1개의 고정기재(40)와, 구동축측 기재(47)가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기재(40)의 선단에는, 고정된 제1종동축(43)과 이를 도시하지 아니한 축받이에 의해 축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44)가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44)의 아래에는, 제2종동축(45)이 제1종동축(43)으로부터 약간 구동축(42)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지지부재(49)에 축지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부재(49)는, 제2종동축측 기재(48)에 볼트(4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고정기재(40)와 제2종동축측 기재(48)는 서로 독립해서 설치되고,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제2종동축측 기재(48)와 구동축측 기재(47)는, 가이드바아(12)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사이에 부세부재인 코일스프링(10)이 설치되어 있다. 또, 고정기재(40)와 구동축측 기재(47)는, 서로 연결판(50)과 볼트(41)에 의해 연결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는, 구동축(42)측의 대형로울러(42a)와, 제1 및 제2종동축(43)(45)측에 설치된, 상기한 로울러(42a)직경의 절반인 소형로울러(43a)(45a)와의 사이에, 벨트(1)가 설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종동축(45)은, 코일스프링(10)에 의해 구동축(42)과 종동축(45)을 연결하는 벨트와 대략 나란한 방향에서, 상기한 양축간거리를 신장하는 방향으로 부세되고 있다. 따라서, 벨트(1)가 사용도중에 늘어나도, 제2종동축(45)이 코일스프링(10)에 의해 구동축(4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서, 벨트(1)에 걸리는 장력은 항상 소정의 강도로 유지된다.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에 의하면, 벨트(1)의 장력조절이 코일스프링(10)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구동축(42)과 제1종동축(43)의 거리는 변하지 않는 것이다, 특히, 벨트(1)의 장력을 거는 방향이, 고정기재(40)의 길이방향으로서, 벨트(1)가 설치된 방향이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더욱이 좁은 장소에서, 코일스프링(10)의 부세력을 허비함이 없이 벨트(1)의 장력으로 되어서 작용한다. 또 본 실시예의 벨트컨베이어는, 종동축을 1개 증가시키는 것만으로, 다수의 로울러를 사용함이 없이 축간거리가 고정되어 확실한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의 부세부재는, 코일스프링이나 에어실린더 이외에, 벨트에 항상 소정의 장력을 부여하는 것이면 좋아서, 스프링 이외의 탄성체나 가압장치이어도 좋다.
또, 가동의 제2종동축(43)은, 구동축(42)에 근접해서 부착하여도 좋아서, 축간거리가 고정된 구동축(42)과 종동축(43)중의 어느축의 근방에 설치되면 좋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구동축 및 종동축을 보존유지한 각 기재를 독립해서 설치하고, 이것을 부세부재에 의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였으므로, 벨트에 항상 소정의 장력이 걸려서, 벨트가 느슨해지거나 출렁거리는 일이 없다.
또, 장기간의 사용에 의해 벨트가 늘어나도, 하등 재조절할 필요가 없이 항상 최적의 장력을 벨트에 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독립한 기재끼리를 안내부재에 의해 부세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유지하고 있으므로, 높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벨트의 신축에 충분히 추종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는, 축간거리가 고정된 구동측과 제1종동축을 설치하고, 그 어느 한쪽의 축에 근접시켜 제2종동축을 설치하고, 이 제2종동축을 부세부재로 다른쪽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 부세하였으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축간거리를 고정한 상태에서도 충분한 장력을 간단한 구성으로 자동적으로 벨트에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벨트가 감긴 한쪽의 축에 근접해서 제2종동축을 설치하고, 부세력을 벨트의 진행방향으로 걸었으므로, 부세력을 허비하는 일없이 벨트의 장력으로서 작용시킬 수 있어, 항상 강한 장력을 벨트에 부여할 수 있다.

Claims (2)

  1.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2);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1종동축(43); 상기 구동축(42)을 일단부에 보유하고 상기 구동축(42)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제1종동축(43)을 타단부에 보유한 고정기재(40); 상기 제1종동축(43)의 근방에, 상기 제1종동축(43)으로부터 구동축(42)측 방향에 설치되어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2종동축(45); 상기 제2종동축(45)을 일단부에 보존유지하며, 상기 구동축(42)과 제1종동축(43)을 연결하는 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종동축측 기재(48); 상기 제1종동축(43), 상기 제2종동축(45)및 상기 구동축(42)과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를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상기 구동축(42)에 대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 및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를 부세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는 상기 고정기재(40)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에 삽입관통된 복수의 가이드바아(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세부재는 복수의 가이드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2. 구동장치; 상기 구동장치에 접속되어 회전하는 구동축(42);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1종동축(43); 상기 구동축(42)을 일단부에 보유하고 상기 구동축(42)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제1종동축(43)을 타단부에 보유한 고정기재(40); 상기 구동축(42)의 근방에, 상기 구동축(42)으로부터 제1종동축(43)측 방향에 설치되어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제2종동축(45); 상기 제2종동축(45)을 일단부에 보존유지하며, 상기 구동축(42)과 제1종동축(43)을 연결하는 선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종동축측 기재(48), 상기 제1종동축(43), 제2종동축(45)및 상기 구동축(42)과의 사이에 걸쳐진 벨트 및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를 상기 벨트의 진행방향과 나란한 방향에서 상기 제1종동축(43)에 대하여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 및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를 부세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는 상기 고정기재(40)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2종동축측 기재(48)에 삽입관통된 복수의 가이드바아(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세부재는 복수의 가이드바아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
KR1019910004275A 1990-03-23 1991-03-18 벨트컨베이어 KR01665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4276 1990-03-23
JP2074276A JP2540469B2 (ja) 1989-03-23 1990-03-23 ベルトコンベア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89A KR910016589A (ko) 1991-11-05
KR0166594B1 true KR0166594B1 (ko) 1999-03-30

Family

ID=13542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275A KR0166594B1 (ko) 1990-03-23 1991-03-18 벨트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5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89A (ko) 199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7058A (en) Powered conveyor belt turn
US8322519B2 (en) Belt conveyor
JP3606600B2 (ja) 乗用コンベアの手すりの駆動装置組立体
CA2487782C (en) Bidirectional belt tensioning approach
JP2008157329A (ja) 物品の直線搬送装置、及び当該装置におけるベルト体の張力調整方法
CA2037294C (en) Roller conveyor
JPH11165830A (ja) ベルトコンベアの張力制御装置
US3630096A (en) Drive-tensioning apparatus
BR0009204B1 (pt) dispositivo e mÉtodo para desenrolar carretÉis de material em manta.
KR100720310B1 (ko) 컨베이어 벨트 교환 및 텐션조절 장치
JPH11257444A (ja) テンション装置
KR016659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0678855B1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CA2311955A1 (en) Belt drive for a belt conveyor
US6685010B2 (en) Device for inward and/or outward transfer of material to be conveyed
JP2003054725A (ja) 物品の搬送装置
EP0478853B1 (en) Conveying apparatus
US8002108B2 (en) Tensioning mechanism for a circulating element
SK278465B6 (en) The band conveyer
JP2544321Y2 (ja) アキュムレーションコンベヤ
KR100362835B1 (ko) 직기용사운반장치
JPH0318506A (ja) ベルトコンベア
JPH1111632A (ja) ワーク搬送装置
JPH079823U (ja) チェーンコンベヤの駆動装置
EP0513602A1 (en) Automatic mechanical centering device for endless belts moving on rol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