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5015B1 -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5015B1
KR0165015B1 KR1019960008986A KR19960008986A KR0165015B1 KR 0165015 B1 KR0165015 B1 KR 0165015B1 KR 1019960008986 A KR1019960008986 A KR 1019960008986A KR 19960008986 A KR19960008986 A KR 19960008986A KR 0165015 B1 KR0165015 B1 KR 0165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retreatment
sorting
shredding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689A (ko
Inventor
마사가쯔 하야시
요시유끼 다까무라
다께시 네모또
치히로 후꾸모또
쯔도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세사쿠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6003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5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폐가전제품(161)은 전처리장치(162)로 전처리되고, 브라운관에 대해서는 대형유리 처리장치(163)에, 각종 상자체나 금속덩어리에 대해서는 파쇄장치(164)에, 냉매프론에 대해서는 프론분해장치(165)에 이르게 한다.
파쇄장치(164)의 뒷쪽에 선별장치(166)를 설치하여 금속류와 플라스틱으로 선별하고,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처리장치(169)를 거쳐 고형연료 또는 오일로서 회수한다. 선별장치(166)에서는 발포재도 분리되어 발포재 처리장치(167)에 이르게 하고, 일부는 흡착재로 되고 일부는 중합분해장치(170)를 해재하여 다른 화성품으로 되고, 발포프론은 프론분해장치(165)에 이르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에 적합한 유용물을 회수하고, 또 처리시에 발생하는 슈레더더스트의 무해화처리도 포함하여 일관된 처리가 행해질 수 있으므로, 지구환경에 매치되는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고도 AI설비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유용물 선별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더스트 용융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브라운관 관리 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단열재로 화성품을 얻는 장치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플라스틱으로부터 오일을 얻는 장치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하강(荷降)내지 제품종류별 인식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품종구분 내지 프론회수 대기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프론 제거부터 시작되는 전처리(前處理)영역 후밥의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유용물 선별 영역의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전처리 설비를 포함한 건물의 레이아웃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하강장치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화상처리 및 중량측정에 의하여 제품인식을 하는 장치의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폐가전제품을 제품마다 분별하는 장치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분별된 폐가전제품의 모터 등의 금속덩어리를 분리시켜 파쇄공정으로 공급하는 장치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한 폐기물 처리 플로우 예에 있어서 브라운관 처리영역의 예를 나타낸 배치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3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전처리의 플로우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금속덩어리 분류수단의 측면도.
제3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금속덩어리 분류수단의 상면도.
제3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폐기물 처리의 플로우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중량측정수단의 측면도.
제3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형상계측장치의 측면도.
제3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분류수단의 배치도.
제3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분류수단의 배치도.
제3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분류수단의 일부단면의 측면도.
제3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반입장치의 설명도.
제4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반입장치의 설명도.
제4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정렬수단의 평면도.
제4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세제어장치의 평면도.
제4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자세제어장치의 부분단면 측면도.
제4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전처리 전체의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204 : 냉장고 W : 세탁기
AC : 에어콘디쇼너 TV : 텔레비젼
C : 콤프레서 M : 모터
B : 브라운관 1 : 하강(河降)장치
2 : 식별장치 3-1, 3-2, 74 : 프론회수유닛
4-1, 4-2, 4-3 : 금속덩어리 분류수단
5, 7, 77, 81, 181 : 절단기 6 : 분해장치
8, 11, 18, 36, 39, 87, 88, 93 : 파쇄기
9 : 넥(neck) 10 : 냉각장치
13, 14, 30 : 더스트 15 : 단열재 풍력선별기
20, 34, 90 : 자력선별기 21, 101 : 와전류선별기
22 : 선별조(選別槽) 23, 91, 102 : 풍력선별기
24 : 스크류컨베어 25 : 더스트용융노
35 : 분별기 37, 40 : 세정조
38, 41, 159, 160 : 건조기 42, 44 : 용융조
43 : 냉각조 45 : 분해조
46 : 반응조 47 : 쿨러
48 : 리시버(receiver) 49 : 가열로
50 : 하강영역 110 : 초벌분리 컨베어
53 : 반송물분숭(分崇)·자세제어영역
54-1, 54-2 : 반송물분숭·자세제어장치
55-1, 55-2 : 규격외품 배출라인
57 : 제품식별 인식영역 59-1, 59-2 : 화상독출장치
61, 75-1, 75-2, 116, 135 : 자세수정장치
63 : 품종구분영역 64 : 텔레비젼 구분기
65 : 에어콘디쇼너 실내기 구분기 66 : 세탁기 구분기
67 :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구분기 68 : 냉장고 구분기
69 : 품종구분 불능품 배출부 70 : 프론회수 대기영역
71 : 자세교정장치 73 : 프론회수영역
76-1, 76-2, 79, 80 : 케이스체 절단장치
78 : 예냉컨베어 82 : 분리장치
83 : 넥/깔대기 절단수단 86 : 액체질소 침지장치
94 : 프론회수라인 105 : 비중선별조
115 : 화상인식장치 122 : 품종구분기
124 : 텔레비젼라인 125 : 에어콘디쇼너 실내기 라인
126 : 세탁기라인 127 :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라인
128 : 냉장고라인
129, 132, 134, 138, 139 : 케이스체 분리장치
131 : 케이스체 라인 133, 136, 137 : 프론회수장치
140 : 냉장고 케이스체 라인 143 : 금속체라인
149, 861 : 액체질소탱크 161, 217 : 폐가전제품
162 : 전처리장치 163 : 대형유리 처리장치
164 : 파쇄장치 165 : 프론분해장치
169 : 플라스틱 처리장치 167 : 발포재 처리장치
170 : 중합분해장치 171 : 기종식별장치
172, 192 : 분류수단 174 : 대형유리 분리수단
175 : 프론제거수단 176 : 경량물 분리수단
177 : 금속선별수단 178 : 플라스틱 선별수단
179 : 초벌파쇄기 180 : 박리파쇄기
182 : 계측영역 183 : 중량계측영역
184 : 형상계측영역 185 : 처리해석장치
173, 187, 188, 189, 191 : 금속덩어리 분류수단
190 : 정렬수단
193, 194, 195, 196 : 자세제어장치
본 발명은 폐기물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텔레비젼이나 냉장고 등 각종 폐가전제품을 처리하여 유용물을 회수하는데 적합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형폐기물의 처리는 그대로 매립하거나, 혹은 파쇄, 소각하여 매립하는 방법이 많이 행해졌다. 이것들은 매립지 부족, 지구온난화의 문제가 있었다. 또 유해가스의 발생도 우려되었다. 한편에서는 한정되어 있는 자원의 관점에서 리사이클의 요구가 높아졌다.
일반적으로 폐가전제품 등의 폐기물은, 여러 가지 복수종류의 금속,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해물의 처리와 유용물의 회수를 어떻게 효율좋고 효과적으로 행할 것인가가 시급한 과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과제에 대하여 일본국 특개평 5-147040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의 개시에서는, 냉장고 등의 프론의 후처리나 브라운관 등의 대형유리의 처리까지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또 전(前)처리장치는 그 후처리의 효율에 강하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상기 종래기술의 개시에서는 그 내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더스트도 나오지 않고, 프론도 유용물로 바꿀 수 있는 소위 폐가전제품의 일관처리설비가 강력히 요망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에 적합한 유용물을 회수하고, 또 지구환경보호에 적합한, 소위 폐기물의 일관처리설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것으로, 이하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1)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구비한다.
(2)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와 더스트처리장치를 구비한다.
(3)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와 플라스틱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와 더스트처리장치를 설치하고, 플라스틱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고형연료 및/또는 오일을 중합분해장치 및/ 또는 더스트처리장치에 공급하는 라인을 구비한다.
(4) 전처리장치의 뒷쪽에는 프론분해장치도 병설하고,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도 프론 분해장치가 위치하도록 하고, 프론분해장치에는 전처리장치로부터의 냉매프론과 발포재 처리장치로부터의 발포프론이 유입되는 라인을 배치하고, 또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구비한다.
(5)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파쇄장치와는 별도로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구비한다.
(6)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파쇄장치와는 별도를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또 선별장치의 뒷쪽에는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발포재 처리장치, 파쇄장치 및 대형유리 처리장치의 뒷쪽에 공통으로 더스트처리 장치를 구비한다.
(7) 전처리장치의 뒷쪽에서는 프론분해장치와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병설하고, 선별장치의 뒷쪽에 플라스틱 처리장치와 발포재 처리장치를 병설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도 프론분해장치가 위치하도록 하고, 프론분해장치에는 전처리장치로부터의 냉매프론과 발포재 처리장치로부터의 발포프론이 유입되는 라인을 배치하고, 또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병설하고,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는 중합분해장치 이외에 더스트처리장치를 병설하고, 플라스틱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고형연료 및/ 또는 오일을 중합분해장치 및/ 또는 더스트처리장치 및/ 또는 프론분해장치에 공급하는 라인을 배치함과 동시에, 발포재 처리장치, 파쇄장치 및 대형유리 처리장치의 뒷쪽에 각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더스트를 더스트처리장치에 유도하는 라인을 구비한다.
(8) 상기 (1)내지 (7)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폐기물은 폐가전제품이고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과, 기종식별수단의 뒷쪽에 위치하는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의 뒷쪽에 위치하는 대형유리 분리수단 및/ 또는 프론제거수단 및/또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한다.
(9) 상기 (1)내지 (7)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쇄장치는 초벌파쇄기와 그 뒷쪽의 박리파쇄기를 구비한다.
(10) 상기 (1)내지 (7)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쇄장치는 박리파쇄기 또는 충격파쇄기를 가지며, 파쇄기의 앞쪽에 절단기를 배치한다.
(11) 상기 (1)내지 (7)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의 뒷쪽에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또 분류수단의 뒷쪽에는 프론제거수단과 대형유리 분리수단을 병설하고, 또 대형유리 분리수단의 뒷쪽과, 프론제거수단의 뒷쪽에도, 각각 분류수단 직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과는 별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배치한다.
(12) 상기 (1)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직후 또는 프론제거수단 및/ 또는 대형유리 분리수단의 뒷쪽에 정렬수단을 구비한다.
(13) 상기 (1)내지 (11)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의 앞쪽 및/또는 뒷쪽에 자세제어수단을 구비한다.
(14) 상기 (1)내지 (1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 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중량계측장치와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의 계측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뒷쪽의 처리루트 및/ 또는 처리장치의 동작의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한다.
(15) 상기 (1)내지 (1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 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 계측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서 입력하는 동시에 당해 도입폐기물의 설계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뒷쪽의 처리루트 및/ 또는 처리장치 동작의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한다.
(16) 상기 (1) 내지 (13)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에는 적어도 냉장고, 에어콘디쇼너, 세탁기, 텔레비젼이 혼재하여 투입되고, 1시간당 2통 이상 5톤 이하를 처리할 수 있다.
(17)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과, 기종식별수단의 뒷쪽의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의 뒷쪽의 대형유리 분리수단 및/ 또는 프론제거수단 및/ 또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한다.
(18)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또 분류수단의 뒷쪽에는 프론제거수단과 대형유리 분리수단을 병설하고, 또 대형유리 분리수단의 뒷쪽과, 프론제거수단의 뒷쪽에도 각각 분류수단 직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과는 별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배치한다.
(19)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분류수단의 직후 또는 프론제거수단 및/ 또는 대형유리 분류수단의 뒷쪽에 정렬수단을 구비한다.
(20)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앞쪽 및/또는 뒷쪽에 자세제어수단을 구비한다.
(21) 상기 (17)내지 (20)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중량계측장치와,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의 계측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다음 단계의 처리루트 및/ 또는 처리장치 동작의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폐기물 처리장치는 전처리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에, 프론분해장치, 대형유리 처리장치, 발포재 처리장치, 중합분해장치, 플라스틱 처리장치, 더스트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장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라스틱 처리장치에서 만들어지는 고형연료나 오일은, 더스트처리장치, 중합분해장치, 프론분해장치의 열원으로 이용된다.
선별된 플라스틱은 중합분해장치에 의하여 다시 플라스틱재 또는 기타 화학물질로 된다. 또 선별된 플라스틱을 플라스틱 처리장치로부터 일관하여 고형연료나 오일을 만든다.
선별장치에 의하여 금속이나 플라스틱내 그대로 원료로 유용가능한 것은 회수하고, 필요에 따라 다시 상세하게 소재별로 선별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제1도 내지 제6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되는 폐가전제품 등 일관처리 리사이클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은 플로우도로서 본래 1장으로 나타내어야 하는 것이지만, 지면 관계상 6도면으로 분해하였다.
먼저, 제1도에 나타낸 고도 AI설비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폐가전제품을 탑재한 트럭은 하강장치(1)에 들어간다. 하강장치(1)에는 문(門)형상으로 된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고, 트럭이 하대(河臺)(load-carrying platform)로 부터 대략 수평이동으로 폐가전제품을 이동시키고 식별장치(2)에 이른다. 여기서, 유입된 폐가전제품은 냉장고(R), 세탁기(W), 에어콘디쇼너(AC), 텔레비젼(TV)으로 분류된다. 여기까지는 원칙적으로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 옆으로 나란히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냉장고(R)는 먼저 프론회수유닛(3-1)에 이르고, 냉매프론[예를 들면 프론(12)]을 회수하고, 그 후 금속덩어리 분류수단(4-1)을 거쳐 콤프레서(C)를 제거한 후, 그 이외의 냉장고 본체(R)는 제2도의 절단기(5)에 이른다.
세탁기(W)는 금속덩어리 분류수단(4-2)에 이르고, 모터(M)[또는 모터와 변속기등도 포함하여도 좋다. 이하 같음.]를 회수한 후, 마찬가지로 제2도의 절단기(5)에 이른다. 또 에어콘디쇼너(AC)도 먼저 프론회수유닛(3-2)에 이르러 냉매프론을 회수하고, 그 후 금속덩어리 분리수단(4-3)을 거쳐 콤프레서(C)를 제거한 후, 마찬가지로 제2도의 절단기(5)에 이른다.
텔레비젼(TV)에 대해서는 분해장치(6)에서 브라운관(B)을 제거하고, 상자등은 제2도의 파쇄기(8)에 이르고, 브라운관(B)은 절단기(7)에 유도되어 절단되고, 넥(9)는 넥컬렛(neck cullet)으로서 회수하고, 그 이외 기타는 제4도의 브라운관 처리장치 영역에 이른다.
각 금속덩어리 분리수단(4-1~3)은 커터등으로 요소를 커팅하면 되는데, 사람 손을 사용하여도 지장은 없다. 이들 금속덩어리(C, M)는 제2도의 유용물 회수처리영역에 이른다.
금속덩어리(C, M)는 제2도의 영역에서 먼저 냉각장치(10)에 투입되고, 액체질소등으로 냉각함으로써 물러진 후에 파쇄기(11)에 유도된다. 파쇄물은 사일로(silo)(12)에 투하되고, 더스트(13)는 제3도의 더스트 용융노 설비영역에 유도된다.
한편, 냉장고(R), 세탁기(W), 에어콘디쇼너(AC)에서 금속덩어리(C, M)가 제거된 본체는 절단기(5)에 이르고, 뒷쪽의 파쇄기에 투입 내지 파쇄되기 쉬운 정도의 적당한 크기로 절단되고, 이 절단기(5)를 거친 절단물은 파쇄기(8)에 이른다. 이 파쇄기(8)에는 브라운관(B)을 제외한 텔레비젼(TV)도 투입된다. 파쇄기(8)에서 발생하는 더스트(14)에 대해서는 더스트(13)와 마찬가지로 제3도의 더스트 용융노 설비영역으로 유도된다. 파쇄기(8)를 거친 더스트(14)이외의 파쇄물은 단열재 풍력선별기(15)에 이른다.
단열재 풍력선별기(15)는 유로가 경사져 있어, 비교적 무거운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의 파쇄물은 하강하여 출구(16)에서 다른 공정으로 보내진다. 한편 비교적 가벼운 단열재 파쇄물은 유로의 위쪽에서 사일로(17)에 유도되고, 다시 파쇄기(18)로 잘게 파쇄됨으로써 단열재를 구성하는 가스성분[(예를 들면 프론(11))과 단열재의 커스(PUR. 수지분이라고도 한다. 이하 같음.]로 분리되고, PUR은 압출기(19)에 도입되어 덩어리로 되어 회수된다. 여기서 프론(11) 등의 가스성분은 냉각회수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실린더에 회수된다.
파쇄기(11)로부터 사일로(12)를 거쳐 공급되는 파쇄물이나 풍력선별기(15)의 출구(16)로부터 공급되는 파쇄물은 자력선별기(20)에 들어가 자력에 의하여 철과 비철로 분리되고, 이어서 비철은 와전류선별기(21)에 이르러 플라스틱과 금속으로 구분되고, 다시 파쇄하는 일 없이 플라스틱은 선별조(22)에서 비중선별되어 올레핀계 플라스틱과 스틸렌계 플라스틱과 PVC(폴리염화비닐)등으로 나누어진다.
비철금속은 풍력선별기(23)(본 예에서는 유로가 경사져 있다)에 이르고, 비교적 무거운 구리등은 아래쪽 출구에서, 비교적 가벼운 알루미늄등은 위쪽 출구에서 각각 회수된다. 선별조(22)의 바로 앞 아래쪽에서 회수된 PVC등은 더스트와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여기서 비철금속선별의 풍력선별기(23)에서의 선별이 불충분할 때, 풍력선별기(23) 앞에 파쇄기를 설치하고, 이 파쇄기로 비철금속의 입자 크기를 고르게하면, 그 선별정밀도는 한층 향상된다.
더스트(13, 14)나 PVC등은 제3도의 더스트 용융노 설비영역 사일로(84)에 들어가고, 스크류컨베어(24)로 운반되어 더스트 용융노(25)의 꼭대기로부터 더스트 용융노(25)내로 공급된다. 더스트 용융노(25)의 측면으로부터 나오는 배기가스(26)는 배기가스 냉각탑(27)을 거쳐 배기가스 처리기(28)에 유도되고, 처리가스는 굴뚝(29)을 거쳐 대기로 방출된다. 한편, 배기가스 처리기(28)의 하방에서는 더스트(30)가 회수되고, 무해화 처리장치(31)에서 킬레이트처리, 혹은 유리고화 등의 처리가 행해진 후 잔사로서 회수된다. 더스트 융용노(25)의 바닥부에서는 슬래그(32)가 회수되는데, 이것은 슬래그냉각조(33)를 거친 후 회수된다.
브라운관 처리 설비영역에 이른 브라운관(B)의 절단물은 먼저 자력선별기(34)에 도입되고 보강금구류는 철로서 회수 제거되고, 이어서 분별기(35)에 도입되어 패널(panel)과 깔대기(funnel)로 나누어진다.
패널은 파쇄기(36)에 투입되어 파쇄되고, 그 파쇄물은 몇 개 조(槽)로 나뉘어진 세정조(37) 상류의 분리조에 투입되고, 불소나 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후 건조기(38)를 거쳐 패널컬렛으로서 회수된다. 한쪽의 깔대기는 파쇄기(39)에 투입되고나서 그 파쇄물은 역시 몇 개 조로 나뉘어진 세정조(40)상류의 분리조에 투입되고, 불소나 물을 이용하여 세정한 후 건조기(41)를 거쳐 패널컬렛으로서 회수된다.
단열재의 고형분(수지분)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용융조(42)에 유도되고, 여기서 용융되어서 냉각조(43)를 거쳐 유용한 화성품으로서 회수된다. 또 제2도의 플라스틱 선별 후의 회수물은 유화(油化)가 적합하며, 그 예를 제6도에 나타낸다. 즉 플라스틱은 용융조(44)에 투입되고, 이어서 분해조(45)에 이르러 분해조(45)상부에서 회수된 가스는 반응조(46), 쿨러(47)를 순차 거쳐 리시버(48)에 들어가고, 액체성분은 제품오일로서 회수된다.
또한, 이 리시버(48)의 가스성분은 공기와 함께 가열로(49)에 도입되어 가열로(49)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이 가열로(49)는 간접 열교환기로 되어 있어 분해조(45)로부터의 유체가 가열로(49)를 거쳐 가열되고 다시 분해조(45)로 되돌아간다. 분해조(45)의 바닥부로부터 용융조(44)에 이르는 배관도중에서는 잔사를 회수할 수 있다.
이상 서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세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폐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폐쇄처리할 뿐 아니라, 유용물은 철저히 리사이클 원료로서 회수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여 어떠한 폐기물이 들어와도, 소재별로 높은 효율로 회수가 행해진다. 특히 고효율로 회수되는 것은 프론(11)과 프론(12), 철, 구리, 알루미늄, 컬렛(유리), 각종 플라스틱이고, 나아가서는 플라스틱에 대하여 유화를 거쳐 오일로서 회수하고, 단열재의 수지분에 대해서는 다른 화성품으로서 회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플랜트는 폐가전제품(혼재)이 그 종류의 양적인 조합의 폭을 감안하여 1시간당 2t~5t을 처리할 수 있고, 냉장고 약 1.1t, 세탁기 약 0.5t, 에어콘디쇼너 약 0.7t, 텔레비젼 약 0.7t을 합쳐 3t의 폐가전제품이 도입되어도 1시간당 3t을 처리할 수 있고, 1일 6시간 가동시켜 일당 18t, 1개월 22일 가동하여 월 396t의 처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제 2실시예]
제7도 내지 제9도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되는 고도 AI설비영역의 전체를 나타냈다. 또, 지면의 형편상 3도로 분할하였다. 이 예는 대부분의 설비에 있어서 사람을 극력 개재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배려되어 있다.
제7도의 하강영역(50)에는 복수의 트럭하치장(51)이 설치되어 있고, 이곳에서 초벌분리 컨베어(52)에 의해 폐가전제품이 다음 단계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초벌분리 컨베어(52)는 반송물분숭·자세수정영역(53)에 이른다. 여기에는 반송물분숭·자세수정장치(54-1, 54-2)가 병렬로 배설되어 있고, 반송물분숭·자세수정장치(54-1)의 뒷쪽부터는 규격외품이 규격외품 배출라인(55-1)에서 배출되도록 되어 있고, 규격외품은 반송물분승 자세수정장치(자세수정을 자세제어라고도 한다. 이하 같음.)(54-2)의 다음 단계에 합류한다. 또 이 합류점의 뒷쪽에도 규격외품 배출라인(55-2)이 설치되어 규격외품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영역(53)에는 LP(로컬패널.이하, 같음.)(56)가 설치되어 있고, 영역(53)에서 각 장치의 운전제어와 운전상태의 표시 등 또는 영역(53)에서의 각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중앙의 처리분석장치로 보내는 동시에, 처리해석장치로부터의 지령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장치의 운전제어 등을 행하거나, 혹은 그 부근의 전원판넬로 된다.
각각의 반송물분숭·자세수정장치(54-1, 54-2)의 뒷쪽은 제품종류별 인식영역(57)에 이르고, 각각의 라인마다 순차 센터링장치(58-1, 58-2), 화상독출장치(59-1, 59-2)가 설치되고, 화상독출장치(59-1)의 뒷쪽에서는 독출불량품(60-1)을 흐르게 하는 라인을 분기시키고, 화상독출장치(59-2)의 뒷쪽에도 독출불량품(60-2)을 흐르게 하는 라인을 분기시켜 독출불량품(60-1)을 합류시키고 나서 자세수정장치(61)에 이르게 하여, 그런 다음 다시 각 센터링장치(58-1, 58-2)에 들어가도록 하고 있다. 이 영역(57)에도 LP(62)가 설치되어 있고, 영역(57)에서의 각 장치의 운전제어와 운전상태의 표시 등 또는 영역(53)에서의 각 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중앙의 처리해석장치로 보내는 동시에, 처리해석장치로부터의 지령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장치의 운전제어 등을 행한다. 또 각 화상독출에는 가시광 이외에 X선등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품종류별 인식영역을 거친 뒤 라인은 기종마다 분류를 행하는 품종구분영역(63)으로 이른다(제8도). 이 품종구분영역(63)은 영역(57)으로부터의 각 라인(본 예에서 라인은 2개)모두,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먼저 텔레비젼(TV)을 분별하는 텔레비젼 구분기(64), 다음에 에어콘디쇼너(AC)의 실내기를 분별하는 에어콘디쇼너 실내기 구분기(65), 다음에 세탁기(W)를 분별하는 세탁기 구분기(66), 다음에 에어콘디쇼너(AC)의 실외기를 분별하는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구분기(67), 그리고 다음에 냉장고(R)를 구분하는 냉장고 구분기(68)가 배설된다. 또, 마지막으로는 품종구분 불능품 배출구(69)에 이른다.
텔레비젼 구분기(64), 에어콘디쇼너 실내기 구분기(65), 세탁기 구분기(66)의 각각에 의하여 선별된 폐가전제품은 제9도의 영역에 이르는데,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구분기(67)및 냉장고 구분기(68)에 의해 구분된 각 폐가전제품은 제9도의 영역에 이르기 전에 프론회수 대기영역(70)을 경유하게 된다. 또, 냉장고에 대해서는 프론회수 대기영역(70)이전에 자세교정장치(71)를 거쳐, 다음 단계에서의 처리가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자세를 조정하게 된다. 이 자세교정장치(71)는 반자동이어도 지장은 없다. 본 예에서는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구분기(67)및 냉장고 구분기(68)를 마주보게 하였으므로, 소위 냉매프론의 회수라인과 그 회전이 보다 콤팩트해진다. 프론회수 대기영역(70)에서는 냉장고에 대해서는 2개로 라인이 나뉘어져, 실외기 라인과 함께 합계 3개의 라인으로 되고, 각 라인마다 각 폐가전제품의 송출장치(72-1~72-3)가 설치된다.
프론회수 대기영역(70)의 뒷쪽에는 프론회수영역(73)이 있고, 각 라인마다 2셋트의 프론회수유닛(74)이 설치되어 있다. 에어콘디쇼너 실외기에 대해서는 적당히 방향을 전환한다. 본 예에서는 각 프론회수유닛(74)은 수동에 의하여 프론회수를 행한다. 각 라인에 2셋트가 있는 것은 작업효율 관점에서 이고, 각 라인마다 2대분씩이 흘러나와 흐름작업이 가능해진다.
각 냉장고라인은 영역(73)후, 자세수정장치(75-1, 75-2)를 거쳐, 본체와 모터(M), 콤프레서(C)를 절단하는 케이스체 절단장치(결과적으로 금속덩어리 분리장치로서 기능한다)(76-1, 76-2)를 거치고, 케이스체는 뒷쪽의 파쇄선별설비의 절단기(77)에 이른다. 또 절단분리된 모터(M), 콤프레서(C)는 뒷쪽의 파쇄선별설비의 예냉컨베어(78)에 이른다. 에어콘디쇼너 실외기라인은 자세수정을 거치지 않고 케이스체 절단장치(79)에 이르고, 세탁기라인도 케이스체 절단장치(80)에 이르러, 각각 절단분리된 모터(M), 콤프레서(C)는 냉장고 라인의 그것과 합류하여 뒷쪽의 파쇄선별설비의 예냉컨베어(78)에 이른다. 또, 상기 어느 것이나 케이스체 절단장치는 반자동이다.
한편, 에어콘디쇼너 실내기와, 에어콘디쇼너 실외기의 케이스체와, 세탁기의 케이스체는 합류하면서 뒷쪽의 파쇄선별설비의 절단기(81)에 이른다.
또 텔레비젼(라인 64)은 브라운관과 케이스체와의 분리장치(82)에 이르고, 케이스체는 상기의 절단기(81)에 이른다. 브라운관은 넥/깔대기 절단수단(83)에서 넥과 깔대기 그 밖의 것으로 나뉘어지고, 깔대기 그 이외의 것은 브라운관 처리설비의 저항가열 분리장치에 이르러 처리되고, 넥은 파쇄선별설비의 더스트 용융노 설비행 컨베어(85)에 이른다.
제10도에 앞에 설명한 고도 AI설비의 뒷쪽에 해당하는 파쇄선별설비를 나타냈다.
금속덩어리(C, M)는 예냉컨베어(78)를 거쳐 액체질소 침지장치(86)에 이르고 파쇄기(87)에 투입된다. 또, 액체질소 침지장치(86)에는 액체질소탱크(861)가 부설되어 적당히 액체질소를 보충한다.
냉장고의 케이스체는 절단기(77)에 이르고, 한편 텔레비젼의 케이스체, 세탁기의 케이스체, 에어콘디쇼너의 실내기, 에어콘디쇼너의 실외기의 케이스체 등은 절단기(81)에 이른다. 각 절단기(77, 81)의 뒷쪽은 합류하여 파쇄기(88)로 유도된다. 브라운관의 넥은 더스트 용융노 설비행 컨베어(85)에 의하여 운반되는데, 이 컨베어(85)에는 파쇄기(87)로부터의 더스트나 파쇄기(88)로부터의 더스트도 혼입시켜 라인의 콤팩트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이 때 후술하는 플라스틱 선별로부터 나오는 PVC 등도 더스트의 라인에 합류시킨다.
파쇄기(87)의 파쇄물은 사일로(89)에 투입되어 자력선별기(90)에 이르게 한다. 한편, 파쇄기(88)의 파쇄물은 유로가 경사진 풍력선별기(91)에 투입되어 아래쪽으로부터는 무거운 물질 즉 금속이나 플라스틱을 발출하여 파쇄기(87)의 파쇄물과 합류시켜 자력선별기(90)에 투입시킨다. 풍력선별기(91)의 상류로부터는 프론을 포함한 발포단열재가 풍력에 의하여 회수되고, 이것은 사일로(92)에 들어가 파쇄기(93)를 거쳐 가스분은 프론회수라인(94)을 돌고, 고형분은 압출기(95)를 거쳐 회수된다. 프론회수라인(94)은 압축기(96)와 물, 냉매의 각각에 의한 열교환기(97, 98)에 의하여 형성되어 프론(11)을 실린더에 회수하게 된다.
자력선별기(90), 드럼세퍼레이터(100)를 거쳐 철(99)이 회수되고, 와전류선별기(101)를 거쳐 플라스틱과 비철금속으로 나뉘어지고, 비철금속은 풍력선별기(102)를 거쳐 비중이 무거운 구리(103)가 하방에서, 비중이 가벼운 알루미늄(104)이 상방에서 각각 회수된다.
플라스틱은 액체에 의한 비중선별조(105)에 도입되고 비중차에 의하여 가볍고 물에 뜨는 올레핀계 플라스틱(106), 물보다 무겁지만 PVC보다 가벼워 조(槽)의 후방에 가라앉는 스틸렌계 플라스틱(107), 이상의 것보다 비교적 무거운 PVC등(108)으로 구분되고, PVC등(108)은 적당히 더스트처리에 합류시킨다.
이상 서술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텔레비젼, 에어콘디쇼너, 냉장고, 세탁기에 대하여 폐가전제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용물은 철저히 리사이클 원료로서 회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AI처리설비에 의하여 사람 손을 빌리는 일이 적어지고, 또 효율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제 3실시예]
제11도에 AI설비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본 예는 2층으로 트럭은 1층에 도착하는 복수대의 트럭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도록 트럭하치장(109)이 구비되고, 각 플랫홈에 도착한 트럭의 하대로부터는 폐가전제품이 문(門)형상으로 된 크레인에 의해 내려져, 초벌분리 컨베어(110)에 운반되고 2층으로 올려진다.
2층에서 먼저 전환댐퍼(111)에 의해 적어도 2라인으로 나뉘어지고, 그 후 규격외 제거장치(112)에 이르고, 규격외품은 배출(113)된다. 그런 후 각 라인마다 순차 센터링장치(114), 화상인식장치(115)를 거쳐 다음 단계에 이르는데, 각 라인의 도중부터 분기라인을 설치하여 적절히, 자세수정장치(116)를 거쳐 다시 각 라인의 센터링장치(114)에 이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17, 118, 119, 120, 121은 방향전환수단이다. 이렇게 각 라인은 90도로 방향전환된 후, 다시 90도 방향전환하여 품종구분기(122)에 들어간다.
품종구분기(122)에서는 제2실시예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먼저 텔레비젼이 구분되고, 다음에 에어콘디쇼너의 실내기가 구분되고, 다음에 세탁기가 구분되고, 다음에 에어콘디쇼너의 실외기가 구분되고, 그리고 냉장고가 구분되고, 나머지가 품종구분 불능품으로서 배출(123)된다.
텔레비젼에 대해서는 텔레비젼라인(124)을 통과하여 케이스체 분리장치(129)에 이르러 브라운관을 배출(130)하고, 나머지는 기타 케이스체 라인(131)에 이른다. 에어콘디쇼너의 실내기에 대해서는 에어콘디쇼너 실내기 라인(125)을 통과하고 기타 케이스체 라인(131)에 이른다. 세탁기는 세탁기라인(126)을 통과하고, 케이스체 분리장치(132)에 의하여 금속덩어리를 떼어내고 나서 기타 케이스체 라인(131)에 이른다. 에어콘디쇼너의 실외기에 대해서는 에어콘디쇼너 실외기 라인(127)을 통과하고, 도중 프론회수장치(133)를 거치고 나서 케이스체 분리장치(134)에 의하여 금속덩어리를 떼어내고, 그런 다음에 기타 케이스체 라인(131)에 이른다. 냉장고는 냉장고라인9128)을 통과하고, 먼저 자세수정장치(135)를 거쳐 2라인으로 나뉘어지고, 각각 프론회수장치(136, 137)를 거쳐 케이스체 분리장치(138, 139)에 이르고, 그 후 케이스체에 대해서는 냉장고 케이스체 전용라인(140)에 이른다.
또 각각의 프론회수장치(136, 137)로부터 케이스체 분리장치(138, 139)에 이르기 전에 텐테이블(141, 142)을 거쳐 케이스체 분리장치(138, 139)에서 자동, 반자동절단이 원활히 행해질 수 있도록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스체 분리장치(132, 134, 138, 139)로부터 절단등으로 분리된 금속덩어리는 금속체라인(143)에 의하여 회수된다.
본 실시예는 이상의 레이아웃에 의하여 처리설비가 대단히 콤팩트해진다. 즉, 본 플랜트의 치수는 1층의 트럭이 들어가는 스페이스 치수(a)가 16,000(mm), 치수(b)가 3,7000(mm), 2층의 처리 스페이스는 치수(c)가 30,000(mm), 치수(d)가 53,000(mm), 따라서 부지는 d×치수(e)(= a+c = 46,000(mm))으로 구분된다. 또한, 금속덩어리의 냉동파쇄에 필요한 액체질소탱크(149)는 액체질소 보급을 적절히 도모하여 옥외에 설치되는데, 남은 부지의 유효스페이스를 활용하고 있다. 또 라인(131, 140, 143)의 말단은 각각 받침호퍼(150, 151, 152)에 이르고, 여기에서 각각의 물체가 투하되어 1층에 있은 파쇄기등 각종 처리(제1~제3실시예 참조)에 들어간다.
[제 4실시예]
제12도 내지 제15도에 전처리설비의 자동화에 대하여 예시한다.
제12도는 트럭으로부터 혼재된 폐가전제품을 자동으로 하강하는 장치이다. 즉 트럭의 하대를 플랫폼(144)에 가로붙히면, 플랫폼(144)의 높이가 조절되어 하대(145)와 대략 같은 높이고 되고, 틀체(147)의 2개의 레일(148)에 매달려진 판상체(板狀體)(146)가 슬라이드하여 탑재물을 플랫폼(144)으로 압출하는 것이며, 이 플랫폼(144)자체를 컨베어로 하여도 좋고, 또 플랫폼(144)을 경사지게 하여 컨베어에 미끄러지도록 하여 바꾸어 실어도 된다.
제13도는 화상처리 및 중량측정에 의하여 제품을 인식하는 장치이고, 제14도는 인식된 폐가전제품을 제품마다 분별하는 장치이고, 제15도는 분별된 폐가전제품의 모터 등의 금속덩어리를 분리시켜 파쇄공정으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AI(Artificial Intelligence)기능을 도입하여, 폐가전제품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혹은 베터량의 작업자와 동등한 작업을 할 수 있는 자동기계화가 가능해진다. 이것은 정보를 취급할 수 있는 기계로의 전신(轉身)이며, 인력저감화를 도모함과 동시에 고효율 작업을 실현시킬 수 있다.
[제 5실시예]
제16도에 제4도의 대안을 나타낸다. 즉 제1도의 영역으로부터 브라운관 처리영역에 도착한 브라운관(B)의 절단물은, 먼저 T밴드 제거장치(153)에 이르고, 여기서 보강금구류가 분리되고 이 보강금구류는 철로서 회수된다. 보강금구류가 제거된 것은 T밴드 제거장치(153)후, 프릿(frit)용해조(154)에 투입되고, 이어서 세정기(155)에 들어간다. 세정기(155)에는 HNO3, H2O가 채워져 있고, 여기서 세정되고 이어서 분해기(156)에 들어가 깔대기와, 패널과, 섀도우마스크로 나뉘어진다. 깔대기에는 세정기(157)(NF, HNO3, H2O를 구비하고 있다), 건조기(160)를 거쳐 회수된다. 패널도 세정기(150)(HF, HNO3, H2O를 구비하고 있다), 건조기(159)를 거쳐 회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효과는 제1실시예에 의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제 6실시예]
이하의 각 실시예는 상기 각 실시예의 플로우의 변화이다.
제17도의 실시예는 전처리장치, 파쇄장치, 선별장치로 이루어지는 처리시스템에, 프론분해장치, 대형유리 처리장치, 발포재 처리장치, 중합분해장치, 플라스틱 처리장치, 더스트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를 구비하는 처리시스템의 예이다.
폐가전제품(161)은 먼저 전처리장치(162)에 의해 전처리장치가 행해지고, 텔레비젼의 브라운관은 대형유리 처리장치(163)에, 각종 상자체나 금속덩어리는 파쇄장치(164)에, 그리고 냉매프론은 프론분해장치(165)에 도착한다.
대형유리 처리장치(163)로부터는 컬렛이 회수되는데, 컬렛은 패널컬릿, 깔대기컬렛, 넥컬렛을 포함한다. 프론분해장치(165)로부터는 NaCl, CaF2가 얻어진다. 파쇄장치(164)의 뒷쪽에 선별장치(166)가 설치되어 있고, 선별장치(166)에서는 Fe, Cu, Al 등의 금속류와 플라스틱으로 선별되고, 플라스틱은 다시 플라스틱 처리장치(169)를 거쳐 고형연료 또는 오일로서 회수된다.
한편, 선별장치(166)에서는 발포재도 분리되어 발포재 처리장치(167)에 도입되고, 일부는 오일 등의 흡착재로서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기타 일부는 중합분해장치(170)의 분해로 플라스틱 재료 등의 화성품으로 되고, 나머지, 즉 발포프론은 프론분해장치(165)에 도착한다. 프론분해장치(165)에서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NaCl, CaF2가 얻어진다.
대형유리 처리장치(163), 파쇄장치(164), 발포재 처리장치(167)의 각각으로부터는 더스트가 더스트처리장치(168)에 이르고, 처리 후의 잔사는 매립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플라스틱 처리장치(169)로부터 얻어진 고형연료나 오일은 더스트처리장치(168)나 중합분해장치(170), 프론분해장치(165)에도 열원으로서 공급된다. 선별장치(166)로부터 나온 플라스틱의 일부는 직접 중합분해장치(170)로 공급하여도 된다. 또, 플라스틱 처리장치(169)로부터 선별된 소재는 말뚝이나 판재에도 이용될 수있다. 선별된 플라스틱은 중합분해장치에 의하여 다시 플라스틱재, 또는 기타 화학물질로 한다.
제18도에 제17도의 일례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즉, 전처리장치(162)안에는, 먼저 기종식별장치(171)를 거쳐 분류수단(172)에 들어가고, 여기서 세탁기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 텔레비젼은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의, 냉장고나 에어콘디쇼너는 프론제거수단(175)의, 각각의 루트로 나뉘어지고, 그 이외 기타는 뒷쪽의 파쇄장치(164)에 이른다.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는 대형유리 분류수단(174)이나 프론제거수단(175)을 거친 것도 투입된다. 즉, 본 예의 전처리장치(162)는 기종식별장치(171), 분류수단(172),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 대형유리 분리수단(174), 프론제거수단(175)과 이들을 연결하는 반송로로 구성된다.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는 대부분이 대형유리 처리장치(163)에 이르는데, 더스트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부터의 더스트와 함께 더스트 처리장치(168)에 들여보내진다.
파쇄장치(164)로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 분리된 금속덩어리와 분류수단(172)으로부터의 분리물과, 경우에 따라서는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의 분리물이 투입되어 파쇄된다.
선별장치(166)는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경량물 분리수단(176), 금속선별수단(177), 플라스틱 선별수단(178)으로 구성된다. 금속선별수단(177)으로부터는 Fe, Cu, Al 등이 회수된다.
제19도에 다시 제17도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제18도와 다른 것은 분류수단(172)으로부터 직접 파쇄장치(164)에 이르는 루트가 없다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텔레비젼 등의 상자체는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 상자체내의 트랜스 등의 큰 금속덩어리를 포함하는 것은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 상자체내에 트랜스 등의 큰 금속덩어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은 파쇄장치로 직접 흐르도록 되어 있다.
제20도에 다시 제17도의 다른 예를 나타냈다. 제19도와 다른 것은 파쇄장치(164)의 내부가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초벌파쇄기(179), 박리파쇄기(180)를 구비한 점이다.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부터는 초벌파쇄기(179)에 들어가는 것과, 박리파쇄기(180)에 들어가는 것과, 더스트처리되는 것이 있다. 박리파쇄기(180)를 거친 것은 대부분이 경량물 분리장치(176)에 이르는데, 더스트는 더스트처리장치(168)에 이른다. 또, 박리파쇄기(180)는 충격식 파쇄기로 치환하여도 된다.
제21도에 다시 제17도의 다른 예를 나타냈다. 제20도와 다른 것은, 파쇄장치(164)는 박리파쇄기(180)(충격식 파쇄기이어도 된다)로 구성하고, 그 앞쪽 즉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과의 사이에 절단기(181)를 설치한 점이다. 절단기(181)에는 대형유리 분리수단으로부터의 분리물의 일부를 유입시켜도 된다.
즉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종식별수단(171)으로 냉장고, 텔레비젼, 에어콘디쇼너, 세탁기를 식별하고, 이 결과에 의거하여 분리수단(172)으로 각각을 적합한 처리루트로 흐르게 하도록 분류한다. 냉매프론이 들어있는 냉장고, 에어콘디쇼너는 프론제거수단(175)으로 냉매를 제거하고,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 압축기부를 분리하고, 상자체 부분은 절단기(181)로 복수개로 절단하고, 박리파쇄기(180)로 재질마다 따로 따로 나누면서 파쇄한다. 또 압축기부는 직접 박리파쇄기(180)에 투입하여, 철, 구리, 알루미늄 등을 분리시키면서 파쇄한다.
텔레비젼은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 브라운관을 분리하고, 상자체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 또는 절단기(181)에 흐르게 한다. 브라운관은 대형유리 처리장치(163)에 의하여 부속금속을 떼어내고, 다시 페이스부와 깔대기부를 열선으로 덮힌 후 급냉함으로써 분리되고, 다시 깔대기부와 넥부를 분리하고, 패널컬렛, 깔대기컬렛, 넥컬렛으로서 회수한다.
세탁기 등 상기 이외의 것은, 분류수단에 의하여 직접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에 흐르게 하고, 여기서 금속덩어리인 모터 등을 분리하고, 또 절단기(81)로 복수개로 절단하고, 박리파쇄기(180)로 재질마다 분리하면서 파쇄한다.
이상의 박리파쇄기(180)에 의하여 파쇄된 폐기물은, 경량물 분리수단(176)으로 발포우레탄 등의 경량물을 분리한 후, 금속선별수단(177)으로 금속류를 각각 분리회수하고, 그 후, 플라스틱 선별수단(178)으로 염화비닐 등의 연소로 유해가스를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분해 제거한다. 또한, 염화비닐 등의 유해가스를 발생하는 플라스틱을 제거한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처리장치에 의하여 고형연료 또는 오일등으로 가공한다.
한편, 선별장치(166)의 경량물 분리수단(176)으로 분리한 발포재는 발포재 처리장치(167)에 의하여 발포재와 수지로 분리하고, 수지부분은 그것을 흡착재로서 이용하기도 하고, 중합분해장치(170)로 다른 화학물질로 가공하기도 하고, 또는 다시 플라스틱 원료로 가공한다. 또 냉매프론 및 발포재로서 사용된 프론은 프론분해장치로 분해하여 NaCl, CaF2등으로 변환하여 무해화를 도모한다.
또, 이상의 처리시스템에서 발생한 슈레더(shreder)더스트는, 더스트 처리장치에 의하여 용융고화되어 무해화를 도모한다. 여기서 박리파쇄기(180)는 충격식 파쇄기로 하여도 된다.
이상의 처리시스템에서 프론분해장치(165), 더스트처리장치(168), 중합분해장치(170)에는 열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이 열에너지원으로서 플라스틱 처리장치에서 만들어지는 고형원료 또는 오일을 사용하여, 본 처리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열에너지를 극력 작게한다.
제22도에 다시 제17도의 다른 예를 나타냈다. 제21도와 다른 것은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 각 처리장치로의 루트이다. 즉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 브라운관이 제거된 텔레비젼의 상자체는 큰 트랜스 등의 금속덩어리를 가지는 것은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 금속덩어리가 없는 큰 상자체는 절단기(181)로, 작은 상자체는 박리파쇄기(180)로 흐르도록 한다.
[제 7실시예]
제23도에 고도 AI설비영역을 채용한 예를 나타낸다.
폐가전제품(161)은 먼저 계측영역(기종식별영역이기도 하다. 이하 같음.)(182)으로 들어간다. 여기에는 중량계측장치(183)와 형상계측장치(184)가 구비되고, 각 측정데이터는 처리해석장치(185)로 보내진다. 계측영역(182)의 다음에 분류수단(172)이 있고, 텔레비젼은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 냉장고나 에어콘디쇼너는 프론제거수단(175)으로, 세탁기 등은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9)으로 나뉘어져 옮겨진다.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은 본 예에서는 3개 있는데,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9) 이외에,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 들어오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7)과, 프론제거수단(175)으로부터 들어오는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8)이다. 어느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으로부터도 상자체에 대해서는 초벌파쇄기 및 절단기로 나가게 되고, 또 그 이외 기타는 박리파쇄기나 충격파쇄기로 나가게 된다. 또,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부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브라운관이 대형유리 처리장치로 나가게 된다.
처리해석장치(185)에는 계측장치(182)로부터 데이터 이외의 기기 데이터(186)가 들어오게 되어 있고, 분류수단(172),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7, 188, 189)의 각각과 케이블로 접속되어 각 처리에 반영시키도록 되어 있다.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87, 188, 189)에 대해서는 작고 금속덩어리가 없는 경우는 동작하지 않고, 여기를 그저 통과시킬 뿐이다. 이 경우의 구별은 앞의 형상식별수단(182) 데이터에 의거하여, 처리해석장치(185)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하여 제어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투입폐기물로서 폐가전제품과 함께 OA기기도 포함될 수 있다.
제24도에 제23도의 대안을 나타냈다. 제23도의 플로우와 다른 것은, 분류수단(172)으로부터 직접 박리파쇄기 또는 충격파쇄기로 들어가는 루트를 설치한 점에 있다. 이 루트에는 냉장고, 에어콘디쇼너, 세탁기, 텔레비젼 이외의 작은 것들이 들어가게 된다.
제25도에 제23도의 다른 대안을 나타냈다. 본 예는 분류수단(172), 대형유리 분리수단(174), 프론제거수단(175)의 다음 단계이고,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91)의 전 단계에 정렬수단(190)을 설치한 것에 있다. 이 정렬수단(190)에는 분류수단(172)으로부터 직접 또는 대형유리 분리수단(174), 프론제거수단(175)으로부터의 것이 흘러오는데, 정렬수단(190)은 정렬수단(190)에 의하여 유입되는 폐기물을 명확화하여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91)으로 흐르도록 하는 것이고, 정렬수단(190)도 처리해석장치(185)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주고받음을 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91)은 정렬수단(190)으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 폐기물에 대응한 가장 적합한 위치로부터의 금속덩어리 분리가 가능해진다.
제26도에 제25도의 대안을 나타냈다. 본 예는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의 뒷쪽에도 분류수단(19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분류수단(192)은 처리해석장치(185)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주고받음을 행하게 된다.
분류수단(172)에서 텔레비젼은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으로, 냉장고, 에어콘디쇼너는 프론제거수단(175)으로 흐르는데, 세탁기 그 이외의 기타의 큰 물건은 정렬수단(190)으로 흐르고, 작은 물건은 정렬수단(190)을 통과하지 않고 박리파쇄기나 충격파쇄기로 유도된다. 대형유리 분리수단(174)에서 분리된 브라운관은 대형유리 처리장치로 유도되나 다른 것은 분류수단(192)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큰 상자체가 분리되고, 초벌파쇄기나 절단기에 투입된다.
분류수단(192)으로부터는 큰 트랜스 등의 금속덩어리가 있을 때는 정렬수단(190)을 거쳐 금속덩어리 분류수단(191)에 투입되고,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91)에 의하여 분리된 금속덩어리는 분류수단(192)에 의해 분리된 작은 상자체와 함께 박리파쇄기 또는 충격파쇄기에 투입된다.
제27도에 제25도의 다른 대안을 나타냈다. 본 예는 분류수단(172)으로부터 각 루트에 들어가기 전단계에 자세제어장치(193∼195)를 설치한 점에 있다. 이 자세제어는, 이후의 각 수단에서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덩어리의 위치, 브라운관 방향 등의 정보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각 자세제어장치(193~ 195)는 처리해석장치(185)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주고받음을 행하고, 또 이 자세정보는 각 자세제어정보(193∼195)에 의하여 부여된 폐기물의 자세 및/ 또는 처리해석장치(185)를 거쳐 이후의 각 수단으로 전달되고, 각 수단으로 용이하게 그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자세제어장치(193∼195)를 설치함으로써, 각 수단의 구조가 간결하게 되고 시스템 전체로서 장치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제28도에 제27도의 대안을 나타냈다. 제27도의 예와 다른 것은 자세제어장치(196)를 분류수단(172)의 앞쪽에 설치한 점이다. 본 예에 의하면 분류수단(172)에 투입되는 폐가전제품의 방향이 제어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분리처리가 원활히 행해지게 된다.
또, 제27도의 다른 예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91)의 앞 또는 중간에 자세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제29도에 제28도의 대안을 나타냈는데, 이 예와 같이 분리수단(172)의 앞쪽에 자세제어장치(196)를 설치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제30도에 다른 제29도의 대안을 나타냈는데, 본 예는 기종식별수단(182)의 앞쪽에 반입장치(197)를 설치하였다. 반입장치(197)로 중량측정을 행하여 반입량의 파악을 행하고, 이 데이터 등을 처리해석장치(185)로 보내고, 이 데이터를 근거로 처리시스템의 처리속도를 제어한다. 반입장치(197)는 트럭상의 폐가전제품(내지 폐기물)을 반출장치에 의하여 강제적으로 짐을 푼다. 또, 트럭의 크기를 운전수의 손으로 입력하거나 또는 화상 인식 등으로 처리해석장치(185)로 보내고, 이 데이터에 의거하여 트럭을 들어올려 용이하게 짐을 푼다.
다음에 이상의 각 실시예에 사용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1도 및 제32도는 모두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의 예시이고, 제31도는 수직커트의 예를, 제32도는 경사커트의 예를 나타낸다.
세탁기나 냉장고를 예로 들면, 수직커트의 경우, 먼저 형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위치결정 스톱퍼(199)의 위치를 셋트한다. 위치결정 스톱퍼(199)에 닿을 때 까지 폐기물(세탁기) 또는 냉장고(204))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투입컨베어(203)상에 폐기물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는 베이스(202)상에 롤러(205)를 설치하며 이 롤러(205)도 구동시켜도 된다. 이 위치결정 스톱퍼(199)에 닿을 때 까지 폐기물(204)을 이동시키는 동작은, 보낸 시간이나 스톱퍼상의 리미트스위치나 스톱퍼에 작용하는 힘의 검출, 혹은 롤러(105)와 폐기물의 상대속도 검출 등에 의하여 결정한다. 이어서 커터(198)에 의하여 절단한다. 일반적으로 금속덩어리(200)의 위치는 각 제품마다 정해져 있으며, 예를 들어 냉장고는 콤프레서가 아래쪽에 있고, 따라서 금속덩어리(200)가 커터(198)의 수직방향을 통과하여 버린 곳에서 냉장고의 상자체 마다 커트하게 된다. 이어서 스톱퍼(199)를 떼어내고, 배출컨베어(201)에서 보내지는 것을 금속덩어리와 상자체로 나눈다.
경사커트의 경우도, 먼저 형상데이터에 의거하여 위치결정 스톱퍼(206)의 위치를 셋트한다. 위치결정 스톱퍼(206)에 닿을 때 까지 폐기물(세탁기 또는 냉장고(210))을 이동시킨다. 이 경우 투입컨베어(211)상에 폐기물을 이동시키게 되는데, 필요한 경우는 베이스(207)상에 롤러를 설치하며 이 롤러도 구동시켜도 된다. 이 위치결정 스톱퍼(206)에 닿을 때 까지 폐기물(210)을 이동시키는 동작은, 보낸 시간이나 스톱퍼상의 리미트스위치나, 스톱퍼에 작용하는 힘의 검출 등에 의하여 결정한다. 다음에 경사치구(208)에 의하여, 스톱퍼(206)와 함께 폐기물(210)을 컨베어의 라인과는 경사진 위치로 하고, 이어서 커터(212)에 의하여 절단한다. 제32도는 평면도이므로, 커터(212)는 본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에서는 표시하기 어려워 위치적으로 설명의 형편상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다음에 경사치구(208)로 경사시킴으로써 폐기물(210)은 금속덩어리(213)한계까지 커터(212)아래에 위치하게 되고, 금속덩어리(213)커터(198)에 의하여 절단된다. 금속덩어리(213)한계가 있는 곳이 커터(212)에 의해 상자체 마다 커트된다. 다음에 스톱퍼(206)를 떼어내고, 경사치구(208)에 의하여 경사진 폐기물(210)을 컨베어와 평행한 위치로 리턴시킨다. 다음에 경사치구(208)을 후퇴시켜 배출컨베어(209)에서 보내진 것을 금속덩어리(213)와 상자체로 나누게 된다. 여기서 경사치구(208)는 회전테이블식이어도 된다.
커터방식의 금속분리수단을 사용한 경우, 또 상자체를 여러개 분할한 경우, 파쇄장치에서의 초벌파쇄기 또는 절단기의 대용으로 되므로 이것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 시스템의 예를 제33도에 나타냈다. 제18도의 예와 다른 것은,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커터방식 금속덩어리 분리수단(173')으로 하고, 따라서 초벌파쇄기나 절단기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파쇄장치가 박리파쇄기(180)로 되어 있는 점이다.
제34도에 중량측정수단(183)의 예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컨베어(214)의 다리에 각각 로드셀(215)을 붙혀 컨베어상에 실은 물체의 중량을 계측한다.
제35도에 형상계측장치(184)의 예를 나타냈다. 이장치는 컨베어(216)상의 피측정물인 폐가전제품(217)을 비디오카메라(218)에 의하여 화상으로서 받아들이고, 이 화상을 처리해석장치(185)에 의하여 크기, 방향, 명판 등의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읽어들이는 것이다. 본 예에서는 기종식별수단(171)이 중량측정수단(183)과 형상계측장치(184)에 의하여 구성되고, 이 데이터와 기기데이터(186)로부터 기종식별을 행하고 있는데, 이 조합은 반드시 필수인 것은 아니고, 형상계측장치(184)의 화상데이터가 필요에 따라 선명할 때에는, 이 화상데이터와 기기데이터(186)로부터 기종식별을 행할 수도 있다.
분류수단(172)의 예를 제36도 내지 제38도에 나타냈는데, 기타의 분류수단도 이것에 준한다. 본 예는 예를 들어 제8도의 품종구분영역(63)으로 활용할 수 있다.
입구측컨베어(219)로 운반되어 온 폐기물(예를 들어 폐가전제품. 이하 같음.)은 분류대(A220)상에 실려진다. 이 때, 이 폐가전제품이 종류 A(예를 들어 텔레비젼)에 상당하는 경우는, 처리해석장치(185)로부터의 신호로 분류대(A200)의 스톱퍼(A221)를 폐기물의 진행을 방해하도록 분류대(A220)상에 미리 세워 놓고, 분류대(A220)상에 폐기물을 저장하고, 이어서 분류대(A200)를 위로 들어올려 회전시키고, 출구측컨베어(A222)의 방향으로 분류대(A220)를 향하게 한다. 또 분류대(A220)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롤러(223)를 회전시켜, 분류대(A220)상의 폐가전제품을 출구측컨베어(A222)에 싣는다.
한편, 폐기물이 A가 아닌 경우, 분류대(A220)의 스톱퍼(A221)는 눕힌채로 두고, 입구측컨베어(219)로부터의 폐기물을 중간컨베어(224)로 그대로 운반하도록 한다. 이 때, 분류대(A220)상에 설치한 구동롤러(223)도 폐기물이 입구측컨베어(219)로부터 중간컨베어(224)측으로 보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폐기물은 부드럽게 중간컨베어(224)로 운반될 수 있게 된다. 이후 구분하고 싶은 종류분만큼 이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즉, 제품 A(텔레비젼)을 제외한 폐기물로부터 다음 제품 B(예를 들면 에어콘디쇼너의 실내기)을 구분한다. 제품 B에 대해서는 먼저 분류대(B225)에 싣고, 스톱퍼(B226)로 임시로 고정하고, 분류대(B)를 회전시켜 출구측컨베어(B227)로 옮긴다. 이렇게 몇가지의 구분을 거치고 나서, 다시 나머지는 중간컨베어(228)를 거쳐 출구측컨베어(C229)에 도착한다. 본 예는 분류대가 복수개 사용된 경우이며, 중간컨베어(228)는 필수가 아니고 출구측컨베어(229)로 대용하여도 된다.
제37도의 예도 기본적인 동작은 제36도의 것과 같으며, 처리해석장치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분류대(230)의 회전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분류가 가능해진다. 이 실시예에서 스톱퍼(231)는 세우기도 하고, 눕히기도 할 수 있는 가동타입이므로, 폐기물이 B에 상당하는 경우에는 분류대(230)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된다. 또 스톱퍼(231)를 세운채의 고정식인 경우에는, 분류대(230)의 회전에 의하여 분류를 행할 수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입구측컨베어(232)로부터 분류대(230)로 들어가고, 그 회전에 의하여 제품종류에 따라 출구측컨베어(233, 234, 235)로 나누어진다.
제38도는 제36도나 제37도에 사용하는 분류대 근방의 측단면도이다.
다음에 제39도를 이용하여 반입장치(197)에 대하여 설명한다. 트럭(236)이 이 설비에 투입하게 되면, 판을 매단 기구의 배출장치(237)(제12도 참조)에 의하여 하대의 폐기물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오목부(238)에 떨어뜨린다. 오목부(238)에는 컨베어(239)가 설치되어 운반되어 나간다. 또, 트럭(236)이 실려지는 대(臺)에는 로드셀(2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244는 트럭을 탑재하는 탑재판이다. 본 예는 배출장치(237)의 동력을 작게하여 배출하기 쉽게 했을 때의 예이다.
제40도에 그 대안을 나타냈다. 트럭(236)이 탑재되는 베이스(241)는 유압잭(242, 243)에 지지되어 있고, 유압제어에 의하여 트럭마다 대(臺) 전체를 경사지게 하고, 배출장치와 더불어 폐기물을 오목부(238)로 낙하시키도록 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차의 뒤뿐 아니라 옆방향으로의 배출도 가능하다.
제41도에 정렬수단(190)을 예시했다. 이것은 분류수단의 역(逆)을 행하게 된다. 즉, 각 입구측컨베어(245-1~245-3)상의 각 스톱퍼(246-1∼246-3)에 설치한 각 리미트스위치(247-1∼247-3)로 각 입구측컨베어(245-1∼245-3)로부터 흘러나오는 폐기물의 유무를 검지한다.
폐기물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하는 스톱퍼(246-1∼246-3)중 어느 하나를 올리고, 그 폐기물을 회전테이블(248)의 입구측으로부터 회전테이블(248)에 싣는다. 이 때, 회전테이블(248)에 설치되어 있는 스톱퍼(249)에 닿을 때까지 폐기물을 반송하고, 그 후 스톱퍼(246-1∼246-3)의 해당스톱퍼는 내려져 닫힌다.
회전테이블(248)상에 폐기물이 실려졌으면 회전테이블(248)을 회전시켜 출구측컨베어(250)방향으로 회전테이블(248)의 입구측을 향하게 하고, 회전테이블(248)위로부터 출구측컨베어(250)로 폐기물을 반송한다. 회전테이블(248)상에서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테이블에는 롤러(2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동작시에 출구측컨베어(250)로부터 반출되는 폐기물의 종류는, 입구측컨베어상의 각 스톱퍼(246-1~246-3)로부터의 신호 또는 폐기물 반입시의 회전테이블(248)방향 등의 정보에 의하여 처리해석장치(185)로 판단하게 된다.
회전테이블(248)로의 반입 또는 반출시, 회전테이블(248)상의 롤러(251)를 구동시켜도 된다. 또, 입구측컨베어(245-1∼235-3)상의 스톱퍼(246-1∼246-3)중 어느 하나를 폐기물이 연속적으로 흐르고 있을 때, 또는 다른 입구측컨베어(245-1∼245-3)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반출을 행하고 있을 때는, 스톱퍼(246-1 246-3)는 폐기물을 입구측컨베어(245-1∼245-3)상에 대기시키기 위한 스톱퍼의 역할도 한다.
제42도 및 제43도에 자세제어장치(193~196)의 예를 나타냈다. 자세제어장치는 폐기물의 상하, 좌우및 진행방향에 대한 방향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특히 금속덩어리의 위치를 명확하게 하고, 이것에 따라 폐기물의 방향을 정하고, 이후의 각 수단, 장치의 동작을 간략화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냉장고, 에어콘디쇼너, 세탁기 등의 가전제품과 같이 단순한 구조의 것의 경우는 형상계측장치의 화상데이터와 기기데이터로부터, 현상의 방향을 알 수 있으므로 그 방향에 따라 회전테이블 등 이후의 각 수단, 장치가 요구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그 목적이 달성된다.
그러나, 형상계측장치가 크기만을 계측하는 경우, 또는 없는 경우에는 데이터부족으로 폐기물의 방향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는 자세제어장치의 실시예가 제42도, 제43도에 나타나 있다. 제42도는 평면도, 제43도는 그 일부단면의 측면도이다. 이 자세제어장치 전체는 부호 196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부호 193∼195도 기능은 같다.
자세제어장치(196)는 회전베이스(252)상에 설치한 4개(복수개 있어도 되고 4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4개가 배치면으로도, 성능면으로도 가장 효과적이다.)의 중량계측수단(각각의 베이스(252)상에 로드셀(253)을 거쳐 상방접시(254)가 탑재되어 구성되어 있다.)에 의하여 폐기물(255)의 중량분포를 계측하고, 이 결과로부터 해석장치에 의하여 금속덩어리의 위치를 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 중량계측시, 다종류 크기의 것도 4구석에서의 중량을 계측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중량계측수단의 각 상방접시(254)에 경사(직선 또는 곡선)을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입구측컨베어(256)에서 유입되어 온 폐기물(255)를 그 폐기물(255)의 기하학점중심을 센터링치구(257)에 의하여 회전 베이스(253)의 중심에 대략 맞추도록 셋트하여, 4구석의 중량을 계측하도록 하고 있다.
또, 입구측컨베어(256)상에도 센터링치구(258)를 설치하여, 폐기물(1)의 회전베이스(253)상으로의 침입과 위치맞춤이 보다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대충 자세제어가 종료되었으면, 다음 공정을 향하여 출구측컨베어(259)에 의하여 반출된다.
[제 8실시예]
전처리시스템의 예를 제44도에 나타냈다.
트럭(260)이 침입하여 오면, 먼저 하강(261)을 행하고 이어서 화상인식(262)을 행하여, 크기, 형상, 메이커 기타 그 이외의 정보를 인식하고 그들의 정보를 처리해석장치, 즉 AI콘트롤러(263)로 보내어 데이터 받아들임(264)을 행한다. 다음에 자세제어(265)를 하고 나서 중량측정(266)을 행하고, 이 중량정보 AI콘트롤러(263)로 보내어 데이터 받아들임(264)을 행한다.
그 후 기종선별장치(267)로 유도되는데, 이 장치는 분류장치(172)나 품종구분영역(63)에 상당하는 것이다. 여기서 냉장고, 에어콘디쇼너, 세탁기, 텔레비젼, 그 이외 기타로 나뉘어지고, 냉장고와 에어콘디쇼너(특히 실외기)는 냉매제거(268)가 행해진다. 이 기종선별장치(267)와 자세제어(265)는 AI콘트롤러(263)로부터의 제어지령(269)으로 동작한다.
기종선별후의 세탁기, 혹은 냉매제거 후의 냉장고, 에어콘디쇼너는 금속덩어리 분리(270)에 유도되고, 금속덩어리는 금속덩어리 파쇄(271)를 행하고, 상자체는 통상의 파쇄(272)를 행한다. 금속덩어리 분리(270)는 AI콘트롤러(263)로부터의 제어지령(269)으로 위치결정을 행한다.
기종선별후의 텔레비젼은 브라운관 분리(273)를 행하고, 브라운관은 브라운관 처리로 향하게 되고, 기타 그 이외는 파쇄(272)를 행한다. 파쇄(272), 혹은 금속덩어리 파쇄(271)후는 선별(274)을 행한다.
AI콘트롤러(263)는 연산처리(275)의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데이터 받아들임(264)후 연산처리(275)를 행하고 연산처리 후 제어지령(269)을 낸다. 연산처리(275)는 도면데이터도 받아들이고, 기종, 메이커 판별, 중심위치, 절단위치를 결정한다. 또, 처리데이터도 출력하도록 되어 있어, 받아들이는 양, 처리가 끝난 제품(금속, 플라스틱, 오일 등)의 완성고량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활용에 적합한 유용물을 회수하고, 또 지구환경에 적합한 소위 폐기물의 일관 처리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처리시에 발생하는 슈레더더스트의 무해화 처리도 일관하여 행하고, 보다 지구환경에 적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 별도의 장소에서 행해졌던 플라스틱의 유화, 재활용 등을 일관된 시스템으로서 정리하고, 처리설비에서 필요로 되는 에너지도 가능한한 처리시스템내의 내부순환으로 돌리고, 외부로부터 공급하는 에너지를 적게하여 처리설치의 외부환경으로의 영향을 적게함과 동시에, 종래의 수작업부분을 가능한한 자동화한 성력(省力)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2)

  1.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기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와 더스트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3.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와 플라스틱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와 더스트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플라스틱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연료를 상기 발포재 처리 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장치에 공급하는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4.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는 프론분해장치도 병설하고,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도 상기 프론 분해장치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프론분해장치에는 상기 전처리장치로부터의 냉매프론과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로부터의 발포프론이 유입되는 라인을 배치하고, 또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5.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상기 파쇄장치와는 별도로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6.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파쇄장치와는 별도로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또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는 발포재 처리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 상기 파쇄장치 및 상기 대형유리 처리장치의 뒷쪽에는 공통으로 더스트처리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7.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는 프론분해장치와 대형유리 처리장치를 병설하고, 상기 선별장치의 뒷쪽에 플라스틱 처리장치와 발포재 처리장치를 병설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도 상기 프론분해장치가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프론분해장치에는 상기 전처리장치로부터의 냉매프론과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로부터의 발포프론이 유입되는 라인을 배치하고, 또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중합분해장치를 병설하고,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는 상기 중합분해장치 이외에 더스트처리장치를 병설하고, 상기 플라스틱 처리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연료를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장치에 공급하는 라인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발포재 처리장치, 상기 파쇄장치 및 상기 대형유리 처리장치의 뒷쪽에 상기 각 장치로부터 발생하는 더스트를 상기 더스트처리장치에 유도하는 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폐기물은 폐가전제품이고, 상기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과, 상기 기종식별수단의 뒷쪽에 설치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에 위치하는 대형유리 분류수단, 프론제거수단 및 금속덩어리 분류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는, 초벌파쇄기와 그 뒷쪽의 박리파쇄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장치는, 박리파쇄기 또는 충격파쇄기를 가지며, 상기 파쇄기의 앞쪽에 절단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에는 프론제거수단과 대형유리 분리수단을 병설하고, 또 상기 대형유리 분류수단의 뒷쪽과, 상기 프론제거수단의 뒷쪽에도, 각각 상기 분류수단 직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과는 별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 뒷쪽의 정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자세제어수단을 가지는 분류수단을 구비하고, 이 분류수단으로부터의 폐기물은 자세가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중량계측장치와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의 계측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뒷쪽의 처리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 계측데이터를 화상데이터로서 입력하는 동시에 당해 도입폐기물의 설계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뒷쪽의 처리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냉장고, 에어콘디쇼너, 세탁기, 텔레비젼을 포함하는 폐기물을 상기 전처리장치에 투입하여, 1시간당 2톤 이상 5톤 이하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7.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과, 상기 기종식별수단의 뒷쪽의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의 대형유리 분리수단, 프론제거수단 및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8.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분류수단의 뒷쪽에는 프론제거수단과 대형유리 분리수단을 병설하고, 또 대형유리 분리수단의 뒷쪽과, 상기 프론제거수단의 뒷쪽에도 각각 분류수단 직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과는 별도의 금속덩어리 분리수단을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19.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분류수단과 정렬수단을 구비하고, 이 분류수단으로부터 직접 이 정렬수단으로 보내는 루트와, 분류수단으로부터 전처리를 거쳐 이 정렬수단으로 보내는 루트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0.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자세제어 수단을 가지는 분류수단을 구비하고, 이 분류수단으로부터의 폐기물은 자세가 제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기종식별수단으로서 도입폐기물의 중량계측장치와, 형상계측장치를 구비하고, 이들의 계측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해석장치를 부설하고, 뒷쪽의 처리 선택을 행하도록 각 장치로의 케이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2. 폐기물의 전처리장치와, 상기 전처리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파쇄장치와, 상기 파쇄장치의 뒷쪽에 설치된 선별장치를 구비한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장치는, 투입된 폐기물의 기종을 식별하는 수단과, 상기 기종 식별수단의 출력에 의거하여 반송되어 온 폐기물을 미리 정해진 경로에 분류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KR1019960008986A 1995-03-31 1996-03-29 폐기물 처리장치 KR0165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75043 1995-03-31
JP7504395A JPH08267455A (ja) 1995-03-31 1995-03-31 廃棄物の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689A KR960033689A (ko) 1996-10-22
KR0165015B1 true KR0165015B1 (ko) 1999-03-20

Family

ID=13564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986A KR0165015B1 (ko) 1995-03-31 1996-03-29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8267455A (ko)
KR (1) KR0165015B1 (ko)
TW (1) TW30331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898A (ko) 2021-10-28 2023-05-1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루션 소형 가전제품 재활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611B1 (ko) * 2000-06-13 2003-02-05 이상희 칩 또는 슬래그를 재활용한 제강용 선철 대용 단괴 제조장치
JP4648581B2 (ja) * 2000-11-30 2011-03-0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廃自動車・廃家電等の金属/非金属系複合廃棄物の再資源化方法
JP2003010827A (ja) * 2001-06-28 2003-01-14 Nkk Corp 廃棄物の解体作業台車及び廃棄物の解体工場
JP4880215B2 (ja) * 2004-12-06 2012-02-22 三菱電機株式会社 切断装置及び切断方法
AT506403B1 (de) * 2008-06-17 2009-09-15 Erema Verfahren und anordnung zur vorbehandlung von polymermaterialien
FI126537B (fi) * 2014-08-13 2017-01-31 Metrosense Oy Menetelmä, laitteisto ja järjestelmä jätteiden lajittelemiseksi
JP6558752B2 (ja) * 2015-04-14 2019-08-14 地方独立行政法人山口県産業技術センター ポリオレフィン複合材料からのポリオレフィンリサイクル方法
CN106583408B (zh) * 2016-11-22 2019-04-09 安徽超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废冰箱门体玻璃自动剥离设备
KR20230045353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처리시스템
KR20230045351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처리시스템
KR20230045352A (ko) 2021-09-28 2023-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처리시스템
KR20230045996A (ko) 2021-09-29 2023-04-05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부착 이물 제거 처리시스템
KR20230047266A (ko) 2021-09-30 2023-04-07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처리시스템
KR20230046672A (ko)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폐플라스틱 처리시스템
CN116653165B (zh) * 2023-05-29 2023-12-15 马鞍山康福塑料制品有限公司 废弃塑料瓶回收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1379A (ja) * 1989-12-08 1991-08-07 Jiyoukan Sogyo:Kk 廃棄物の処理及び資源回収方法
JPH04256484A (ja) * 1991-02-05 1992-09-11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利用方法
US5216149A (en) * 1991-06-07 1993-06-01 Midwest Research Institute Controlled catalytic and thermal sequential pyrolysis and hydrolysis of mixed polymer waste streams to sequentially recover monomers or other high value products
JP2725505B2 (ja) * 1991-12-02 1998-03-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3155637B2 (ja) * 1992-11-30 2001-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製品解体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H0716837A (ja) * 1993-07-02 1995-01-20 Hitachi Ltd 製品設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898A (ko) 2021-10-28 2023-05-10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솔루션 소형 가전제품 재활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689A (ko) 1996-10-22
JPH08267455A (ja) 1996-10-15
TW303310B (ko) 199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5015B1 (ko) 폐기물 처리장치
Li et al. Robotic disassembly for increased recovery of strategically important materials from electrical vehicles
Del Pero et al. Innovative device for mechanical treatment of End of Life photovoltaic panels: Technic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CN102962244B (zh) 废旧pcb板破碎分选系统
US4553977A (en) Solid waste processing
AU8142301A (en) Scrap rubber processing plant
AU2005306872A1 (en) System for and method mixed-color cullet characterization and certification, and providing contaminant-free, uniformly colored mixed color cullet
JP2013512134A (ja) 余剰タイヤおよびゴムコンパウンドの再処理
US4187775A (en) Method of and device for treating heterogeneous waste
KR100492696B1 (ko) 재활용품 선별 시스템
CN110394225A (zh) 一种建筑垃圾砖混分离综合处置工艺
US20240100541A1 (en) Equipment for separating bagged waste
GB2164331A (en) Waste disposal apparatus
Opalić et al. Disassembly layout in WEEE recycling process
CN202741224U (zh) 废电路板初步拆解后的移动式车载综合处理设备
WO2023239298A2 (en) Decentralised, modular solar module recycling solution
CN110711759A (zh) 大件垃圾处理工艺及系统
GB24759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waste
CN209174389U (zh) 钢厂破碎机尾料分选系统
RU2740887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ого огнеупо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12845198B (zh) 一种废旧日杂塑料回收分拣方法
Simon et al. Disassembly process planning
US20240316570A1 (en) Process for producing scrap materials with high purity level from inhomogeneous input material
Procházka et al. Collection of plastic packaging of various types: Effects on sorted fractions of plastic waste using both automated and manual modes
Opalić et al. Consumer electronics disassembly line layou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