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296B1 - 리모콘시스템 - Google Patents

리모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296B1
KR0163296B1 KR1019920006652A KR920006652A KR0163296B1 KR 0163296 B1 KR0163296 B1 KR 0163296B1 KR 1019920006652 A KR1019920006652 A KR 1019920006652A KR 920006652 A KR920006652 A KR 920006652A KR 0163296 B1 KR0163296 B1 KR 016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emote control
data
signa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6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2914A (ko
Inventor
이규안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6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296B1/ko
Publication of KR930022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29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리모콘에서 키신호를 입력하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시스템에 있어서, 본체와 리모콘간에 FM신호로 정보를 전송하며, 시간별 본체제어를 위한 설정데이타와 실행데이타를 분리하여 송·수신하고, 시간별 본체제어를 위한 메모리기능 및 현재 시각인지기능을 본체마이콤에 구비하며, 리모콘상에는 본체에서의 조작상태를 볼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소정거리 이내에서, 방향과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리모콘으로 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각 시간대별로 제어데이타를 프로그래밍하여 해당 시간에 본체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상에서 본체의 조작상황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리모콘시스템
제1도는 종래의 리모콘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모콘 11 : 입력키(key)
12 : 송신용마이콤 13, 25 : 필터
14, 26 : 오실레이터 15, 27 : 혼합기(Mixer)
16,17,21,28 : 증폭기 18, 22 : 검파기
19 : 리모콘 수신용마이콤 20 : 본체
23 : 본체 수신용마이콤 24 : 본체 마이콤
30 : 액정표시판(LCD) 31, 32 : 안테나
본 발명은 무선리모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어동작을 보다 정확히 실행함과 아울러 본체의 동작상태를 모터링할 수 있는 리모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V기기를 비롯한 전자제품의 원격조정에는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리모콘시스템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리모콘시스템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입력키(1)를 조작하면, 제1도에서, 리모콘제어부(2)는 키입력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해당되는 데이타신호를 적외선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한다. 그러면, 본체에 구비된 수신용 다이오드(D2)는 리모콘에서 출력되는 데이타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된 데이타신호는 수신증폭부(3)에서 소정 크기로 증폭된후 본체제어부(4)로 공급된다. 본체제어부(4)는 수신증폭부(3)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신호를 인식하여 이에 따라 본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모콘시스템은 리모콘과 본체간에 적외선을 이용하여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적외선의 직선적인 진행방향으로 인해 신호전달에 큰 제약을 받는다. 예를들면, 사용자가 침실에 있는 경우 거실에 있는 본체를 원격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종래의 리모콘시스템은 단순한 예약기능만이 가능할뿐 시간대별로 작동모드 및 음량·음장등을 전환시키는 프로그램기능이 결여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시간마다 일일이 리모콘을 조작하여 본체의 동적을 제어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리모콘시스템은 리모콘에서 본체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없으므로 본체의 동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본체에 접근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리모콘간의 송수신신호로서 RF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소정거리 내에서 위치와 방향에 구애됨이 없이 본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리모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모콘을 통해 설정되는 각 시간대별 데이타에 의해 본체의 여러 가지 기능이 각 시간대별로 제어되는 프로그래밍기능을 구비한 리모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콘에 본체의 동작상태가 표시되는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리모콘을 조작하면서 본체의 동작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리모콘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콘에서 키신호를 입력하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시스템에 있어서, 키신호입력부와, 입력되는 키신호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발생한 후 이에 상응하는 피이드백 신호가 입력되면 실행데이타를 발생하는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리모콘제어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 및 증폭시켜 RF신호로 출력하는 리모콘송신부와, 상기 리모콘송신부에서 발송되는 RF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타로 검출하는 본체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실행데이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키신호의 데이타에 따라 본체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와, 본체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 및 증폭시켜 RF신호로 출력하는 본체 송신부와, 본체 송신부에서 공급된 RF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리모콘제어부로 공급하는 리모콘수신부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본체제어부에 현재 시각인지기능 및 데이타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리모콘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포함된 시간데이타 및 실행데이타에 따라 해당시간에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리모콘의 제어에 따른 본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장치를 리모콘에 추가로 구비하므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시스템의 바람직한 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2도의 리모콘시스템의 리모콘(10)은, 키입력을 위한 입력기(11)와, 키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상응하는 데이타를 출력하는 송신용마이콤(12)과, 디지털 데이타를 공급받아 소정 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제1필터(13)와, 주파수변조를 위한 제1오실레이터(14)와, 제1필터(13) 및 제1오실레이터(1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변조된 RF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15)와, RF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31)를 통해 출력하는 제1증폭기(16)와,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기(17)와, 증폭된 신호에서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1검파기(18)와, 전술한 송신용마이콤(12)에서 출력한 데이타와 제1검파기(18)에서 검출된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실행데이타를 발생하는 수신용마이콤(19)과, 본체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액정표시판(3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체(20)는, 안테나(32)를 통해 수신되는 RF신호를 증폭하는 제3증폭기(21)와, 증폭된 신호에서 데이타를 검출하는 제2검파기(22)와, 검출된 데이타를 검색처리하는 수신용마이콤(23)과, 현재 시각인지기능과 메모리기능을 구비하며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본체 마이콤(24)과, 수신용마이콤(23)에서 데이타를 공급받아 소정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제2필터(25)와, 주파수변조를 위한 제2오실레이터(26)와, 제2필터(25)와 제2오실레이터(2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변조된 RF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27)와, RF신호를 증폭하여 안테나(32)를 통해 출력하는 제4증폭기(28)로 구성된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입력키(11)를 조작하여 시간대별로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를 설정한다. 키입력신호를 공급받는 송신용마이콤(12)은 설정데이타에 상응하는 제어데이타를 발생하여 제1필터(13) 및 수신용마이콤(19)으로 전송한다. 제1필터(13)는 송신용마이콤(12)에서 공급되는 제어데이타를 소정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혼합기(15)로 보낸다. 제1오실레이터(14)는 주파수변조를 위해 발진신호를 출력하여 혼합기(15)로 보낸다. 그러면, 혼합기(15)는 제1필터(13)와 제1오실레이터(14)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변조된 RF신호를 출력한다. RF신호는 제1증폭기(16)에서 소정 크기로 증폭되어 안테나를 통해 출려된다. 이와 같이, 리모콘(10)에서 발생되는 RF신호는 본체의 안테나를 거쳐 제3증폭기(21)에서 소정 크기로 증폭된다. 검파기(22)는 증폭된 RF신호에서 제어데이타를 검출하여 수신용마이콤(23)으로 전송한다. 수신용마이콤(23)은 제2검파기(22)에서 공급되는 제어데이타에 실행데이타가 포함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실행데이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어데이타를 본체마이콤(24)으로 전송하여 본체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반면에, 제어데이타가 실행데이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데이타를 제2필터(25)로 보낸다. 제2필터(25)는 제어데이타를 소정 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혼합기(27)로 공급한다. 이때, 제2오실레이터(26)는 주파수변조를 위한 발진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면, 혼합기(27)는 제2필터(25)와 제2오실레이터(26)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주파수변조된 RF신호를 출력한다. RF신호는 제4증폭기(28)에서 소정 크기로 증폭되어 안테나(32)를 통해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체(20)에서 리모콘(10)으로 피드백되는 RF신호는 안테나(31)를 통해 수신되어 제2증폭기(17)를 거쳐 제1검파기(18)로 공급된다. 제1검파기(18)는 RF신호에서 데이타를 검출하여 수신용마이콤(19)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수신용마이콤(19)은 앞에서 송신용마이콤(12)으로부터 공급받은 제어데이타와 본체(20)에서 피드백되어 수신된 제어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송신용마이콤(12)으로 전송한다. 전술한 2개 제어데이타가 동일하면 송신용마이콤(12)은 실행데이타를 발생하며, 전술한 리모콘송신부를 통해 RF신호를 본체로 발송한다. 반면에 2개 제어데이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송신용마이콤(12)은 앞에서 발송한 제어데이타를 리모콘송신부를 통해 본체로 발송한다. 이와 같이, 리모콘(10)에서 재발송되는 RF신호는 본체(20)의 안테나(32)를 통해 수신되어 전술한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이, 리모콘(10)의 제어부는 처음 발송한 제어데이타와 본체에서 피드백되는 제어데이타를 비교하여, 2개 데이타가 동일한 경우에 실행데이타를 발생하고, 2개 데이타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본체의 수신용마이콤(23)은 리모콘(10)으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데이타에 실행데이타가 존재하면 해당 제어데이타를 본체 마이콤(24)으로 전송한다. 본체 마이콤(24)은 제어데이타에 따라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고, 아울로 본체의 동작상태를 본체 송신부를 통해 리모콘(10)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리모콘(10)은 본체(20)의 동작상태를 액정표시판(30)에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시스템은, 사용자가 소정거리 이내에서 방향과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리모콘으로 본체의 할 수 있고, 각 시간대별로 제어데이타를 프로그래밍하여 해당 시간에 본체의 여러 가지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리모콘상에서 본체의 조작상황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리모콘에서 키신호를 입력하여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콘시스템에 있어서, 키신호입력부와; 입력되는 키신호에 상응하느 데이타를 발생한 후 이에 상응하는 파이드백 신호가 입력되면 실행데이타를 발생하는 리모콘제어부와; 상기 리모콘제어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 및 증폭시켜 RF신호로 출력하는 리모콘송신부와; 상기 리모콘송신부에서 발송되는 RF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타로 검출하는 본체 수신부와; 수신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실행데이타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키신호의 데이타에 따라 본체를 제어하는 본체 제어부와, 본체 제어부에서 공급되는 데이타를 주파수 변조 및 증폭시켜 RF신호로 출력하는 본체 송신부와; 본체 송신부에서 공급된 RF신호를 수신하여 데이타를 검출하고, 이 검출된 데이타를 상기 리모콘제어부로 공급하는 리모콘수신부를 포함하는 리모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리모콘의 제어에 따른 본체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콘송신부는 상기 리모콘제어부에서 데이타를 공급받아 소정 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필터와; 주파수 변조를 위한 발진신호를 발생하는 발진부와; 상기 필터 및 발진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FM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본체 송신부는 상기 본체 제어부에서 데이타를 공급받아 소정 주파수의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필터와; 주파수 변조를 위한 발진신호를 공급하는 발신부와; 상기 필터 및 발진부의 출력신호를 혼합하여 FM신호를 출력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제어부는 현재 시각인지기능 및 데이타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리모콘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포함된 시간데이타 및 실행데이타에 따라 해당시간에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시스템.
KR1019920006652A 1992-04-21 1992-04-21 리모콘시스템 KR016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652A KR0163296B1 (ko) 1992-04-21 1992-04-21 리모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6652A KR0163296B1 (ko) 1992-04-21 1992-04-21 리모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914A KR930022914A (ko) 1993-11-24
KR0163296B1 true KR0163296B1 (ko) 1998-12-01

Family

ID=19332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6652A KR0163296B1 (ko) 1992-04-21 1992-04-21 리모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2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2914A (ko) 1993-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060A (en) Animal training device
EP0513688A1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a washing machine
US5461382A (en)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full-function and abbreviated-function remote control units
US5475295A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hecking power supply status
KR0163296B1 (ko) 리모콘시스템
JP2001191768A (ja) タイヤ圧検出システム
KR100344216B1 (ko) 무선통신기기에서의 주파수 체배기 공유장치
KR970007014B1 (ko) 리모콘을 통한 브이.시.알(vcr) 동작설정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2977380B2 (ja) 光学機器の遠隔操作システム
JP3028031U (ja) 警報装置付電子時計
US20020145553A1 (en) Remote controller with a function display unit for visual indication of a selected control function
KR950004746B1 (ko) 고주파 송신기
JPH01157194A (ja) テープレコーダ
KR200264959Y1 (ko) 원격제어 무선스피커장치
JPH07112300B2 (ja) ワイヤレス通信機能付センサ
KR950002008B1 (ko) 택시미터기 데이타 전송장치 및 그 전송방법
KR20000033707A (ko) 가전제품 통합 제어장치
JPH04117097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19980031279U (ko) 텔레비전의 리모컨 전송거리경고장치
JPH07274259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KR19980050195U (ko) 리모트제어전자시스템의 리모콘탐색장치
JP3042959U (ja) リモコン操作型電気機器
JPH029300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70004638A (ko) 홈오토메이션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KR19980040302U (ko) 리모콘의 위치이탈 자동경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