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803B1 - 웨빙 감기장치의 부착구 - Google Patents

웨빙 감기장치의 부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803B1
KR0163803B1 KR1019940023559A KR19940023559A KR0163803B1 KR 0163803 B1 KR0163803 B1 KR 0163803B1 KR 1019940023559 A KR1019940023559 A KR 1019940023559A KR 19940023559 A KR19940023559 A KR 19940023559A KR 0163803 B1 KR0163803 B1 KR 0163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hole
winding device
protrusion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252A (ko
Inventor
가쯔히사 오오따
Original Assignee
쯔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지 요시후미, 닛산 지도오샤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요시후미
Publication of KR95000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8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022/3402Retractor casing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별도부품을 요구하지 않고 웨빙의 인출방향을 안내하고, 웨빙감기장치의 부착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가 있으며, 성형성이 좋은 부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웨빙감기장치(1)에 고정되는 고정부(57)와, 웨빙(3)이 끼워통하고 웨빙(3)의 인출방향을 안내하는 끼워통함부(61)를 갖는 판형상의 안내부(59)와, 웨빙(3)의 인출 방향측으로 돌출설치되고, 차체측의 피부착부에 설치한 구멍부에 삽입되어 구멍부에 지지되는 돌기부(63)를 구비하며, 돌기부(63)는 안내부(59)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한다.

Description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중요부의 단면도.
제5도는 종래예의 사시도.
제6도는 종래예의 단면도.
제7도는 종래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웨빙 감기 장치 3 : 웨빙
5 : 감기 리트랙터 7 : 감기 제어 장치
9 : 권취부(卷取部) 11 : 축
11a : 일측 13, 15 : 측벽
13a, 15a : 계단형부 17 : 상측 지지부
19 : 하측 지지부 21 : 레버 스톱퍼
23 : 기어휠 25 : 리듀스 스프링
25 : 래칫휠 27 : 노멀 스프링
31 : 로크 아암 33 : 솔레노이드 밸브
35 : 기어 케이스 37 : 스프링 케이스
39 : 리테이너 41 : 로크 돌기
43, 105 : 하부 브래킷 45 : 고정판
47 : 부착부 49, 113 : 볼트 구멍
51, 115 : 앵커 볼트 53, 117 : 파이버 와셔
55, 103 : 상부 브래킷 57 : 고정부
59 : 안내부 61 : 삽입 관통부
63 : 돌출부 65 : 걸림 돌출부
67 : 굴곡부 69 : 맞닿음부
71 : 슬릿 73, 75 : 구멍부
77 : 원통형상체 79, 119 : 차체 패널
81 : 구멍부 83 : 관통 구멍
85, 123 : 너트 109 : 웨빙
111 : 후크부 121 : 걸림구멍
본 발명은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런 종류의 부착구로서는, 예를 들면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된 것이 있다.(일본국 특개소 61-16152호 공보 참조).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웨빙 감기 장치(101)의 위쪽 및 아래쪽에는, 부착구로서의 상부 브래킷(103) 및 하부 브래킷(105)이 나사못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부 브래킷(103)에는 긴 구멍 형상의 삽입 관통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관통부(107)에는 웨빙(109)이 삽입 관통하고, 상기 삽입 관통부(107)에 의하여 웨빙(109)의 인출 방향이 안내된다. 상부 브래킷(103)의 하단에는 경사지게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후크부(111)가 굴곡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래킷(105)의 아래쪽에는 볼트 구멍(113)이 형성되고, 볼트 구멍(113)에는 앵커 볼트(115)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앵커 볼트(115)의 외주면에는 빠짐 방지용의 파이버와셔(117)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웨빙 감기 장치(101)를 차체측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패널(119)에 형성된 걸림 구멍(121)에 상부 브래킷(103)의 후크부(111)를 걸리게한 후, 앵커 볼트(115)를 차체 패널(119)에 부착된 너트(123)에 체결한다.
이와 같은 웨빙 감기 장치(101)의 부착구의 경우, 상부 브래킷(103)에 삽입 관통부(10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원하는 방향으로 웨빙(109)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래킷(103)은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구멍을 뚫어 절곡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런데, 제5도의 웨빙 감기 장치(101)를 차체측에 부착할 경우, 앵커 볼트(115)가 파이버 와셔(117)에 의하여 빠짐 방지되어 있으므로,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빙 감기 장치(101)를 기울여 후크부(111)를 걸림 구멍(121)에 걸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이 웨빙 감기 장치(101)를 기울이면, 상부 브래킷(103)의 후크부 위쪽(A)이 차체 패널(119)에 맞닿게 되므로, 후크부(111)를 걸림 구멍(121)에 거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웨빙 감기 장치(101)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함은 앵커 볼트(115)의 빠짐 방지를 해제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지만, 앵커 볼트(115)를 빠짐 방지하여 두지 않으면, 앵커 볼트(115)와 너트(123)의 체결 작업이 번잡해지며, 웨빙 감기 장치(101)의 부착 작업성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부품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서도 웨빙을 원하는 방향으로 확실히 인출할 수 있고,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으며, 그리고 성형이 용이한 부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는, 웨빙 감기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웨빙이 삽입 관통하고 이 웨빙의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 관통부를 구비한 판 형상의 안내부와, 상기 웨빙의 인출 방향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체측의 피부착부에 설치된 구멍부에 삽입되어 이 구멍부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내부의 사이에서 절곡됨과 동시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웨빙 감기 장치를 차체측에 부착할 경우, 돌출부를 차체측의 구멍부에 삽입하고 구멍부에 돌출부를 지지시킨다. 이 때, 돌출부는 웨빙의 인출 방향 쪽으로 돌출 설치되며, 돌출부의 삽입은 피부착부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부터 행하여지므로, 돌출부의 삽입의 경우에, 돌출부 이외의 다른 부분이 피부착부에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돌출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판 형상의 안내부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간단한 가공에 의하여 안내부와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착구로서의 상부 브래킷(55)이 고정된 웨빙 감기 장치(1)의 시시도이며, 제2도는 제1도의 웨빙 감기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1도의 상부 브래킷(55)의 성형 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웨빙 감기 장치(1)는 텐션 리듀서 붙임 이엘알(ELR; Emergency Lock Retractable) 기능을 갖는 것으로, 웨빙(3)을 감는 리트랙터(5;retractor)와, 웨빙(3)의 감기를 제어하는 감기 제어 장치(7)를 구비한다. 감기 제어 장치(7)는 통상시에는 웨빙(3)을 인출하기 자유롭게 감으며, 차량의 급제동시 등에는 웨빙(3)의 인출을 자동적으로 로크(lock)하여 탑승자를 구속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트랙터(5)는 단면이 대략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트랙터(5)의 내부에는 드럼 형상의 권취부(9)가 설치되어, 상기 권취부(9)에 웨빙(3)이 감긴다. 리트랙터(5)의 양 측벽(13, 15)의 상단에는 계단형부(13a, 15a)가 형성된다. 권취부(9)의 축(11)은 측벽(13, 15) 사이에 축 지지되며, 축(11)의 일측(11a)은 한쪽의 측벽(13)을 관통한다. 두 개의 측벽(13, 15) 사이의 위쪽은 상측 지지부(17)에 의하여 접속되고, 아래쪽은 하측 지지부(19)에 의하여 접속된다.
감기 제어 장치(7)는 레버 스톱퍼(21), 기어휠(23), 리듀스 스프링(작은 스프링)(25), 래칫휠(27), 노멀 스프링(큰 스프링)(29), 로크 아암(31) 및 솔레노이드 밸브(33) 등을 구비한다. 이들은 기어 케이스(35)와 스프링 케이스(37)의 사이에 수용되고, 스프링 케이스(37)는 리트랙터(5)의 한쪽의 측벽(13)에 나사못에 의해 부착된다. 래칫휠(27)은 리테이너(39)를 사이에 두고 상기 축(11)의 일측(11a)에 연결된다. 레버 스톱퍼(21)에는 로크 돌기(41)가 돌출 설치되고, 로크 돌기(41)는 솔레노이드 밸브(33)의 작동에 의해 로크 아암(31)에 로크된다. 이 솔레노이드 밸브(33)는 탑승자가 텅(도시 생략)을 버클에 삽입함으로써 작동된다.
이러한 감기 제어 장치(7)의 경우, 웨빙(3) 미장착시에는 노멀 스프링(29)만이 작동하여 강한 감는 힘이 작용하고, 웨빙(3) 장착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33)가 작동하여 노멀 스프링(29)의 감는 힘이 영이 되며, 리듀스 스프링(25)에 의한 약한 감는 힘만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차량의 급제동시 등에는, 래칫휠(27)에 의해 웨빙(3)의 인출이 로크되고 탑승자가 구속된다.
리트랙터(5)의 하부에는 판 형상의 하부 브래킷(43)이 부착된다. 하부 브래킷(43)은 고정판(45)과, 그 아래쪽에 연장 설치된 아래쪽 부착부(47)를 구비하고, 고정판(45)은 리트랙터(5)의 하측 지지부(19)에 나사못에 의해 부착된다. 아래쪽 부착부(47)에는 볼트 구멍(49)이 형성되고, 볼트 구멍(49)에는 차체측으로의 부착용 앵커 볼트(51)가 삽입 관통한다. 앵커 볼트(51)의 외주면에는 볼트구멍(49)으로부터의 빠짐 방지용의 파이버 와셔(53)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리트랙터(5)의 상부에는 상부 브래킷(55)이 부착된다. 상부 브래킷(55)은,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펀칭하여 구멍을 뚫은 후,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한 것으로, L자의 한 쪽에는 고정부(57)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안내부(59)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부(59)의 말단부에는 고정부(57)와 대략 평행하게 굴곡된 걸림돌출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브래킷(55)을 리트랙터(5)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리트랙터(5)의 측벽(13, 15)에 형성된 계단형부(13a, 15a)에 걸림 돌출부(65)를 걸리게 하고, 고정부(57)를 리트랙터(5)의 상측 지지부(17)에 맞닿게 하여 고정부(57)를 상측 지지부(17)에 나사못에 의해 부착시킨다. 안내부(59)에는 웨빙(3)이 삽입 관통하는 긴 구멍 형상의 삽입 관통부(61)가 형성되고, 삽입 관통부(61)에 의하여 웨빙(3)의 인출 방향이 안내된다. 안내부(59)의 고정부(57)측 단부에는, 삽입 관통부(61)로부터의 웨빙(3)의 인출 방향을 따라 돌출부(63)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63)는 안내부(59)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며, 대락 자 형상으로 절곡된 굴곡부(67)와 굴곡부(67)의 선단부에 설치된 맞닿음부(69)를 구비한다.
이제, 제3도를 참조하여 상부 브래킷(55)의 성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부 브래킷(55)의 성형은, 먼저 금속판을 대략 사각형상으로 펀칭하여 형성한다. 이때, 슬릿(71)과 구멍부(73, 75)를 동시에 형성한다. 슬릿(71)은 대략 사각형상인 R부의 외주면의 3변을 따라 형성하고, 구멍부(73, 75)는 R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한다.
그후, 금속판의 양끝단의 P 및 Q부를 절곡선(일점쇄선) p,q를 따라 절곡하여, R부를 들어올린다. 이 절곡된 P부 및 Q부가 고정부(57) 및 걸림 돌출부(65)가 되며, 들어올려진 R부가 돌출부(63)로 된다. 그리고, 돌출부(63)를 절곡하여 굴곡부(67)와 맞닿음부(6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돌출부(63)는 판 형상의 안내부(59)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하면 바람직하므로, 간단한 가공에 의해 돌출부(63)를 안내부(59)와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71)의 말단부(71a, 71b)를 절곡선 p와 교차하는 위치에 형성한다. 이에 따라, 고정부(57)의 굴곡과 동시에 돌출부(63)가 들어올려지므로, 돌출부(63)를 잘라 세우는 공정을 별도로 필요로하지 않아서 작업 효율이 좋아진다.
그리고, R부를 세워올림으로써, 2개의 구멍부(73, 75)가 연통하여 긴 구멍 형상이 되어, 이렇게 해서 삽입 관통부(61)가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 구멍부(73, 75)에 웨빙(3)을 보호하기 위한 수지제품의 원통형상체(77)를 끼워맞춤하고, 이 원통형상체(77)의 내경부에 웨빙(3)을 삽입 관통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측의 피부착부로서의 차체 패널(79)의 위쪽에는 구멍부(81)가 형성되고, 아래쪽에는 관통 구멍(83)이 형성된다. 관통 구멍(83)의 패널 내측에는 너트(85)가 스폿 용접 등에 의해 고정 붙임되어 있다.
웨빙 감기 장치(1)를 차체측에 부착하는 경우, 먼저 돌출부(63)를 구멍부(81)에 삽입한다. 이때, 돌출부(63)는 웨빙의 인출 방향 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돌출부(63)의 삽입은 차체 패널(79)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 또는 횡방향으로부터 행하여지므로, 돌출부(63) 삽입의 경우에 앵커 볼트(51) 등과 같은 돌출부(63)이외의 다른 부분이 차체 패널(79)에 맞닿지 않음으로, 돌출부(63)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다음에, 앵커 볼트(51)를 관통 구멍(83)에 끼워 넣어 너트(85)와 체결한다. 이러한 체결에 의해, 하부 브래킷(43)이 차체 패널(79)에 고정된다. 이때, 상부 브래킷(55)에서는 굴곡부(67)가 구멍부(81)의 하단에 맞닿으면서 맞닿음부(69)가 차체 패널(79)에 맞닿게 되어 차체 패널(79)을 내측으로부터 압박한다. 이에 따라, 돌출부(63)가 구멍부(81)에 지지된 상태가 되며, 웨빙 감기 장치(1)가 차체 패널(79)에 강하게 고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부 삽입시 돌출부이외의 다른 부분이 피부착부에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돌출부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판 형상의 안내부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간단한 가공에 의해 안내부와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성형성이 좋아진다.

Claims (4)

  1. 웨빙 감기 장치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웨빙이 삽입 관통하고 이 웨빙의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 관통부를 구비한 판 형상의 안내부와, 상기 웨빙의 인출 방향 쪽으로 돌출 형성되고, 차체측의 피부착부에 설치된 구멍부에 삽입되어 이 구멍부에 지지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안내부의 일부를 잘라 세워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내부의 사이에서 절곡됨과 동시에 세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판에 형성된 슬릿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안내부 사이의 절곡선과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판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삽입 관통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판에 형성된 구멍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관통부는 위쪽으로 개구(開口)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빙 감기 장치의 부착구.
KR1019940023559A 1993-09-17 1994-09-16 웨빙 감기장치의 부착구 KR0163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31937 1993-09-17
JP5231937A JP3024453B2 (ja) 1993-09-17 1993-09-17 ウエビング巻取装置の取付具
JPP05-231937 1993-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252A KR950008252A (ko) 1995-04-17
KR0163803B1 true KR0163803B1 (ko) 1998-12-15

Family

ID=16931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559A KR0163803B1 (ko) 1993-09-17 1994-09-16 웨빙 감기장치의 부착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24453B2 (ko)
KR (1) KR01638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6713B2 (ja) * 2009-10-20 2014-03-19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81519A (ja) 1995-03-28
KR950008252A (ko) 1995-04-17
JP3024453B2 (ja) 2000-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4151B2 (ja) プリテンショナ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EP0660018A1 (en) A tie
US5346152A (en) Belt pretensioner for vehicle safety belt systems
CA1155812A (en) Safety belt retractor assembly utilizing vehicle structure
GB2194203A (en) Anti-removal device for a locking mechanism
KR20030040043A (ko) 웨빙 권취장치 및 웨빙 권취장치 조립 방법
US6676058B2 (en) Webbing retractor
US6837520B2 (en) Fastening assembly for a safety belt reactor comprising a reinforcement plate
KR0163803B1 (ko) 웨빙 감기장치의 부착구
US4621836A (en) Mounting construction of webbing retractor
US5740979A (en) Transport guard device for a belt retractor
EP0672564B1 (en) Seat belt tightening device
US6416003B1 (en) Belt reel for a belt retractor of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372382A (en) Seat belt webbing guide assembly
JP3628907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4725014A (en) Automatic locking retractor for a seat belt assembly
JPH0344606Y2 (ko)
JP3102539B2 (ja) ショルダアンカ部のピラー構造
KR0161635B1 (ko) 벨트 프리텐셔너 안전장치
CA2019654C (en) Passive type seat belt mounting structure
JP2966981B2 (ja) 車輌の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3239667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H0322048Y2 (ko)
JPS5845720Y2 (ja) シ−トベルト巻取装置
JPH051490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