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834B1 -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834B1
KR0161834B1 KR1019950048254A KR19950048254A KR0161834B1 KR 0161834 B1 KR0161834 B1 KR 0161834B1 KR 1019950048254 A KR1019950048254 A KR 1019950048254A KR 19950048254 A KR19950048254 A KR 19950048254A KR 0161834 B1 KR0161834 B1 KR 0161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nozzle
cylinder
shaft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504A (ko
Inventor
이윤형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50048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834B1/ko
Priority to US08/762,246 priority patent/US5807221A/en
Priority to JP8331264A priority patent/JP2732828B2/ja
Priority to CN96123091A priority patent/CN1112842C/zh
Publication of KR970058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ipulator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1)에 장착되는 공압실린더(2)와, 상기 공압실린더(2)의 로드에 장착되는 스테이션 베이스(3)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3)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위치결정핀(4)이 장착되는 핀 스테이션(5)과, 상기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베이스(3) 사이에 양측으로 형성된 안내홈(6)에 안내홈(6)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7)와, 상기 위치결정핀(4)에 삽입된 흡착노즐(8)을 클램핑하도록 슬라이더(7)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9)와, 상기 슬라이더(7)에 결합되며 핀 스테이션(5)과 스테이션 베이스(3)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프 샤프트(10)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3) 일측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11a)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실린더(11)와, 상기 클램프 실린더(11)의 실린더로드(11a)와 클램프 샤프트(10)가 함께 운동하도록 실린더로드(11a)와 클램프 샤프트(10)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로드(12)와, 상기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흡착노즐(8)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승강운동하는 노즐축(13)으로 구성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이다.

Description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제1도의 (a) 내지 (e)는 종래 표면실장기의 흡착노즐 교환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이 따른 흡착노즐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 내지 (e)는 핀 스테이션의 흡착노즐이 헤드부로 옮겨지는 과정을 나타낸 상세도.
제7도의 (a) 및 (b)는 제6도의 (a) 및 (d)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a) 내지 (g)는 흡착노즐이 헤드부에서 핀스테이션으로 옮겨지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제9도는 제8도의 (f)상태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2 : 공압실린더
2a : 실린더로드 3 : 스테이션 베이스
4 : 위치결정핀 5 : 핀 스테이션
6 : 안내홈 7 : 슬라이더
8 : 흡착노즐 9 : 클램프
10 : 클램프 샤프트 11 : 클램프 실린더
11a : 실린더로드 12 : 연결로드
13 : 노즐축 14 : 위치검출센서
15a : 클램프 온 센서 15b : 클램프 오프 센서
16 : 통공 17 : E형링
18 : 클램핑 스프링 19 : 걸림턱
20 : 탄성편 21 : 지지스프링
23 : 경사면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함과 함께 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전기·전자제품의 소형화 추세는 전자부품의 고밀도화·소형화·다양화를 유도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PCB ; Printed Circuit Board)의 조립생산에 표면실장기술(SMT ; Surface Mounting Technology)의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다.
한편, 표면실장기는 표면실장부품(SMD ; Surface Mounting Device)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장비로서, 표면실장 조립장비의 핵심장비이며, 테이프 스틱, 트레이 형태로 공급되는 각종 표면실장부품을 부품공급기로부터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상의 실장위치까지 이송하고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하는 장비이다. 또한, 표면실장기는 고속기와 범용기로 구분되어 개발되는데, 고속기는 단시간내에 많은 부품들을 조립하는데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실장속도가 빨라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만 실장정밀도가 떨어지는 반면, 범용기는 다양한 부품들의 실장에 적합하도록 구성되어 실장속도는 늦지만 실장정밀도가 높고 다양한 부품의 실장이 가능하여 다품종·소량생산에 적합하다.
따라서, 고속기는 더욱 작업속도가 빠르게, 범용기는 더욱 정밀하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면실장기중, 특히 범용기는 크게 부품을 공급주는 피더부, 작업위치를 결정하는 X-Y 테이블부, 작업할 인쇄회로기판을 반송하는 컨베이어부 및 실제 부품을 다루는 헤드부로 나누어지며, 헤드는 작업부품의 종류에 따라 흡착이 용이하도록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게 된다.
즉, 각형 부품의 실장을 위한 헤드, 이형부품의 실장을 위한 헤드, 그리고 QFP(Quad Flat Package)와 같은 기계적 정렬이 불가능한 부품의 실장을 위한 정밀한 비전 헤드(Vision head)등이 그것이다.
한편, 표면실장기 헤드에 장착되는 흡착노즐은 흡착의 안정성과 머신 비전(Machine Vision)의 특성에 의하여 실장부품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흡착면의 내경과 외경의 모양과 크기가 각각 달라져야 한다.
제1도는 일본 공개 특허 90-067799에 기술된 종래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8) 교환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27)가 흡착노즐 수납장치(26) 바로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 헤드부(27)가 흡착노즐(8)의 교환을 위해 교환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하강하고, 흡착노즐(8)을 가지고 있는 흡착노즐 수납장치(26)의 교환부가 공압에 의해 상승하면 헤드부(27)에 결합된 흡착노즐 파지부(28)의 제1스프링(29)이 압축되면서 돌기부(20)가 제1볼(31)에 가하던 압력이 해제되므로써 제1볼(31)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의 요입홈(32)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된 상태에서,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27)가 더 하강하여 흡착노즐 수납장치(26)의 제2스프링(33) 및 제3스프링(34)을 압축시키면 교환부에 있는 제2볼(35) 또한 돌기부(36)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나 요입홈(37)으로 들어가 유격을 가지게 된다.
그후, 상기 헤드부(27)를 상승시킴에 따라 제1볼(31)은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30)가 가압하게 되므로 흡착노즐(8)의 요입홈(32)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반면, 흡착노즐 수납장치(26)의 제2볼(35)은 흡착노즐(8)의 상승으로 말미암아 흡착노즐(8)의 외주면(27)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나므로 흡착노즐(8)의 클램핑이 더 이상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흡착노즐(8)은 흡착노즐 수납장치(26)로부터 헤드부(27)로 이동하므로써 흡착노즐(8)의 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27)에 클램핑된 흡착노즐(8)을 수납장치로 다시 수납시킬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에 의해 흡착노즐(8)은 헤드부(27)로부터 이탈되는 대신 수납장치에 클램핑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표면실장기 흡착노즐(8) 교환장치는 흡착노즐(8)을 클램핑하는 헤드부(27) 및 수납장치 뿐만 아니라 흡착노즐(8)의 구조가 복잡하므로 인해 제작시 어려움을 겪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의 상승 및 신뢰성과 내구성 저하의 원인이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는 스테이션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위치결정핀이 장착되는 핀 스테이션과, 상기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베이스 사이에 양측으로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위치결정핀에 삽입된 흡착노즐을 클램핑하도록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핀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베이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프 샤프트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 일측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실린더와, 상기 클램프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클램프 샤프트가 함께 운동하도록 실린더로드와 클램프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핀 스테이션의 위치결정핀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흡착노즐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승강운동하는 노즐축으로 구성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을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평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측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착노즐을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며, 제6도 및 제8도는 각각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제7도의 (a) 및 (b)는 제6도의 (a) 및 (d)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제9도는 제8도의 (f)상태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1)에 공압실린더(2)가 장착되고, 상기 공압실린더(2)의 실린더로드(2a)에 장착된 스테이션 베이스(3) 상부에는 복수개의 위치결정핀(4)이 장착되는 핀 스테이션(5)이 설치되며, 상기 핀 스테이션(5)과 스테이션 베이스(3) 사이에 양측으로 형성된 안내홈(6)에는 안내홈(6)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게 되는 슬라이더(7)가 삽입되고, 상기 슬라이더(7)에는 위치결정핀(4)에 삽입된 흡착노즐(8)을 클램핑하도록 복수개의 클램프(9)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7)에는 핀 스테이션(5)과 스테이션 베이스(3)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프 샤프트(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3) 일측에는 실린더로드(11a)를 구동시키는 클램프 실린더(11)가 장착되고, 상기 클램프 실린더(11)의 실린더로드(11a)와 상기 클램프 샤프트(10) 사이에는 실린더로드(11a)와 클램프 샤프트(10)가 함께 운동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로드(12)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 상부에는 흡착노즐(8)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승강운동하는 노즐축(13)이 이격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공압실린더(2) 외면상에는 공압실린더(2)의 작동시 스테이션 베이스(3)의 상승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14)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실린더(11) 일측에는 클램프 실린더(11)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클램프(9)의 흡착노즐(8)에 대한 클램핑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도록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클램프 온 센서(15a) 및 클램프 오프 센서(15b)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 샤프트(10)의 양단에는 클램프 샤프트(10)가 슬라이드의 통공(16)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E형링(17) 및 클램프 샤프트(10)의 운동시 클램프 샤프트(10)에 완충력을 부여하기 위한 클램핑 스프링(18)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노즐축(13)의 일측 선단에는 탄력을 받으며 흡착노즐(8)의 경사면(23)을 타고 내려와 걸림턱(19)에 걸려 흡착노즐(8)이 노즐축(13)에 클램핑되도록 하는 흡착노즐(8) 클램핑용 탄성편(20)이 형성된 지지스프링(21)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제2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를 이용하여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에 진공홀(22)이 삽입되어 수납된 상태인 흡착노즐(8)을 헤드로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제6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제6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을 가지고 있지 않은 헤드의 노즐축(13)이 흡착노즐(8)의 상단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와 함께, 프레임(1)에 장착된 공압실린더(2)가 작동하여 실린더로드(2a)가 위쪽으로 전진함에 따라 흡착노즐(8)은 제6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축(13)의 진공홀(22) 내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공압실린더(2) 외면상에는 공압실린더(2)의 작동시 스테이션 베이스(3)의 상승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센서(14)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스테이션 베이스(3)의 상승위치를 검출하여 일정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컨트롤러(도시는 생략함)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노즐축(13)의 일측에는 흡착노즐(8) 클램핑용 지지스프링(21)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노즐축(13)의 하강 및 핀 스테이션(5)의 상승시, 지지스프링(21)의 탄성편(20)은 흡착노즐(8) 상단의 경사면(23)에 걸려 외측으로 밀려 난 후 노즐축(13)의 하강 및 핀 스테이션(5)의 상승이 완료됨에 따라 복원되어 흡착노즐(8)의 걸림턱(19) 하부에 걸리게 되므로써 흡착노즐(8)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흡착노즐(8)의 걸림편 하부에는 평면부(2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스프링(21)에 형성된 탄성편(20)의 복귀가 가능하며 이에 따라 흡착노즐(8)은 노즐축(13)과 결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노즐축(13)과 흡착노즐(8)이 결합됨에 따라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클램프 실린더(11)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11)의 실린더로드(11a)가 제6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면 실린더로드(11a)와 연결로드(12)에 의해 연결된 클램프 샤프트(10)와 상기 클램프 샤프트(10)와 결합된 슬라이더(7) 및 상기 슬라이더(7)에 결합된 클램프(9)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클램프 샤프트(10)의 양단에는 E형링(17)이 설치되어 클램프 샤프트(10)가 슬라이드의 통공(16)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되는 한편, 클램핑 스프링(18)이 설치되어 클램프 샤프트(10)의 운동시 클램프 샤프트(10)에 완충력이 부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램프(9)의 이동에 따라 제6도의 (d) 및 제7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은 클램프(9)가 흡착판(25) 상면을 커버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그후, 상기 노즐축(13)의 상승운동 및 핀 스테이션(5)의 하강이 진행됨에 따라 흡착노즐(8)은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에서 빠져나가 표면실장기 헤드의 노즐축(13)에 장착된 상태로 제6도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표면실장기 헤드의 노즐축(13)에 장착되어 있는 흡착노즐(8)을 흡착노즐(8) 수납부인 핀 스테이션(5)으로 옮기고자 할 경우에는 제8도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을 가진 헤드가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임(1)에 장착된 공압실린더(2)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압실린더(2)의 실린더 로드(2a)가 도면상 위쪽으로 전진함에 따라 핀 스테이션(5)은 제8도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에도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공압실린더(2) 외면에 장착된 위치검출센서(14)가 스테이션 베이스(3)의 상승을 검출하여 공압실린더(2)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클램프 실린더(11)가 작동되면, 상기 클램프 실린더(11)의 실린더로드(11a)가 제8도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우측으로 전진하여 흡착노즐(8)의 안착공간을 확보하게 된다.
즉, 상기 클램프 실린더(11)의 실린더로드(11a) 전진시, 상기 실린더로드(11a)와 연결로드(12)에 의해 연결된 클램프 샤프트(10)와 상기 클램프 샤프트(10)와 결합된 슬라이더(7) 및 상기 슬라이더(7)에 결합된 클램프(9)가 함께 이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 클램프(9)는 흡착노즐(8)의 안착면을 커버하고 있던 상태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흡착노즐(8)을 가진 헤드의 노즐축(13)이 하강하게 되면 제8도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은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된 후에는, 클램프 온 센서(15a)가 온되어 클램프 실린더(11)가 작동하게 되면 실린더로드(11a) 및 클램프 샤프트(10)의 이동에 의해 클램프(9)가 제8도의 (e)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으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이 핀 스테이션(5)에 삽입되어 가결합된 상태에서 클램프(9)가 다시 원위치하여 흡착노즐(8)의 흡착판(25) 상면이 커버된 후에는 제8도의 (f)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축(13)이 일정각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축(13)에 장착된 흡착노즐(8) 클램핑용 지지스프링(21)의 탄성편(20)이 탄력을 받으며 밀려나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착노즐(8)의 평면부(24)에서 완전히 벗어나게 된다.
즉, 노즐축(13)의 상승시 흡착노즐(8) 클램핑용 지지스프링(21)의 탄성편(20)이 흡착노즐(8)의 걸림턱(19)에 걸리지 않게 되므로써 노즐축(13)으로부터의 흡착노즐(8)의 분리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걸림턱(19)을 벗어나기 위한 노즐축(13)의 회전각(α)은 흡착노즐(8)의 평면부(24)의 외주면으로 부터의 깊이(d)에 비례하게 되므로 깊이를 적절히 형성해 주므로써 노즐축(13)이 회전각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9)의 흡착노즐(8)에 대한 클램핑력에 비해 흡착노즐(8)의 외면에 접해있는 지지스프링(21)의 탄성편(20)의 복원력에 의한 파지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으므로 제8도의 (g)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축(13)의 상승 및 공압실린더(2)의 작동에 의한 핀 스테이션(5)이 하강에 따라 흡착노즐(8)은 핀 스테이션(5)의 위치결정핀(4)에 잔류하게 되므로써 헤드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이와같은 흡착노즐(8)의 교환 작용시, 상기 공압실린더(2) 외면상에는 공압실린더(2)의 작동시 스테이션 베이스(3)의 상승위치를 검출하여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검출센서(14)가 장착되고, 상기 클램프 실린더(11) 일측에는 클램프 실린더(11)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클램프(9)의 흡착노즐(8)에 대한 클램핑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고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클램프 온 센서(15a) 및 클램프 오프 센서(15b)가 장착되어 순차적인 동작의 제어를 돕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압실린더(2) 및 클램프 실린더(11)의 구동력에 의한 핀 스테이션(5) 및 클램프(9)의 운동에 의해 정확하게 흡착노즐(8)을 클램핑할 수 있어 스프링의 힘에 의해 클램핑 및 클램핑의 해제가 이루어지는 종래의 표면실장기 헤드의 교환장치에 비해 교환장치의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부품의 형상이 종래의 표면실장기 헤드의 교환장치에 비해 단순화되어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작이 용이하므로 제작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교환장치에 있어서 그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이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장치의 내구성 및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프레임에 장착되는 공압실린더와, 상기 공압실린더의 로드에 장착되는 스테이션 베이스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며 복수개의 위치결정핀이 장착되는 핀 스테이션과, 상기 핀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베이스 사이에 양측으로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홈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위치결정핀에 삽입된 흡착노즐을 클램핑하도록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클램프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핀 스테이션과 스테이션 베이스 사이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클램프 샤프트와, 상기 스테이션 베이스 일측에 장착되어 실린더로드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실린더와, 상기 클램프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와 클램프 샤프트가 함께 운동하도록 실린더로드와 클램프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는 연결로드와, 상기 핀 스테이션의 위치결정핀 상부에 이격 설치되며 흡착노즐의 탈착이 가능하도록 승강운동하는 노즐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샤프트의 양단에 클램프 샤프트가 슬라이드의 통공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E형링 및 클램프 샤프트의 운동시 클램프 샤프트에 완충력을 부여하기 위한 클램핑 스프링이 각각 설치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축의 일측 선단에는 탄력을 받으며 흡착노즐의 경사면을 타고 내려와 걸림턱에 걸려 흡착노즐이 노즐축에 장착되도록 하는 흡착노즐 클램핑용 탄성편이 형성된 지지스프링이 설치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실린더 외면상에는 공압실린더의 작동시 스테이션 베이스의 상승위치를 검출하여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위치검출센서가 장착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실린더 일측에는 클램프 실린더의 온 또는 오프상태를 검출하여 클램프의 흡착노즐에 대한 클램핑상태를 해제 또는 유지하도록 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클램프 온 센서 및 클램프 오프 센서가 장착되는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KR1019950048254A 1995-12-11 1995-12-11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KR0161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254A KR0161834B1 (ko) 1995-12-11 1995-12-11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US08/762,246 US5807221A (en) 1995-12-11 1996-12-09 Suction nozzle automatic changing apparatus
JP8331264A JP2732828B2 (ja) 1995-12-11 1996-12-11 表面実装機ヘッドの吸着ノズル自動交換装置
CN96123091A CN1112842C (zh) 1995-12-11 1996-12-11 表面贴装设备用的吸嘴自动替换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254A KR0161834B1 (ko) 1995-12-11 1995-12-11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04A KR970058504A (ko) 1997-07-31
KR0161834B1 true KR0161834B1 (ko) 1998-12-15

Family

ID=1943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254A KR0161834B1 (ko) 1995-12-11 1995-12-11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6B1 (ko) * 2002-01-15 2004-02-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자동 노즐 교환장치
KR100604325B1 (ko) * 2005-04-01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
US9258936B2 (en) 2011-12-27 2016-02-09 Hanwha Techwin Co., Ltd. Adsorption head for surface moun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33348A (zh) * 2021-04-29 2022-07-12 派尔实验装备有限公司 一种vocs催化氧化喷淋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9866B1 (ko) * 2002-01-15 2004-02-25 미래산업 주식회사 자동 노즐 교환장치
KR100604325B1 (ko) * 2005-04-01 2006-07-24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부품 실장기용 헤드모듈 및 이를 구비한 부품 실장기
US9258936B2 (en) 2011-12-27 2016-02-09 Hanwha Techwin Co., Ltd. Adsorption head for surface moun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04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2828B2 (ja) 表面実装機ヘッドの吸着ノズル自動交換装置
EP0295847B1 (en) Suction pick-up apparatus for electrical or electronic components
US6036431A (en) Parts handling method
KR100290733B1 (ko) 표면실장기의 인쇄회로기판 평면도 보정장치
JPH08295392A (ja) 半導体素子テスト用のトレーユニット
KR101286947B1 (ko) 칩 마운터
KR20000055452A (ko) 표면실장기용 그립퍼
KR0161834B1 (ko)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 장치
KR100276929B1 (ko) 모듈아이씨(ic) 핸들러에서 소켓으로의 모듈아이씨 로딩 및 언로딩 장치
JPH0722794A (ja) 板状部材の支持装置
KR100297393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로딩 및 언로딩 픽커의 얼라인 장치
KR0179887B1 (ko) 표면실장기 헤드의 흡착노즐 자동교환장치
JPS641262B2 (ko)
US5548891A (en) Method of automatically mounting electronic connector onto an end of printed circuit board
KR20000056918A (ko) 트레이 피더부가 설치된 표면실장기
KR0152883B1 (ko) 표면실장기 헤드툴의 부품정렬장치
KR0179888B1 (ko) 표면실장기 컨베이어의 인쇄회로기판 고정장치
CN108963713B (zh) 接线体输送机构及其插座组装机
USRE38622E1 (en) Parts handling method
KR100726763B1 (ko) 노즐교환기
KR100419866B1 (ko) 자동 노즐 교환장치
KR19990079590A (ko) 캐리어모듈에 마이크로 비지에이(μBGA)타입의 소자를 로딩하여 소켓에 콘택하는 장치
JP2773164B2 (ja) モジュール端子挿入方法及びその装置及びモジュール端子テーピング部品
KR100273982B1 (ko) 테스트소켓내의소자로딩및언로딩장치
KR100292121B1 (ko) 마이크로비지에이(μBGA)타입소자의콘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