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940B1 - 스위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위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940B1
KR0163940B1 KR1019950002959A KR19950002959A KR0163940B1 KR 0163940 B1 KR0163940 B1 KR 0163940B1 KR 1019950002959 A KR1019950002959 A KR 1019950002959A KR 19950002959 A KR19950002959 A KR 19950002959A KR 0163940 B1 KR0163940 B1 KR 016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load
unit
contro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식
Original Assignee
박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식 filed Critical 박형식
Priority to KR1019950002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940B1/ko
Priority to AU19615/95A priority patent/AU1961595A/en
Priority to JP7523370A priority patent/JPH10500556A/ja
Priority to PCT/KR1995/000018 priority patent/WO1995024759A1/en
Priority to CA002185213A priority patent/CA2185213A1/en
Priority to CN95192073A priority patent/CN1144576A/zh
Priority to EP95912489A priority patent/EP074964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9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02J13/00006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 H02J13/00019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characterised by information or instructions transport means between the monitoring, controlling or managing units and monitored, controlled or operated power network element or electrical equipment using opt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부하를 다수인이 서로 다른 각자의 위치에서 다수의 부하중 어느 부하던지 임의로 온ㆍ오프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동식 및 원격제어식 스위치중 어느 것을 조작하더라도 원하는 부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과, 차단된 다수의 방에 설치된 부하의 전원을 각 방에서 서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사태를 경보할 수 있는 구성 및 각 방에서 타방에 설치된 부하의 동작상태를 서로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스위칭시스템이다. 뿐만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어느 방에서는 타방의 부하를 제어할 수 없도록 하는 방지장치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서로 차단되어 있는 다수의 방에 설치되어 있는 부하들을 서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편리한 스위칭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칭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5a-c도는 제4도의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회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7도는 제6도의 스위칭시스템을 나타내는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압안정화회로 20 : 원격조정기
30 : 수신부 40 : 딥 스위치
50,72 : 매트릭스부 57,93 : 송ㆍ수신부
60 : 신호송신부 71 : 신호해독부(수신부)
73 : 구동신호발생부 80,92 : 부하선택부
90 : 마이크로컴퓨터(제어신호발생부) 91 : 원격수신부
94,94 : LED구동부 95,95' : LED표시부
96,96' : 부하제어부 97 : 스위칭부
98 : 확인부 99 : 부하제어제한부
100 : 스위칭부군 101 : 절환부
200A~200E : 제어신호발생부 201~205 : 부하제어부
301~305 : 스위치세트
본 발명은 스위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부하를 다수인이 서로 다른 각자의 위치에서 다수의 부하중 어느 부하던지 임의로 온(ON)/오프(OFF)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원(power)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switch)로서 수동식스위치 또는 원격조정기를 사용한 원격제어스위치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스위치는 사용자가 일일이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곳에 가서 스위치를 조작해야만 스위칭조작을 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 결점을 해소하고 어디에서나 어느 부하든지 스위칭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서로 차단되어 있는 다수의 각 방에서 다른 방에 설치된 부하의 전원을 임의로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칭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자의 위치에서 여러가지 부하들의 온(ON)/오프(OFF)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는 스위칭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이격된 장소들 사이에서 긴급한 상황등을 경보할 수 있는 경보용 스위칭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위칭시스템은, 다수의 부하들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들에 대응되게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세트를 구비하고, 각 스위치세트는, 상기 부하들중 스위칭제어할 부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군과, 상기 스위칭부군 및 다른 스위치세트내의 스위칭부군으로부터 부하선택신호를 수신받아 해독하여 선택된 부하에 대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 및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제어대상으로 선택된 부하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제1도에 나타낸 스위칭시스템은, 다수의 부하들이 서로 차단되어 있는 적어도 둘 이상의 공간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 서로 다른 공간에서 서로의 부하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는 다섯개의 부하를 서로 차단된 공간에서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도의 스위칭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스위치세트들(301~305)로 이루어지며, 스위치세트(301~305)내에는 스위칭부군(100)을 구비한다. 각 스위치세트(301~305)는 원격제어스위치 및/또는 접점스위치(전자식스위치)로 구성되며, 서로 이격된 공간에 각각 배치된다. 각 스위치세트는 서로 동일한 구조의 것이 사용되므로, 이하에서는 제1스위치세트(301)의 것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도면중 제4스위치세트(304)는 원격제어스위치가 없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며, 제5스위치세트(305)는 원격제어스위치가 없음과 동시에 사용자가 소망하는 어느 하나의 특정 부하만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제1스위치세트(301)는 원격조정기(20A)와, 원격조정기(20A)로부터의 원격조정신호를 수신받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수신부(30A)로 된 원격제어스위치, 그리고 전원인가단과 수신부(30A)의 출력단들 사이에 부하들의 수와 동일한 접점스위치들(31A~35A)로 이루어진 스위칭부군(100)을 구비한다. 여기서, 원격조정기(20A)는 TC9148P와 같은 집적회로로, 또 수신부(30A)는 TC9149P 또는 TC9150P와 같은 집적회로가 이용될 수 있다.
각 스위치세트내 스위칭부군(100)의 출력단에는 각각의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이 대응되게 연결된다.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은 서로 동일한 것이므로, 제1제어신호발생부(200A)에 대해서만 이하에서 설명한다. 제1스위치세트(301)에서, 스위칭부군(100)의 출력단은 딥스위치(40)를 개재하여 매트릭스부(50)를 통해 신호송신부(60)에 연결된다. 신호송신부(60)의 출력은 신호해독부(71)에 인가된다. 신호해독부(71)는 전송된 제어신호를 해독하고 해독된 신호를 매트릭스부(72)를 거쳐 해당하는 부하를 제어하기 위하여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발생부(73)에 인가한다. 구동신호발생부(73)는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각 부하를 제어하게 된다. 즉, 구동신호발생부(73)의 출력단에는 부하의 수와 동일한 트랜지스터들(TR1~TR5)이 포토커플러들(41~45)과 직렬로 구성된다. 여기서, 신호해독부(71)는 KT3170과 같은 집적회로로, 매트릭스부(72)는 CD4028 또한 구동신호발생부(73)는 HD4027과 같은 집적회로로 구성할 수 있다.
구동신호발생부(73)의 출력단에는 또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가 연결되어 각 부하들의 제어상태를 표시한다. 구동신호발생부(73)의 출력단에 연결된 LED 및 트랜지스터들(TR1~TR5)의 전단에는 수동제어를 위한 딥스위치(74)가 연결된이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각 트랜지스터들(TR1~TR5)과 어느 하나의 포토커플러들(41~45) 사이에는 부하선택부(80)가 구성된다. 부하선택부(80)는 다수의 스위치(81~85)를 구비하며, 그 중 어느 하나를 온(ON)시킴으로 소망의 부하를 해당하는 셋트와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만약 부하선택부(80)의 제1스위치(81)가 온(ON)상태로 연결되고 제1부하(L1)를 온(ON)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1트랜지스터(TR1)가 온(ON)되고, 그러므로 제1포토커플러(41)가 작동하여 제1부하(L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스위칭시스템은 교류입력양단에 스위칭수단으로서 제1트라이악(S1)을 통해 제1부하(L1)가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제2내지 제5트라이악(S2~S5)을 통해 제2내지 제5부하(L2~L5)가 각각 서로 병렬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자식 스위칭수단인 각 트라이악(S1~S5)과 부하(L1~L5) 사이에는 절환스위치들(MS1~MS5)이 각각 연결된다. 그 외에도, 전자스위칭수단은 코일식 릴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절환스위치들은 부하의 제어를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절환접촉자(M1)가 제1단자(a)와 접촉하면 전자식으로 제어되고, 제2단자(b)와 접속하면 기계식으로 제어된다. 제2절환접촉자(M2)는 제1절환접촉자(M1)가 제2단자(b)와 접속된 상태인 기계식 제어상태에서, 부하를 온(ON)/오프(OFF)하는 역할을 한다. 절환스위치는 중립을 갖는 3단 기계식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교류입력단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파정류회로(BD) 및 전압안정화회로(10)가 차례로 구성되어 제1도의 각 구성에 전원을 인가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 교류 대신 직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는 것은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미 설명된 부호 F1~F5는 휴즈를 나타낸다. 따라서, 각 부하마다 휴즈를 구비하여 부하마다 과부하시 안전을 도모하였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도의 스위칭시스템에 대한 동작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격조정기(20A)로부터 제1부하(L1)에 전원공급을 위한 적외선형태의 신호가 인가되면, 수신부(30A)는 원격조정기(20A)로부터 인가된 적외선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제1출력단을 통해 출력한다. 출력된 신호는 매트릭스부(50)를 통해 매칭되고, 신호송신부(60)에서 발신신호로 변조되어 신호해독부(71)로 인가된다. 신호해독부(71)는 신호송신부(60)로부터 인가된 신호를 해독하여 매트릭스부(72)를 통해 구동신호발생부(73)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구동신호발생부(73)는 해당하는 LED를 구동하여 부하의 동작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1트랜지스터(TR1)를 온(ON)시킨다. 제1트랜지스터(TR1)가 온(ON)됨에 따라 제1포토커플러(41)가 구동되고 제1트라이악(S1)이 턴온되어 전원이 제1부하(L1)에 공급된다. 물론, 여기서 부하선택부(80)는 제1스위치(81)만 온(ON)상태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암호에 의한 신호전달방식을 채용하고 있으나, 전압차이에 의한 방식이나 디지탈신호의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원격조정기(20A), 제1수신부(30A) 및 제1푸쉬버트스위치군(31A~35A)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부의 구성은 제1실에 설치되고, 제2원격조정기(20B), 제2수신부(30B) 및 제2푸쉬버튼스위치군(31B~35B)에 의해 제어되는 신호부의 구성은 제2실에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2원격조정기(20B)로 제1실에 설치되어 있는 제1부하(L1)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실의 원격조정기(20B)로부터 제1부하(L1)에 전원공급을 위한 적외선형태의 신호가 인가되면, 수신부(30B)는 원격조정기(20B)로부터 인가된 적외선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제2제어신호발생부(200B)에 공급한다. 제2제어신호발생부(200B)는 제1제어신호발생부(200A)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단지 부하선택부(80)의 트랜지스터들(TR1~TR5)중 제2트랜지스터(TR2)만 제2포토커플러(42)에 연결되고 나머지 트랜지스터는 오픈(open)되게 구성된다. 제3실의 제3제어신호발생부(200C)는 제3트랜지스터(TR3)만 제3포토커플러(43)에, 제4실의 제4제어신호발생부(200D)는 제4트랜지스터(TR4)만 제4포토커플러(44)에, 그리고 제5실의 제5제어신호 발생부(200E)는 제5트랜지스터(TR5)만 제5포토커플러(45)에 연결되고, 나머지 트랜지스터는 오픈(open)되게 구성된다. 제2제어신호발생부(200B)는 공급된 신호를 매트릭스부와 신호송신부를 통해 발신신호로 변조하고, 그 발신신호를 각 실의 제어신호발생부(200A~200E)에 구비된 신호해독부로 모두 송신한다. 이를 수신받는 각 신호해독부는 수신된 신호를 해독하여 매트릭스부를 통해 구동신호발생부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신호발생부는 해당하는 LED를 구동하여 부하의 동작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제1트랜지스터(TR1)을 온(ON)시킨다. 이때, 제1실을 제외한 나머지실은 모두 제1트랜지스터(TR1)가 오픈(open)상태이므로, 제1실의 제1트랜지스터(TR1)만이 온(ON)된다. 따라서, 제1실의 제1트랜지스터(TR1)와 연결된 제1포토커플러(41)만이 구동되고, 제1트라이악(S1)이 턴온되어 전원이 제1부하(L1)에 공급된다. 그 외의 경우에 대해서도 앞서 설명을 통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의 회로도를 나타낸다. 제2도의 스위칭시스템은 제1도 스위칭시스템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단지 제1도에서 각 부하들(L1~L5)을 제어하는 부하제어부들(201~205)이 각 실(제1실~제5실) 제어신호발생부(200A~200E)의 부하선택부(80)에 순차적으로 하나씩 접속하는 대신 부하제어부들(201~205)이 제1실에 마련된 제어신호발생부(200A)의 부하선택부(80)에 모두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제1도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 제2도의 구성블록들은 제1도의 대응하는 블록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에서, 각실의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에서 각 신호송신부(60)는 제1실의 제어신호발생부(200A)에 구비된 신호해독부(71)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어느 실에 설치된 스위칭부군(100)의 스위치세트를 조작하여도 각 세트에 결합된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의 신호송신부(60)를 통해 동일한 신호가 제1제어신호발생부(200A)의 신호해독부(71)로 인가된다. 신호해독부(71)는 인가된 신호를 해독하여 매트릭스부(72)를 통해 구동신호발생부(73)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한다. 구동신호발생부(73)는 해당하는 LED를 구동하여 부하의 동작상태를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 트랜지스터를 온(ON)시킨다. 온(ON)상태의 트랜지스터에 대응되는 포토커플러가 구동되고, 해당 트라이악이 턴온되어 전원이 해당하는 부하에 공급된다. 그래서, 제2도의 스위칭시스템은 제1실을 제외한 나머지 실의 제어신호발생부(200B~200E)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더 이상의 설명이 없이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차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의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서로 이격된 장소들 사이에서 긴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서로간에 비상상태임을 경보할 수 있는 스위칭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비교하여 각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에 구성된 부하선택부(80)를 제거하여 각 트랜지스터들이 출력을 공통결합하여 해당하는 포토커플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각 부하에는 경보음을 발생할 수 있는 것 예를 들면, 스피커를 설치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스위치세트들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모든 부하들이 동시에 작동됨과 동시에 각 제어신호발생부들(200A~200E)은 해당하는 위치를 LED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어느 장소에서 비상사태가 발생되었는 지를 경보할 수가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기본스펙(SPEC)이 프로그램되어 있는 마이크로컴퓨터 및 주변기기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부하를 각각의 다른 ADDRESS(고유번호)로 지정하여 그 ADDRESS를 기준으로 제어되도록 한 것이다. 즉, 각 스위치는 서로 다른 신호를 부여하며, 각 부하와 그 부하의 제어를 위한 스위치가 서로 전기적으로 선택접속되는 부하선택부(92)를 구비하고 있다. 원격수신부(91)는 미도시된 원격조정기로부터 적외선(또는 초음파, 음파, 전파)형태로 전송되는 원격전원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제어신호발생부(90)로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신호발생부(90)는 앞서 언급한 마이크로컴퓨터를 사용한다. 이하, 제어신호발생부(90)를 마이크로컴퓨터(90)로 칭하여 설명한다. 각 부하에 대한 고유번호를 지정하기 원하는 경우, KM93C46과 같은 집적회로로 구성된 부하선택부(92)가 사용된다. 송ㆍ수신부(93)는 제4도의 장치와 동일한 다른 장치 즉, 다른 유니트들과의 신호 송수신을 위한 것으로 74HC07과 같은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되었다. KA2651과 KA2657과 같은 집적회로를 이용하여 구성된 LED구동제어부(94,94')는 마이크로컴퓨터(90)로부터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동작중인 특정 부하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도록 LED표시부(95)를 구동시킨다. 한편, 부하제어부(96)는 마이크로컴퓨터(9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부하에 대한 전원공급을 제어한다. 부하제어부(96)의 출력단과 부하 사이에는 절환부(101)를 설치하여 전자식이 고장시 기계적으로 절환할 수 있는 3단 기계식 스위치를 개재한다. 그 외에, 제4도의 시스템은 스위칭부(97), 확인부(98), 그리고 부하제어제한부(99)를 구비한다.
제5a~c도는 제4도의 구성요소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제5a도에 의하여 구성요소의 동작상태와 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수의 스위치들(1~20, S1~S5)로 구성된 스위칭부(97)의 스위칭조작과, 원격수신부(91)의 리모콘신호는 마이크로컴퓨터(90)를 거쳐 부하제어부(96)에 출력신호를 인가하고, 인가된 출력신호에 따라 트랜지스터 및 코일식 릴레이가 구동하여 부하를 온(ON)/오프(OFF) 제어한다. 또한, LED구동제어부(94,94') 및 LED표시부(95)에도 동신호가 전달되어 온(ON)/오프(OFF) 상태를 적색 또는 녹색으로 구분하여 표시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스위칭시스템은 제4도와 동일한 구성을 하나의 유니트로 하여 다수의 유니트들로 이루어져 있고, 각 유니트간에는 상호 같은 신호의 전달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송ㆍ수신부(93)를 구비한다. 스위칭부(97)의 스위치(S1~S5)는 자기방에 설치된 스위치세트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때 각 스위치중 임의의 버튼이 특정 부하를 제어할 수 있도록 부하선택부(92) 즉 ADDRESS 설정용 EEPROM을 구비할 수 있고 어느 특정부하에 대하여는 온(ON)/오프(OFF) 조작을 제한하기 위한 부하제어제한부(99), 그리고 올오프(ALL OFF) 기능 및 LED표시상태의 확인부(98)를 구성하고 있다.
제5b도는 제5a도의 구성을 간략화한 경우로, 부하선택부(92')는 ADDRESS 설정용 EEPROM을 IC와 같은 고정 피치를 지니고 데이터의 반고정 설정등에 사용되는 딥스위치(DIP SWITCH)로 대체하고, LED표시부(95')와 스위칭부(97')는 자체 연결된 부하에만 해당되도록 하였으며, 올오프(ALL OFF)기능별 LED표시상태의 확인부(제5a도의 98)를 생략한 것으로, 그외에는 제5a도와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일부기능의 생략 또는 축소에 따른 제조원가의 절감효과가 있으므로 본 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제5a도를 주조정스위치로, 제5b도를 부조정스위치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각 부하의 ADDRESS 설정을 주조정스위치유니트에서는 EEPROM에 의하여 부조정스위치유니트에서는 딥(DIP)스위치를 이용할 수가 있다. 이와같이, 주조정스위치유니트와 부조정스위치유니트로 구분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에 연결할 경우 주조정스위치유니트에서는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부하(전등)의 온(ON)/오프(OFF) 조작 및 온(ON)/오프(OFF) 상태의 모니터링등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지만 부조정스위치유니트에서는 자체 연결된 부하의 온(ON)/오프(OFF) 조작 및 주조정스위치유니트에서의 콘트롤을 받는 등 꼭 필요한 제한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용도와 비용면에서 주조정스위치유니트와 부조정스위치유니트는 매우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왜냐하면, 주조정스위치유니트와 부조정스위치유니트는 기능의 차이로 인하여 제품단가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안방이나 거실(직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사무실, 숙직실, 수위실)등에서는 주조정스위치유니트를 사용하고 그 외의 장소에서는 부조정스위치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기 때문이다.
제5c도는 외부 무선호출수신기(Pager)단자를 내장시킨 원격조정기인 리모콘(remocon)의 회로도로서, 전화를 이용하여 시스템의 각 부하를 온(ON)/오프(OFF)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호출수신기의 고유번호와 비밀번호 및 스위칭시스템 지정번호를 다이얼하면 외부수신단자(103)를 통하여 마이콤(105) 동작에 의하여 리모트콘트롤스위칭부(104)의 조작효과로서 발신된 신호는 제5a도의 원격수신부(91)에 도달하여 마이콤(105)의 동작으로 의도하는 부하의 온(ON)/오프(OFF)동작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에 연결된 각 스위치유니트는 모두 상호통신에 의하여 연계동작(같은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여 각 스위치 유니트 상호간에 신호의 전달수단을 무선으로도 할 수 있음은 물론 인체감지 및 열감지센서등을 연결하거나 타이머 또는 음성, 화상전달 및 녹음, 녹화장치, 홈오토연결, 절선경보장치등을 보완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 있어서 자명한 사항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방범경비시스템의 구성 및 회로도로서, 제3도 및 제4도의 구성과 기능을 응용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6도의 시스템은 제4도와 마찬가지로 마이크로컴퓨터(90'') 및 주변기기들로 구성되며, 특히 마이크로컴퓨터(90'')는 비상상황에 대한 경보를 위해 변형된 프로그램을 갖는다. 제6도의 스위치유니트는 제4도에서 각 유니트가 1가옥내의 각 방에 설치되는 대신 시스템에 가입된 이웃주택 또는 이격된 장소에 이와 같은 경비시스템 스위치유니트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비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우선 스위칭부(발신부)(97')의 발신으로 제어신호발생부인 마이크로컴퓨터(90'')가 동작하여 각 시스템 연결주택에는 부하제어부인 경보 발생부(96')의 부저(buzzer)가 울리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컴퓨터(90'')는 모드선택부(98')의 선택모드에 따라 경보발생부(96')를 선택적으로 울리게 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컴퓨터(90'')는 LED구동제어부(94,94'')를 제어하여 LED표시부(95')를 구동시킨다. LED표시부(95')는 발신주택의 고유지정번호에 해당하는 LED를 점멸시켜 비상사태가 발생된 곳을 표시한다. 각 연결주택들의 자기집 고유번호지정은 메모리설정부(92')를 통하여 가능하며, 각 유니트간 상호통신에 있어서 도달거리를 최대화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공지의 기술인 증폭 또는 변조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유ㆍ무선 통신방법을 겸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그밖에 마이크로컴퓨터(90'')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89'), 원격수신부(91'), 그리고 송ㆍ수신부(93') 등의 구성 및 동작은 기설명된 본 발명의 기본요지의 이해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언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위칭시스템은, 방범경비시스템으로도 응용할 수 있고 또한 소망하는 부하를 어디에서도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 각 부하별 상태표시의 신호인가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스위칭회로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중지할 수 있으므로 절전효과와 더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부하를 효율적으로 사용, 관리할 수 있으므로 각 가정과 직장에서 각 종 전기, 전자제품 사용에 매우 높은 절전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업무용 및 산업용으로도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부하들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하들에 대응되게 연결된 다수의 스위치세트를 구비하고, 각 스위치세트는, 상기 부하들중 스위칭제어할 부하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칭부군; 상기 스위칭부군 및 다른 스위치세트내의 스위칭부군으로부터 부하선택신호를 수신받아 해독하여 선택된 부하에 대한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신호발생부; 및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의 스위칭제어신호에 따라 스위칭제어대상으로 선택된 부하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치세트의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각 부하들의 제어상태를 한눈에 인식하도록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스위칭부군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를 발신신호로 변조하고, 그 발신신호를 송신하는 신호송신부; 상기 신호송신부 및 다른 스위치세트내 신호송신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해독하는 신호해독부; 적어도 부하의 수와 동일한 다수의 출력단을 구비하고, 신호해독부로 부터의 신호를 해당하는 출력단을 통해 출력하는 구동신호발생부; 및 구동신호발생부의 각 출력단과 전원인가/차단수단 사이에 구성된 스위칭소자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는 상기 전자식스위치군으로부터 인가되는 소망의 제어신호만이 해당 부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선택접속할 수 있는 부하선택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와 상기 전원인가/차단수단 사이에는 부하제어방식을 전자식 및 기계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수단을 더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군은 전원인가단과 상기 제어신호발생부 사이에 구성된 버튼식 스위치들로 이루어지며, 임의 부하를 또는 특정 부하만을 선택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군은 원격제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8. 다수의 부하들에 공급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둘 이상의 유니트를 구비하며, 각 유니트는 상기 부하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스위칭부; 상기 제어신호를 다른 유니트와 서로 공통으로 동시에 송ㆍ수신하기 위한 송ㆍ수신부; 각 스위치마다 하나씩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임의 스위치로부터의 제어신호 및 상기 송ㆍ수신부에서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제어신호 발생부;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에 의해 소망하는 부하에 상기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부하제어부; 및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에 의해 부하들의 제어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는 스위칭부의 각 스위치와 각 부하를 서로 전기적으로 선택 접속할 수 있는 부하선택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니트는 인가되는 제어신호중 특정부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부하제어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부와 부하 사이에는 부하제어방식을 전자식 및 기계식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선택할 수 있는 선택절환부를 더 포함하는 스위칭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원격조정스위치 및 수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스위치는 무선호출수신기용 접속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트의 표시부들은 신호발신 유니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시스템.
KR1019950002959A 1994-03-11 1995-02-16 스위칭 시스템 KR016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959A KR0163940B1 (ko) 1994-03-11 1995-02-16 스위칭 시스템
AU19615/95A AU1961595A (en) 1994-03-11 1995-03-10 A switching system
JP7523370A JPH10500556A (ja) 1994-03-11 1995-03-10 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PCT/KR1995/000018 WO1995024759A1 (en) 1994-03-11 1995-03-10 A switching system
CA002185213A CA2185213A1 (en) 1994-03-11 1995-03-10 A switching system
CN95192073A CN1144576A (zh) 1994-03-11 1995-03-10 开关系统
EP95912489A EP0749642A1 (en) 1994-03-11 1995-03-10 A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04938 1994-03-11
KR94-4938 1994-03-11
KR19940005258 1994-03-16
KR94-5258 1994-03-16
KR94-14859 1994-06-27
KR19940014859 1994-06-27
KR94-16035 1994-07-05
KR19940016035 1994-07-05
KR94-27095 1994-10-22
KR19940027095 1994-10-22
KR94-30979 1994-11-23
KR19940030979 1994-11-23
KR1019950002959A KR0163940B1 (ko) 1994-03-11 1995-02-16 스위칭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3940B1 true KR0163940B1 (ko) 1999-03-20

Family

ID=2756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959A KR0163940B1 (ko) 1994-03-11 1995-02-16 스위칭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749642A1 (ko)
JP (1) JPH10500556A (ko)
KR (1) KR0163940B1 (ko)
CN (1) CN1144576A (ko)
AU (1) AU1961595A (ko)
CA (1) CA2185213A1 (ko)
WO (1) WO199502475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3091A1 (en) * 2000-11-21 2002-05-30 Hyung Sik Park Switch uni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05002T2 (de) * 1996-08-05 2002-02-14 Harness System Technologies Research, Ltd. Laststeuersystem
EP0923060A3 (en) * 1997-12-12 2000-09-06 Frank NV Verpas SA Depauw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for electrical devices
GB2369471A (en) * 2000-11-24 2002-05-29 Deson Ies Engineering Ltd Intelligent building management system
WO2009053695A1 (en) * 2007-10-23 2009-04-30 One Switch Limited A method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nd related apparatus
CN101465562B (zh) * 2007-12-21 2010-11-10 上海航空电器有限公司 一种远程直流负载控制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4588A (en) * 1987-02-11 1989-09-05 Hillier Technologies Limited Partnership Remote control system, components and methods
US5099193A (en) * 1987-07-30 1992-03-24 Lutron Electronics Co., Inc. Remotely controllable power control system
US5274571A (en) * 1991-05-20 1993-12-28 The Fleming Group Energy storage scheduling system
DE4207784C2 (de) * 1992-03-11 1993-12-23 Martin Nimbach Freiprogrammierbares Installationsnetzwerk
DE4212380A1 (de) * 1992-04-13 1993-10-14 Siemens Ag Melde- oder Steuerwarte
ES2043555B1 (es) * 1992-05-29 1994-07-01 Alcatel Standard Electrica Controlador de consumo de energia electrica.
IT1256105B (it) * 1992-11-12 1995-11-28 Valerio Narduzzo Dispositivo di gestione e controllo di consumi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elettrici civili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3091A1 (en) * 2000-11-21 2002-05-30 Hyung Sik Park Switch unit
US6849968B2 (en) * 2000-11-21 2005-02-01 Hyung-Sik Park Switch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4576A (zh) 1997-03-05
AU1961595A (en) 1995-09-25
EP0749642A1 (en) 1996-12-27
JPH10500556A (ja) 1998-01-13
CA2185213A1 (en) 1995-09-14
WO1995024759A1 (en) 199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2502512A (ja) 点灯制御装置
AU2006321461A1 (en) Power-controllable outlet receptacle
KR20020071704A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KR0163940B1 (ko) 스위칭 시스템
US6849968B2 (en) Switch unit
CA2375011A1 (en)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illumination loads
CN101267128A (zh) 开关系统
WO2009114984A1 (zh) 一种电气开关及共用控制线的电气开关控制系统
JPH08506709A (ja) スイッチングシステム
US6389122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switching power source associated with electrical devices
JPS6128267A (ja) 電話コントロ−ル装置
CN101267704B (zh) 气动开关系统
WO1995024758A1 (en) A switching system
JPS6315507B2 (ko)
KR100604988B1 (ko) 원격제어 스위칭 장치
JP3384387B2 (ja) ワイヤード付きリモコン送信機
KR100513499B1 (ko) 무선모터제어장치
KR200268638Y1 (ko) 원격 제어가 가능한 절전형 콘센트 장치
JPH0662458A (ja) リモコンシステム
JPS6128266A (ja) 電話コントロ−ル装置
KR200369686Y1 (ko) 무선모터제어장치
JPH11285172A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の制御用端末器
JPH01319277A (ja) コンセント装置
JPH0378410A (ja) 電気機器の制御システム
JPS63179646A (ja) ホ−ムバス用インタ−フエイスユニツ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