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273B1 -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273B1
KR960009273B1 KR1019930005489A KR930005489A KR960009273B1 KR 960009273 B1 KR960009273 B1 KR 960009273B1 KR 1019930005489 A KR1019930005489 A KR 1019930005489A KR 930005489 A KR930005489 A KR 930005489A KR 960009273 B1 KR960009273 B1 KR 960009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oment
continuous
prestressed
s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5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세
Original Assignee
구민세
대능산업 주식회사
김일능
대능건설 주식회사
박후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세, 대능산업 주식회사, 김일능, 대능건설 주식회사, 박후근 filed Critical 구민세
Priority to KR1019930005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273B1/ko
Priority to PCT/KR1994/000025 priority patent/WO1994023147A2/en
Priority to AU62646/94A priority patent/AU679502B2/en
Priority to DE69420001T priority patent/DE69420001T2/de
Priority to EP94910059A priority patent/EP0648305B1/en
Priority to CA002134644A priority patent/CA2134644C/en
Priority to US08/343,562 priority patent/US5644890A/en
Priority to JP6521938A priority patent/JP2948909B2/ja
Priority to CN 94105283 priority patent/CN1062933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273B1/ko

Link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제1A도는 연속보 구조에서 휨모멘트와 연속보 구조물의 처짐곡선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 및 제작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2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3경간 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에서 내측경간보의 제작공정도.
제4도는 4경간 연속보의 구조시스템 및 모멘트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간의 부분적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간 전체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7도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정.
본 발명은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팽창조인트의 일체화는 물론 시공의 간편성과 내진성이 양호하고, 경제성 및 장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고 시공되어온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시공의 신속성, 형고(珩高)감소, 재료절감 및 피로파괴 강도의 향상 등의 큰 이점이 있으나 단순보형으로서 단경간으로 처리가 불가능한 긴공간인 경우에는 단순보형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보와 보의 연결부는 일체화하는 대신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로 처리하여 시공한다. 교량의 경우 이 팽창조인트는 가격이 고가이고 주행감을 저하시킴은 물론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
또한, 차량의 통행시 팽창조인트부에서의 충격과 팽창조인트부를 통한 누수에 의해 교량의 열화현상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에서 이러한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은 연결부를 일체화한 경우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내측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부(負)모멘트에 대한 해결점을 찾지 못하였기 때문에 상존하고 있다. 건축구조물의 경우 연결부의 문제점들은 특히 내진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직선형 강재 I-형보로 시공된 단순보 구조물은 사하중 및 활하중이 작용될 때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의해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강재 I-형보를 중앙부분이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후 프리플랙션(preflexion)하중을 재료의 탄성범위내에서 하향(下向)으로 가한 상태에서 압축응력에 유리한 콘크리트를 하부플랜지에 타설 양생시킨후 프리플랙션하중의 제거와 더불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됨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강재 I-형보 하부플랜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의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연속보 구조물의 경우 내측지점부에서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에서 보와 보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로 처리한 경우와는 달리 사하중 및 환하중에 의한 부모멘트에 의해 상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인장응력은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제7도 참조)으로는 감소시킴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간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 없이 일체화시키므로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을 완전·제거하고 피로파괴 강도 및 내진성이 높은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처리하므로써 자중 및 활하중에 의한 경간내부의 최대 휨모멘트를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현저히 감소시키므로써 자중의 감소효과와 더불어 경간장을 더욱 장대화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단면을 갖는 직선 및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예로서 2경간 연속보의 경우 보내부의 최대 휨모멘트는 기존 방법에 의한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등분포하중하에서는 약 50%, 집중하중하에서는 23%가 감소하게 된다. 3경간 연속보의 경우에는 등분포하중하에서 내측보 중앙의 최대 휨모멘트가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보다 무려 5배가 감소되고 집중하중의 경우에는 25%가 감소하게 된다. 3경간 이상의 연속보의 경우에도 그 감소율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2경간 구조물의 경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화하므로서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보다 재료를 대폭 감소 또는 보의 1경간 길이를 20-30% 정도 장대화할 수 있다. 또한 3경간 이상의 경우에는 외측경간은 2경간 구조물과 동일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내측경간장은 외측경간장보다 25% 정도 더 장대화할 수 있다.(제4도 참조) 건축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한 장점과 더불어 특히 형고가 단축되므로 층간 간격을 감소시킴으로 넓은 공간 확보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모멘트 지점부를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서 일체화시킴에 있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에 대한 기술적·시공적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그 전제조건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ⅰ) 연속보상의 하중재하는 등분포하중으로 하고,
ⅱ) 지점부를 기준으로 외측경간 및 내측경간으로 분활하며
ⅲ) 외측경간 및 내측경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공장 및 현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ⅵ) 부모멘트 지점구간에서 양측경간을 일체화시키면서 동시에 부모멘트에 대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현장에서 직접 도입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본 발명은 내측지점의 양측경간에 걸쳐서 발생되는 부모멘트 구간 처리에 있어, 양측경간의 일체화 연결이 용이하고, 동시에 부모멘트에 대응되는 현장에서의 프리스트레스트 도입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지점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연속보 구조물로 완성되었을시 처짐곡선이 거꾸로 된 형태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인 3차 포물선과 경간용 합성보의 길이방향의 형상이 동일한 곡선이 되게 제작하되, 고정단 부근의 직선부분은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도입시키지 아니한 상태로 경간용 연속보를 만든 다음, 연속보 시공에 있어서는, 상기의 경간용 합성보의 직선부분을 연결(리벳팅 혹은 용접 등)하고, 연결된 부위의 지점부에서 이를 부모멘트의 크기에 상응되는 만큼의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이 상태에서 I-형강의 상단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도입시키며, 도입된 이후는 연속된 연속보의 지점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복귀시키는 과정으로 되어 있는 바, 특히, 내측지점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이로부터 얻어지는 휨곡선이 3차 포물선 형상을 그대로 본 발명의 합성보에 적용한 것은, 경간의 직선부분에는 전혀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직선부분이 연결된 양경간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릴 때 부모멘트에 대한 역행되는 휨률을 최소화 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이러한 작업이 적접현장에서 행해지는데 대한 도입작업을 간편하게 하면서 시공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합리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실제로 건설가능한 2경간 및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을 모델로 선택하여 그 제작방법 및 시공순서에 따라 범용 유한요소 소프트웨어 팩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가상실험(computer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그 가상실험 결과로부터의 상세한 수지데이타는 본 설명서에서는 생략하였다. 연속지점중 내측지점부를 고정단으르 처리하고, 그로부터 얻어지는 처짐에 대한 곡선과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B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첫번째 또는 마지막 즉, 외측 경간에 해당되는 경간장(ℓ)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과 제작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제1A도(a)의 처짐곡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에 해당된다. 제1B도의 (가)는 강재 I-형보를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상태와 지점조건들 즉, 제1단은 이동지점, 그리고 제2단은 고정단(固定端)인 구조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의 휨곡선은 연속보 구조시스템 가장 외측보 내부에서의 등분포하중하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3/8ℓ지점에 정점을 갖는 포물선으로서 다음과 같은 3차 포물선식에 의해 결정된다.(제1B도(가) 참조).
여기서, χ: 강재 I-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임의점의 거리
y(χ) : 강재 I-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임의점 χ에서의 상향변위량
ℓ: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강재 I-형보의 길이
σall : 강재의 허용응력으로서 항복응력 σy의 80-90%
E : 강재의 탄성계수로서 21,000KN/cm2
I : 강재 I-형보의 단면 2차 모멘트
ω: 강재 I-형보의 단면계수이다.
위의 포물선식은 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3/8ℓ에 정점을 갖도록 유도된 것으로서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 또는 연속보의 경간수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다.
하중재하위치는 일반적으로 20m 이상의 연속보 구조물에서 활하중보다 휨모멘트에 영향이 더 큰 사하중에 의해 외측보 내부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되는 악 3/8ℓ위치에서 좌우로 각각 약 1/8ℓ이 되도록 하였다.
강재 I-형보의 우측단부는 제2의 보와 연속적으로 연결이 용이하게 수평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보아 보의 연결과 경우에 따라 강성보강을 위하여 우측단으로부터 충분한 여유길이(제2도(가))를 두고 고정단을 설치해야 한다.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단순보형 합성보의 경우 우측단부를 절점지점으로 처리한 것과는 달리 고정단으로 처리한 또 다른 이유는 두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 일체화할 때 연결부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내부지점부의 부(負)모멘트에 대하여 역행되는 휨률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즉, 연결부에서의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하부플랜지에 압측응력을 유발시키기 때문에 부모멘트 발생구간에서는 프리스트레스트에 의하여 하부플랜지에 최소의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되는 것이 유리하다. 프리스트레싱 도입을 위한 프리플랙션하중(P)가 가해질 때 고정단이 완전한 고정단으로서의 역학적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강재 I-형보의 우측단을 제2의 강재 I-형보와 체결 및 해체가 용이한 볼트로 체결, 연장하고 필요에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제2강재 Ⅰ-형보의 좌측단부를 고정시켜야 한다. 이때 고정단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경우 개략적으로 모멘트가 0이 되는 위치에 지점을 설치하여 정모멘트구간에만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제1B도의 (나)는 휘어진 강재 I-형보에 탄성범위내의 프리플랙션(preflexion) 하중(P)를 가한 상태이고 제1B도의 (다)는 프리플랙션하중하에서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중재하위치는 두 하중의 중심이 연속보 구조시스템의 외측보에서 사하중에 의한 최대 휨모멘트가 작용되는 강재 I-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3/8ℓ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하중의 위치는 두 하중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약 1/8ℓ만큼의 간격을 둠이 유리하고 하중재하 방법은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제7도 참조)와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제1B도의 (라)는 하중(P)를 제거함에 따라 강재 I-형보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제1B도(라)에서 알 수 있듯이 2보를 일체화할 경우 사하중에 의해 부(負)모멘트가 발생되는 보외 우측단으로부터 약 1/4ℓ구간까지는 휨곡률이 완만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를 받는 구간에서는 외측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하부플랜지의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그다지 크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2도는 제1B도에서의 순서에 따라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 경간용으로 제작된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2경간 연결 시공하는 순서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가)는 제1B도(라)에서 보인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된 두개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지점상에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두개 보의 연결은 강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볼트체결 및 용접에 의해 시공된다. 여기서, 연결부는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stiffner)판을 시용할 수 있고 부모멘트의 정점을 피하기 위해 좌 또는 우로 편심하여 설치할 수있다.
제2도의 (나)는 두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지점상에 설치 일체화된 연속보화한 상태와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 즉, 중앙지점으로부터 좌우로 약 1/4ℓ거리의 강재 I-형보의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해 중앙지점을 탄성범위내에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다)는 중앙지점의 상승상태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지점부로부터 좌우로 약 1/4ℓ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web)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제2도(라)는 제2도(다)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을 부분적으로 시공하는 방법과는 달리 제2도(나)의 상태에서 제1, 제2경간의 전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의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경우 활하중에 의해 경간 내부 양모멘트 발생구간의 슬라브에 압축응력이 추가되는 결점이 있으나 활하중이 사하중에 의한 영향보다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시공의 신속성 및 연속성 등 매우 유리한 시공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이 공정에서 횡보(diaphram)의 콘크리트 타설도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 지점상승 작업은 유압잭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제2도의 (바)는 두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중앙 또는 좌·우로 편심된 연결부 또는 전구간의 슬라브와 복부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완전히 일체화된 상태에서 지점을 원상 복귀한 그림이다.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지점부의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부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중앙지점 상승에 의해 전 구간의 하부플랜지에 일시적으로 도입된 인장응력은 중앙지점의 원상복귀 및 부분적 복귀와 더불어 소열 및 감소된다. 상승시켰던 중앙지점을 부분적으로 하강시킨 후(제2도(사)) 정모멘트 발생구간의 슬라브 및 복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나 또는 지점 상승 상태에서 전구간의 슬라브 및 복수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한 경우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은 중앙부가 볼록한 곡선형 구조물이 될 수 있다.(제2도(아).
이러한 시공과정을 통해 2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완전일체화 되고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연속보에서 발생되는 정 및 부모멘트에 의해 유발되는 응력을 대폭 감쇄시킬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전체 보의 구간을 통해 도입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하게 된다.
제2도(바)는 연속보 전구간에 상판 및 복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와 자중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만일 이때 상승시켰던 중앙부 지점을 부분적으로만 복귀시키는 경우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은 미관이 수려하고 교량의 경우 교고(橋高)에 유리한 곡선형 합성보교가 된다(제2도(아) 참조).
제4도는 4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시스템과 사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내측경간장은 사하중하에서 내측경간들 중앙부의 모멘트가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경간장을 외측경간장보다 약 25% 증가시킬 수 있다. 3경간 이상의 연속보 구조시스템에서 첫번째 경간과 맨 마지막 경간 즉, 외측경간은 2경간 연속보의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을 위한 제작공정(제1B도 참조)과 동일하나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은 보의 양단부에서 부모멘트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제1B도와 다른 제작공정이 필요하다.
제3도는 3경간 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시스템에서 내측보의 제작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제1A도(b)의 처짐곡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에 해당된다.
제3도(가)는 3경간 이상의 연속보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내측보에 발생되는 정(正)모멘트에 상응되도록 보중앙이 상향으로 휘어져 있는 양단이 고정된 구조시스템을 보이고 있고 휨곡선의 형태는 재3도(나)의 하중을 정반대로 가함으로 얻어질 수 있다. 양단이 고정인 강재 I-형보 휨곡선을 3차 포물선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위의 포물선식은 보의 중앙부에 집중하중을 작용시켜 유도한 것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의 크기와 연속보의 경간수에 따라 약간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의 각 기호는 제1B도(가)에 나타난 강재 I-형보의 휨곡선식에서의 의미와 동일하다.
제3도(나)는 보중앙부에 2개의 집중하중을 탄성한계내에서 가한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 때의 두 하중은 중앙부를 경계로 좌우 약 1개∼의 간격을 유지함이 좋다. 제3도(다)는 2개의 집중하중이 가한 상태에서 강재 하부플렌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3도(라)는 하중을 제거함에 따라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3도(나)의 제작과정에서 양단에 고정단을 설치하는 대신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인 위치에 지점을 설치하여 정모멘트구간만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압축응력을 도입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함성보 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제5도 및 제6도를 이용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AB(제1B도(라) 참조)와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BC(제3도(라) 참조)를 지점 B에서 연결 일체화 시킨후 지점 B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다. 그 다음 과정으로는 두가지의 가능한 방법이 있는데 그 첫번째 가능한 방법(제5도)은 다음과 같다. 부모멘트 발생구간인 지점 B에서 좌우로 각각 약 0.35ℓ과 약 0.4ℓ정도(제5도(나),(다),(라) 참조)의 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제5도(나)) 지점 B를 원상 또는 부분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부모멘트 발생구간인 지점 B 부근의 슬라브에 압축응력이 도입된다. 그 다음으로는 외측경간 IAB의 정모멘트 발생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시킴으로서 좌측 외측경간의 시공이 완료된다.
위와 같은 순서로 C지점, D지점 순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보 구조시스템의 시공이 완료된다.(제5도(라)) 두번째 가능한 방법(제6도)으로는 지점 B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후 첫번째 경간 전체와 지점 B에서 우측으로 약 0.4ℓ(제6도(나)) 정도의 구간에만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후 지점 B를 원상 또는 부분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제1경간 전체와 지점 B 부근의 부모멘트 발생구간에 압축응력이 도입된다. 그 다음으로는 세번째 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CD를 IBC와 연결·일체화시킨 후 지점 C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 후 제2경간 전체와 지점 C에서 우측으로 약 0.4ℓ정도의 구간에만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시킨다(제6도(다)). 마지막 과정은 앞서의 시공 순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점 D를 완성한다. 이 과정에서는 물론 3번째 경간과 4번째 경간의 슬라브, 복부 및 횡보의 콘크리트 타설이 동시에 수행되고 따라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된다(제6도(마)). 위에서 설명한 두번째의 가능한 방법은 활하중이 사하중에 의한 영향보다 비교적 적은 경우에 적용가능하고, 이때 시공의 신속성 및 연속성등이 보장되므로 매우 유리한 시공법이 될 수 있다. 4경간 이상의 연속보 구조물에서도 위의 두가지 시공순서에 따라 시공될 수 있다. 여러 경간을 연속으로 처리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온도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구속력은 첫번째 지점을 제외하고 약 500m까지 연속보의 지점을 롤러(roller) 지점으로 처리하므로 어려움 없이 해결된다.

Claims (4)

  1.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한지점(A)의 모멘트가 0이고, 타지점(B)의 모멘트가 부(負)모멘트가 되는 구간인 외측경간을 강재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 지점(B)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A-B 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 하여, A지점으로부터 3/8ℓ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B단의 좌측부는 B단의 우측부와 일치하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A-D 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시키고, D-B 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2.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한지점(B)의 모멘트가 부모멘트이고, 타지점(C)의 모멘트가 부(負)모멘트가 되는 구간인 내측경간을 강제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 지점(B)와 (C)를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B-C 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 하여, B지점으로부터 중앙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보의 양단부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E-F 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 프리스트레스트를 도입시키고, B-E와 F-C 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3. 연속보의 지점(A)의 모멘트 MA=0, 지점(B)의 모멘트 MB=부모멘트, 지점(C)의 모멘트 MC=부모멘트, 최종지점(N)의 모멘트 MN=0이 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을 외측경간용과 내측경간용으로 분할 단경간으로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를 이용하여 연속시공함에 있어서, 부모멘트 지점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등분포하중이 재하된 상태에서 얻어지는 처짐곡선과 동일한 종방향곡선을 갖는 I-형강으로 제작하고, 정모멘트구간의 I-형보 하단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며 부모멘트 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한 서로 다른 2종류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I-형보 IAB와 IBC…(또는 ICD,IDE)를 지점 B,C,D, 위치에서 순서적으로 일체로 연결시켜 일체화된 IAB+IBC(또는 IBC+ICD,…)를 지점 A,B,C, 상에 수평상으로 배치시킨 후 내측지점을 B,C,D, 의 순서에 따라 내측지점 좌우의 인접지점보다 탄성의 한계내에서 상승시킨후 상승시킨 지점의 좌우 양측에 등분포하중에 의한 부모멘트 발생길이만큼 I-형보의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 슬라브와 I-형보의 복부 및 횡보 콘크리이트를 타설·양생시킨 다음, 상승된 지점을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원상 복귀시킴으로서 부모멘트 발생구간의 슬라브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방법으로 시공순서에 따라 제1,2,3… 경간순으로 시공을 마무리 짓는 것을 특징을 하는 단경간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4. 연속보의 지점(A)의 모멘트 MA=0, 지점(B)의 모멘트 MB=부모멘트, 지점(C)의 모멘트 MC=부모멘트, 최종지점(N)의 모멘트 MN=0이 되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을 외측경간용과 내측경간용으로 분할 단경간으로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서 연속시공함에 있어서, 부모멘트 지점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등분포하중이 재하된 상태에서 얻어지는 처짐곡선과 동일한 종방향 곡선을 갖는 I-형강으로 제작하고, 정모멘트 구간의 I-형보 하단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며 부모멘트 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한 서로 다른 2종류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I-형보 IAB와 IBC…(또는 ICD,IDE)를 지점 B,C,D, 위치에서 순서적으로 일체로 연결시켜 일체화된 IAB+IBC(또는 IBC+ICD,… )를 지점 A,B,C, 상에 수평상으로 배치시킨 후 내측지점을 B,C,D, 의 순서에 따라 내측지점 좌우의 인접지점 보다 탄성의 한계내에서 상승시킨후 상승시킨 지점의 좌우 전체 경간과 우측으로부터 약 0.4ℓ 구간만을 슬라브, 복부 및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 다음 상숭된 지점을 완전 또는 부분적으로 원상 복귀시킴으로서 타설된 슬라브의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키는 방법으로 제1,2,3…, 경간순으로 시공을 마무리 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경간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930005489A 1993-04-01 1993-04-01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960009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89A KR960009273B1 (ko) 1993-04-01 1993-04-01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PCT/KR1994/000025 WO1994023147A2 (en) 1993-04-01 1994-03-23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AU62646/94A AU679502B2 (en) 1993-04-01 1994-03-23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DE69420001T DE69420001T2 (de) 1993-04-01 1994-03-23 Methode zum herstellen einer vorgespannten verbundbalkenstruktur
EP94910059A EP0648305B1 (en) 1993-04-01 1994-03-23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CA002134644A CA2134644C (en) 1993-04-01 1994-03-23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US08/343,562 US5644890A (en) 1993-04-01 1994-03-23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JP6521938A JP2948909B2 (ja) 1993-04-01 1994-03-23 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その連続梁のための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
CN 94105283 CN1062933C (zh) 1993-04-01 1994-04-01 预应力复合梁结构物施工方法及用于该方法的预应力复合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5489A KR960009273B1 (ko) 1993-04-01 1993-04-01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273B1 true KR960009273B1 (ko) 1996-07-16

Family

ID=19353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5489A KR960009273B1 (ko) 1993-04-01 1993-04-01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07B1 (ko) * 2011-06-09 2013-02-01 구호원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대 일체형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107B1 (ko) * 2011-06-09 2013-02-01 구호원 프리캐스트 거더를 이용한 교대 일체형 연속 합성형교 및 그 시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7704B1 (en)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JP2948909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構造物の施工方法及びその連続梁のためのプレストレスト合成梁
US5134741A (en) Bridge structure prefabricated with positive imprint end panels
KR19980071920A (ko) 공장제작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형의 시공법
KR960009273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01214563A (ja) 建築構造建材における重力撓み補正方法
CN106836028B (zh) 用钢桁梁顶升加固的混凝土连续刚构梁桥及施工方法
KR960001727B1 (ko)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연속보교량의 시공방법
KR0158296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KR19980025917A (ko) 다경간 프리스트레스 강합성형 연속부재 및 그 가설방법
KR200343468Y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라멘 교량의 슬래브의 중앙부에설치하고 기둥의 상부에 설치된 강재와 연결하여 설치된합성형 라멘 교량
KR20060032968A (ko) 횡방향 강선을 이용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가설교량의 시공법
KR101926301B1 (ko) 경량형 강합성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작된 경량형 강합성 거더
JP2004137723A (ja) 橋梁桁の構造及び橋梁桁の構築方法
KR20020031603A (ko) 섬유보강콘크리트를 이용한 프리플렉스 빔 교량구조물
KR100416217B1 (ko) 합성구조재
KR20020088472A (ko)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합성형 스틱박스교 시공방법
KR100966541B1 (ko) 콘크리트가 충전된 이중복부판 구조를 갖는 강합성 교량의프리스트레스트 주형간의 연속결합구조
KR0158440B1 (ko)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KR100478561B1 (ko) 강재에 사선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연속 프리스트레스트합성빔 및 그 합성빔의 연속화 시공방법
KR960009274B1 (ko) 연속보 구조의 프리캐스트 상판 조립용 ⅰ형강 및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437258B1 (ko) 활절라멘교의 보수보강방법
KR102450003B1 (ko) 합성거더 조립체
KR960003436B1 (ko)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의 세그멘트제작공법
KR200234512Y1 (ko) 추가 프리스트레싱 도입용 헌치를 구비한 프리플렉스합성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