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296B1 -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296B1
KR0158296B1 KR1019960010533A KR19960010533A KR0158296B1 KR 0158296 B1 KR0158296 B1 KR 0158296B1 KR 1019960010533 A KR1019960010533 A KR 1019960010533A KR 19960010533 A KR19960010533 A KR 19960010533A KR 0158296 B1 KR0158296 B1 KR 0158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moment
beams
continuous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0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0373A (ko
Inventor
구민세
Original Assignee
구민세
박후근
대능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세, 박후근, 대능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민세
Priority to KR1019960010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296B1/ko
Publication of KR97007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에서 불가피하게 설치되는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의 결함을 제거하고 연속보화함으로서 재료를 대폭 감소 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장대화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작공정에 따라 단경간으로 외측경간과 내측경간용으로 분할하여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속보 구조물에서 외측보의 탄성한계내의 사하중에 의한 처짐곡선 반대방향의 휨형태로서 약 3/8ℓ 지점에 정점을 갖는 강재 I-형보를 제작(제1b도 (가))하여 외측지점부는 고정지점으로, 사하중하에서 개략적으로 모멘트가 0인 위치에 이동지점으로 지지하여 탄성한계내의 프리플랙션(preflexion)하중을 가하고 I-형강 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킨후 하중을 제거시킴으로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제작하는 것이다.(제1도 참조)
3경간 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경우 내측보 양단에는 활하중 및 사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된다. 이 부모멘트에 대응하기 위한 연속보에서의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보의 중앙부에 정점을 갖는 포물선형 강재 I-형보를 제작하여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인 위치에 고정지점 및 이동지점으로 지지한 후(제3도a) 강재 I-형보의 탄성한계내에서 프리플래션 하중을 가한 상태에서 강재 I-형보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양생시키므로 제작된다. (제3도c).

Description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제1a도는 연속보구조에서 휨모멘트와 연속보구조물의 처짐곡선도.
제1b도는 본 발명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 및 제작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2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3경간 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에서 내측경간보의 제작공정도.
제4도는 4경간 연속보의 구조시스템 및 모멘트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간의 부분적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경간 전체의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공정도.
제7도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정.
본 발명은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축력의 도입작업이 간편하고, 동시에 이를 이용한 시공에 있어서도 시공의 간편성과 내진성이 양호하며 경제성 및 장대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고 시공되어온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시공의 신속성, 형고(珩高)감소, 재료절감 및 피로파괴 강도의 향상 등의 큰 이점이 있으나 단순보형으로서 단경간으로 처리가 불가능한 긴 공간인 경우에는 단순보형으로 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보와 보의 연결부는 일체화하는 대신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팽창조인트(expansion joint)로 처리하여 시공한다. 교량의 경우 이 팽창조인트는 가격이 고가이고 주행감을 저하시킴은 물론 유지관리비가 소요된다. 또한, 차량의 통행시 팽창조인트부에서의 충격과 팽창조인트부를 통산 누수에 의해 교량의 열화현상을 촉진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교량에서 이러한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은 연결부를 일체화한 경우 자중 및 외력에 의해 내측 지점부에서 발생되는 부모멘트에 대한 해결점을 찾지못하였기 때문에 상존하고 있다. 건축구조물의 경우 연결부의 문제점들은 특히 내진서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직선형 강재 I-형보로 시공된 단순보 구조물은 사하중 및 활하중이 작용될때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의해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강재 I-형보를 중앙부분이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후 프리플랙션(preflexion)하중을 재료의 탄성범위내에서 하향(下向)으로 가한 상태에서 압축응력에 유리한 콘크리트를 하부플랜지에 타설·양생시킨후 프리플랙션하중의 제거와 더불어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됨으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강재 I-형보 하부플랜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의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제작된다. 그러나, 연속보 구조물의 경우 내측지점부에서는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에서 보와 보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로 처리한 경우와는 달리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에 의해 상부플랜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인장응력은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제7도 참조)으로는 감소시킴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간의 연결부를 팽창조인트없이 일체화시킴으로서 기존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에서 발생되는 팽창조인트의 문제점들을 환저 제거하고 피로파괴 강도 및 내진성이 높은시공법이 가능토록 하고자 미리 제작된 3차 포물선 형상의 I-형강에다 압축력의 도입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그 작업이 간편하도록 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경간으로 분리·제작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처리함으로서 자중 및 활하중에 의한 경간내부의 최대 휨모멘트를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현저히 감소시키므로서 자중이 감소효과와 더불어 경간장을 더욱 장대화할 수 있으며 경제적이고 안전한 단면을 갖는 직선 및 곡선형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예로서 2경간 연속보의 경우 보내부의 최대휨모멘트는 기존 방법에 의한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경우보다 등분포하중하에서는 약50%, 집중하중하에서는 23%가 감소하게 된다. 3경간 연속보의 경우에는 등분포하중하에서 내측보 중앙의 최대휨모멘트가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보다 무려 5배가 감소되고 집중하중의 경우에는25%가 감소하게 된다. 3경간 이상의 연속보의 경우에도 그 감소율은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2경간 구조물의 경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화함으로서 기존의 단순보형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보다 재료를 대폭 감소 또는 보의 1경간 길이를 20-30%정도 장대화할 수 있다. 또한 3경간 이상의 경우에는 외측경간은 2경간 구조물고 동일하게 증가시킬수 있고 내측경간장은 외측경간장보다 25%정도 더 장대화할수 있다(제 4 도 참조). 건축구조물의 경우에는 상기한 장점과 더불어 특히 형고가 단축되므로 층간 간격을 감소시킴으로 넓은 공간 확보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부모멘트 지점부를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서 일체화시킴에 있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에 대한 기술적·시공적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그 전제조건을 설정하면 다음과 같다.
i) 연속보상의 하중재하는 등분포하중으로 하고.
ii) 지점부를 기준으로 외측경간 및 내측경간으로 분할하며.
iii)외측경간 및 내측경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공장 및 현장에서 미리 제작하여.
iv)부모멘트 지점구간에서 양측경간을 일체화시키면서 동시에 부모멘트에 대응되는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현장에서 직접 도입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본 발명은 내측지점의 양측경간에 걸쳐서 발생되는 부모멘트 구간 처리에 있어, 양측경간의 일체화 연결이 용이하고 동시에 부모멘트에 대응되는 현장에서의 프리스트레스트 도입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측지점을 고정단으로 처리하고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3차 포물선)과 경간용 I-형강의 길이방향의 형상이 거의 동일한 곡선이 되게 제작한 것에 있어서 이와 같은 곡선형상을 갖는 단경간용 I-형강에다 압축력의 도입이 용이하도록 함이 본 발명의 기술요지인 바, 실제 연속보상의 모멘트도에서 모멘트가 0'인 점과 I-형강에 동일 위치에 맞추어 바로 이 위치에다 지점을 설치하여 정모멘트 부분에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부모멘트 부분은 압축력을 도입시키지 아니한 상태로 합성보를 제작하는 것이며, 이를 연속보로서 시공함에 있어서는 상기의 경간용 합성보의 직선부분을 연결(리벳팅 혹은 용접 등)하고, 연결된 부위의 지점부에서 이를 부모멘트의 크기에 상응되는 만큼의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들어 올리고 이 상태에서 I-형강의 상단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력을 도입시키며, 도입된 이후는 연속된 합성보의 지점부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복귀시키는 과정으로 되어 있는 바, 특히 휨곡선이 3차 포물선 형상을 그대로 본 발명의 합성보에 적용한 것은 경간의 직선부분에는 전혀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직선부분이 연결된 양경간을 상방향으로 들어 올릴때 부모멘트에 대한 역행되는 휨률을 최소화 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이러한 작업이 직접현장에서 행해지는데 대한 도입작업을 간편하게 하면서 시공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처짐에 대한 곡선과 이를 이용한 본 발명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의 제작 및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한지점(A)의 모멘트가 0이고, 타지점(B)의 모멘트가 부(負)모멘트가 되는 구간인 외측경간을 강재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지점(B)을 고정단으로 처리한 경우, A-B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하여, A지점으로 부터 3/8ℓ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B단의 좌측부는 B단의 우측부와 일치하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A점과 D점에 지점 R을 설치함으로 A-D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D-B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작한다.(제1a도 (가) 및 (나) 참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한지점(B)의 모멘트가 부모멘트이고, 타지점(C)의 모멘트가 부모멘트가 되는 구간인 내측경간을 강재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지점(B)와 (C)를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B-C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하여, B지점으로 부터 중앙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보의 양단부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E점과 F점에 지점 R을 설치함으로 E-F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부모멘트구간인 B-E와 F-C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작한다.(제1a도 (가) 및 (다) 참조)
제1b도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첫번째 또는 마지막 즉, 외측 경간에 해당되는 경간장(ℓ)인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구조시스템과 제작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는 제1a도 (a)의 처짐곡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에 해당된다. 제1b도의 (가)는 강재 I-형보를 상부로 휘어지도록 제작한 상태와 지점조건들 즉 , 제 1 단과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인 위치에 지점이 설치된 구조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의 휨곡선은 연속보 구조 시스템 가장 외측보 내부에서의 등분포하중하에서 최대 휨모멘트가 발생하는 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3/8ℓ지점에 정점을 갖는 포물선형태이다.(제1b도(가) 참조).
하중재하위치는 일반적으로 20m이상의 연속보 구조물에서 활하중보다 휨모멘트에 영향이 더 큰 사하중에 의해 외측보내부에서 최대휨모멘트가 발생되는 약3/8ℓ위치에서 좌우로 각각 약 1/8ℓ이 되도록 하였다.
강재 I-형보의 우측단부는 제 2의 보와 연속적으로 연결이 용이하게 수평이 유지되도록 그리고 보와 보의 연결과 경우에 따라 강성보강을 위하여 우측단으로부터 충분한 여유길이(제2도a)를 두어야 한다.
제1b도의 (나)는 휘어진 강재 I-형보에 탄성범위내의 프리플랙션(preflexion)하중 (P)를 가한 상태이고 제1b도의 (다)는 프리플랙션하중하에서 강재 I-형보의 하부플랜지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하중재하위치는 두 하중의 중심이 연속보 구조시스템의 외측보에서 사하중에 의한 최대휨모멘트가 작용되는 강재 I-형보의 좌측단으로부터 약 3/8ℓ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두 하중의 위치는 두 하중 중심으로부터 좌우로 약 1/8ℓ만큼의 간격을 둠이 유리하고 하중재하 방법은 기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제7도 참조)와 유사하게 처리될 수 있다.
제1b도의 (라)는 하중(P)를 제거함에 따라 강재 I-형보의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로 변환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2보를 일체화할 경우 사하중에 의해 부(負)모멘트가 발생되는 보의 우측단으로부터 약 1/4ℓ 구간까지의 콘크리트에는 아무런 응력이 도입되지 아니한 상태이다.
제2도는 제1b도에서의 순서에 따라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외측 경간용으로 제작된 단경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2경간 연결시공하는 순서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a는 제1b도 (라)에서 보인 강재 I-형보의 정모멘트구간의 하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이 도입된 두개의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지점상에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두개 보의 연결은 강구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볼트체결 및 용접에 의해 시공된다. 여기서, 연결부는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stiffner)판을 사용할 수 있고 부모멘트의 정점을 피하기 위해 좌 또는 우로 편심하여 설치할 수 있다.
제2도의 b는 두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지점상에 설치 일체화된 연속보화한 상태와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 즉, 중앙지점으로부터 좌우로 약 1/4ℓ거리의 강재 I-형보의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에 의한 프리스트레스트 압축응력을 도입하기 위해 중앙지점을 탄성범위내에서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2도의 c는 중앙지점의 상승상태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지점으로부터 좌우로 약 1/4ℓ 구간에 슬래브 및 복부(web)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이고 있고 제2도d는 제2도c에서 보인바와 같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구간을 부분적으로 시공하는 방법과는 달리 제2도b의 상태에서 제 1, 제 2 경간의 전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의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경우 활하중에 의해 경간 내부 양모맨트 발생구간의 슬래브에 압축응력이 추가되는 결점이 있으나 활하중이 사하중에 의한 영향보다 비교적 적은 경우에는 시공의 신속성 및 연속성등 매우 유리한 시공법이 될 수 있다.
물론 이 공정에서 횡보(diaphram)의 콘크리트 타설도 동시에 수행되어야 한다. 지점상승작업은 유압잭키를 이용하여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제2도의 f는 두 개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중앙 또는 좌·우 로 편심된 연결부 또는 전구간의 슬래브와 복부의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에 의해 완전히 일체화된 상태에서 지점을 원상복귀한 그림이다.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부모멘트가 발생되는 중앙지점부의 상부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는 부모멘트에 의한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도입됨과 동시에 중앙지점 상승에 의해 전 구간의 하부플랜지에 일시적으로 도입된 인장응력은 중앙지점의 원상복귀 및 부분적 복귀와 더불어 소멸 및 감소된다. 상승시켰던 중앙지점을 부분적으로 하강시킨 후(제2도g) 정모멘트 발생 구간의 슬라브 및 복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경우나 또는 지점 상승 상태에서 전구간의 슬라브 및 복부 콘크리트를 일시에 타설한 경우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은 중앙부가 볼록한 곡선형 구조물이 될 수 있다.(제2도h)
이러한 시공과정을 통해 2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는 완전일체화 되고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해 연속보에서 발생되는 정 및 부모멘트에 의해 유발되는 응력을 대폭 감쇄시킬 수 있는 프리스트레스트 응력이 전체 보의 구간을 통해 도입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하게 된다.
제2도f는 연속보 전 구간에 상판 및 복부의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와 자중에 의해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가 거의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보이고 있다. 만일 이 때 상승시켰던 중앙부 지점을 부분적으로 복귀시키는 경우 연속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구조물은 미관이 수려하고 교량의 경우 교고에 유리한 곡선형 합성보교가 된다.(제2도h 참조).
제 4 도는 4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시스템과 사하중에 의한 휨모멘트도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내측경간장은 사하중하에서 내측경간들 중앙부의 모멘트가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경간장을 외측경간장보다 약 25%증가 시킬수 있다. 3경간 이상의 연속보 구조 시스템에서 첫번째 경간과 맨 마지막 경간 즉, 외측경간은 2경간 연속보의 프리스트레싱의 도입을 위한 제작공정(제1b도 참조)과 동일하나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 공정은 보의 양단부에서 부모멘트가 발생되므로 이에 대응하는 제1b도와 다른 제작 공정이 필요하다.
제3도는 3경간이상의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 구조시스템에서 내측보의 제작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제1a도 (나)의 처짐곡선과 동일한 형상의 곡선에 해당된다.
제3도a는 3경간이상의 연속보에서 사하중 및 활하중에 의한 처짐곡선과 상응되도록 보중앙이 상향으로 휘어져 있는 형태로서 휨곡선은 3차 포물선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제3도b는 보의 양단에서 약 1/4ℓ즉, 모멘트가 개략적으로 0인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지점상에서 보중앙부에 2개의 집중하중을 탄성한계내에서 가한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때의 두 하중은 중앙부를 경계로 좌우 약 1/6ℓ의 간격을 유지함이 좋다. 제3도c는 2개의 집중하중이 가한 상태에서 강재하부플랜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제3도d는 하중을 제거함에 따라 정모멘트구간의 하부 플랜지에 타설된 콘크리트에 압축응력이 도입되고 부모멘트구간에는 아무런 응력이 도입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과정을 제5도 및 제6도를 이용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외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AB(제1b도 (라) 참조)와 내측경간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BC(제3도d 참조)를 지점 B 에서 연결 일체화 시킨후 지점 B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다. 그 다음 과정으로는 두가지의 가능한 방법이 있는데 그 첫번째 가능한 방법(제5도)은 다음과 같다. 부모멘트 발생구간인 지점 B 에서 좌우로 각각 약 0.35ℓ과 약 0.4ℓ 정도(제5도b, c, d 참조)의 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킨 후 (제5도b) 지점 B 를 원상 또는 부분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부모멘트 발생구간인 지점 B 부근의 슬라브에 압축응력이 도입된다. 그 다음으로는 외측경간 IAB의 정모멘트 발생구간에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시킴으로서 좌측 외측경간의 시공이 완료된다.
위와 같은 순서로 C 지점, D지점.... 순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보 구조시스템의 시공이 완료된다.(제5도d). 두번째 가능한 방법(제6도)으로는 지점 B 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후 첫번째 경간 전체와 지점 B에서 우측으로 약 0.4ℓ(제6도b)정도의 구간에만 슬라브 및 복부 또는 횡보 콘크리트를 타설·양생 시킨 후 지점 B를 원상 또는 부분적으로 복귀시킨다. 이로써 제 1 경간 전체와 지점 B 부근의 부모멘트 발생구간에 압축응력이 도입된다. 그 다음으로는 세번째 경간의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ICD를 IBC와 연결·일체화 시킨후 지점 C를 재료의 탄성한계내에서 상승시킨후 제 2 경간 전체와 지점 C에서 우측으로 약 0.4ℓ정도의 구간에만 슬래브 및 복부 또는 횡보콘크리트를 타설시킨다.(제6도c). 마지막 과정은 앞서의 시공순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지점 D 를 완성한다. 이과정에서는 물론 3번째 경간과 4번째 경간의 슬래브, 복부 및 횡보의 콘크리트 타설이 동시에 수행되고 따라서 4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이 완성된다.(제6도e). 위에서 설명한 두번째의 가능한 방법은 활하중이 사하중에 의한 영향보다 비교적 적은 경우에 적용가능하고 이때 시공의 신속성 및 연속성등이 보장되므로 매우 유리한 시공법이 될 수 있다. 4경간이상의 연속보구조물에서도 위의 두가지 시공순서에 따라 시공될 수 있다. 여러 경간을 연속으로 처리함으로 발생될 수 있는 온도에 대한 수축 및 팽창에 의한 구속력은 첫번째 지점을 제외하고 약 500m까지 연속보의 지점을 롤러(roller)지점으로 처리하므로 어려움없이 해결된다.

Claims (2)

  1.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한지점(A)의 모멘트가 0 이고, 타지점(B)의 모멘트가 부(負)모멘트가 되는 구간이 외측경간을 강재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 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 지점(B)를 고정단으로 처리한 경우, A-B 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하여, A 지점으로 부터 3/8ℓ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 B단의 좌측부는 B단의 우측부와 일치하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A점과 D 점에 지점R을 설치함으로 A-D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D-B 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2.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를 연속보로서 연속화함에 있어서, 한지점(B)의 모멘트가 부모멘트이고, 타지점(C)의 모멘트가 부(負)모멘트가 되는 구간인 내측경간을 강재 I-형보로 하되, 강재 I-형보의 길이방향의 곡선형상은 부모멘트 지점(B)와 (C)를 고정단으로 처리하고 B-C구간에 등분포하중을 재하시킨 상태에서, 이로부터 얻어지는 처짐곡선식은 3차 포물선과 동일한 곡선이 되게하여, B 지점으로 부터 중앙위치에 상향곡선의 정점이 오게하고, 보의 양단부는 직선부분이 되게 하며, E점과 F점에 지점 R을 설치함으로 E-F구간에서는 강재 I-형보의 하부 플랜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압축응력을 도입시키고, 부모멘트구간인 B-E와 F-C구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가 도입되지 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KR1019960010533A 1996-04-09 1996-04-09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KR0158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533A KR0158296B1 (ko) 1996-04-09 1996-04-09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0533A KR0158296B1 (ko) 1996-04-09 1996-04-09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373A KR970070373A (ko) 1997-11-07
KR0158296B1 true KR0158296B1 (ko) 1999-01-15

Family

ID=1945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0533A KR0158296B1 (ko) 1996-04-09 1996-04-09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2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0373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870A (ko) 프리스트레스트 복합 트러스 보의 개발 및 제작공법
US5471694A (en) Prefabricated bridge with prestressed elements
KR20120018565A (ko)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67843B1 (ko) 횡만곡의 개선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거더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527752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교의 시공방법
KR20090068526A (ko) 교량 구조물의 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거더 교량
KR102219072B1 (ko) 분절형 프리플렉스 거더를 활용한 교량 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분절형 프리플렉스 거더
US2373072A (en) Rigid frame bridg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9980071920A (ko) 공장제작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형의 시공법
US5644890A (en) Method to construct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structure and the prestressed composite beam for a continuous beam thereof
CN112942052A (zh) 一种施工抗震结构的装配式组合箱梁及其施工方法
KR0158296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방법
KR960009273B1 (ko) 연속보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34304B1 (ko) 효율적인 강재-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이를 이용한 연속교량 시공방법, 및 그에 의해 시공된 연속교량
KR960001727B1 (ko) 연속보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와 이를 이용한 연속보교량의 시공방법
CN210916963U (zh) 一种超高性能混凝土桥梁结构
KR0158440B1 (ko)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시공시 지점상승 및 하강공정의 생략을 위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의 제작공법
JP2004137723A (ja) 橋梁桁の構造及び橋梁桁の構築方法
KR101023175B1 (ko) 프리플렉스 합성보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부분 프리플렉스 연속합성보
KR101739658B1 (ko) 교량 슬래브 전단면을 압축부재로 사용하고 슬래브 폭이 넓은 강박스와 슬래브가 일체화된 강박스 거더교
KR19990073455A (ko) 피에스씨강봉을이용한단순형합성보의2차프리스트레싱공법
KR100457961B1 (ko) 경간 분할점을 연결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 합성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0169212B1 (ko) 지점상승의 공정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연속합성보 구조물의 제작 및 시공법
KR100286613B1 (ko) 웨이트(weight)를 이용한 다경간 연속 프리플렉스 합성보구조물의 시공법
KR102159395B1 (ko) 강성 재배치를 이용한 강박스 거더의 보수/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