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727B1 -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727B1
KR0158727B1 KR1019940007247A KR19940007247A KR0158727B1 KR 0158727 B1 KR0158727 B1 KR 0158727B1 KR 1019940007247 A KR1019940007247 A KR 1019940007247A KR 19940007247 A KR19940007247 A KR 19940007247A KR 0158727 B1 KR0158727 B1 KR 0158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uential
switching
photographing
ord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94A (ko
Inventor
전대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7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727B1/ko
Publication of KR950030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7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대의 감시용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입력받을 뿐 아니라 비순차적으로 전환하여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확률적으로 이상상태를 빨리 알아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마이콤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3(a)-(b)도는 순차·비순차전환모드별 전환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키입력부 12 : 마이콤
13 : 로직제어부 14 : 멀티플렉서
본 발명은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러장소에 각기 설치된 카메라들을 통해 촬영된 영상신호를 순차전환하여 입력받을 뿐만 아니라 비순차전환하여 입력받을 수 있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증권회사등의 금융기관이나 우체국등 손님과 접촉하는 영업실, 금고앞등의 감시, 그밖에 편의점, 슈퍼마켓의 감시, 주차장감시 등의 각종 감시용으로 설치된 여러대의 카메라(camera)를 통해 촬영된 영상 신호를 1대의 비데오카세트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VCR)에 기록하는 경우 여러대의 카메라영상신호를 순차전화하여 VCR테이프상에 기록하고, 이 신호를 재생하여 볼 때 원하는 카메라 영상신호만을 볼 수 있게 하는 시퀀스스위처(sequential switcher)기능이 많이 사용된다.
감시용시스템의 시퀀스스위처(sequential switcher)는 마이콤에 영상신호들의 전환입력시간과 전환순서를 설정해 놓고, 시간에 맞추어 순서대로 입력영상신호를 전환입력한다. 이런 경우, 원하는 카메라의 영상신호만을 보고자할 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예를 들어, 1초 단위로 스위칭시간을 설정하고, n대의 카메라 중 1번 카메라의 영상신호만을 보고자하면 1번 카메라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간격은 n초가 된다. 이처럼 기존의 스위처(switcher)들은 일괄적으로 순차전환방식을 이용하므로 싫증이 나기 쉽고 타성에 젖어 감시를 소홀히 할 우려가 있다. 또한, 감시순서가 항시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불상사가 생길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감시용시스템의 스위치기능수행시 순차전환방식은 물론이고 전환순서를 램덤(random)하게 설정시켜 비순차전환방식을 겸용할 수 있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는, 다수의 촬영기기를 구비하고, 소정의 촬영기기들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전환하거나 비순차전환하기 위한 감시용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순차전환모드와 비순차전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와, 순차 및 비순차전환모드에 따라 다수의 순차 및 비순차적인 촬영기기선택순서와 시간간격을 기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전환모드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선택순서와 시간간격에 맞춰 촬영기기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촬영기기의 출력단들에 대응되게 연결된 다수의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촬영기기 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순서와 시간간격으로 접점들을 절환접속하여 접속된 접점에 연결된 촬영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순차·비순차전환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나타낸 순차·비순차전환장치는 전환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11)와, 키입력부(11)로부터의 키입력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콤(12)을 구비한다. 마이콤(12)은 순차·비순차전환모드별 채널선택순서와 스위칭시간간격을 설정하고 있다. 마이콤(12)의 출력단에는 설정된 시간간격단위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들을 선택순서에 맞게 선택할수 있도록 선택신호(SEL)를 출력하고, 읽기인에이블신호(RE) 및 쓰기인에이블신호(WE)를 발생하는 로직제어부(13)가 연결된다. 제1도 장치는 또한, 로직제어부(13)의 제어하에 다수의 카메라출력단에 대응되게 연결된 각 접점을 선택전환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MUX)(14)와, 멀티플렉서(14)에서 선택된 영상신호를 휘도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하는 신호분리부(15), 및 그 선택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5′)를 구비한다. 한편, 동기분리부(15′)에서 분리된 동기신호는 직병렬전환부(SIPO)에서 병렬로 전환되어 마이콤(12)에 입력채널유무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직병렬전환부(SIPO)는 동기분리부(15′)와 마이콤(12) 사이에 연결된다. 신호분리부(15)의 출력단에는 복수개의 A/D변환기(16, 17)가 연결되어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각각 디지털형태로 변환시킨다. A/D변환기(16, 17)와 로직제어부(13) 사이에는 입력받은 디지털데이타를 읽기·쓰기인에이블신호(RE,WE)에 응답하여 기록하고, 읽어내는 메모리(18,19)가 연결된다. 메모리(18,19)의 출력단에는 D/A변환기(20,21)가 연결되어 메모리(18,19)에서 읽어낸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아날로그형태로 변환시킨다. 동기신호(Sync)를 발생하는 동기발생부(22)와 D/A변환기(20,21)사이에는 휘도 신호(Y)와 색신호(C), 동기신호(Sync)를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인코더부(23)가 연결된다. 마이콤(13)의 출력단에는 또한, 문자발생부(25)와 코드발생부(24)가 각각 연결되어 촬영날짜 및 시간, 선택채널, 그밖에 표시하고자 하는 문자데이터와 선택채널에 해당하는 코드(CODE)를 발생한다. 인코더부(23), 문자발생부(25) 및 코드발생부(24)의 출력단 사이에는 영상신호에 문자데이터(CHAR)와 코드(CODE)를 중첩시켜 출력하는 혼합기(26)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1도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에 대한 동작을 제2도 및 제3도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에서, 다수의 카메라를 통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신호를 선택하는데 있어 순차전환할 것인지 비순차전환할 것인지를 사용자는 키입력부(11)를 통해 결정한다. 마이콤(12)은 시스템 초기상태에서 항상 순차전환모드로 자동 설정되어,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채널과 비입력채널을 검색한다. 즉, 멀티플렉서(14)로부터 순차전환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동기분리부(15′)는 동기신호를 분리한다. 분리된 동기신호는 직병렬전환부(serial in parallel out;SIPO)로 입력되어 병렬형태로 전환되어 마이콤(12)에 입력된다. 마이콤(12)은 직병렬전환부(SIPO)로부터 인가되는 병렬의 동기신호를 검색하여 전환대상을 선정한다. 그런 다음, 입력키신호에 의해 비순차전환모드로 재설정된다. 마이콤(12)은 순차·비순차전환모드별로 다수의 선택순서와 전환시간간격을 설정하고 있으며,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일정시간간격주기로 정해진 선택순서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로직제어부(13)로 인가한다. 비순차전환모드시 마이콤(12)은 난수(random-number)발생이나 퍼지추론등을 이용하여 비순차적인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제3(b)도를 보면, 8대 카메라가 설치된 경우 마이콤(12)은 순차전환모드로 1번 카메라(CH1)부터 8번 카메라(CH8)까지 순서대로 반복 전환되도록 설정하며, 비순차전환모드로 다수의 경우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비순차전환모드 I은 CH5→CH1→CH6→CH2→CH7→CH3→CH8→CH4→…의 임의의 순서로 전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로직제어부(13)는 마이콤(12)으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멀티플렉서(14)로 일정비트단위의 선택신호(SEL)를 인가한다. 즉, 사용자에 의해 순차전환모드(sequential switching mode)가 선택되면, 마이콤(12)에 기설정된 순차전환모드의 순서에 대응하여 로직제어부(13)는 1번 카메라에서부터 N번 카메라까지 입력되는 영상신호들(CH1∼CHN)을 순차전환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SEL)를 내보낸다. 반면, 사용자에 의해 비순차전환모드(random switching mode)가 선택되면, 마이콤(12)에 기설정된 비순차전환모드의 순서에 대응하여 로직제어부(13)는 비순서적으로 정해진 순서에 맞춰 비순차전환할 수 있도록 선택신호(SEL)를 내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8대 카메라 즉, 8채널인 경우로 선택신호(SEL)는 3비트(23=8)로 나타낸다. 멀티플렉서(14)는 다수의 카메라들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영상신호(CH1∼CH8)를 로직제어부(13)의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선택접속한다. 선택된 영상신호는 신호분리부(15)로 입력된다. 신호분리부(15)는 멀티플렉서(14)로부터 선택된 촬영기기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로 분리하여 대응하는 A/D변환기(16, 17)로 각각 출력한다. 복수개의 A/D변환기(16, 17)는 입력받은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디지털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형태의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A/D변환기(16, 17)의 출력단에 대응되도록 연결된 각각의 메모리(18,19)에 입력된다. 메모리(18,19)는 로직제어부(13)로부터 인가되는 쓰기인에이블신호(WE)에 응답하여 A/D변환기(16, 17)로부터 입력받은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저장하고, 읽기인에이블실호(RE)에 응답하여 저장하고 있던 휘도신호와 색신호를 출력한다. 메모리(18,19)로부터 읽어낸 각각의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대응되는 D/A변환기(20,21)로 입력되어 아날로그형태로 변환된다. 아날로그형태의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는 인코더부(23)로 입력된다. 인코더부(23)는 동기발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동기신호(Sync)와 함께 휘도 신호(Y) 및 색신호(C)를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한다. 복합영상신호는 혼합기(26)로 입력된다. 한편, 마이콤(12)은 코드발생부(24)로부터 선택영상신호의 채널에 해당하는 코드(CODE)가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문자발생부(25)로부터 영상신호의 촬영날짜 및 시간, 선택채널,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들에 대한 문자데이타(CHAR)가 발생하도록 제어한다. 코드발생부(24)는 입력영상신호의 채널에 해당하는 코드(CODE)를 혼합기(26)로 인가한다. 여기서, 코드(CODE)부여는 재생시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에 대한 영상신호만을 보고자할 경우에 효과적으로 이용된다. 문자발생부(25)는 촬영날짜 및 시간, 선택채널,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하고자 하는 내용들에 대한 문자데이타(CHAR)를 혼합기(26)로 인가한다. 혼합기(26)는 복합영상신호에 문자데이타(CHAR) 및 코드(CODE)를 중첩시켜 출력한다. 특히, 코드(CODE)는 화면상에 나타나지 않는 영상신호의 수직블랭킹구간의 특정영역에 실리게 된다.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마이콤(12)에 대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감시용시스템의 초기상태에서(단계 101), 마이콤(12)은 설치된 카메라들로부터 순차전환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를 검출하고(단계 102), 동기신호검출유무에 따라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카메라와 비입력카메라를 인지한다. 마이콤(12)은 이를 이용하여 전환대상을 선정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모든 카메라를 전환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런 다음, 마이콤(12)은 순차전환모드로 자동설정된다(단계 103). 키입력부(11)의 입력키를 스캔(scan)하여(단계 104), 비순차전환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었으면(단계 105), 마이콤(12)은 비순차전환모드로 재설정된다(단계 106). 입력키를 스캔해서 모드신호가 입력 안되었으면 단계 103으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수행한다. 그런 다음, 마이콤(12)은 동작중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단계 107), 단계 104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수행하고, 동작중지신호가 입력되면 종료된다.
제3도는 순차·비순차전환모드별 선택순서와 해당코드를 나타낸 개념도로서,제3(a)도는 채널별 입력신호의 해당코드(CODE)이다. 제3(b)도는 순차·비순차전환모드에 따라 결정된 입력신호의 선택순서이다. 채널별 코드(CODE)는 마이콤(12)에서 입력키에 의해 결정된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순차·비순차전환모드별 선택순서에 응답하여 코드발생부(24)에서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순차전환만이 가능하던 종래에 비해 순차·비순차전환을 사용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으므로 확률적으로 이상상태를 신속히 알 수 있고, 감시순서에 근거한 불상사를 방지할 수 있어 감시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다수의 촬영기기를 구비하고, 소정의 촬영기기들로부터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순차전환하거나 비순차전환하기 위한 감시용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순차전환모드와 비순차전환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부; 순차 및 비순차전환모드에 따라 다수의 순차 및 비순차적인 촬영기기 선택순서와 시간간격을 기설정하고, 상기 키입력부에서 선택된 전환모드에 대응하는 기설정된 선택순서와 시간간격에 맞춰 촬영기기선택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촬영기기의 출력단들에 대응되게 연결된 다수의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에서 발생된 촬영기기선택신호에 대응하는 순서와 시간간격으로 접점들을 절환접속하여 접속된 접점에 연결된 촬영기기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순차·비순차전환부를 포함하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초기상태에서 전환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순차전화모드로 자동설정되며, 비순차전환모드시 난수발생을 통해 촬영기기선택순서를 비순차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비순차전환모드시 퍼지추론을 통해 촬영기기선택순서를 비순차(random)적으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의 선택신호는 n비트길이(2n=촬영기기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비순차전환부는 멀티플렉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KR1019940007247A 1994-04-07 1994-04-07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KR0158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47A KR0158727B1 (ko) 1994-04-07 1994-04-07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247A KR0158727B1 (ko) 1994-04-07 1994-04-07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94A KR950030694A (ko) 1995-11-24
KR0158727B1 true KR0158727B1 (ko) 1998-12-15

Family

ID=19380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247A KR0158727B1 (ko) 1994-04-07 1994-04-07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7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94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0067A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multiple video signals
KR920005058B1 (ko) 4화면 분할 표시 장치
EP0299228A2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high resolution still images and video images for recording on a standard storage media
KR970072973A (ko) 디지탈 기록방식의 비디오카메라장치
KR940001439B1 (ko) 자막정보 중첩회로
KR0158727B1 (ko) 감시용시스템의 순차.비순차전환장치
JP3536348B2 (ja)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KR100284970B1 (ko) 프레임 영상으로 녹화하는 방식이 첨가된 화면분할기
JP2000013784A (ja) マルチ表示監視システム
KR100588934B1 (ko) 다채널 입력의 화면 분할 장치
JP2646987B2 (ja) テレビカメラシステム
KR100188440B1 (ko) 감시용 카메라시스템의 다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0137264B1 (ko) 다중화된 영상신호의 화면표시장치
KR200157637Y1 (ko) 폐쇄회로 tv 감시장치
KR950000438B1 (ko) 캠코더의 자동편집장치
KR100240172B1 (ko) 화면 분리 장치
JPH02260982A (ja) 文字・パターン記憶再生装置
KR940006015B1 (ko) 화면편집장치
KR100223007B1 (ko)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KR0170635B1 (ko) 다중 영상 기록장치
KR19980027712A (ko) 캠코더의 pip화면 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KR950006456B1 (ko) 영상신호의 필드변환장치
JPH0832875A (ja) ビデオカメラ用スイッチャ
KR20030028900A (ko) 타임 랩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JPH11164202A (ja) フレーム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