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841B1 -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841B1
KR0163841B1 KR1019960004705A KR19960004705A KR0163841B1 KR 0163841 B1 KR0163841 B1 KR 0163841B1 KR 1019960004705 A KR1019960004705 A KR 1019960004705A KR 19960004705 A KR19960004705 A KR 19960004705A KR 0163841 B1 KR0163841 B1 KR 016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rbicide
sulfonyl
urea
butyl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4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070A (ko
Inventor
김은우
권오연
Original Assignee
우종일
주식회사한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일, 주식회사한농 filed Critical 우종일
Priority to KR1019960004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841B1/ko
Publication of KR97006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solids as carriers or dilu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2Powders or granules
    • A01N25/14Powders or granules wettabl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1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 A01N37/2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the group —CO—N<, e.g. carboxylic acid amides or imides; Thio analogues thereof the nitrogen atom being directly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e.g. anil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01N37/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 A01N37/4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having at least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an aromatic ring system hav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one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aromat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Abstract

본 발명은 경엽처리용 혼합제 개발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에 나타나는 길항작용을 경감시키는 합제조합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은 처리면적 10a당 사용할 전체 조성물 500g에 대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 0.1중량% 내지 3.0중량%,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원제 2 내지 12중량%, 푸로파닐 제초제 원제 0.1 내지 25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붕괴제 0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담체(carri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를 혼합 제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에 나타나는 길항작용을 경감시키는 합제조합 및 수분에 의한 경시변화를 크게 억제하는 제조방법을 가능하게 하고, 건답직파재배에서의 제초제 개발방향에 맞추어 1회 처리로서 화본과 잡초와 광엽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본 발명은 경엽처리용 혼합제 개발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에 나타나는 길항작용을 경감시키는 3종 혼합제조합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 논의 토양처리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일, 다년생 광엽 제초제인 설포닐-우레아(Sulfonyl-urea)계 제초제들과 화본과 제초제인 사이할로팝-부틸(cyhalofop-butyl) 제초제의 혼합제를 개발하려 하였으나, 이들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으로 인하여 피의 살초력을 저하시켜 실용화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은 기존의 경엽처리용 제형인 수화제(WP:Wettable Powder), 유제(EC:Emulsifiable Concentrate), 액제(SL:Soluble Liquid), 액상수화제(SC:Suspension concentrate) 등으로 혼합제를 개발할 경우에는 가수분해에 의한 경시변화가 심하게 나타나 실용성이 없었다.
더욱이, 최근 건답직파재배에서의 제초제 개발방향은 1회 처리로서 화본과 잡초와 광엽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고자 화본과 제초제와 광엽 제초제를 합제화하는 추세이다.
'94년도 통계에 의하면, 국내의 경지면적은 국토면적의 20.5%인 2,032,706ha이다. 이중 논이 차지하는 면적은 1,267,112ha로 경지면적의 62.3%를 차지하므로서 국내의 농업기반이 벼 농사에 의존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그러나, 우루과이라운드의 타결에 의한 농산물의 수입개방화는 필연적이 되어 최근에는 정부기관 주도로 벼농사의 생산비 절감을 위해 벼재배양식이 이앙재배에서 직파재배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직파재배 면적에 있어서도, '94년도에는 논재배 면적의 6.4%이던 것이 '95년도에는 10.6% 전후로 증가하였으며, 2001년에는 직파재배면적이 700,000ha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또한 건답 직파재배 가능면적은 논재배면적의 54.3%인 687,566ha에 달한다고 한다.
그러나, 종래의 건답직파재배 제초제 개발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종래의 건답직파에 사용하는 경엽처리용 제초제들은 논에서 발생하는 잡초 중 1년생 잡초만을 방제할 뿐 다년생 잡초에 대해서는 효과가 없으며, 또한 파종후 20일 이후에 처리할 경우에는 약효 부족으로 말미암아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즉, 현재 사용되는 제초제는 파종 후 15일이내에 주로 작용하는 처리제로서, 이들 합제는 경엽처리효과를 지닌 푸로파닐 제초제에 토양처리효과를 지닌 부타클로르(Butachlor),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몰리네이트(Molinate), 치오벤카아브(Thiobencarb) 등을 혼합한 제초제로 일년생 잡초에는 효과가 우수하나, 다년생 잡초인 올방개, 벗풀, 너도방동산이 등에는 효과가 거의 없으며, 또한 경엽처리효과를 지닌 푸로파닐 제초제는 파종후 15일이내에 처리시에는 약효가 우수하나 파종후 15일 이후에 약제를 처리할 경우에는 약효과 크게 떨어져 실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종래에 건답직파에 시판되고 있는 다년생 광엽 제초제로는 벤타존(Bentazone)이 있으나, 이 약제는 접촉성 제초제로서 다년생 잡초에 경엽처리를 할 경우에는 약제가 묻은 지상부는 고사시키나, 지중에 존재하는 지하괴경까지 사멸시키지는 못해 지하괴경으로부터 곧 재생이 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벤타존 단제는 피에 대한 약효가 극히 저조하여 단지 피를 고사시키고 난 후, 후기에 발생하는 광엽 잡초를 방제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은 이행성이 뛰어나 경엽처리시 다년생 잡초의 지하괴경으로 약제가 쉽게 이행되어 다년생잡초의 재생을 크게 억제해 준다. 그러나, 화본과 잡초에 대해서는 약효가 극히 저조하여 벤타존의 경우에서처럼 약제의 적용 폭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최근에 개발된 화본과 제초제인 사이할로팝-부틸은 고엽기 피(5.5엽기 정도)에 대한 경엽처리 효과는 매우 우수하나 광엽잡초에 대해서는 효과가 극히 저조하다. 따라서 일·다년생 광엽잡초에 살초효과가 탁월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합제화하여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이들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으로 피에 대한 살초력이 크게 떨어져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섯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는 수분이 존재하는 제형에서는 쉽게 가수분해가 일어나 경엽처리용 제형인 수화제,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등으로 개발할 경우, 주성분의 경시변화율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현재 실용화가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은 기존 일반 제형인 수화제, 유제, 액제, 액상수화제 상태에서는 가수분해가 쉽게 일어나 40℃에서 12주간 보관하면, 잡초에 대한 살초력이 크게 떨어진다.
즉,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인 이마조설푸론(Imazosulfron), 아짐설푸론(Azimulfron), 시노설푸론(Cinosulfron), 사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에톡시설푸론(Ethoxysulfron), 피라조설푸론(Pyrazosulfron), 벤설푸론-메틸(Bensulfron-methyl)(이후부터는 상기 열거한 약제를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라 칭함.)에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를 혼합 처리할 경우,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약량을 ha당 300g.a.i.로 하고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은 ha당 21g.a.i.∼100g.a.i.까지 각각 혼합하여 피 3.5엽기부터 5.5엽기까지 각각 경엽 처리할 경우 피에 대한 방제효과가 85∼65%로 나타나 실용상 사용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합제 조합시에 푸로파닐(Propanil) 제초제를 첨가해 주므로서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을 경감시켜 실용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분이 적게 함유한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s) 제조처방을 확립하므로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경엽처리용 제초제 개발이 가능하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2가지의 방안으로 해결하였다.
첫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에 나타나는 길항작용은 푸로파닐 제초제를 혼합함으로써 길항작용을 경감시켜 실용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설포닐-우레아계의 가수분해문제는 수분을 최소한으로 함유한 과립 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s) 제조처방을 확립함으로써 실용가능하게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건답직파에서 사용중인 제초제들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아래와 같은 장점들을 지니고 있다.
첫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길항작용을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로서 크게 경감시키므로서 건답직파에서의 파종후 20일차 경엽처리제 개발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또한, 본 발명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합제조합에 푸로파닐 제초제 5∼1,250g.a.i/ha 약량을 첨가해 주므로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피에 대한 길항작용을 크게 경감시켜 피에 대한 방제효과를 90∼100%로 증가시켰다. 따라서 종래에는 약제간 길항작용으로 말미암아 본 합제개발이 어려웠으나, 본 발명으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합제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특히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은 건답직파에서의 파종후 20일차 처리제 개발이 가능해졌다.
둘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푸로파닐 제초제의 3종 혼합제 개발시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unles)로 제조처방을 확립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수분에 의한 경시 변화를 크게 억제시켰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수분해의 문제점을 새로운 제형처방인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s)로 하므로서 약제의 유효성분 경시변화율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경엽처리제로 개발이 어려웠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을 경엽처리제로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건답직파답에서의 다년생 잡초에 대한 방제가 가능하게 되었다.
셋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혼합시 푸로파닐 제초제의 첨가에 의한 길항작용경감효과는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약량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농민들에게 저렴한 가격의 약제를 보급할 수 있게 되었다.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는 원제가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실용가능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혼합제 개발시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으로 말미암아 실용가능한 약제조합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원제 가격이 비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약량을 높여야 하나, 본 발명은 약 값이 보다 저렴한 푸로파닐 제초제를 적당량 첨가하여 길항작용을 억제해 줌으로써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약량을 크게 절감시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약제를 농민에게 보급해줄 수 있게 되었다.
넷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약효잔효력이 현재 사용중인 벤타존 제초제에 비해 길어 농민들의 농약 처리 횟수를 줄여줄 수 있다.
현재, 경엽처리로 논에서 발생하는 다년생잡초를 방제할 수 있는 약제는 벤타존 제초제 밖에는 없는 실정이나, 이 벤타존은 접촉성 제초제로서 약제처리시 약제가 살포된 지상부는 고사하나, 다년생 잡초에 대해서는 약제 이행성이 떨어져 지하괴경으로부터 재생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는 이행성을 지니므로 경엽처리시 경엽에 묻은 약제가 지하괴경으로 이행되어 지하괴경으로부터의 재생을 크게 억제해줌으로써 잡초방제기간을 연장시켜 농민들의 약제처리 횟수를 줄여줄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길항작용경감방안을 제공한다.
종래에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에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를 합제화하여 파종후 20일차에 사용가능한 약제를 개발코자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으로 말미암아 피에 대한 살초력이 떨어져 실용성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혼합제에 푸로파닐 제초제를 첨가한 3종 혼합제를 만듦으로써 길항작용을 크게 경감시켜 실용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은 처리면적 10a당 사용할 전체조성물 500g을 기준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 0.1중량% 내지 3중량%,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2 내지 12중량%, 푸로파닐 제초제 0.1 내지 25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붕괴제(disintegrater) 0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담체(carri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성은 제조된 제품 500g을 10a에 사용하게 될 때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만일 처리면적 10a당 사용량 500g 이외로 제품화할 때는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 푸로파닐 제초제 및 사이할로팝 부틸제초제 주성분의 양은 그대로 두고 부형제만을 가감하면 된다.
전체 조성물 중 0.1중량% 내지 3중량%를 차지하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는 논의 토양처리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일, 다년생 광엽 제초제로서 상용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시노설푸론(Cinosulfron), 이마조설푸론(Imazosulfron), 아짐설푸론(Azimsulfron), 벤설푸론-메틸(Bensulfron-methyl), 사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피라조설푸론(Pyrazosulfron) 및 에폭시설푸론(Ethoxysulfron)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어질 수 있다. 이들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는 각각 그 살초력에 따라 그 혼합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제초제의 용도에 따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그 혼합량을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처리면적 10a당 사용할 전체조성물 500g을 기준할 경우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는, 시노설푸론의 경우 0.2∼1.0중량%의 범위의 양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마조설푸론의 경우에는 0.5∼3.0중량%, 아짐설푸론의 경우 0.1∼1.0중량%, 벤설푸론의 경우 0.5∼3.0중량%, 사이클로설파무론의 경우 0.5∼3.0중량%, 피라조설푸론의 경우 0.2∼1.0중량%, 그리고 에톡시설푸론의 경우 0.2∼1.0중량%가 각각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은 상기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혼합양에 절대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이들로부터 용도에 따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양을 적절히 가감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에서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는 역시 화본과 제초제로서 상용적으로 이를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처리면적 10a당 사용량 500g 전체 조성물 중 2 내지 12중량%에 달하는 양으로 투입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길항작용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어지는 푸로파닐 제초제는 처리면적 10a당 사용량 500g 전체 조성물 중 0.1 내지 25중량%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 푸로파닐 제초제의 투입으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이 수득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최초로 사용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는 상기한 약제들이 적절히 물에 분산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전체 조성물 중 10 내지 30중량%의 양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스페셜 알킬 아릴 에테르 및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와 분상 계면활성제인 암모늄 설포닉 애시드의 유도체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상기 붕괴제는 바람직하게는 무수황상 나트륨이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최종 제품을 물에 희석하여 사용할 때 쉽게 붕괴되도록 도와 주기 위한 것으로 필요에 따라 전체 조성물 중 0 내지 15중량%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잔량으로서 사용되어지는 담체(carrier)는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며, 상기한 성분들이 고르게 혼합되고, 또한 적량의 유효성분들을 고르게, 그리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담체로서는 바람직하게는 벤토나이트(Bentonite)와 다이알라이트(Dialite) 등과 같은 무기질 충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원제와 푸로파닐 제초제 원제 그리고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스페셜 알킬 아릴 에테르,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를 40∼60℃의 가온상태에서 용해시킨 후, 전체 분상부에 대해 15∼20%가 되도록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Premixture)을 만드는 공정; 2)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와 분상계면활성제인 암모늄 설포닉 애시드의 유도체, 붕괴제 및 담체를 해머밀(Hammer mill) 또는 에어밀(Air mill)로 입경이 3 내지 7㎛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는 분쇄공정, 3) 2)번 분쇄분 분상부에 1)번의 예비혼합물 용액을 조금씩 넣어 주면서 잘 혼합하는 공정; 4) 3)번 혼합물을 펠릿(Pellet) 타입의 과립수화제 또는 기타 과립수화제 형태로 만들어 건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기타 과립수화제는 부정형(不定型) 또는 구형(球型)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히 보관 또는 유통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가수분해의 가능성을 가능한 한 배제하여 유효성분의 약효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과립수화제 형태로 만들어 건조공정을 거침으로서 가수분해를 예방하는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경시변화율 경감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경우 수분이 존재하는 제형에서는 쉽게 가수분해에 의한 주성분 경시변화를 일으켜 유효성분의 보존율이 급격히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수분함량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s)의 제조처방을 확립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가수분해를 억제시킬 수 있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나, 이하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합제 조성물의 제조
1)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원제 6.0중량부와 푸로파닐 제초제 5.1중량부 그리고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릴 에테르 5.0중량부를 55℃의 가온 상태에서 용해시킨 후, 전체 분상부에 대해 16%가 되도록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예비혼합물을 만들었다.
상기에서 분상부는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 원제, 분상계면활성제, 붕괴제 및 담체를 지칭한다.
2)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로서 시노설푸론 0.52중량부, 이마조설푸론 1.56중량부, 아짐설푸론 0.312중량부, 벤설푸론 1.06중량부, 사이클로 설파무론 1.25중량부, 피라조설푸론 0.437중량부 또는 에폭시 설푸론 0.437중량부의 각각에 대하여 분상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설포닉 애시드 유도체 15중량부, 분해제로서 소듐 설페이트(Sodium sulfate) 6.0중량부 및 담체로서 벤토나이트 3.0중량부와 나머지 잔량으로서의 다이알 라이트를 해머밀로 입경이 3 내지 7㎛가 되도록 분쇄하였다.
3) 상기 2)번 분쇄물 분상부에 상기 1)번의 예비 혼합물 용액을 조금씩 넣어주면서 잘 혼합하여 반죽하였다.
4) 상기 3)번 혼합물을 펠릿화기기에 의해 입자 크기 직경 0.5 내지 1mm로 압출 성형하여 본 발명의 합제 과립 수화제들을 유동층 건조기로 송풍온도 70℃ 정도에서 30분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합제는 대체로 현수율 95±3%, pH(5% soln.) 8±0.2, 벌크 밀도 0.56∼0.60, 제품 입자직경 0.5∼1.0mm의 물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과의 혼합제에 푸로파닐 첨가에 의한 길항작용경감 효과
현재 추천되고 있는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들의 약량수준에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를 혼합처리할 경우에는 모든 조합에서 길항작용이 나타나 화본과 제초제인 사이할로팝-부틸 단제처리에 비해 약효가 10% 이상 감소되었으나, 벼에 대한 약해나 다년생잡초에 대한 약효에 있어서는 약제간 상호작용은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조합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푸로파닐 제초제의 3종 혼합처리시에는 길항작용이 크게 경감되어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단제 처리와 큰차이가 없었으며, 약해나 다년생 잡초방제효과에 있어서도 상호작용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차후 데이타들은 상호작용이 나타나는 피만을 대상으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와의 혼합제에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길항작용 경감효과 결과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3]
시노설푸론과 사이할로팝 부틸의 혼합제에서의 푸로파닐 첨가약량에 따른 길항작용 경감효과
본 발명에 있어서 시노설푸론 제초제+사이할로팝 부틸 제초제 조합에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약량을 변화시켜 시험한 결과 푸로파닐 제초제 약량에 따른 피방제에 대한 차이가 크지 않아 시노설푸론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합제에서 나타나는 길항작용을 경감시키는 것은 푸로파닐 제초제 악량에 의하기보다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 유무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시노설푸론 제초제 이외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이마조설푸론, 아짐설푸론, 사이클로설파무론, 피라조설푸론, 에톡시설푸론, 벤설푸론 메틸)에 대한 조합에서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시노설푸론 제초제 조합에서와 같이 길항작용 경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시노설푸론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혼합제에서의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약량에 따른 길항작용 경감효과는 아래와 같다.
[실시예 4]
시노설푸론과 푸로파닐 혼합제에서의 사이할로팝-부틸 첨가 약량에 따른 피 방제효과
일반적으로 시노설푸론 제초제는 입제개발시에는 처리약량이 24g.a.i./ha이며, 푸로파닐 제초제는 파종후 15일차 경엽처리제로 개발시에는 처리약량이 1250g.a.i./ha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시예 2에서 본 바와 같이 푸로파닐 제초제 약량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푸로파닐 제초제를 추천량의 1/6약량인 250g.a.i./ha 약량에 시노설푸론 제초제 추천량 수준인 25g.a.i./ha 약량을 합제화한 후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를 약량별로 처리한 결과 피 5.5엽기까지 실용적인 방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이할로팝 부틸 제초제 약량이 최소한 300g.a.i./ha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과립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s)인 시노설푸론+사이할로팝-부틸+푸로파닐(0.5+6+5%) 조합 및 타제형간의 경시변화율(%)
시노설푸론 제초제(0.5중량%)+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6중량%)+푸로파닐 제초제(5중량%) 3종 혼합제조합을 경엽처리 가능한 제형으로 만들어 40℃ 항온기에 보관한 후, 4주, 8주, 12주에 각각 샘플을 취하여 유효성분의 경시변화율을 조사한 결과,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와 푸로파닐 제초제는 제형간 차이 없이 12주 보관후에도 유효성분 경시변화율이 5% 이내로서 일반적인 상온상태에서 3년간 약효보증은 가능하였으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인 시노설푸론은 본 발명품인 과립수화제(Water dirpersible granules)를 제외한 모든 제형에서는 12주 보관시 약제 유효성분 경시변화율이 40% 이상으로 유통기간 중 상온상태에서의 3년간 약효보증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합제조합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푸로파닐 조합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과립수화제와 액상수화제 간의 유효성분 경시변화율 시험결과(보관장소:40℃ 항온기)
[실시예 7]
본 발명의 합제조합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푸로파닐 조합에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의 과립수화제와 액상수화제간의 유효성분 경시변화율
본 발명의 합제조합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푸로파닐 제초제의 3종 혼합제조합을 경엽처리 가능한 제형인 과립수화제와 액상수화제로 만들어 40℃ 항온기에 보관한 후, 4주, 8주 및 12주에 각각 샘플을 취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유효성분의 경시변화율을 조사한 결과, 액상수화제 제형에서는 모든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이 쉽게 분해되어 12주 후의 유효성분 경시변화율이 30% 이상으로 유통기간 중 상온상태에서의 3년간의 약효보증은 어려운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과립수화제 제형에서의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유효성분 경시변화율은 약제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5% 정도 이내로 나타나 3년간의 약효보증은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 조합인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푸로파닐 제초제의 3종 혼합제는 위의 결과에서와 같이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의 혼합제 개발시 두 약제간의 길항작용에 의한 피 살초효과 저조를 푸로파닐 제초제를 합제화하므로서 길항작용을 크게 억제시켜 실용가능하게 해 주었으며, 또한 3종 혼합제 수분에 의한 설포닐 우레아계 제초제의 가수분해문제는 과립수화제의 제초처방을 확립하여 해결하므로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일.다년생 경엽처리제 개발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경엽처리용 혼합제 개발시 푸로파닐 제초제의 첨가에 의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들과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에 나타나는 길항작용을 경감시키도록 하므로서 광엽 일·다년생 잡초와 화본과 잡초의 제초를 동시에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과립수화제로의 제조에 의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의 가수분해에 따른 유효성분의 경시변화를 줄이는 효과를 제공하여 상온에서 적어도 3년 이상의 유효성분 유지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답직파재배에서의 제초제 개발방향에 맞추어 1회 처리로서 화본과 잡초와 광엽 일·다년생 잡초를 동시에 방제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Claims (15)

  1. 처리면적 10a당 사용할 전체 조성물 500g에 대하여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 0.1중량% 내지 3.0중량%,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2 내지 12중량%, 푸로파닐 제초제 0.1 내지 25중량%, 계면활성제 10 내지 30중량%, 붕괴제 0 내지 15중량% 및 잔량으로서 담체(carrier)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합제 조성물이 과립수화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가 시노설푸론(Cinosulfron), 이마조설푸론(Imazosulfron), 아짐설푸론(Azimsulfron), 벤설푸론-메틸(Bensulfron-methyl). 사이클로설파무론(Cyclosulfamuron), 피라조설푸론(Pyrazosulfron) 및 에톡시설푸론(Ethoxysulfron)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2∼1.0중량%의 범위의 양의 시노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5∼3.0중량%의 범위의 양의 이마조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1∼1.0중량%의 범위의 양의 아짐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5∼3.0중량%의 범위의 양의 벤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5∼3.0중량%의 범위의 양의 사이클로설파무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2∼1.0중량%의 범위의 양의 피라조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가 0.2∼1.0중량%의 범위의 양의 에톡시설푸론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릴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스페셜 알킬 아릴 에테르 및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와 암모늄 설포닉 애시드의 유도체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로서 벤토나이트(Bentonite)와 다이알라이트(Dialite)와 같은 무기질 충진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조성물 중량을 필요에 의해 늘릴 때 제초제의 함량은 그대로 두고 부형제의 양만 늘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14. 1)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 원제와 푸로파닐 제초제 원제 그리고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알킬렌 알킬 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스페셜 알킬아릴 에테르, 알킬 벤젠 설포네이트를 40∼60℃의 가온상태에서 용해시킨후, 전체 분상부에 대해 15∼20%가 되도록 적당량의 물을 혼합하여 예비 혼합물(Premixture)을 만드는 공정; 2)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 원제와 분상계면활성제, 붕괴제 및 담체를 해머밀(Hammer mill) 또는 에어밀(Air mill)로 입경이 3 내지 7㎛ 이하가 되도록 분쇄하는 분쇄공정, 3) 2)번 분쇄분 분상부에 1)번의 예비혼합물 용액을 조금씩 넣어 주면서 잘 혼합하는 공정; 4) 3)번 혼합물을 펠릿(Pellet) 타입의 과립수화제 또는 기타 과립수화제 형태로 만들어 건조하는 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과립수화제의 형태가 부정형(不定型) 또는 구형(球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
KR1019960004705A 1996-02-26 1996-02-26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KR016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705A KR0163841B1 (ko) 1996-02-26 1996-02-26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4705A KR0163841B1 (ko) 1996-02-26 1996-02-26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70A KR970061070A (ko) 1997-09-12
KR0163841B1 true KR0163841B1 (ko) 1998-11-16

Family

ID=1945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4705A KR0163841B1 (ko) 1996-02-26 1996-02-26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8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070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15016B (zh) 农药制剂
CN105557747A (zh) 一种稳定型农药微囊悬浮剂
CN101773142A (zh) 一种含有草铵膦、恶草酮的除草剂组合物及其应用
JPH09508895A (ja) 除草剤の水和剤配合物
WO2021120232A1 (zh) 一种植物生长调节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38658B (zh) 生物源除草剂组合物及其应用
EP2667721B1 (en) Pesticide composition comprising sulphur, an acaricide and an agrochemical excipient
BR0204318B1 (pt) formulação sólida estável, dispersão aquosa e método de aplicação de um material biologicamente ativo para fins agrìcolas.
CN108966970A (zh) 一种防治干旱地区农田杂草的方法
GB2230954A (en) Preparation of emulsifiable pesticidal solid compositions
CN104396974B (zh) 一种含噻呋酰胺和氯虫苯甲酰胺的农药组合物及其应用
KR0163841B1 (ko) 푸로파닐 제초제 첨가에 의한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와 사이할로팝-부틸 제초제간의 3종 혼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혼합제 조성물
KR101208335B1 (ko) 메타미포프(Metamifop)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승적 작용성을 지닌 제초제 조성물
CN102696660B (zh) 一种含七氟菊酯的杀虫组合物
CN102273479A (zh) 一种含酰嘧磺隆与苯唑草酮的除草组合物
EA002756B1 (ru) Пес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в форме растворимых в воде гранул
CN105594705A (zh) 含有氟啶胺和氟吡菌酰胺的农药组合物
CN109938030A (zh) 一种氟啶草酮复配除草剂及其制备方法
CN109362745A (zh) 含有噁唑酰草胺的除草组合物
CN107306970A (zh) 一种包含氰氟草酯、噁唑酰草胺和敌稗的除草组合物
JPS5931481B2 (ja) シクロヘキサンジオン系除草剤組成物
CN106879606A (zh) 一种含Tioxazafen与氟噻虫砜的杀线组合物
CA2189243A1 (en) Improved glyphosate compositions and their use
JPH03227904A (ja) 農園芸用土壌病害防除剤
CN103371168B (zh) 一种高效杀虫剂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