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671B1 -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671B1
KR0165671B1 KR1019900013888A KR900013888A KR0165671B1 KR 0165671 B1 KR0165671 B1 KR 0165671B1 KR 1019900013888 A KR1019900013888 A KR 1019900013888A KR 900013888 A KR900013888 A KR 900013888A KR 0165671 B1 KR0165671 B1 KR 016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oidal silica
mixture
composition
electron beam
ad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3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6437A (ko
Inventor
리바이스 안소니
Original Assignee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Publication of KR910006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orming Nitrogen-Containing Linkages In General (AREA)

Abstract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피복된 내마모성 피복 조성물의 투명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기술한다. 이 방법은 유기산을 미카엘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배합하기 전에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에 가하거나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과 배합하기 전에 미카엘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까지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아크릴옥시 작용성 조성물과 배합하기전에 유기산으로 처리하거나 특정양의 유기산을 미카엘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하는 것은 시도되지 않았다.

Description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본 발명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고체 지지체,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위에서 방사선 경화시키는 경우, 도포된 지지체에 균질의 겔을 함유하지 않는 내마모성의 투명한 표면을 형성하는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체 지지체 위에 본 발명의 경화로부터 개선된 투명한 내마모성 도막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사용하는 많은 공지된 실리콘 도료 조성물보다 상당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도료에 대해서는 현재 시장이 잘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도료의 내마모성 및 투명성이 개선됨에 따라 시장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1989년 7월 14일자로 출원되어 계류중인 일반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07/379, 836호에 기술된 방법에 사용할 경우, 명세서에 기재된 산을 전부 가하느냐 아니면 그중의 하나를 가하느냐에 따라 불투명한 도막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아크릴산이 가능한 산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이는 어떠한 실시예에서도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서 산의 권장 수준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사용하는 경우에 투명한 도막을 수득하기 위해서 필요한 임계 수준에 부합하기에는 너무 낮으며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최대 수준은 상기의 임계 수준에 부합하기에는 너무 높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임계량으로 사용되는 특정한 유기산만으로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사용하는 시스템 중에서 투명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유기산은 2가지 성분들을 배합하기 전에, 지금까지 마이클 부가물(Michael adduct)을 함유하는 혼합물로서 언급된,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amino-organofunctional silane)과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하거나 콜로이드성 실리카 성분의 분산액에 가할 수 있다. 1989년 7월 14일자로 출원되어 계류중인 일반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원 제 07/379, 836호와 유사하게 유기산이 조성물의 도막 형성 매질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유기산의 첨가가 도막 형성 매질 중의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본원에서 안정하다는 것은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 또는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한 후에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들 범위 이외의 양으로 유기산을 사용하면 침전물을 함유하므로 투명하지 않은 도료 조성물이 생성된다.
이전에는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조성물의 잔류 성분과 혼합하기 전에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유기산으로 처리하거나, 이러한 양의 특정 유기산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한 적이 없었다. 따라서, 처음으로 본 발명을 수행함으로써 고체 지지체, 특히 폴리카보네이트 위에서 방사선 경화시킬 경우 도포된 지지체에 매우 투명한 표면을 형성하는 도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아크릴옥시 관능성 실란, 글리시독시 관능성 실란 및 아니모-유기 관능성 실란에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혼입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킨 후에 방사선 경화시키고 고체 지지체에 도포하여 투명한 내마모성 도막을 형성하는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를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i)와 일반식 XaSi{Q(NHQ')bNZH}4-a의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ii)[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Q 및 Q'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가 탄화수소 그룹이며; Z는 수소 또는 1가 탄화수소 그룹이고; a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b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과의 반응 생성물(B)과 반응시키는 단계(Ⅰ) 및 이후에 단계(Ⅰ)의 생성물을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C) 및 일반식 RCOOH의 유기산(D)[여기서, R은 탄소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이다]을 포함하는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Ⅱ)를 포함하는 단계들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신규한 조성물의 성분(A)는 아실옥시 및 메타크릴옥시 그룹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2개 이상의 관능 그룹을 함유하는 하나 이상의 아크릴 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이들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단독으로나 또는 다른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성분(A)로서 사용할 수 있는 바람직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다음을 포함한다:
다음과 같은 디아크릴레이트;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다음과 같은 트리아크릴레이트;
Figure kpo00003
다음과 같은 테트라아크릴레이트;
Figure kpo00004
다음과 같은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하이드록시)펜타아크릴레이트.
이들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미합중국 위스콘신주 밀워키(Milwaukee) 소재의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 인코포레이티드(Aldrich Chemical Company, Inc.)가 시판한다.
이들 조성물의 제2성분(B)는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i)와 일반식 XaSi{Q(NHQ')bNZH}4-a의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ii)[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Q 및 Q'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가 탄화수소 그룹이며; Z는 수소 또는 1가 탄화수소 그룹이고; a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b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한다.
모노아민 및 디아민(여기서, 아민에서의 b는 0 또는 1이다)이 본 발명에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한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아닐리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들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은 미합중국 펜실베니아, 브리스톨(Bristol) 소재의 페트라치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Petrarch Systems, Inc.)로부터 시판된다.
본 발명의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 개질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1급 아민 또는 2급 아민 그룹을 갖는 아미노-유기 다관능성 실란 혼합물을 성분(A)로 기술된 아크릴레이트 관능성 혼합물과 혼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아민 혼합물과 아크릴레이트 혼합물을 혼합하면, 아크릴레이트 관능성 혼합물을 생성하는 반응이 일어난다.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마이클 부가 반응으로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i)과 (ii)와의 반응에서,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의 1급 또는 2급 아민 관능기는 성분(A)에서 기술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하나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이중 결합에 마이클 부가 반응된다. 생성물은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 개질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서 언급된다. 아 반응은 실온 내지 100℃의 온도에서 일어난다. 혼합물을 가열하면 반응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반응 속도가 증가하지만, 유리 라디칼 개시된 연쇄 반응으로 인한 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10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아크릴레이트 관능기의 상당한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극성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마이클 부가 반응의 반응 속도가 증가한다. 알콜은 이의 저비점 특징과 위험하지 않은 특성 때문에 바람직한 용매이며, 필요한 경우, 알콜은 조성물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합한 알콜은 수용성 또는 수혼화성 알콜(예: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또는 에테르 알콜(예:에톡시에탄올, 부톡시에탄올, 메톡시프로판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본 출원인은 이소프로판올의 사용을 선호한다. 또한, 마이클 부가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충분한 시간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은 반응물을 실온에서 6 내지 72시간 동안 접촉 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을 선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3성분(C)은 콜로이드성 분산액 형태의 실리카를 포함한다.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수성 용매 매질 또는 다른 용매 매질 중의 서브미크론(submicron) 크기의 실리카(SiO2) 입자의 분산액이다. 이 조성물에 사용되는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수성 용매,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의 서브미크론 크기의 실리카(SiO2) 입자의 분산액이다.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산성 또는 염기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만을 사용한다. 이러한 도료 조성물 중에 사용하기에 만족스러운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예는 미합중국 일리노이주 네이퍼빌(Naperville) 소재의 날코 케미칼 캄파니(Nalco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할 수 있는, 날코 2327 콜로이드성 실리카(Nalco 2327) 및 날코 2326 콜로이드성 실리카(Nalco 2326)이다. 또한, 하기의 실험적인 콜로이드성 실리카 졸은 이러한 도료 조성물에 성공적으로 혼입시킬 수 있다: 미합중국 일리노이 네이퍼빌 소재의 날코 케미칼 캄파니가 시판하는 날코 TX 4036 콜로이드성 실리카(날코 TX 4036).
날코 2327의 평균 입자 크기는 20㎚이며 pH 약 9.3의 물 중의 약 40중량%의 SiO2함량 및 안정화 이온으로서 암모늄을 갖는다. 날코 2326은 평균 입자 크기가 5㎚이며 pH 약 9.0의 물 중의 약 14.5중량%의 SiO2함량 및 안정화 이온으로서 암모늄을 갖는다. 날코 TX 4036은 평균 입자 크기가 20㎚이며 pH 약 9.8의 물 중의 약 25중량%의 SiO2함량 및 안정화 이온으로서 암모늄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4성분(D)는 유기산을 포함한다. 이러한 산은, 바람직한 양을 사용하면, 아미노-유기 관능성 도료 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성분(D)의 유기산은 하나 이상의 카복실 그룹을 함유하고 탄소수 2 내지 8의 R 그룹을 함유하는 산으로 한정된다, 이들 유기산은 또한 반드시 소정 범위내에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과 상용성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 또는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며 이후에 콜로이드성 실리카가 첨가된 혼합물에 소정량의 이들 산을 첨가함으로써 실리카가 침전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바람직한 유기산은, 예를 들면, 아클릴산, 벤조산, 부티르산, 신남산, 헥사노산, 옥살산, 프로피올산, 프로피온산, 트랜스-2-헥사노산, 트랜스-2-펜테노산 및 발레르산을 포함한다. 유기산은 단독으로나 또는 다른 유기산과 혼합하여 가할 수 있다.
유기산은 콜로이드성 실리카 성분의 분산액 또는 마이클 부가 혼합물에 가한 후 이들을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산의 양은 도료 조성물의 투명성을 향상시키는 중요 인자로 결정되었다. 일반적으로, 최선의 결과는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 10g당 약 0.4×10-2mole 내지 약 4.5×10-2mole의 양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수득된다. 그러나, 사용되는 유기산에 따라서, 당해 범위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 10g당 약 7.0×10-4mole 내지 약 4.5×10-2mole을 포함하도록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범위내의 양으로 사용되는 유기산에 의해 안정한 도료 조성물이 형성된다. 본원에서 안정하다는 것은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 또는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한 후에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유기산을 이들 범위 이외의 양으로 사용하면 투명하지 않거나 또는 겔을 함유하는 도료 조성물이 수득된다.
본 발명자에 의하면,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첨가함으로써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 개질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콜로이드성 실리카와 메톡시-하이드록시 실란 축합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시 말해서, 개질된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에 대한 메톡시 그룹이 조악한 구형 콜로이드성 실리카 입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 그룹에 수소를 결합시킬 수 있는 하이드록시 그룹으로 대체된다. 결과적으로, 실리카 입자가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 개질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에 의해 봉입(encapsulating)되면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 개질된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하이드록시 그룹들 사이의 인력 때문에 현탁된 채로 잔류하는 것으로 보인다.
도료의 유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다른 첨가제를 조성물에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균전제(leveling agent), 자외선 흡수제, 장애된 아민 광 안정화제(HALS), 염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첨가제 및 이의 용도가 당해 분야에 익히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한된 수만이 언급되며, 도료 조성물의 방사선 경화에 유해하게 작용하지 않고 도막의 투명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특히 바람직한 첨가제는 소량의 균전제이다. 균전제는 지지체에 사용하여 평활하지 않은 표면을 메우고 도료 조성물의 균질한 분산을 보조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는 용매를 전량 제거한 조성물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서, 0.01 내지 5.0%의 시판되는 실리콘 글리콜 균전제를 가함으로써 잘 작업되어 바람직한 유출 및 습윤 특성을 갖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도료 조성물에 대한 첨가제로서 유용한 것은 자외선 흡수제이다. 자외선 흡수제는 최종 경화된 조성물에 대한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을 감소시켜서 도막의 내후성, 내균열성, 내황변성 및 내박리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조성물 속에 자외선 흡수제를 혼힙시키면 자외선 또는 전자 빔 방사선(electron beam radiation) 중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 조성물을 경화시키든지 무관한 경화 공정이 허용된다. 그러나, 조성물을 경화시키는데 자외선을 사용하는 경우, 첨가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양은 경화를 방해하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조절해야 한다. 전자 빔 방사선 경화의 경우에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 조성물의 목적을 위해서,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 미만 농도의 다음 자외선 흡수제 및 이의 혼합물이 바람직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스(1, 2, 2, 6, 6-펜타메틸-4-피페리디닐)(3, 5-비스(1, 1-디메틸에틸 1-4-하이드록시페닐)메틸)부틸프로판디오에이트, 2-에틸헥실-2-시아노-3, 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실-4-n-옥톡시벤조페논,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폴리(옥시-1, 2-에탄디일), 알파-(3-(3-(2H-벤조트리아졸-2-일)-5-(1, 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옥소-프로필)-오메가-하이드록시. 그러나,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5% 범위의 자외선 흡수제 농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방사선 경화성 조성물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이의 혼합물과 제공된 양의 알콜을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성분을 함께 혼합하는 방법은 중요하지 않다.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을 교반하면서 혼합물에 적가한다. 이어서, 혼합물을 특정 온도에서 마이클 부가 반응이 일어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교반한다.
유기산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직접 가하는 경우, 소정량의 유기산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적가한다. 이어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수득된 혼합물에 가한다. 혼합물을 일정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휘발성 물질을 임의로 진공 스트립핑에 의해 제거할 수 있고/있거나 혼합물을 임의로 여과할 수 있다.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에 가하는 경우, 소정량의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에 적가한다. 이어서, 유기산을 함유하는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배합한다. 혼합물을 일정 시간 동안 정치시킨 후에, 휘발성 물질을 진공 스트립핑에 의해 임의로 제거할 수 있고/있거나 혼합물을 임의로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는 도포법에 따라, 상기 조성물을 특정 지지체에 적합하게 개질된 통상적인 도포 기술을 이용하여 지지체 위에 도포한다. 예를 들면, 이들 조성물은 롤러 도포(roller coating), 유동 도포, 침지 도포(dip coating), 스핀 도포(spin coating), 분무 도포 및 커튼 도포(curtain coating)와 같은 방법으로 각종 고체 지지체에 도포할 수 있다. 이들 각종 도포법은 조성물을 지지체에 여러 두께로 도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조성물의 용도 범위를 확대시킨다. 도막 두께는 변할 수 있지만,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막 두께는 2 내지 25μ, 바람직하게는 약 5μ이 추천된다.
이어서, 조성물을 자외선 또는 전자 빔 방사선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물은 경화시키기 전에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photoinitiator)를 첨가하는 경우 자외선 경화될 수 있다. 중합 공정에서 중간체 유리 라디칼의 산소 급냉(oxygen quenching)을 최소화함으로써 조성물의 효능을 증가시키는 광개시제와 함께 사용되는 촉진제(accelerator)로서 공지된 물질을 가할 수도 있다. 널리 공지된 촉진제의 예는 미합중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의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가 시판하는 메틸디에탄올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한다.
광 에너지의 흡수로 라디칼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 광개시제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 경화에 사용되는 자외선 민감성 광개시제 또는 개시제들의 블렌드(blend)는 미합중국 뉴욕주 호손(Hawthorn) 소재의 이엠 케미칼스(EM Chemicais)가 시판하는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Darocur 1173) 및 미합중국 뉴욕주 호손 소재의 시바-가이기 코포레이션(Ciba-Geigy Corporation)이 시판하는 2, 2-디메톡시-2-페닐-아세틸-페논(Urgacure 651)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조성물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중량%의 본원에 기술된 광개시제가 조성물을 경화시킨다는 사실을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지지체에 도포하고 자외선 램프에 의해 제공된 것과 같은 방사선에 노출시키는 경우 접착성이 우수한 바람직한 경질의 투명한 도막을 수득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광개시제 및 촉진제를 사용하는 경우, 이들 첨가제는 개별적으로, 용매를 제거하기 전에 상기 혼합물과 혼합하거나 용매를 제거한 후에 잔류하는 잔사와 혼합한다.
또한, 도료 조성물은 전자 빔 방사선 경화시킬 수 있다. 저에너지 전자 빔 방사선은 자외선 경화에 비해 경화 시간을 단축시키면서 도포된 샘플의 가교결합 밀도를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전자 빔 방사선은 자외선 보다 파장이 더 짧기 때문에, 전자 빔 방사선은 도막 샘플에 더 깊게 침투하여 샘플 중의 가교결합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비관능성 그룹도 전자 빔 방사선의 존재하에서 반응하므로 도포 샘플의 가교결합 밀도를 추가로 증가시킬 수 있다. 전자 빔 경화는 또한 도막의 내후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고려되는데, 이는 광개시제가 필요하지 않음에 기인하여 자외선 경화된 조성물 보다 전자 빔 경화된 조성물에 더 많은 농도의 자외선 흡수제를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지지체 및 도막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여 전자 빔 경화된 도포 지지체의 내후성을 증가시킨다.
반 드 그라프형(van de Graaff-type), 공명 변형형(resonance transformer-type), 선형, 다이나트론형(dynatron-type) 및 고주파형과 같은 각종 형태의 전자 빔 공급원을 전자 빔 공급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로부터 방전된 50 내지 1000KeV,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KeV의 에너지를 갖는 전자 빔은 0.1 내지 10메가 래드(MR)의 방사 선량(dose)으로 조사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전자 빔 공급원은 연속적인 커튼형 빔이 선형 필라멘트로부터 조사되는 것이다. 시판되는 전자 빔 공급원의 예는 에너지 사이언시즈 인코포레이티드(Energy Sciences Inc.)가 시판하는 일렉트로 커튼(Electro Curtain) CB-150 및 오토 두르(Otto Durr)가 시판하는 NP-ESH 150이다.
본 발명의 방법으로 수득되는 경화성 조성물을 지지체(예: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표면에 도포한다. 이 조성물을 자외선 또는 전자 빔 처리한 후에, 경화된 도막이 형성된다.
임의로 균전제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여 적합한 제형 및 도포 조건을 선택하여, 조성물을 거의 모든 고체 지지체에 도포하여 접착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특별하게 고려되는 지지체는 투명하거나 불투명한 플라스틱 및 금속이다. 특히, 이들 플라스틱은 아크릴 중합체형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폴리에스테러;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부티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등 및 이의 개질형과 같은 합성 유기 중합체성 지지체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비스페놀-A 카보네이트)와 같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미합중국 뉴욕 스케넥터디(Schenectady) 소재의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General Electric Company)가 시판하는 렉산(R)[Lexan(R)]으로 공지된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투명 도막으로서 그리고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아크릴용 도막으로서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역시 효과적인 금속 지지체는 또한 광휘 금속 및 무광금속형의 알루미늄 및 광휘 금속화된 표면형의 스퍼터링된 크롬 합금(sputtered chromium alloy)도 포함한다. 본원에서 고려되는 다른 고체 지지체로는 목재, 인쇄된 표면, 가죽, 유리, 세라믹, 직물 및 종이가 있다.
본원에서 나타나는 결과에 대하여 사용되는 기구 및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접착성은 크로스-해치 접착성(cross-hatch adhesion)으로 측정한다. 일련의 교차선을 1in2의 면적에 선을 그어서 1/10in2을 향상시킨다. 이 표면을 1.0in No. 600 스코치 브랜드(Scotch Brand) 접착 테이프로 덮고 그물눈 부분을 단단하게 압착시킨다. 약 90°각도에서 한번의 급속한 동작으로 지지체 표면으로부터 테이프를 박리시킨다. 이러한 테이프의 적용 및 박리 작용을 3회 수행한 후 지지체를 관찰한다. 지지체에 온전하게 남아있는 정방형의 수를 그리드(grid)상의 정방형의 총 수에 대한 비율(%)로서 기록한다.
강면 시험(steel wool test)을 수행한다. 이 시험에서, 2in2의 0000 강면을 24oz 해머 면 위에 적용하고 고무 밴드로 고정시킨다. 도포된 샘플 블랭크(blank)를 칭량한 강면을 사용하여 샘플의 중앙을 가로지르는 20회의 왕복 마찰에 대한 내긁힘성(scratch resistance)에 대하여 시험한다. 해머는 해머 헤드(hammer head)로부터 대부분의 압력이 강면 위에 가해지도록 이의 손잡이 끝으로 고정한다. 샘플을 강면 및 해머에 의해 발생되는 긁힘의 양에 따라 등급별로 나눈다. 샘플에 긁힘이 없는 경우, 등급 1; 약간 있는 경우, 등급 2; 및 긁힘이 많은 경우, 등급 3이다.
연필 시험을 수행한다. 이 시험은 도막의 내긁힘성을 측정하는 정량적 방법을 의미한다. 도포된 패널(panel)을 고정된 수평면 위에 놓는다. 연필을(조작자로부터 연필 끝으로) 45°각도에서 도막에 대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1/4in(6.5㎜) 스트로크(stroke)로 조작자로부터 밀어낸다. 이 공정은 가장 단단한 납 연필을 사용하여 시작하여 도막을 절단하거나 둥근 모양으로 절단하지 않는 정도의 연필 경도 등급으로 계속한다. 도막을 통하여 지지체를 1/8in 이상의 거리로 절단하지 않는 가장 단단한 연필은 미합중국 테네시주 브렌트우드(Brentwood) 소재의 베롤 코포레이션(Berol Corporation)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등급에 따라 기록한다:
Figure kpo00005
HB 등급은 #2 연필과 대략 같다. F 등급은 약간 더 단단하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H 등급은 F 등급보다 단단한 등급이며 매우 단단한 9H 등급으로까지 점차 더 단단해진다. B 등급은 HB 등급보다 연한 등급으로 매우 연한 6B 등급으로부터 점차로 더 연해진다.
샘플의 투광률(percent light transmittance)은 파장 범위 380 내지 700㎚으로 캐리(cary) 210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미합중국 뉴욕 스케넥터디 소재의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General Electric Company)로 부터의 렉산(R) 폴리카보네이트를 대조 샘플 및 지지체로서 사용한다. 도포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의 투광률은 86.9%로 측정되었다. 도료 샘플을 폴리카보네이트에 도포하여 투광률은 도포되지 않은 폴리카보네이트 샘플의 투광률로서 측정한다.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을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해서, 하기 실시예는 제한이 아닌 설명할 목적으로만 제공한다.
[실시예 1]
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9.44g, 이소프로판올 454.14g, 헥산디올디아크 렐레이트 24.48g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68.22g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72시간 동안 정치시킨다. 이 혼합물은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라고 한다. 별도로, 아크릴산 1.00g을 피펫을 사용하여 날코(Nalco) 2327 10.0g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에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아크릴산 1.0g을 10.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에 피펫을 사용하여 적가한다. 수득된 혼합물 10.0g에 미합중국 뉴욕 호손 소재의 이엠 케미칼즈(EM Chemicals)가 시판하는 DAROCUR 1173 0.11g 및 미합중국 위스콘신주 밀워키 소재의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가 시판하는 메틸디에탄올아민 0.22g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에 유동 도포한 후, 5분 동안 공기 건조시킨다. 이어서, 도포된 폴리카보네이트 셈플을 평균 강도가 91.56mW/㎠인 중간압 수은 진공 아크 램프(arc lamp)에 3ft/min의 선속(line speed)으로 통과시켜 자외선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아크릴산 3.25g을 10.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5.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이소프로판올 중이 33.0% 벤조산 2.0g을 함유하는 용액을 10.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트랜스-2-펜테노산 0.25g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6]
이소프로판올 중의 10.0% 트랜스-2-헥세노산 2.0g을 함유하는 용액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이소프로판올 중의 3.75% 신남산 5.0g을 함유하는 용액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8]
프로피올산 0.10g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9]
이소프로판올 중의 10.0% 시트르산 7.0g을 함유하는 용액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엑사노산 0.55g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1]
프로피온산 1.65g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2]
발레르산 0.35g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3]
이소프로판올 중의 25.0% 옥살산 1.0g을 함유하는 용액을 5.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14.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아크릴산 1.0g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에 적가한다. 이 혼합물을 10.0g의 날코 2327에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A]
아세트산 2.55g을 10.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은 백색을 나타내며 겔 입자를 함유한다. 이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B]
아세트산 0.24g을 10.0g의 날코 2327에 적가한다. 이어서, 이 혼합물을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에 피펫을 사용하여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은 백색을 나타내며 겔 입자를 함유한다. 이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비교 실시예 C]
10.0g의 날코 2327에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 27.0g을 가한다. 수득된 혼합물은 회백색을 나타내며 겔 입자를 함유한다. 이 혼합물을 4×4 폴리카보네이트 패널 위에 유동 도포하고 4MR, 160KeV 전자 방사 선량으로 68ft/min의 벨트 속도에서 4㎃의 전류로 작동되는 6in 너비의 전자 빔하에 산소를 200ppm 함유하는 질소 대기 중에서 작동하는 전자 빔으로 경화시킨다.
조성비 및 시험 결과는 표 Ⅰ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6
표 Ⅰ의 결과로부터,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과 혼합하기 전에, 본원의 명세서에서 한정한 소정량의 유기산으로 처리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은 폴리카보네이트 위에서 방사선 경화된 후에 투명한 도막을 형성한다는 사실이 명백하게 나타난다. 또한, 실시예 14에서 현저하게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기산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과 혼합하기 전에 마이클 부가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에 가하여 유사한 결과를 수득한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를 하나 이상의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단량체(A)(i)와 일반식 XaSi{Q(NHQ')bNZH}4-a의 아미노-유기 관능성 실란(ii)[여기서, X는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콕시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Q 및 Q'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2가 탄화수소 그룹이며; Z는 수소 또는 1가 탄화수소 그룹이고; a는 1 내지 3의 정수이며; b는 0 내지 6의 정수이다]과의 반응 생성물(B)과 반응시키는 단계(Ⅰ) 및 이후에 단계(Ⅰ)의 생성물을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C) 10g당 유기산(D) 7.0×10-4내지 4.5×10-2mole의 양으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염기성 분산액(C) 및 일반식 RCOOH의 유기산(D)[여기서, R은 탄소수 2 내지 8의 1가 탄화수소이다]을 포함하는 성분과 혼합하는 단계(Ⅱ)를 포함하여,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 2-디메톡시-2-페닐-아세틸-페논 및 이들의 블렌드(blen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광 개시제가, 조성물 중의 총 고형분을 기준으로 하여, 0.05 내지 5중량%의 양으로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첨가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메틸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촉진제가 광 개시제와 함께 첨가되는 방법.
KR1019900013888A 1989-09-05 1990-09-04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KR0165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0236289A 1989-09-05 1989-09-05
US402,362 1989-09-05
US402362 1989-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6437A KR910006437A (ko) 1991-04-29
KR0165671B1 true KR0165671B1 (ko) 1999-01-15

Family

ID=23591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3888A KR0165671B1 (ko) 1989-09-05 1990-09-04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424645B1 (ko)
JP (1) JPH0393872A (ko)
KR (1) KR0165671B1 (ko)
AU (1) AU630502B2 (ko)
CA (1) CA2023923A1 (ko)
DE (1) DE6900881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80607B1 (en) * 1988-05-17 1994-12-14 FERRONE, Soldano Anti-idiotype antibodies to anti-human high molecular weight-melanoma associated antigen
CA2018237C (en) * 1989-07-14 2000-05-09 Antony P. Wright Radiation curable acryloxyfunctional silicone coating composition
DE69323787T2 (de) * 1992-04-06 1999-07-29 Mitsubishi Chem Corp UV-härtende, verschleissfest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US5368941A (en) * 1992-08-31 1994-11-29 Dow Corning Corporation Deformable, abrasion-resistant silicone coat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CA2141516A1 (en) * 1994-06-13 1995-12-14 John D. Blizzard Radiation-curable oligomer-based coating composition
US5626964A (en) * 1995-10-24 1997-05-06 Dow Corning Corporation Radiation-curable silicone resins formulated from amine alcohols, tetra-alkoxysilanes and multifunctional acrylates
US5648173A (en) * 1996-01-25 1997-07-15 Dow Corning Corporation Room temperature, moisture-curable abrasion-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having enhancable weatherability
DE19961632A1 (de) * 1999-12-14 2001-06-28 Inst Oberflaechenmodifizierung Kit zur Beschichtung von Oberflächen, strahlenhärtbares Beschichtungsmittel und Verfahren zur Erzeugung von kratz-, abrieb- und haftfesten Beschichtungen
US6800353B1 (en) 2000-09-08 2004-10-05 Ecolab Inc. Scratch-resistant strippable finish
DE10212523A1 (de) 2002-03-21 2003-10-02 Degussa Lufttrocknende, silanhaltige Beschichtungsmittel
DE102006016642A1 (de) 2006-04-08 2007-10-18 Bayer Materialscience Ag UV-härtende Schutzschicht für thermoplastische Substrate
US9193880B2 (en) * 2006-12-19 2015-11-2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Adhesion promotion additives and methods for improving coating compositions
DE102009020934A1 (de) 2009-05-12 2010-11-18 Bayer Materialscience Ag UV-härtende Schutzschicht für thermoplastische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196B2 (ja) * 1984-03-12 1994-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放射線硬化性有機珪素化合物の製造法
JPS62220531A (ja) * 1986-03-24 1987-09-28 Central Glass Co Ltd 被覆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08811T2 (de) 1994-09-15
EP0424645A3 (en) 1991-10-23
AU6209190A (en) 1991-03-14
JPH0393872A (ja) 1991-04-18
AU630502B2 (en) 1992-10-29
EP0424645A2 (en) 1991-05-02
KR910006437A (ko) 1991-04-29
DE69008811D1 (de) 1994-06-16
EP0424645B1 (en) 1994-05-11
CA2023923A1 (en) 1991-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123B1 (ko) 방사경화성 아크릴옥시 작용성 실리콘 피복 조성물
EP0424006B1 (en) Silane free radiation curable abrasion resistant coatings
JP3616118B2 (ja) 放射線硬化性硬質被覆組成物
KR0165671B1 (ko) 염기성 콜로이드성 실리카를 투명한 내마모성 도료 조성물에 혼입시키는 방법
EP0565310B1 (en) Method of making a UV-curable hardcoat compositions
JPH05117545A (ja) 放射線硬化性コーテイング組成物
JP2007063566A (ja) 防曇性を有する放射線硬化性ハードコート組成物
JPH04266973A (ja) 放射線硬化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EP0430583B1 (en) Silane free radiation curable abrasion resistant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unsaturated organic compound
EP0424007B1 (en) Zero volatile organic content radiation curable silicone coatings
US5188900A (en) Substrates having an abrasion-resistant coating formed thereon
JPH04214021A (ja) プライマーを使わないポリカーボネート用アルコキシ官能シラン含有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