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054B1 -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054B1
KR0161054B1 KR1019940021349A KR19940021349A KR0161054B1 KR 0161054 B1 KR0161054 B1 KR 0161054B1 KR 1019940021349 A KR1019940021349 A KR 1019940021349A KR 19940021349 A KR19940021349 A KR 19940021349A KR 0161054 B1 KR0161054 B1 KR 0161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microprocessor
telephone
telephone number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548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규,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성규
Priority to KR101994002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1054B1/ko
Publication of KR960009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0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implemented by means of portable electronic direct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card read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chniques For Improving Reliability Of Storag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를 구비한 전화기의 전화기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하여,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마다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입출력을 위한 단자들을 가진 카드 삽입구를 구비한 전화기에서의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소로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해 읽혀진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을 제공하여 특별한 하드웨어 구성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메모리 카드의 접속 유무를 체크함으로써, 그 구성 비율을 저렴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카드의 연결을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20 : 카드 접속부
30 : 전화번호 메모리 카드
본 발명은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 번호를 카드식 메모리 카드에 기억시켜 이용하는 전화기 본체에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였을 때 이를 전화기 본체에서 검출하여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 기능이 있는 전화기는, 단축 코드 키(예를 들면 0∼9까지)를 이용하여 자주 사용하는 전화 번호를 기억시켜 놓았다가, 이 단축 코드 키를 이용하여 일일이 발신시마다 전화 번호를 누르는 번거러움 없이 자동으로 다이얼링 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기에 있어서, 개인만의 전화 번호 소지를 가능하게 하고, 기억되는 전화번호의 수를 확장하기 위하여 휴대 가능한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를 사용할 수 있게 한 전화기의 필요성이 절실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정의 원하는 전화 번호가 기억 저장된 휴대 가능한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를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는 전화기에 있어서,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마다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들을 가지며 소정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전화기에서의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소로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독출되어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카드의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써,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마이크로 프로세서(10), 카드 접속부(20),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를 포함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전화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위한 제어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면, 약 20msec)으로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데, 이러한 메모리 판독 신호에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소가 포함된다.
그리고, 카드 접속부(2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간이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단자들로 구성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 상호간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단자들의 구성을 살펴 보면, 전원 공급 단자(Vcc), 메모리(EEPROM)를 인에블하기 위한 단자(CS), 시리얼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시리얼 클록이 인가되는 단자(CLK), 메모리 카드(70)에서 읽은 전화 번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입력하기 위한 단자(DI), 마이크로 프로세서(20)로부터 주소를 포함한 읽기 또는 쓰기 명령과 기억하려는 전화 번호가 출력되는 단자(DO) 및 접지를 위한 단자(GND)로 이루어 진다.
또한,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의해 제어되어 소정의 전화번호를 기억 저장하는 전화 번호 기억 수단으로써, 카드 접속부(20)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단자들을 통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와 접속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의 메모리 판독 신호에 상응하는 해당 데이터를 읽어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출력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동작 과정을 제1도 및 제2도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는 소정 시간(예를 들면, 약 20msec)마다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삽입 유무를 체크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 내부의 타이머(도시되지 않음)를 동작시킨다(단계 200).
다음에, 상기 과정에 의해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메모리 소자를 인에이블 시키기 위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CS 단자로 칩 인에이블(chip enable) 라인을 통하여 하이 레벨의 신호로 전환되어 인가된다(단계 202).
또한,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내의 미리 설정된 소정의 주소값을 읽기 위하여 이 설정된 주소를 포함하는 메모리 판독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의해 발생되어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DO 단자에 데이터 아웃(data out) 라인을 통하여 인가되고, 이와 동시에 직렬 전송을 위하여 시리얼 클록(serial clock)이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CLK 단자로 인가된다(단계 204).
다음에, 상기 과정의 결과로 전화번호 메모리 카드(30)의 삽입 유무를 검출하게 되는데,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의 DI 단자에 데이터 인(data in) 라인을 통하여 아무값도 출력되지 않을 경우, 즉,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가 카드 접속부(2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는 00h값이 읽혀져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가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별하고(단계 206, 210), 만약,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부터의 시리얼 클록에 따라 데이터 인(data in) 라인을 통하여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30)로부터 출력되는 값이 미리 설정된 offh값(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의 설정된 주소의 초기값)이면 전화번호 메모리 카드(30)가 삽입된 것으로 판별한다(단계 206, 208).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를 접속하여 이용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특별한 하드웨어적인 구성없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하여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의 삽입 유무를 검출함으로써, 그 구성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하여 소정 시간마다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소정의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한 단자들을 가진, 소정의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구를 구비하며, 상기 메모리 카드는 상기 카드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들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접속되는 전화기에서의 메모리 카드 접속 체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소정 시간 경과시마다 상기 메모리 카드의 사전 설정된 소정의 주소로 메모리 판독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메모리 카드로부터 독출되어 판독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전화 번호 메모리 카드의 삽입 여부를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KR1019940021349A 1994-08-29 1994-08-29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KR01610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349A KR0161054B1 (ko) 1994-08-29 1994-08-29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1349A KR0161054B1 (ko) 1994-08-29 1994-08-29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548A KR960009548A (ko) 1996-03-22
KR0161054B1 true KR0161054B1 (ko) 1998-12-01

Family

ID=1939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1349A KR0161054B1 (ko) 1994-08-29 1994-08-29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10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548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1708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rotocols
US714581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entry of operation modes thereof
EP0471544A3 (en) Semiconductor memory with a sequence of clocked access codes for test mode entry
JPH06215208A (ja) スマートカードをチェックする方法及び回路網
KR920005172A (ko) 테스트 모드 진입을 위한 클럭된 호출 코드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KR19980076634A (ko)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의 프로그램 갱신방법
KR920005173A (ko) 칩 동작상에 자동 테스트 모드의 이탈을 가진 반도체 메모리
JPH10214314A (ja) Icカード用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920005168A (ko) 테스트 모드 동안의 출력 동작으로부터 칩 동작 제어를 가진 반도체 메모리
KR0161054B1 (ko)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접속 체크 방법
EP07211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a mode setting circuit
KR10060580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문자 폰트 변경 장치 및 그 방법
JP2535532Y2 (ja) マイコンダイアラ
KR960012497A (ko) 반도체 집적회로
US641156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synchronous memory
US6763461B1 (en) Method of detecting fraud in electronic circuit cards used in telephony
JP2002150246A (ja) 携帯可能電子装置
KR960009546A (ko) 메모리 카드를 이용한 전화기의 자동 다이얼링 장치
EP0704800A3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redundant bit line selec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US6226530B1 (en) Method of detecting fraud concerning electronic memory cards used in telephony
KR100198670B1 (ko) 플러그 앤 플레이 시스템의 자동 제어 회로
KR960025750A (ko) 플래쉬 메모리장치
KR970003974B1 (ko) 무선전화기의 고유식별번호 백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40001104B1 (ko) 전원리셋과 수동리셋의 구분회로 및 방법
KR960009547A (ko) 전화기 메모리 카드의 전화 번호 기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