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158B1 -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 Google Patents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158B1
KR0162158B1 KR1019950003060A KR19950003060A KR0162158B1 KR 0162158 B1 KR0162158 B1 KR 0162158B1 KR 1019950003060 A KR1019950003060 A KR 1019950003060A KR 19950003060 A KR19950003060 A KR 19950003060A KR 0162158 B1 KR0162158 B1 KR 016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rubber composition
parts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1526A (ko
Inventor
이근수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50003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158B1/ko
Publication of KR96003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9/00Compositions of rub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7/00 - C08L17/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피로성을 증가시킨 타이어 가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불포화도 0.5 내지 1.0몰%의 부틸고무 약 40 내지 60중량부와 불포화도 1.0 내지 2.0몰%인 부틸고무 40 내지 60중량부를 블랜드하고, 통상적인 첨가제와 함께 연화제로 칼슘비누와 포화지방산의 아미드의 혼합물을 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용 브래더 고무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인장물성, 스코치안정성, 고무흐름성 및 내피로성등이 종래의 가황 고무조성물 보다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본 발명은 타이어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피로성을 증가시킨 타이어 가황 고무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황 브래더는 고온, 고압하에서 수백회의 라이프 사이클을 갖고, 이것은 타이어를 가황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의 브래더 고무조성물은 불포화도가 1.0 내지 2.0몰%이고, 중량평균 분자량이 40만 내지 50만 정도의 고무를 사용하고, 보강제로는 요드가 70 내지 90, DBP가 90 내지 110, Tint 90 내지 110인 것을 사용하고, 또는 요드가 110 내지 130, DBP가 100 내지 120, Tint 90 내지 110인 것을 사용하고, 또는 요드가 80 내지 120, DBP 170 내지 210인 C/B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고, 클로로프렌 고무와 산화아연, 스테아르산, 가황수지, 프로세스유(油) 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조성물은 가공시 스코치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고, 고무 흐름성도 양호하지 못하고, 타이어를 가황 시키는 온도에서 적은 신장율을 나타내, 내피로성이 실제 타이어에 사용되는 가황 브래더로서 만족스럽지 못한 단점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장물성, 안정성, 고무흐름성이 향상된 브래더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피로성이 증가된 브래더 고무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불포화도 0.5 내지 1.0몰%의 부틸고무 약 40 내지 60중량부와 불포화도 1.0 내지 2.0몰%인 부틸고무 40 내지 60중량부를 블랜드하고, 통상적인 첨가제와 함께 연화제로 칼슘비누와 포화지방산의 아미드의 혼합물을 0.1 내지 1.0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가황용 브래더 고무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불포화도 0.5 내지 1.0몰%의 부틸고무 약 40 내지 60중량부와 불포화도 1.0 내지 2.0몰%인 부틸고무 40 내지 60중량부를 블랜드한다.
상기에서 불포화도 1.0 내지 2.0몰%의 부틸 고무는 이소프렌-이소부틸렌 러버(isoprene-isobutylene Rubber)로 지칭되는 것으로 중량평균 분자량 약 40만 내지 50만 정도의 고무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이소프렌-이소부틸렌 러버보다 불포화도가 약 50%가 적은 부틸고무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부틸 고무는 불포화도가 적어 기밀성이 좋고, 내피로성이 양호한 고무로서 불포화도는 고무의 제조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포화도를 갖는 제품으로 제조가능하다. 즉, 불포화도가 적을수록 가황도는 떨어지나 본 발명에서는 가황도를 맞추기 위해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면, 아세틸렌블랙, 가황수지, 산화아연, 클로로프렌고무 스테아린산, 프로세스유 등을 첨가하여 조정하며, 충전제의 충분한 분산을 위해 연화제를 첨가한다.
따라서, 상기의 블랜드한 배합물에 연화제로 칼슘비누와 포화 지방산의 아미드의 혼합물 약 0.1 내지 2.0중량부를 첨가하여 타이어 가황용 브래더 고무조성물을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한 부틸고무의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3]
다음 표 2에 나타낸 배합비율로 소형 반바리 믹서(1.7ℓ)에 넣고, 반바리 챔버온도 80℃, 회전수 76RPM으로 4분 30초간 혼련후 배합물을 인출하여 시팅(sheeting)하였다. 시팅된 고무 배합물은 가황제를 첨가하여 오픈 롤에서 5분간 혼련후 일정두께로 시팅하여 186℃에서 40분 가황하여 인장시험, 인열시험, 영구변형율, 내피로성시험(fatigue-failure)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실험 결과를 다음 표 3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내지 8]
다음 표 4에 나타난 배합비율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내지 8의 시험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냈다.
상기의 표 5의 비교예 1 내지 8의 시험 결과에 비해 상기 표 3의 실시예 1 내지 3의 시험결과가 인장물성, 스코치안정성(t) 고무흐름성, 내피로성 등의 종래의 가황 고무조성물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

  1. 불포화도 0.5 내지 1.0몰%의 이소프렌-이소부틸렌 고무 약 40 내지 60중량부와 불포화도 1.0 내지 2.0몰%인 이소프렌-이소부틸렌 고무 40 내지 60중량부의 브랜드물에 연화제로서 칼슘비누와 에틸렌-비스-스테아르아미드와 같은 포화지방산 아미드의 혼합물 0.1 내지 10중량부와 아세틸렌블랙, 가황수지, 산화아연, 클로로프렌고무 스테아린산 또는 프로세스유와 같은 통상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타이어 가황용 브래더 고무 조성물.
KR1019950003060A 1995-02-17 1995-02-17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KR016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60A KR0162158B1 (ko) 1995-02-17 1995-02-17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060A KR0162158B1 (ko) 1995-02-17 1995-02-17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26A KR960031526A (ko) 1996-09-17
KR0162158B1 true KR0162158B1 (ko) 1999-01-15

Family

ID=1940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060A KR0162158B1 (ko) 1995-02-17 1995-02-17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1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34A (ko) * 2001-11-14 2003-05-22 금호산업주식회사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KR101400734B1 (ko) * 2012-04-04 2014-05-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457864B1 (ko) * 2012-11-06 201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KR101496242B1 (ko) * 2013-01-08 2015-02-2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3971B2 (ja) * 2013-03-13 2018-12-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Basf Se 空気入りタイヤアセンブリ用インナーライナ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9734A (ko) * 2001-11-14 2003-05-22 금호산업주식회사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KR101400734B1 (ko) * 2012-04-04 2014-05-29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내마모성이 향상된 타이어 트레드 고무조성물
KR101457864B1 (ko) * 2012-11-06 2014-11-04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KR101496242B1 (ko) * 2013-01-08 2015-02-26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526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4179B1 (en) Making rubber blends
US5036132A (en) Rubber blends
Sae-Oui et al. Effect of blend ratio on aging, oil and ozone resistance of silica-filled chloroprene rubber/natural rubber (CR/NR) blends
CA1093246A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s and vulcanized rubber prepared therefrom
JPH03139550A (ja) エラストマー組成物
Tamási et al. Effect of different sulfur content in Natural Rubber mixtures on their thermo-mechanical and surface properties
CN111793173A (zh) 一种高硬度高流动性的聚醚型聚氨酯混炼胶
KR0162158B1 (ko) 내피로성 타이어 가황 브래더의 고무조성물
US5998531A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 for use as hot-water seals
EP0687708B1 (en) Improved heat and ozone resistant NBR/epichlorohydrin blends
JP2000344956A (ja) ゴム組成物
JP3385686B2 (ja)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JPS6057870B2 (ja) 医療、医薬用ゴム製品
CA1121086A (en) Thermoplastic compositions of styrene-acrylonitrile resin and nitrile rubber
KR100315456B1 (ko)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한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KR100280199B1 (ko) 음용수용블래더고무조성물
JPS60206857A (ja) ゴム組成物
JPH1036572A (ja) 難燃性ゴム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Sharp et al. Nitrile Rubber-Polyvinylchloride Blends
SU854954A1 (ru) Композици на основе бутадиеннитрильного каучука
JPH06200097A (ja) 相手材との接触による着色防止性に優れるゴム組成物
JPH06128419A (ja) ゴム組成物の製造方法
JPH023438A (ja) ゴム組成物
KR20040021417A (ko) 표면 모폴로지가 향상된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RU2114133C1 (ru) Вулканизуем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