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499B1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8499B1 KR0158499B1 KR1019950036331A KR19950036331A KR0158499B1 KR 0158499 B1 KR0158499 B1 KR 0158499B1 KR 1019950036331 A KR1019950036331 A KR 1019950036331A KR 19950036331 A KR19950036331 A KR 19950036331A KR 0158499 B1 KR0158499 B1 KR 01584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level
- current
- predetermined
- diod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4—Sources of curr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밥솥의 전력제어시스템의 구조를 최적화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그 시스템을 낮은 원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교류입력전류를 변류기(CT1)로 검출하여 입력전류 및 공진전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부하의 유무를 전압레벨로 판별하여 부하가 없을 시 마이크로컨트롤러(300)로 시스템을 부동작시키고 부하가 있을 시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며, 시스템의 기동 시 발진신호의 주파수를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소프트스타팅이 이루어지게 하며, 또 공진전류를 변류기(CT2)에 의해 검출하여 인버터 회로 내부에 이상현상이 발생되었을 때 공진전류가 정상상태의 공진전류 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전력제어시스템.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공진형 컨버터 회로 200 : 발진구동회로
300 : 마이크로컨트롤러 400 : 입력전류검출회로
500 : 공진전류제한회로 600 : 스타팅 회로
610 : 소프트스타팅 회로
본 발명은 공진에 의해 인덕터(inductor)에서 유도되는 고주파자계를 이용하여 밥을 짓는 유도가열밥솥의 전력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1도에는 종래의 유도가열조리기의 전력제어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종래의 전력제어시스템은 교류전력을 공급하는 교류전력원(AC power source)(1)과, 교류전력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시스템에 공급하는 직류전력원(DC power source)(30), 유도가열수단인 인버터 회로(9), 인버터전압위상검출회로(20), 커패시터전압위상검출회로(22), 위상비교회로(23), 저역통과필터(25), 위상차설정회로(27), 전압제어발진회로(29), 구동회로(31), 재질검출회로(33), 비교회로(35,37,39)로 구성된다.
인버터 회로(9)는 상호간 직렬로 연결되는 공진용 인덕터(19) 및 커패시터(21)와, 이들의 공진을 위한 스위칭회로(11,13,15,17)로 구성된다. 인덕터(19)와 커패시터(21)의 공진을 위한 스위칭회로는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11,13)와 고속회복 다이오드(fast recovery diode)(15,17)로 구성된다.
인버터전압위상검출회로(20)는 인버터 회로(9) 내의 인덕터(19)로 인가되는 전압(VIN)의 위상을 검출하고, 커패시터전압위상검출회로(22)는 커패시터전압(VC1)의 위상을 검출하며, 위상비교회로(23)는 인덕터전압(VIN)의 위상과 커패시터전압(VC1)의 위상을 비교한다. 또, 구동회로(31)는 인버터 회로(9)를 구동시키고, 재질검출회로(33)는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용기의 재질(철, 자성 스테인레스 스틸, 비자성 스테인레스 스틸, 등)에 따라 인덕터(19)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Iin)를 검출하여 그것을 전압으로 변환하며, 비교회로(35,37,39)는 용기의 종류와 무부하상태에 따라 변화되는 공진 전류의 양에 상응하는 전압과 그 종류에 따라 설정된 기준전압들을 비교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인버터 회로(9)의 변류기(CT1)에 의해 측정된 공진전류(Iin)가 재료검출회로(33)에 의해 전압레벨로 변환되고, 그 전압레벨이 비교회로(35,37,39)의 각 기준전압들과 비교됨으로써 부하의 유무상태가 판단되고, 공진전류가 제어된다. 이 기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미국특허 5,248,86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 따르면, 부하의 유무와 부하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해 공진전류를 이용함으로써, 부하의 다양한 종류(예컨대, 스테인레스 용기, 알루미늄 용기, 동 용기 등) 및 부하유무의 판단에 따른 충분한 제어를 위해서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비교기들(35,37,39)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비교기만을 사용하여 용기의 종류와 부하의 유무에 따른 제어가 가능한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도가열밥솥의 전력제어시스템의 구조를 최적화시키고 신뢰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그 시스템을 낮은 원가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요약하면, 본 발명의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교류전력원과; 이 교류전력원으로부터 직류전력을 얻는 직류전력원과; 입력전압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발진수단과; 제어수단과; 이 제어수단이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상기 발진수단으로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정상동작주파수 보다 더 높은 주파수(고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수단으로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정상동작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스타팅 수단과; 상기 교류전력원으로 부터 상기 직류전력원으로 흐르는 입력전류의 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입력전류검출수단 및; 공진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스타팅 수단이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고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공진전류제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으로 되면 상기 스타팅 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타팅 수단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신호전압을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고주파수의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하로 되고 그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타팅 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타팅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전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지 못하게 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은 상기 입력전류를 변류하는 변류수단과, 상기 변류수단에 의해 변류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수단 및, 상기 전류-전압변환수단의 출력전압을 분할하기 위한 전압분할수단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변류수단은 상기 교류전력원으로부터의 상기 입력전류를 변류하는 변류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류-전압변환수단은 상기 변류기의 양의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와, 상기 변류기에 의한 입력전류의 변류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다이오드의 애노우드 단자로 제공하는 저항과,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는 커패시터 및, 상기 다이오드의 캐소우드 단자와 상기 커패시터의 양의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른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 수단은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압원과,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2전압원과,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1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는 경로를 절환하는 제1스위칭수단 및, 상기 제1스위칭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제공되게 하고, 상기 제1스위칭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제공되게 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본 발명의 요지에 해당되지 않는 공지의 부분으로서 제1도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이후, 이들에 대해서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제어시스템은, 교류전력원(제1도에서, 1참조)에서 직류전력을 유도하는 직류전력원(제1도에서, 3참조)과 유도가열을 위한 인버터 회로(제1도에서, 9참조)로 이루어지는 공진형 컨버터 회로(100)와, 발진회로(제1도에서, 29참조)와 이로부터의 발진신호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인버터 회로 내의 IGBT(제1도에서, 11 및 13참조)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제1도에서, 31참조)로 이루어지는 발진구동회로(200)와,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0)와, 입력전류검출회로(400)와, 공진전류제한회로(500) 및, 스타팅 회로(starting circuit)(60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입력전류검출회로(400)는 교류전력원으로부터 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입력전류를 변류하는 변류기(CT1)와, 이 변류기의 양의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D1), 상기 변류기(이하, '제1변류기'라 칭함)(CT1)에 의한 입력전류의 변류된 전류를 전압(V0)으로 변환하여 상기 다이오드(이하, '제1다이오드'라 칭함)(D1)의 애노우드 단자로 제공하는 저항(R1), 제1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고 제1다이오드의 출력전압(V1)을 분할하기 위한 2개의 분압용저항들(R2,R3), 이 분압용저항들과 병렬로 제1다이오드(D1)에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1) 및, 제1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와 상기 커패시터(이하, '제1커패시터'라 칭함)(C1)의 양의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이오드(이하, '제2다이오드'라 칭함)(D2)로 구성된다. 상기 공진전류제한회로(500)는 상기 인덕터(제1도에서, 19참조)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를 변류하는 변류기(CT2)와, 이 변류기(이하, '제2변류기'라 칭함)의 양의 단자에 자신의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이하, '제3다이오드'라 칭함)(D3), 제2변류기(CT2)에 의한 공진전류의 변류된 전류를 전압(V7)으로 변환하여 제3다이오드(D3)의 애노우드 단자로 제공하는 저항(R10)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타팅 회로(600)는 제2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 단자에 상호간 병렬로 각각 연결되는 저항(R4)과 커패시터(C2), 제2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5), 이 저항(R5)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공급하는 기준전압공급수단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npn형 트랜지스터(TR1), 직류전압원(Vcc)(여기서, Vcc는 Vref보다 상대적으로 훨씬 높은 전압임)과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이하, '제1트랜지스터'라 칭함)(TR1)의 컬렉터 사이에 순차로 직렬연결되는 두개의 저항(R6,R7), 저항 R6과 저항 R7 사이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직류전압원(Vcc)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pnp형 트랜지스터(TR2), 이 트랜지스터(이하. '제2트랜지스터'라 칭함)(TR2)의 컬렉터단자와 접지 사이에 순차로 직렬연결되는 저항(R8) 및 커패시터(C3), 이 저항(R8)과 커패시터(C3)사이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1), 이 제너다이오드(ZD1)의 캐소우드 단자와 발진구동회로(200)의 입력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9), 이 저항(R9)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커패시터(C4), 상기 제2및 제3다이오드(D2,D3)의 캐소우드 단자에 자신의 캐소우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다이오드(D4), 이 다이오드(이하, '제4다이오드'라 칭함)(D4)의 애노우드 단자에 컬렉터단자가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npn형 트랜지스터(TR3), 이 트랜지스터(이하, '제3트랜지스터'라 칭함)(TR3)의 컬랙터단자와 상기 직류전압원(Vcc)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11), 제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저항(R12) 및, 이 저항(R12)의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발진구동회로(200)의 입력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다이오드(이하, '제5다이오드'라 칭함)(D5)로 구성된다. 한편, 마이크로컨트롤러(300)의 입력단자(301)는 입력전류검출회로(400) 내의 저항 R2와 R3 사이에 연결되고, 그것의 출력단자(302)는 스타팅 회로(600) 내의 저항 R12과 제5다이오드(D5) 사이에 연결된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후의 설명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동작의 요점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시스템의 기동 이전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0)가 로우레벨(제1레벨)의 출력전압(V6)을 갖는 데, 이때에는, 스위칭 수단인 제3트랜지스터(TR3)가 부도통(turn-off)되고, 제1트랜지스터(TR1)는 도통(turn-on)된다. 제1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 스위칭 기능을 갖는 제2트랜지스터(TR2) 역시 도통되며, 이때의 전압 V4는 Vref + Vz(제너전압)의 레벨(제2레벨)로 유지된다. 이때, 다이오드(D5)가 도통되어 있으므로 발진구동회로(200) 내의 전압제어발진기의 입력전압(V5)이 제1레벨로 되어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는 반대로, 마이크로컨트롤러(300)가 제3트랜지스터(TR3)를 도통시킬 수 있는 전압레벨 즉, 하이레벨(제3레벨)의 출력전압 V6을 가지면, 제3트랜지스터(TR3)가 도통되고, 제1트랜지스터(TR1)는 부도통된다. 제1트랜지스터(TR1)가 부도통되면 제2트랜지스터(TR2) 역시 부도통되는 데, 이때에는 제너다이오드(ZD1)가 도통되므로 전압 V4는 Vref 레벨(제4레벨)로 유지된다. 발진구동회로(200) 내의 전압제어발진기의 입력전압(V5)이 Vref 레벨로 되면 상기 전압 제어발진기는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주파수(이하, '정상동작주파수'라 칭함)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고, 전압 V5가 Vref + Vz의 레벨(제2레벨)로 되면 상기 전압제어발진기는 상기 정상동작주파수 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주파수(이하, '고주파수'라 칭함)의 발진신호를 생성한다.
스타팅 회로(600)는 소정의 전원전압(Vcc)을 공급하는 제1전압원과, 소정의 기준전압(Vref)을 공급하는 제2전압원과, 마이크로컨트롤러(300)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1전압원으로부터의 전원전압(Vcc)이 전달되는 경로를 절환하는 제1스위칭회로 및, 이 제1스위칭회로로부터의 상기 전원전압(Vcc)이 전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전압원으로부터의 기준전압(Vref)을 발진구동회로(200)로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 회로부터의 상기 전원전압(Vcc)이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Vref + Vz 레벨(제2레벨)의 전압이 상기 발진구동회로(200)으로 제공되게 하는 제2스위칭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스위칭 회로는, 제2도에서, 저항 R11 및 R12와 제3트랜지스터(TR3), 제4다이오드(D4)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위칭회로는 저항 R4 내지 R8, 제1 및 제2트랜지스터(TR1,TR2), 제너다이오드(ZD1), 제5다이오드(D5)로 구성된다.
이제부터는 제2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겠다.
먼저, 제어 수단인 마이크로컨트롤러(300)가 하이레벨(제3레벨)의 신호(V6)를 출력하고 전압 V4가 Vref + Vz인 상태에서, 부하가 존재하면(밥솥용기가 정위치에 놓여지게 되면), 공진형컨버터(100)의 교류전력원으로부터 본 전력제어시스템으로 교류전류(이하, '입력전류'라 칭함)가 공급된다. 이때, 제1변류기(CT1)는 상기 교류전력원으로부터의 입력전류를 변류한다. 제1변류기(CT1)로부터의 전류는 저항(R1)에 의해 전압 V0으로 변환되고, 제1다이오드(D1)는 순방향 바이어스(forward-bias)됨으로써 출력전압 V1을 갖는다. 제1다이오드(D1)의 출력전압 V1은 저항 R2와 R1에 의해 분할되는 데, 저항 R2와 R3 사이의 전압 V2는 전압 V1에서 저항 R2에 의한 소정의 강하전압을 뺀 전압이 된다. 이 전압 V2는 마이크로컨트롤러(300)의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상기 전압 V2가 미리 설정된 전압 이하로 되고 그때부터 소정의 시간(약, 2 내지 3초)이 경과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300)는 부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즉, 무부하상태로) 인식하여 전압 V6를 로우레벨(제1레벨)로 만들어 본 시스템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부하상태에서는, 입력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제1변류기(CT1)에 의해 변환된 전압 V2는 낮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압 V2가 소정의 전압 이하로 되고 그리고 그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마이크로컨트롤러(300)는 무부하상태로 판단하여 전압 V6를 로우레레벨로 만든다. 이로써, 제5다이오드(D5)는 순방향 바이어스가 되어 전압 V5는 로우레벨(제1레벨)이 되므로 발진구동회로(200)의 동작이 정지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의 동작은 중지된다. 또, 이런 무부하 상태에서는, 제3트랜지스터(TR3)가 부도통되고, 제4다이오드(D4)는 순바이어스 되어서 도통된다. 그 결과, 스타팅 회로(600)의 입력전압 V3는 Vcc 레벨(제5레벨)로 된다. 이 Vcc는 기준전압(Vref)과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위차(VBE)의 합 보다 높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TR1)는 도통된다. 이 제1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 제2트랜지스터(TR2) 또한 도통된다. 그 결과, 전압 V4는 Vref + Vz 레벨(제2레벨)로 유지된다.
반면, 상기 전압 V2가 소정의 전압 이상이면, 마이크로컨트롤러(300)는 전압 V6를 하이레벨(제3레벨)의 전압으로 만듬으로써 제3트랜지스터(TR3)를 도통시킨다. 이로써, 제2다이오드(D2)는 순방향 바이어스되고, 제4다이오드(D4)는 역방향 바이어스된다. 이때, 스타팅 회로(600)의 입력전압 V3는 기준전압(Vref)과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위차(VBE)의 합(제6레벨) 보다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TR1)는 부도통된다. 이 제1트랜지스터(TR1)가 부도통되면, 제2트랜지스터(TR2) 또한 부도통된다. 그 결과, 제너다이오드(ZD1)가 도통되어, Vref +Vz 레벨(제2레벨)로 유지되던 전압 V4가 저항 R8과 커패시터 C3의 시정수(R8×C3)에 따라서 천천히 감소하여 Vref 레벨(제4레벨)로 된다. 전압 V4가 Vref 레벨로 되면, 제1 및 제2트랜지스터(TR1,TR2)는 활성영역(active region)에서 동작하게 되는 데, 이때에는,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전압이 Vref 레벨을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압 V4가 Vref + Vz 레벨(제2레벨)에서 Vref 레벨(제4레벨)로 저하되는 동안 펄스 전압 V5 보다 저항 R9과 커패시터 C4의 시정수(R9×C4)에 따라 그 발진주파수가 감소함으로써 시스템의 소프트스타팅이 이루어지게 되며, 시스템은 Vref 레벨의 전압 V4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한편,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되던 도중(이때, 제3다이오드 D3는 역방향 바이어스 상태임), 어떤 현상으로 인해 공진형컨버터(100)의 인덕터를 통하여 흐르는 공진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많이 흐르게 되면, 전압 V7의 레벨이 상승하게 된다. 이로써, 제3다이오드(D3)는 순방향 바이어스되어 도통된다. 이때, 전압 V7에 의해 전압 V3가 증가하게 되는 데, 전압 V3가 기준전압(Vref)과 제1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위차(VBE)의 합(제6레벨)보다 높아지게 되면(바꾸어 말해, 소정의 기준량 이상의 공진전류가 흐르게 되면), 제1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된다. 이와같이, 제1트랜지스터(TR1)가 도통되면, 제2트랜지스터(TR2) 또한 도통된다. 이로써, 전압 V4는 Vref + Vz 레벨(제2레벨)로 된다. 그 결과, 발진구동회로(200)가 고주파의 신호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공진형컨버터(100)의 인덕터로 흐르는 공진전류가 감소된다.
Claims (9)
- 교류전력원과, 이 교류전력원으로부터 직류전력을 얻는 직류젼력원과, 입력전압신호의 레벨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갖는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발진수단을 포함하는 유도가열조리기용 전력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어수단(300)과; 상기 제어수단이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수단으로 그것의 입력으로서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정상동작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고,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수단으로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정상동작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스타팅 수단(600)과; 상기 교류전력원으로부터 상기 직류전력원으로 흐르는 입력전류의 양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제공하는 입력전류검출수단(400) 및; 공진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상기 스타팅 수단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신호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고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공진전류제한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으로 되면 상기 스타팅 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스타팅 수단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신호전압을 제공하도록 하여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정상동작주파수를 갖는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입력전류의 양이 소정의 양 이하로 되고 그때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스타팅 수단(600)으로 상기 소정의 제3레벨의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스타팅 수단은 상기 제어수단(300)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가 제공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1레벨의 신호전압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상기 발진수단이 상기 발진신호를 발생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류검출수단은 상기 입력전류를 변류하는 제1변류수단(CT1)과, 상기 제1변류수단에 의해 변류된 전류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류-전압변환수단 및, 상기 전류-전압변환수단의 출력전압을 분할하기 위한 전압분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전압변환수단은 상기 제1변류수단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1)와, 상기 변류수단에 의해 변류된 전류를 전압(V0)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애노우드 단자로 제공하는 저항(R1)과,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는 제1커패시터(C1) 및, 상기 제1다이오드(D1)의 캐소우드 단자와 상기 제1커패시터(C1)의 양의 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 수단(600)은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1전압원(Vcc)과,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을 공급하는 제2전압원(Vref)과, 상기 제어수단(300)에 의해 온/오프되어 상기 제1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는 경로를 절환하는 제1스위칭수단 및, 상기 제1스위칭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제공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칭수단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제5레벨의 전압이 전달되지 않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제공되게 하는 제2스위칭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 수단(600)은,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상기 발진수단으로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을 출력으로서 제공하는 도중에 상기 입력으로서 소정의 제6레벨의 전압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제2스위칭 수단으로부터 상기 발진수단으로의 상기 소정의 제2레벨의 전압이 상기 소정의 제4레벨의 전압으로 서서히 감소하도록 하는 소프트스타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칭수단은 상기 제2다이오드(D2)의 캐소우드 단자에 연결되는 저항(R5), 이 저항(R5)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2전압원(Vref)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TR1), 상기 제1전압원(Vcc)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자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두개의 저항들(R6,R7), 상기 저항 R6과 상기 저항 R7 사이에 베이스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전압원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TR2), 이 제2트랜지스터(TR2)의 컬렉터단자와 접지 사이에 순차로 직렬연결되는 저항(R8) 및 커패시터(C3), 이들(R8,C3)사이에 캐소우드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제1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전류제한수단(500)은 상기 공진전류를 변류하는 제2변류수단(CT2)과, 이 제2변류수단의 양의 단자에 자신의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3다이오드(D3), 상기 제2변류수단에 의한 공진전류의 변류된 전류를 전압(V7)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3다이오드(D3)의 애노우드 단자로 제공하는 저항(R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칭수단은 상기 제2 및 제3다이오드(D2,D3)의 캐소우드 단자에 자신의 캐소우드 단자가 각각 연결되는 제4다이오드(D4), 이 제4다이오드(D4)의 애노우드 단자에 컬렉터단자가 연결되고 접지에 에미터단자가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TR3), 이 제3트랜지스터(TR3)의 컬랙터단자와 상기 제1전압원(Vcc)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11),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연결되는 저항(R12) 및, 상기 저항 R12에 캐소우드 단자가 연결되고 상기 발진수단의 상기 입력단자에 애노우드 단자가 연결되는 제5다이오드(D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6331A KR0158499B1 (ko) | 1995-10-20 | 1995-10-20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36331A KR0158499B1 (ko) | 1995-10-20 | 1995-10-20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985A KR970019985A (ko) | 1997-05-28 |
KR0158499B1 true KR0158499B1 (ko) | 1998-12-15 |
Family
ID=19430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6331A KR0158499B1 (ko) | 1995-10-20 | 1995-10-20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849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3832B1 (ko) * | 2012-09-20 | 2014-07-25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유도가열장치 및 유도가열장치의 제어방법 |
-
1995
- 1995-10-20 KR KR1019950036331A patent/KR015849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23832B1 (ko) * | 2012-09-20 | 2014-07-25 |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 유도가열장치 및 유도가열장치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985A (ko) | 1997-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992702A (en) | Inverter capable of controlling operating frequency | |
AU2003205038B2 (en) | Drive for a half-bridge inverter | |
KR100522017B1 (ko) | 스위칭 전원 장치용 오류 제어 회로 | |
US6107750A (en) | Converter/inverter circuit having a single switching element | |
KR0158499B1 (ko) | 유도가열밥솥용 전력제어시스템 | |
JPS63501539A (ja) | 低リ−ク交流近接スイッチ回路 | |
US6728088B2 (en) | Protection circuit against high currents in lighting converters | |
US6894575B2 (en) | High-voltage oscillator having a fast response time | |
KR910007048Y1 (ko) | 주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드라이버회로 | |
KR0158503B1 (ko) | 유도가열조리기용 직렬공진형 컨버터시스템 | |
KR0145876B1 (ko) | 교환시스템의 링신호 발생회로 | |
JP3433343B2 (ja) | 電源制御回路 | |
KR100186481B1 (ko) | 유도 가열 조리기의 출력 제어장치 | |
JPH04337282A (ja) | 誘導加熱用インバータ | |
JP2973575B2 (ja) | 誘導加熱用インバータ | |
US6593708B2 (en) | Electronic circuit for the gradual start-up of electric loads, particularly halogen lamps | |
KR200207397Y1 (ko) | 직류 전원공급장치의 발열량과 부피를 줄이기 위한 자동 위상제어 회로 | |
SU1713042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симистором | |
JP2998277B2 (ja) | 誘導加熱調理器 | |
CA1311797C (en) | Power source using high frequency phase control | |
WO1998011659A1 (en) | Self oscillating proportional drive zero voltage switching power supply | |
RU2179781C1 (ru) |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напряжения | |
JPH09223577A (ja) | 誘導加熱調理器 | |
JPH0787747A (ja) | インバータ装置 | |
JPS6226157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721 Year of fee payment: 1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