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440B1 -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 Google Patents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440B1
KR0158440B1 KR1019960000470A KR19960000470A KR0158440B1 KR 0158440 B1 KR0158440 B1 KR 0158440B1 KR 1019960000470 A KR1019960000470 A KR 1019960000470A KR 19960000470 A KR19960000470 A KR 19960000470A KR 0158440 B1 KR0158440 B1 KR 0158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beam
prestressed
continuous
span
prestresse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432A (ko
Inventor
구민세
Original Assignee
박후근
대능건설주식회사
구민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후근, 대능건설주식회사, 구민세 filed Critical 박후근
Priority to KR101996000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440B1/ko
Publication of KR970059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4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금까지 건설되어온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에서 불가피하게 설치되어온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를 제거하고 연속보화 함으로써 팽창조인트로 인한 구조상 및 기능상의 결함을 극복하고 보를 장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재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길이를 장대화할 경우에 발생되는 운반 및 취급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합성보를 분할제작할 수 있으며, 분할된 세그멘트를 조립하여 완성된 연속보구조에서의 외측경간용 및 내측경간용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지점상에서 연속적으로 일체화시키는 시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연속보구조물에서의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내측지점부의 부모멘트로 인해 상부플랜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에 대응되는 압축응력의 도입(Prestressing) 방법이 강구되어져야 한다. 선 발명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점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작과정에서의 고정단 처리문제 등 까다로운 공정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최종적인 목표는 제작과정에서 고정단 설치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단경간으로 분리 제작된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간의 연결부를 지점부의 상승 및 하강의 까다로운 공정없이 일체화시킴에 있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을 완전히 제거하고, 피로파괴 강도 및 내진성이 높고 처짐에 유리한 시공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 처리함으로써 자중 및 활하중에 의한 경간 내부의 최대 휨모멘트를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자중감소의 효과 및 취급에 유리한 분할제작공법의 도입으로 경간장을 더욱 장대화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단면을 갖는 새로운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경간용 강재보의 형상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경간용보에서 정모멘트 구간에 대한 압축응력의 도입(Prestressing)공정에 관한 원리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경간용보에서 부모멘트 구간에 대한 압축응력의 도입공정에 관한 원리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경간용으로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내측경간용 강제보의 형상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내측경간용보에서 정모멘트구간의 압축응력의 도입공정에 관한 원리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내측경간용보에서 부모멘트구간에 대한 압축응력의 도입(Prestressing)공정에 관한 원리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의 내측경간용으로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속합성보 구조에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연결조립 입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측경간용 강재보의 정모멘트구간
2 : 외측경간용 강재보의 부모멘트구간
3 : 강재보의 연결부
4 :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 압축응력이 도입된 외측경간용 정모멘트 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
5 :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외측경간용 부모멘트 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
6 : 4 의 경우에 추가하여 복부 및 상판 일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
7 : 부모멘트구간의 압축응력 도입을 위한 보조 강재보
8 : 강재보의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외측경간용 부모멘트 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9 : 내측경간용 강재보의 정모멘트구간
10 : 내측경간용 강재보의 부모멘트구간
11 :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내측 경간용 정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
12 :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내측경간용 부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
13 : 11 의 경우에 추가하여 복부 및 상판 일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14 : 외측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내측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결하는 횡 강재보
본 발명은 지금까지 건설되어온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에서 불가피하게 설치되어온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를 제거하고 연속보화함으로써 팽창조인트로 인한 구조상 및 기능상의 결함을 극복하고 보를 장대화할 수 있으며, 아울러 재료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지점의 상승 및 하강의 공정이 생략되고 고정단의 제작상의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방식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길이를 장대화할 경우에 발생되는 운반 및 취급상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하여 합성보를 분할제작할 수 있으며 분할된 세그멘트를 조립하여 완성된 연속보구조에서의 외측경간용 및 내측경간용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지점상에서 연속적으로 일체화시키기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공법은 강재와 콘크리트의 재료특성 및 압축응력의 도입효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재료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는 경제적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을 제공하게 된다. 지금까지 시공되어온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는 캠버(Camber)가 주어진 I-형강에 하중을 가하여 응력을 부여한 상태에서 I-형강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후, 하중을 제거한 합성보를 제조하여 현장에서 설치한 후, 상판 및 복부의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순보형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Prestressed Composite Beam)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시공의 신속성, 형고의 감소, 재료의 절감 및 피로파괴 강도의 향상 등의 측면에서 큰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보형이므로 단경간으로 처리가 불가능한 긴 구조물의 경우에는 단순보형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해야 하는데, 이 경우 연결부는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로 처리하게 된다. 교량의 경우 이러한 팽창조인트는 그 가격이 비싸고 주행감을 저하시킴은 물론,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 또한, 차량의 통행시 팽창포인트부에서의 충격과 이에 따른 누수로 인해 교량의 열화가 촉진된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 제작된 구조물에서는 연결부를 일체화할 경우,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내측지점부에서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대한 해결점을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전술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팽창조인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일체적인 연속보 구조물에서는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같이 보와 보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로 처리한 경우와는 달리,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로 인해 내측지점부의 상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장응력에 대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도입(Prestressing) 방법은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에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았다. 또한 선 발명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지점의 상승 및 하강 그리고, 제작과정에서의 고정단 처리문제 등 까다로운 공정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과정에서 고정단으로 처리하지 않고 단경간으로 분리 제작하여, 향후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간의 연결부를 지점부의 상승 및 하강의 공정없이 일체화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을 완전히 제거하고, 피로파괴 강도 및 내진성이 높고 처짐에 유리한 시공법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처리함으로써 자중 및 활하중에 의한 경간 내부의 최대휨모멘트를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자중감소의 효과, 그리고 취급상에 유리한 분할제작공법의 도입으로 경간장을 더욱 장대화하여 경제적이고 안전한 단면을 갖는 새로운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지점상승의 공정이 생략되고 제작과정에서 고정단 설치가 필요없는 새로운 연속보 구조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을 도면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에서 외측경간용 강재보로서 연속보구조물로 완성되었을시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된 형태로서 최대처짐이 발생되는 약ℓ의 위치에 정점을 갖고 있는 강재보로서 사하중에 의한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이 되는 곳에 결합 및 해체가 가능한 연결부(3)를 갖고 있다. 여기서 왼쪽 부재(1)는 정모멘트구간이고 오른쪽부재(2)는 부모멘트구간이다. 정모멘트구간에서는 연속보구조물이 완성된 후, 보의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되고,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보의 상부에 인장응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핵심은 인장응력이 발생되는 구간의 콘크리트재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Prestressing)시켜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킴으로써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력에 의한 저항능력을 월등히 높이는 것이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나타낸 정모멘트구간(1)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한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Prestressing)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 제2a도는 연속보 구조물의 외측보에서 외력에 의한 휨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된 정모멘트 구간(1)(전체보 길이 l의 약)의 강재보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강재보의 휨곡선 형태는 제작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실제 상황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다.
제2b도는 정모멘트구간보의 양단으로부터 약 0.125ℓ의 위치에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 있는 두 개의 하중 P를 재하시킨 상태에서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모습을 보이는 제작원리도이다. 제2b도의 제작과정은 원리에 관한 것이고 실제제작에서는 두개의 강재보를 상하 대칭으로 설치하고 중 P점의 위치에 지점을 설치한 상태에서 보의 양 끝단에서 하중을 가함으로써 1회에 2개의 정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세그멘트를 제작할 수 있다. 제2c도는 강재의 하부플랜지에 타설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중 P를 제거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Prestressing)된다. 2c도는 보의 복부 및 상판은 연속보구조물로 설치후 현장타설콘크리트에 의해 완성하는 경우의 것을 보이고 있다. 이렇게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는 제 4a도의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정모멘트구간의 구성요소가 된다. 제 2d도는 제2c도와 조금 다른 기능의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서 현장에서의 콘크리트타설에 의한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하여 연속보 구조물로의 설치 이전에 제2c도의 상태에서 보의 복부와 상판의 일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타설의 번거로움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으나 중량이 커짐에 따라 따른 취급상의 어려움이 단점으로 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는 제4b도의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정모멘트구간의 구성요소가 된다.
제3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에서 외측경간용보의 부모멘트구간(2)에 대한 압축응력의 도입(Prestressing)에 관한 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제3a도는 외측보에서 연속보구조물이 완성된 후외 력에 의한 휨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된 형상을 갖는 부모멘트구간의 부재(2) 2개를 제3도에 나타난 부재(7)에 연결하여 연결부(3)에는 지점을 설치하고 부모멘트 구간의 부재 양단에는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할 수 있는 P를 재하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강재보의 휨곡선형태는 제작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실제상황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고, 제3도의 부재(7)은 압축응력의 도입 작업을 위해 일시적으로 필요한 것으로서 연속보구조물에는 필요한 부재가 아니다. 실제 제작에서는 제3a도에 나타낸 2개의 보를 상하 대칭으로 설치함으로써 1회에 4개의 부모멘트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를 제작할 수 있다. 제3a도와 같은 하중재하상태에서는 강재보의 상단에 인장응력이 발생되는데 가장 큰 인장력은 지점부에 발생하게 된다. 제3b도는 하중 P가 재하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c도는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중 P를 제거하여 부모멘트 구간(2)의 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연속보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Prestressing)된다. 제3b도의 과정에서 적은 하중 P로, 그리고 부재(2)의 좌우양단에까지 압축응력의 도입이 필요할시 또 다른 제3의 부재를 부재(2)의 양단에 연결하여 연결부재 끝부근에 하중을 재하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제3c도와 같이 제작된 부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는 비교적 보의 길이가 짧음에 따라 운반 및 취급상에 큰 문제가 없으므로 제3d도와 같이 보의 복부와 상부플랜지에 미리 콘크리트 타설을 한다. 따라서 연속보구조물로 설치 후의 현장 콘크리트 타설의 번거로운 작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부모멘트 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는 제2c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와 결합되어 제4a도와 같이 연속보 구조물의 연속화 과정에서 정모멘트 구간의 보의 복부와 상판 전체를 현장타설콘크리트로 그리고 부모멘트 구간은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완성되는 경우의 완전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형성된다.
또한 제3d도는 제2d도와 결합되어 제4d도와 같이 프리스트레스트의 연속화 과정에서 정모멘트구간의 상판을 부분적으로 현장타설콘크리트로 또는 프리캐스트로 그리고 부모멘트구간은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완성되는 경우의 완전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형성된다. 제4도는 제2도와 제3도에서 나타낸 제작과정을 통해 제작된 정모멘트구간과 부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가 결합하여 완전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4a도는 정모멘트구간의 상판콘크리트는 완전히 현장타설에, 그리고 부모멘트 구간의 상판콘크리트는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완성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나타내고 있다. 제4b도는 정모멘트구간의 상판콘크리트를 부분적인 현장타설콘크리트 또는 공장생산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그리고 부모멘트구간의 상판은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완성하는 경우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나타내고 있다.
제5도는 연속보구조물의 내측경간용 강재보로서 구조물이 왼성되었을시 외력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된, 강재보의 중앙에 정점을 갖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인 위치에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연결부(3)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강재보의 휨곡선형태는 제작과정의 실제상황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고, 좌·우측단으로부터 내측경간보 길이 ℓ의 약 0.2ℓ은 연속보구조물로 형성되었을시 자중에 의한 부모멘트 발생구간(10)이고 중앙부의 0.6l은 정모멘트 발생구간(9)이다.
제6도는 제5도에 나타낸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내측경간보 세그멘트(9)의 제작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6a도는 내측경간용 강재의 정모멘트구간의 세그멘트보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6b도는 연속보구조물이 왼성되었을시 정모멘트구간 보의 하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보의 하부플랜지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의 도입(Prestressing) 과정에 관한 원리도이다. 이 과정에서 보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로 약 0.21l 거리에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시킬 수 있는 2개의 하중 P를 재하시킨 상태에서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실제제작은 제2b도의 제작과정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회에 2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세그멘트의 제작이 가능하다. 제6c도는 제6b도의 과정에서 콘크리트가 양생된 후 하중 P를 제거시킴으로 강재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는 제8a도와 같은 정모멘트구간이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성요소가 된다. 제6d도는 연속보구조물로 설치 후 콘크리트타설의 번거로움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6c도에서 나타낸 내측경간용 정모멘트구간 세그멘트보의 복부와 상판일부를 콘크리트로 타설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6d도에서 나타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세그멘트는 제8b도와 같은 완성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정모멘트구간의 구성요소가 된다. 제7도는 제3도에서 나타낸 연속보구조물에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부모멘트구간의 압축응력 도입(Prestressing)과정과 거의 동일한 것으로서, 연속보구조물에서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부모멘트 구간(10)의 압축응력 도입과정에 관한 원리도이고, 실제제작에서는 제3a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1회에 4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세그멘트의 제작이 가능하다. 제7a도와 제3a도의 차이점은 강재보의 휨형태와 보의 길이가 제1도와 제5도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약간 다른 점이다. 제7b, c, d도에서 나타낸 제작과정 및 각 부재들의 특성은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휨형태 및 길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는 것을 제외하곤 제3b,c,d도와 동일하다. 제8도는 제6도와 제7도의 제작과정을 통해 제작된 정모멘트구간과 부모멘트구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세그멘트가 결합되어 완전한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형성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8a도의 양단에 위치한 부모멘트구간(12)은 보의 상부에 압축응력이 도입(Prestressing)되어 보 전체가 콘크리트로 타설된 상태이고 정모멘트 구간(11)은 하부플랜지의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로서 제4a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슬래브 및 복부의 콘크리트는 연속보구조물로 설치후 현장타설에 의해 완성되는 경우이다 . (제8a도)와 제8b도가 다른점은 정모멘트 구간(11)의 상판의 일부와 복부에 콘크리트 타설이 된 점이고, 따라서 제4a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속보 구조물의 시공과정에서 상판 및 복부의 콘크리트타설작업이 감소되는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
제9a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에서 정모멘트구간의 상판 및 복부를 현장타설콘크리트에 의해 완성시키는 경우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제(4a도)와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8a도가 횡으로 설치된 강재보(14)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입체도이다. 제7a도에서 나타낸 콘크리트재에는 연속보구조물로 완성되었을시 작용되는 인장응력들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제2도, 제3도, 제6 도, 제7도에서 나타낸 제작과정을 통해 모두 도입되 상태이다. 제9b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구조에서 정모멘트구간의 상판을 부분적으로 현장타설콘크리트에 의해 또는 공장에서 제작된 프리캐스트에 의해 완성하는 경우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4a도와 내측 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8a도가 횡으로 설치된 강재보(14)에 의해 결합된 상태의 입체도이다. 제9b도에서 나타낸 정모멘트 구간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와 부모멘트구간의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제2도, 제3도, 제6도, 제7도에서 나타낸 제작과정을 통해 연속보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Prestressing)된 상태이다.
앞서의 모든 과정에서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는 좌·우의 상판과 일체된 연결이 가능하도록 좌·우로 필요한 철근이 노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도면상에는 노출된 철근은 생략되어져 있다.

Claims (5)

  1.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제4도)와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8도의 제작에 있어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외력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되고, 보의 좌측으로부터 보길이 l의 약ℓ위치에 정점을 갖는 상태의 외측경간 강재보와 보의 중앙에 정점을 갖는 상태의 내측경간용 강재보의 제작에 있어서 연속보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개략적으로 모멘트가 0인 점을 경계로 각각 정모멘트구간(1),(9)과 부모멘트구간(2),(10)으로 분할하여 구조물의 완성후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정모멘트구간은 단순보시스템으로 거치하여 보의 상부에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시킬 수 있는 2개의 집중하중 P를 재하시킨 상태에서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제2도, 제6도, 특히 부모멘트 구간은 부모멘트구간의 2개의 세그멘트부재(2), (10)을 제3의 부재(7) 좌우에 연결시켜 제3의 부재 양단에 지점 설치후 부모멘트구간 부재의 처음과 끝에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시킬 수 있는 하중 P를 가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의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킴을 특성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제3도, 제7도
  2. 제1항에 있어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경간에서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외력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되고, 보의 좌측으부터 보길이 ℓ의 약ℓ위치에 정점을 갖는 상태의 외측경간 강재보를 정모멘트구간(∼0.75l) (1)과 부모멘트구간의 세그멘트(∼0.25l9ℓ) (2)로 분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3. 제1항에 있어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내측경간에서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외력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되고, 보의 중앙에 정점을 갖는 상태의 내측경간용 강재보를 정모멘트구간(보길이의 약 0.6ℓ) (9)과 부모멘트구간의 세그멘트(∼0.2ℓ) (10)로 분리하여 제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제작에 있어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되었을시 외력에 의한 처짐곡선이 개략적으로 거꾸로 된 상태인 외측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 내측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정모멘트구간의 보를 단순보시스템으로 거치후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시킬 수 있는 2개의 집중하중 P를 재하시킨 상태에서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켜 압축응력을 도입(Prestressing)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제2도 및 제6도).
  5. 제1항에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의 어느 한 항의 연속합성보 구조의 외측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및 내측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에 있어 부모멘트구간의 2개의 세그멘트부재(2) 또는 (10)을 제3의 부재 (7) 좌우에 연결시키고 제3의 부재 양단에 지점 설치후 부모멘트구간 부재의 처음과 끝에 필요한 압축응력을 도입시킬 수 있는 하중 P를 가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켜 압축응력을 도입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제3도 및 제7도).
KR1019960000470A 1996-01-12 1996-01-12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KR015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70A KR0158440B1 (ko) 1996-01-12 1996-01-12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470A KR0158440B1 (ko) 1996-01-12 1996-01-12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432A KR970059432A (ko) 1997-08-12
KR0158440B1 true KR0158440B1 (ko) 1999-01-15

Family

ID=1944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470A KR0158440B1 (ko) 1996-01-12 1996-01-12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61B1 (ko) * 2000-07-04 2004-11-18 (주)스틸엔콘크리트 경간 분할점을 연결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196A (ko) * 2002-05-04 2002-06-26 영 제 박 상승 공정이 생략된 다경간 연속 합성형의 시공법
KR20020041798A (ko) * 2002-05-09 2002-06-03 영 제 박 3경간 이상의 연속 합성형 구조물에서 내측지점을 동시에상승 및 하강하는 시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961B1 (ko) * 2000-07-04 2004-11-18 (주)스틸엔콘크리트 경간 분할점을 연결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432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101196874B1 (ko) 프리캐스트 단부 세그먼트를 단부거푸집으로 이용하는 거더 제작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작된 거더
CN110374014B (zh) 大跨连续梁uhpc柱施工方法
KR200407182Y1 (ko) 피씨플레이트
KR20090068526A (ko)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KR101527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0158440B1 (ko)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KR100274141B1 (ko) 분할공법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제조방법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9980071920A (ko) 공장제작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형의 시공법
JP2948909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その連続梁のための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
JPS6145042A (ja) コンクリ−ト打設用型枠
KR0169212B1 (ko) 지점상승의 공정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법
JP4035027B2 (ja) 橋梁桁の構造及び橋梁桁の構築方法
KR100469840B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충복식 아치교 및 시공방법
KR102585728B1 (ko) 거더와 기둥이 일체화된 프리스트레싱력이 작용하는 프리캐스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602152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시공방법과 그 구조
KR101547630B1 (ko) 반일체식 교량용으로 제작된 pf 강합성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KR0158296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KR100514405B1 (ko) 분할형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및 그의 시공방법
CN110331816B (zh) 一种装配式现浇组合梁构造
KR100631031B1 (ko) 피씨플레이트 및 그 피씨플레이트를 이용한 교량의 슬래브시공방법
KR100457961B1 (ko) 경간 분할점을 연결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286613B1 (ko) 웨이트(weight)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보구조물의 시공법
KR960009273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