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172B1 - 화면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화면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172B1
KR100240172B1 KR1019970041417A KR19970041417A KR100240172B1 KR 100240172 B1 KR100240172 B1 KR 100240172B1 KR 1019970041417 A KR1019970041417 A KR 1019970041417A KR 19970041417 A KR19970041417 A KR 19970041417A KR 100240172 B1 KR100240172 B1 KR 100240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outputting
still imag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8267A (ko
Inventor
정석우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1019970041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017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8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화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이루어진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동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영상 프리즈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인가되는 화면 분리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믹스하여 출력하는 믹스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에 저장된 임의 영역의 정지 영상이 믹스 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태가 변화하는 영상을 한 화면상에서 비교하거나, 내용이 다른 두 개의 영상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다.

Description

화면 분리 장치
이 발명은 화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실물 화상 기기에 있어서 상태가 변화하는 영상을 한 화면상에서 비교하거나, 내용이 다른 두 개의 영상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하는 화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D(Charge Coupled Device) 소자를 이용한 영상 기기는 광학적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고, 출력된 신호는 모니터나 텔레비젼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어 영상으로 재현된다.
상기와 같은 영상 기기에 있어서 근래에는 스테이지상에 놓여진 피사체의 영상을 읽어 들여 별도의 영상 표시 장치인 TV 등을 통하여 재현시키는 실물 화상 기기(video presenter)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으며, 상기 실물 화상 기기는 주로 교육 분야나, 광고/디자인 분야, 의학 분야 등의 세미나에 있어서, 입체적인 물체나 칼라 화보 등의 자료에 해당하는 영상을 효과적으로 재현시켜 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실물 화상 기기는 화면상에 현재 읽어 들인 영상만을 표시함으로써,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물체나 상태를 비교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물체나 상태 등을 실물 화상 기기를 통하여 관찰하는 경우에, 이전에 읽어 들인 물체나 상태에 해당하는 영상과 현재 읽어 들이는 물체나 상태에 해당하는 영상을 동시에 비교할 수가 없다.
따라서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물체의 상태 변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물 화상 기기에 있어서 상태가 변화하는 영상을 한 화면상에서 비교하거나, 내용이 다른 두 개의 영상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화면 분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이루어진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동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영상 프리즈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인가되는 화면 분리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믹스하여 출력하는 믹스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에 저장된 임의 영역의 정지 영상이 믹스 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다른 구성은,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A/D 변환 장치와;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동영상으로 출력하고, 인가되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하여 해당하는 휘도 신호 및 복합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저장하는 영상 프리즈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인가되는 화면 분리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믹스하여 상기 영상 처리 수단으로 출력하는 믹스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에 저장된 임의 영역의 정지 영상이 믹스 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와, 복합 영상 신호를 믹스시켜 원래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가 내장된 실물 화상 기기의 전체 구성 블록도이고,
도2a∼2f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의 어드레스 시프트에 따른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시프트에 따른 메모리의 리드/라이트 위치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리드시의 수평 어드레스 초기값을 설정하는 부분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리즈부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기의 전체 외관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가 내장된 실물 화상 기기의 전체 구성 블록도이고,
도2a∼2f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의 어드레스 시프트에 따른 화면 출력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드레스 시프트에 따른 메모리의 리드/라이트 위치 변화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리드시의 수평 어드레스 초기값을 설정하는 부분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의 동작 타이밍도이고,
도6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리즈부의 구성 블럭도이고,
도7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물 화상 기기의 전체 외관도이다.
첨부한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가 내장된 실물 화상 기기의 구성은, 촬상부(1)와, 상기 촬상부(1)의 출력단에 연결된 이득 조절부(2)와, 상기 이득 조절부(2)의 출력단에 연결된 A/D(Analog/Digital) 변환부(3)와, 상기 A/D 변환부(3)의 출력단에 연결된 디지탈 카메라 프로세서(Digital Camera Processor:이하 DCP라 명명함)(4)와, 상기 DCP(4)의 출력단에 연결된 영상 프리즈(freeze)부(5)와, 상기 영상 프리즈부(5)의 입력단에 연결된 동기 신호 발생부(6)와, 제어부(7)와, 상기 제어부(7)의 출력단에 연결된 로직부(8)와, 상기 로직부(8)와 DCP(4)와 영상 프리즈부(5)의 출력단에 연결된 믹서부(9)와, 상기 DCP(4) 와 영상 프리즈부(5)의 출력단에 연결된 스위칭부(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 프리즈부(5)는 첨부한 도6에 도시되어 있듯이 카운터부(51)와, 카운터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된 어드레스 셀렉트부(52)와, 상기 어드레스 셀렉트부(52)의 출력단에 연결된 제1메모리(531)와 제2메모리(532)로 이루어진 메모리부(53)와, 프리즈 선택부(54)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운터부(51)는 칼럼 어드레스를 카운터하는 수평 카운터(511)와 로우 어드레스를 카운트하는 수직 카운터(5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드레스 셀렉트부(52)는 수평 카운트(511)와 수직 카운트(512)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조합하여 상기 제1메모리(531)를 억세스하는 제1어드레스 셀렉트부(521)와 상기 수평 카운터(511)와 수직 카운터(512)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조합하여 제2메모리(532)를 억세스하는 제2어드레스 셀렉트부(522)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직부(8)는 첨부한 도4에 도시되어 있듯이 인가되는 신호를 먹스하여 카운터부(51)로 출력하는 먹스(MUX)(8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면 분리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첨부한 도6에 도시되어 있는 실물 화상 기기의 원고대(100)위에 자료를 놓으면, 헤드부(200)에 내장되어 있는 촬상부(1)가 자료 즉, 피사체의 광학적 영상을 촬상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화소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촬상부(1)에서 출력된 화소 신호는 이득 조절부(2)로 입력되고, 상기 이득 조절부(2)에 의하여 화소 신호의 노이즈가 제거되어 A/D 변환부(3)로 출력된다.
상기 A/D 변환부(3)는 아날로그 화소 신호를 디지탈 화소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이 때 비트 레이트(bit rate)는 9bit 또는 10bit로 설정된다.
상기 DCP(4)는 인가되는 디지탈 화소 신호를 비데오(video) 신호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디지탈 화소 신호를 처리하여 비데오 신호를 구성하는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를 각각 영상 프리즈부(5)와 스위칭부(10)와, 믹서부(9)로 출력한다.
이 때, 상기 휘도 신호(Y)와 색차 신호(C)는 8bit씩 출력된다.
상기 동기 신호 발생부(6)는 인가되는 4fsc 신호에 따라 수평 동기 신호(HD)와 수직 동기 신호(VD)와 그리고 짝수 필드와 홀수 필드를 판별하기 위한 필드 신호(FLD)를 출력한다.
상기 DCP(4)에서 출력된 홀수 필드시의 영상 데이터는 제1메모리(531)에 저장되고, 짝수 필드시의 영상 데이터는 제2메모리(532)에 저장된다.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HD)에 따라 상기 카운터부(51)의 수평 카운터(511)는 칼럼 어드레스를 카운트하고, 동기 신호 발생부(6)에서 출력되는 수직 동기 신호(VD)에 따라 수직 카운터(512)가 로우 어드레스를 카운트하여 그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셀렉트부(52)로 출력한다.
상기 어드레스 셀렉트부(52)는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DCP(4)에서 출력되는 홀수 필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한 제1메모리(531)의 영역을 지정하고, 또한 인가되는 어드레스에 따라 짝수 필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출력하기 위한 제2메모리(532)의 영역을 지정한다.
화면 분리 스위치(SW1)의 작동에 의하여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7)는 그에 해당하는 디바이드 신호(divide)를 로직부(8)로 출력하고, 스위치부(10)로 화면을 분리하기 위한 제어 신호(S2, S1)를 출력한다.
상기 스위치부(10)는 제어부(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S2, S1)의 상태에 따라, 화면상에 인가되는 동영상 및 정지 영상이 출력되거나, 화면을 분리하여 두 개의 영상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신호(S1, S2)의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은 다음 표1과 같다.
S1 S2 비 고
0 0 정상 출력
1 0 정지 영상 출력
x 1 화면 분리 출력
그러나,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이전에 촬영된 정지 영상은 화면의 좌측에 표시되기 때문에, 정지 영상이 출력되는 위치가 좌측으로 지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정지 영상이 잘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면상에 하나의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에는 도3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모리 리드시나 라이트시의 초기 어드레스를 동일하게 하지만,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는 첨부한 도3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리드시에 수평 어드레스 초기값을 가변시킨다.
상기에서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사용자가 시프트 스위치(SW2)를 작동시키면, 상기 제어부(7)는 시프트 신호(Sel1,Sel2)를 로직부(8)로 출력하고, 상기 로직부(8)는 인가되는 시프트 신호(Sel1,Sel2)에 따라 영상 프리즈부(5)의 메모리(5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기 위한 어드레스를 가변시킨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로직부(8)는 첨부한 도4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제어부(7)로부터 인가되는 시프트 신호(Sel1,Sel2)를 먹스하여 영상 프리즈부(5)의 수평 어드레스 초기값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Sfift1∼Shift2)를 영상 프리즈부(5)의 수평 어드레스 카운터(51)로 출력하고, 리드시에 상기 수평 어드레스 카운터(51)는 상기 로직부(8)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카운트하는 초기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초기값부터 수평 어드레스를 카운트함으로써, 메모리(53)에 저장된 정지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이 가변된다.
예를 들어,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첨부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지 영상을 화면의 좌측 부분에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에서 지정된 수평 어드레스가 '000'인 경우에는 첨부한 도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영상의 좌측 처음 부분부터 가운데에 해당하는 부분만 화면상에 출력되어, 정지 영상의 일부분이 잘려져서 화면상에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시프트 스위치(SW2) 작동에 따라 리드시의 수평 어드레스의 초기값이 첨부한 도2b∼도2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변되면, 정지 영상이 출력되는 부분이 가변되어, 첨부한 도2e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도 화면의 좌측 부분에 완전한 정지 영상이 출력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영상 프리즈부(5)는 로직부(8)에서 출력되는 신호(Sfift1∼Shift2)에 따라 메모리(53)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리드하여 해당하는 정지 영상을 믹서부(9)로 출력한다.
상기에서 로직부(8)는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수평 어드레스 초기값을 설정하기 위한 신호(Sfift1∼Shift4)를 출력함과 동시에, 화면상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 신호(divide control)를 믹서부(9)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로직부(8)는 수평 동기 신호(HD)에 동기를 맞추어 메인 클락 신호(4fsc)를 카운트하여, 유효 화소의 절반 부분에서 신호가 절환되도록 제어 신호(divide control)를 출력한다.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상기 로직부(8)가 수평 동기 신호(HD)가 첨부한 도에4도시되어 있듯이 하이 레벨로 출력되는 라이징 에지(rising edge) 시점에서, 로우 상태의 제어 신호(divide control)를 출력한 다음 인가되는 4fsc 신호를 카운트하기 시작하여, 카운트값이 유효 화소의 절반 즉, 368인 경우에 상기 제어 신호(divide control)를 절환하여 하이 상태로 출력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촬상부(1)의 CCD의 총 화소수는 811(H)×508(V)이고, 유효 화소수는 768(H)×494(V)이므로, 동기 신호를 뺀 수평 방향의 유효 화소수는 768개 이다. 따라서, 화면 분리시 유효 화소의 절반 부분은 768/2가 되나, 이 발명에서는 TV의 특성을 고려하여 368에 맞추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첨부한 도5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로직부(8)에서 로우 상태의 제어 신호(divide control)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믹서부(9)가 영상 프리즈부(5)로부터 인가되는 정지 영상을 상기 DCP(4)로 출력하고, 유효 화소의 절반 부분에서 신호가 가변되어 하이 상태의 제어 신호(divide control)가 출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DCP(4)로부터 인가되는 동영상을 다시 DCP(4)로 출력한다.
상기 DCP(4)는 인가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그에 해당하는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출력하고, 출력된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는 Y/C 믹서(mixer)에 의하여 비데오 신호로 가변되어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로 출력된다.
따라서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는 이전에 촬영된 정지 영상과 현재 촬영되는 동영상이 동시에 출력된다. 즉, 화면의 좌측 부분의 반은 정지 영상이 출력되고, 화면의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현재 촬영된 동영상이 출력된다.
그러나 상기에서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되지 않고, 화면상에 정지 영상만을 출력하거나 현재 촬영되는 동영상을 출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위칭부(10)가 영상 프리즈부(5)로부터 인가되는 정지 영상만을 DCP(4)로 출력하거나, 인가되는 동영상만을 DCP(4)로 출력한다.
따라서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표시 장치의 화면상에 현재 촬영되는 동영상만 출력되거나 또는 이전에 촬영된 정지 영상만이 출력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실물 화상 기기와 같은 비디오 시스템에 있어서, 상태가 변화하는 영상을 한 화면상에서 비교하거나, 내용이 다른 두 개의 영상을 비교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영상을 볼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화면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한 화면에 두 개의 영상을 분리하여 동시에 출력할 수 있는 실물 화상 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홀수 필드와 짝수 필드로 이루어진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동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동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처리하여 저장하는 영상 프리즈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인가되는 화면 분리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믹스하여 출력하는 믹스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에 저장된 임의 영역의 정지 영상이 믹스 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면 분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직 수단은,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먼저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한 다음,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유효 화소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한 믹서 수단은 상기 로직 수단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의 정지 영상을 출력하다가,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처리 수단의 동영상을 출력하여, 한 화면상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정지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시프트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수단은 시프트 수단의 작동에 따라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가변시켜 그에 해당하는 시프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은 상기 시프트 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저장된 정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영상 프리즈 수단은,
    정지 영상 출력 모드 선택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라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라이트 신호 발생 수단과;
    메인 클락 신호와 다수의 동기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칼럼 어드레스와 로우 어드레스를 카운트하고, 상기 로직 수단에서 출력되는 시프트 신호에 따라 칼럼 어드레스를 카운트하기 위한 초기값을 설정하고, 그에 따라 칼럼 어드레스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수단과;
    상기 카운터 수단에서 출력되는 칼럼 어드레스와 로우 어드레스에 따라 해당 영역을 지정하는 어드레스 셀렉트 수단과;
    상기 라이트 신호 발생 수단에서 출력되는 라이트 신호에 따라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지정된 영역에 저장하고, 인가되는 필드 신호에 따라 지정된 영역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인 정지 영상을 출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분리 장치.
  6.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빛신호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소자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시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A/D 변환 장치와;
    인가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동영상으로 출력하고, 인가되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처리하여 해당하는 휘도 신호 및 복합 영상 신호로 출력하는 영상 처리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동영상을 정지 영상으로 저장하는 영상 프리즈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과;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해당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수단과;
    인가되는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한 화면상에 출력되도록, 인가되는 화면 분리 신호에 따라 정지 영상과 동영상을 믹스하여 상기 영상 처리 수단으로 출력하는 믹스 수단과;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에 저장된 임의 영역의 정지 영상이 믹스 수단으로 출력되도록 하고,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는 로직 수단과;
    상기 영상 처리 수단에서 출력되는 휘도 신호와, 복합 영상 신호를 믹스시켜 원래 영상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실물 화상 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로직 수단은, 화면 분리 기능이 선택된 경우에 먼저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한 다음,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에 따라 유효 화소의 절반이 되는 시점에서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한 믹서 수단은 상기 로직 수단으로부터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의 정지 영상을 출력하다가,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화면 분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영상 처리 수단의 동영상을 출력하여, 한 화면상에 정지 영상과 동영상이 동시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정지 영상이 출력되는 영역을 가변시키기 위한 시프트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수단은 시프트 수단의 작동에 따라 정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초기 위치를 가변시켜 그에 해당하는 시프트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영상 프리즈 수단은 상기 시프트 신호에 따라 해당 위치에 저장된 정지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 화상 기기.
KR1019970041417A 1997-08-27 1997-08-27 화면 분리 장치 KR10024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17A KR100240172B1 (ko) 1997-08-27 1997-08-27 화면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417A KR100240172B1 (ko) 1997-08-27 1997-08-27 화면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67A KR19990018267A (ko) 1999-03-15
KR100240172B1 true KR100240172B1 (ko) 2000-01-15

Family

ID=1951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417A KR100240172B1 (ko) 1997-08-27 1997-08-27 화면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017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67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1451B1 (en)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both a still image process and a dynamic image process
US5673086A (en) Image aspect ratio conversion processing apparatus
US8564685B2 (en) Video signal captur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and control apparatus, and video signal capturing, video signal processing, and transferring system and method
KR20020036844A (ko) 개선된 동적범위 비디오카메라와 레코딩 시스템 및 레코딩방법
US20010024234A1 (en) Digital camera
US5663759A (en) Feature processor for a digital camera
KR100240172B1 (ko) 화면 분리 장치
JP3536348B2 (ja)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US5822013A (en) Selective projection image freeze device
US6727947B1 (en) Digital camera
KR20020037640A (ko) 복수의 영상을 처리하는 카메라
JPS61258578A (ja) テレビジヨン受信機
KR100240168B1 (ko) 촬상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화상 표시 시스템
KR100205412B1 (ko) 다중신호 기록재생장치
JP2000206945A (ja) 表示装置への高精細静止画出力の方法および装置とそれを用いる撮像装置
EP0989746A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high-speed imaging function with electronic zoom circuit
KR100240165B1 (ko) 촬상 장치
JP3698799B2 (ja) 撮像装置
KR19980073567A (ko)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KR100252625B1 (ko) 촬상 장치
KR940006015B1 (ko) 화면편집장치
KR19990038411A (ko) 다중 화상 시분할 처리 디지탈 카메라
JPH06217185A (ja) 画面フリーズ装置
JP2001238116A (ja) マルチスキャンテレビカメラ
JPH09322152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遊技機器用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