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951B1 -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951B1
KR0162951B1 KR1019950013173A KR19950013173A KR0162951B1 KR 0162951 B1 KR0162951 B1 KR 0162951B1 KR 1019950013173 A KR1019950013173 A KR 1019950013173A KR 19950013173 A KR19950013173 A KR 19950013173A KR 0162951 B1 KR0162951 B1 KR 0162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mold core
ethylene
mol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608A (ko
Inventor
이정희
허만억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5001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951B1/ko
Publication of KR960040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 B29C33/4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 B29C33/5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or specially constructed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articles, e.g. of undercut articles with means for collapsing or disassembling elastic or flex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1/00Use of unspecified rubbers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금형 코어의 상측 소정위치에 하향 요입되어 상형에 의하여 밀폐되는 실린더와, 외주면이 요철부로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승강봉과, 이의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봉이 금형코어의 하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봉 상단에 고착되어 승강부재를 항시 상측으로 밀러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의 상측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형과 금형 코어 사이로 개재되는 테프론 코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 취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제1도는 방진고무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5도는 종래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콘크리트 도상 4 : 침목
6 : 레일 8 : 방진패드
10 : 방진고무 12 : 측벽
14 : 요철부 20 : 금형코어
22 : 실린더 24 : 승강부재
26 : 승강봉 28 : 원판
30 : 리테이너 32 : 탄발부재
34 : 유로 36 : 상형
38 : 코팅부 40 : 공기주입구
본 발명은 철도용 방지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취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의 선로는 침목과 자갈로 이루어지는 자갈도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갈도상은 방진특성과 보수 유지의 개선 필요성에 의하여 요즈음에는 콘크리트 도상에 콘크리트 침목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즉, 콘크리트 도상의 구조는 제1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콘크리트 도상(2)에 콘크리트 침목(4)을 놓고, 이의 콘크리트 침목(4)위에 레일(6)을 배치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도상(2)과 콘크리트 침목(4) 사이에는 방진, 방음, 절연의 목적으로 2중의 방진층이 배치되며, 이의 방진층은 독립기포로 이루어져 침목(4)의 하부에 배치되는 방진패드(8)와, 상기 방진패드(8)와 침목(4)을 감싸는 방진고무(10)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은 상기 방진고무(10)에 관계한다.
상기 방진고무(10)의 형상은 제1도에서와 같이 측벽(12)의 내면부가 요철부(14)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방진고무(10)를 성형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제5도와 같은 금형을 사용하였는 바, 금형 코어(100)의 외측에서 성형된 방진고무(10)를 분리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즉, 방진고무의 성형을 위한 금형에는 취출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바,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분리하여야 하는데, 이때 성형된 방진고무(10)와 금형 코어(100) 사이에는 진공층이 형성되므로 떼어내기가 더욱 어렵다.
그리고 성형 완료후의 금형온도가 고온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안전사고의 염려가 있으며, 성형후 발생되는 가스에 작업자가 장기간 노출되어 있어야 하는 바, 작업자의 건강을 크게 해치게 된다.
또한, 보조 도구를 사용하여 방진고무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방진고무를 손상시켜 불량율을 높히는 결과가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의 취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형 코어의 상측 소정위치에 하향 요입되어 상형에 의하여 밀폐되는 실린더와; 외주면이 요철부로 형성되어 유로를 형성하는 승강봉과, 이의 승강봉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봉이 금형코어의 하측으로 부터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봉 상단에 고착되어 승강부재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의 상측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형과 금형 코어 사이로 개재되는 테프론 코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 취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뵨 발명의 취출장치는 금형 코어(20)의 내부를 매몰 형성된다.
즉, 상기 금형 코어(20)의 상측 소정위치에 하향 요입되는 실린더(22)를 형성하고, 이에 승강부재(24)를 배치하되, 상기 승강부재(24)는 승강봉(26)과 승강봉(26)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판(28)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재(24)는 이의 승강봉(26)이 금형코어(20)의 하측으로부터 관통하여 실린더(22)의 중앙부로 돌출되며, 이 승강봉(26)의 상단에는 스프링 리테이너(30)가 장착되고, 이의 스프링 리테이너(30)와 실린더(22)의 저면 사이에는 승강부재(24)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32)가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24)의 원판(28) 저면은 금형코어(20)의 저면과 동일면을 이루게 되며, 상기 승강봉(26)은 그 외주면이 제3도에 단면으로 보인 바와 같이 요철부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요철부의 요입부가 유로(34)으로 형성되어 실린더(22)로 공급되는 공기가 유로(34)를 타고 하측으로 이동되어 원판(28)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24)의 원판(28)의 직경은 방진고무(10) 폭방향 크기의 1/2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그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금형코어(20)가 고착되는 상형(36)의 저면부에는 테프론 코팅부(38)가 형성되는데, 이 테프론 코팅부(38)에 사용되는 테프론은 고분자 분자구조에 불소를 포함하고 있는 고분자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써, 폴리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 글로로 트리플루오르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취출장치에 의하면 방진고무(10)의 성형후 금형이 이형되면 방진고무(10)는 금형코어(20)와 함께 상승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22)로 미도시한 공기 공급수단에 의해 5kg/cm2내지 10kg/cm2의 공압을 공급하면, 실린더(22)로 공급된 공압이 유로(34)를 통해 승강부재(24)의 원판(28) 상면에 전달된다. 그러면 이의 공압에 의하여 승강부재(24)가 하강하는 힘을 받게 되는 것이며, 이의 공압이 탄발부재(32)의 탄발력보다 커지면 승강부재(24)가 제4도와 같이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가(24)가 하강하면 원판(28)의 하면으로 위치하고 있는 방진고무(10)의 저면부가 신장되면서, 방진고무(10)과 금형코어(20)의 저면 사이의 틈새로 공기가 주입되어 공기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공기층의 압력이 증대되면 이의 공기는 금형코어(20)의 측면과 방진고무(10)의 측벽(12) 사이로도 주입되어 결국은 방진고무(10)를 금형코어(20)로부터 분리시킨 후, 테프론 코팅부(38)를 통해 유출된다.
이와 같이 방진고무(10)가 금형코어(20)로부터 분리되면 작업자는 낙하되는 방진고무(10)만 꺼내는 작업을 하면 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미도시한 공압공급장치로부터 실린더(22)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주입구이며, 이의 공압 공급은 타이머 및 솔레노이드 밸브등을 사용하여 금형이 이형되는 직후부터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압으로 작동되면서 방진고무를 자동으로 취출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금형 코어(20)의 상측 소정위치에 하향 요입되어 상형(36)에 의하여 밀폐되는 실린더(22)와; 외주면이 요철부로 형성되어 유로(34)를 형성하는 승강봉(26)과, 이의 승강봉(26)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판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봉(26)이 금형코어(20)의 하측으로 부터 관통하여 상기 실린더(22)의 중앙부로 돌출되는 승강부재(24)와; 상기 승강부재(24)의 승강봉(26) 상단에 고착되어 승강부재(24)를 항시 상측으로 밀어주는 탄발력을 발휘하는 탄발부재(32)의 상측부를 탄지하는 스프링 리테이너(30)와; 상형(36)과 금형 코어(20) 사이로 개재되는 테프론 코팅부(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 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승강부재(24)의 원판은 방진고무(10) 폭방향 크기의 1/2 이상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 취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테프론 코팅부(38)는 폴리플루오르 에틸렌, 테트라플루오르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 플루오르 에틸렌-헥사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 글로로 트리 플루오르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용 방진고무 성형시 취출장치.
KR1019950013173A 1995-05-25 1995-05-25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KR0162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173A KR0162951B1 (ko) 1995-05-25 1995-05-25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173A KR0162951B1 (ko) 1995-05-25 1995-05-25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608A KR960040608A (ko) 1996-12-17
KR0162951B1 true KR0162951B1 (ko) 1999-01-15

Family

ID=1941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173A KR0162951B1 (ko) 1995-05-25 1995-05-25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564B1 (ko) * 2021-07-16 2023-02-0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금형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608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8254B1 (ko) 진공 압축 성형 장치 및 방법
KR100901034B1 (ko) 감압 주형조형의 주탕 방법, 장치 및 주물
AU5533886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undry molds
ES2054310T3 (es) Aparato y metodo para aplicar vacio a un neumatico no curado y para aplicar fluido a presion a un neumatico curado.
KR0162951B1 (ko) 철도용 방진고무의 성형시 취출장치
JPH06182817A (ja) 真空箱付き成形装置
US3530928A (en) Blow head having valve means cooperating with flexible chamber walls
JPS5613144A (en) Installation for mold
US4171720A (en) Machine for producing foundry cores
JP3273893B2 (ja)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US2301939A (en) Production of ceramic bodies
US2767445A (en) Molding apparatus
US41956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ir vents or holes in casting moles of molding sand
JPH08164445A (ja) 鋳型造型装置
KR940005352B1 (ko) 압력주탕 성형장치
US1819331A (en) Sand blasting apparatus
US2618963A (en) Tube testing machine
DE69623136T2 (de) Formkühlvorrichtung für die glasindustr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und anpassen dieser kühlvorrichtung an verschiedenen formen
JP3117794B2 (ja) 発泡成形型のベントホール清掃装置
KR200237399Y1 (ko) 고무제품 성형 시스템의 이동금형 클램핑장치
KR100331038B1 (ko) 사출금형과 사출품의 탈거방법및 탈거장치
JPS59123640A (ja) ゴム注入成形用金型
CN110202099A (zh) 一种垂直分型冷芯和覆膜砂热芯盒自动生产专用机床
JP4528030B2 (ja) 窯業系プレス装置の吸引離型装置
JPH06182520A (ja) 吸引鋳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