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52B1 -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852B1
KR0156852B1 KR1019940019654A KR19940019654A KR0156852B1 KR 0156852 B1 KR0156852 B1 KR 0156852B1 KR 1019940019654 A KR1019940019654 A KR 1019940019654A KR 19940019654 A KR19940019654 A KR 19940019654A KR 0156852 B1 KR0156852 B1 KR 0156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unit
horizontal deflection
defl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9700A (ko
Inventor
김병진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852B1/ko
Publication of KR96000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18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in combination with electron beam defle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4Blank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23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input amplifying stage being one or more operational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화면 변환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선택에 의해 16:9화면을 4:3화면으로 변화하되, 편향전원을 가변하여 수평편향각을 줄임으로서 4:3화면으로 오버스캔(Over Scan)부분의 화면의 왜곡은 블랭킹 신호를 중첩하여 처리하는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16:9, 4:3화면 절환을 용이하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튜너(102)에서 방송채널을 선국하고 Y/C분리복조부(104)에서 상기 튜너(102)의 출력 영상신호를 휘도(Y)와 칼라(C)로 분리하는 Y/C분리색복조부(104)와 상기 분리부(112)에서 상기 튜너(102)의 출력 영상신호로 부터 수직과 수평동기를 분리한다. 편향전원가변부(114)에서 수평편향전원, 4:3, 16:9선택 가변전압 수평편향 드라이브 펄스신호에 따라 편향전원을 가변하고, 수평편향부(118)에서, 상기 동기 분리부(112)의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를 상기 편향전원가변부(114)의 출력에 따라 수평편향되고, 수직편향부(116)에서, 상기 동기분리부(112)의 출력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수직 편향된다.
블랭킹신호 발생부(120)은, 상기 수평편향부(118)의 출력에 따라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고, 클랭킹 처리부(106)는 상기 블랭킹 신호 발생부(120)의 블랭킹 신호에 따라 상기 Y/C분리색복조부(104)의 출력을 블랭킹 처리하며, CRT드라이브(108)에서, 상기 블랭킹 처리부(106)의 블랭킹 처리한 이외부분을 CRT(110)표시토록 구동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와이드 스크린 TV의 화면 변화장치

Description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블럭도.
제2도는 제1도 편향 전원가변부(114) 및 수평 편향부(118)의 구체회로도.
본 발명은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화면 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택에 의해 16:9화면을 4:3화면으로 변화하되, 편향전원을 가변하여 수평편향각을 줄임에 따라 4:3화면으로 실현하며 오버스캔(Over Scan)부분의 화면의 왜곡은 블랭킹 신호를 중첩하여 처리하는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 수상기의 사용이 보편화되어져 가는 추세에 따라 기존의 4:3화면 소스 또는 16:9화면 소스의 표시가 원활하게 가능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16:9 또는 4:3의 변환은 디지탈 신호 처리기술에 의해 용이하게 가능 하였다. 이에 따른 처리과정을 간략히 기술하면, TV신호를 복조부에서 복조하여 A/D변환기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디지탈 데이터로의 처리가 가능 하였다. 상기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 데이타는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는 시간 압축기에서 시간적으로 압축되어 D/A변환기에서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아나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는 R.G.B디메트릭스부에서 복원하여 표시장치로 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구현에 있어 회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품 원가 상승으로 와이드 텔레비젼의 보편화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에서 16:9화면을 4:3화면으로 절환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블럭도로서, 마이컴(122)와, 안테나(ANT)를 통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는 튜너(102)와, 상기 튜너(102)의 출력 영상신호를 휘도(Y)와 칼라(C)로 분리하는 Y/C분리색복조부(104)와, 상기 튜너(102)의 출력 영상신호로 부터 수직(V)과 수평(H)동기 신호로 분리하는 동기분리부(112)와, 상기 동기 분리부(112)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에 의해 16:9화면에서 4:3화면으로 편향을 가변키 위한 가변전압에 의해 수평으로 축소되도록 편향시키는 수평편향부(118)와, 상기 동기분리부(112)의 출력 수직동기신호(V)에 의해 수직으로 편향시키는 수직편향부(116)와, 화면인 CRT(110)에 표시토록 구동하는 CRT드라이브(108)를 구비한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에 있어서, 수평편향전원단(201)의 전원과 상기 마이콤(122)으로 부터 발생되는 4:3/16:9가변선택단(202) 및 동기분리부(203)의 수평편향드라이브펄스단(203)의 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부(118)에서 16:9화면에서 4:3화면으로 변환하기 위한 편향 가변전원을 제공하는 편향전원가변부(114)와, 상기 수평편향부(118)의 출력에 따라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킹신호발생부(120)와, 상기 블랭킹신호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수평 블랭킹 기간에서 상기Y/C분리색복조부(104)의 출력을 중첩시켜 왜곡을 보정하는 블랭킹처리부(106)로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의 편향 전원가변부(114) 및 수평편향부(118)의 구체회로도로서, 상기 편향전원가변부(114)는 4:3/16:9 가변선택단(202)의 4:3 또는 16:9 선택가변전원신호를 저항(R1,R2)과 연산증폭기(OP1)에 의해 반전증폭하며, 상기연산증폭기(OP1)의 출력에 의해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되고, 상기 분압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트랜지스터(Q1)의 구동으로 수평편향전원단(201)의 수평편향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되, 수평편향 전원단(201)에 저항(R8,R9)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가 연결되어 수평편향 전원공급이 제어된다. 한편, 수평편향부(118)은 상기 동기분리부(112)의 수평편향드라이브펄스단(203)의 인가펄스를 트랜스포머(T1)에 인가하여 수평출력을 변환하고, 이를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인가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와 병렬로 연결되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부터 수평편향 전원을 가변하되, 상기 편향전원가변부(114)의 트랜지스터(Q2)의 출력이 작으면 이전의 16:9화면에 대해 4:3화면으로 축소하기 위한 수평편향전원으로 수평편향부(118)에 제공되어 화면의 가로 주사폭을 줄이도록 한다. 즉, 상기 수평편향전원은 수평편향코일(L1),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에 인가되어 수평주사폭을 줄이며,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를 통해 다이오드(D1)을 통해 블랭킹신호발생부(120)에 제공되며,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 연결된 분압을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에 인가되어 상기 편향전원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저항(R6,R7)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 일 실시예를 제1도-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에서 튜너(102)에서 튜닝된 신호를 Y/C분리색복조부(104)에서 Y/C로 분리하여 블랭킹 처리부(106)에서 블랭킹 처리하여 CRT(110)로 표시토록 CRT드라이브(108)에서 드라이빙 한다. 상기 CRT(110)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데 있어 수직, 수평 편향부(116,118)의 편향제어를 받게 되는데, 수직, 수평편향부(116,118)는 동기분리부(112)에서 튜너(102)로부터 선국된 영상신호의 수직, 수평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CRT(110)의 수직편향과 수평편향을 위해 수직편향부(116)와 수평편향부(118)에서 제어토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이미 알려져 있는 종래기술 또는 사용되고 있는 회로구성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구성에서 외부 또는 마이콤(122)으로 부터 제공되는 4:3/16:9가변선택단(202)의 인가 선택신호에 따라 편향 전원 가변부(114)에서 수평편향전원단(210)의 편향 전원의 가변에 따라 이의출력과 동기분리부(112)에서 수평편향 드라이브 펄스단(203)의 출력을 수평편향부(118)에 인가하여 수평편향부(118)의 출력에 의해 블랭킹 신호 발생부(120)의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여 블랭킹 처리부(106)에서 편향범위의 축소에 따른 왜곡을 보정하기 위해 Y/C 분리색복조부(104)의 출력신호(RGB)을 블랭킹 기간에 중첩시킨다. 따라서 상기 마이콤(122)에서 선택되는 4:3/16/9 가변선택단(202)의 입력에 따라 어느 하나의 화면의 크기로 선택을 위한 신호로 지정 되면 편향전원가변부(114)에서 수평편향전원다(201)의 전원을 받아 해당 편향크기로 편향전원으로 변환하여 수평편향부(118)에 제공되는데, 상기 편향전원가변부(114)의 수평편향전원의 크기가 작아지면(낮아지면) 수평편향부(118)에서 수평편향이 작아지도록 하여 화면의 가로 주사폭이 줄어들어 4:3화면으로 편향되고, 그러나 상기 편향전원가변부(114)의 출력 전압의 크기가 커지면(높아지면) 수평편향부(118)에서 수평편향이 커지도록 하여 화면의 가로 주사폭이 길어져 16:9화면으로 편향되어 CRT(110)로 표시된다. 한편, 블랭킹 처리부(106)는 블랭킹신호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수평블랭킹 동안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T/C 분리 색복조부(104)에서 발생되는 RGB신호에 중첩시켜 CRT드라이브(108)를 통해 CRT(110)으로 출력된다. 즉, 마이콤(122)에서 지정하고, 편향전원가변부(114)에서 편향전압을 조절하여 수평편향 범위를 축소 또는 그대로 출력시켜 16:9 또는 4:3화면으로 발생하므로 화면크기의 절환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편향전원 가변부(114) 및 수평편향부(118)의 실시예 동작관계를 제2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수평편향 전원단(201)으로 수평편향 전원이 입력되고, 4:3 또는 16:9 선택을 위한 신호는 4:3/16:9 가변선택단(202)에 마이콤(122)으로부터 선택제어신호가 입력되며, 동기분리부(112)에서 발생된 수평동기신호에 의해 발생된 수평편향 드라이브 펄스단(203)으로 수평편향 드라이브 펄스가 입력된다. 상기 4:3/16:9 가변선택단(202)의 16:9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을시 저항(R1,R2),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반전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로우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오프되며, 콜랙터는 하이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랙터 에미터간 전류의 흐름을 증가시켜 이때 수평편향 전원단(201)의 수평편향 전원이 크게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출력이 되게하며, 수평편향 드라이브펄스단(203)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트랜스포머(T1)에서 변환되어 저향(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3)를 온/오프에 따라 크게 가변된 상기 수평편향 전원이 수평편향코일(L1)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로 공급토록 제어하므로 편향값은 커지게 되어 16:9화면의 표시 모드가 된다.
그러나 상기 4:3/16:9 가변선택단(202)의 4:3 선택신호의 입력이 있을시 저항 (R1, R2), 연산증폭기(OP1)로 구성되는 반전증폭기에 의해 증폭되어 하이레벨로 트랜지스터(Q1)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1)는 온되며, 콜렉터는 로우레벨로 되어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에미터간 전류의 흐름을 감소 시킨다. 이때 수평편향 전원단(201)의 수평편향 전원이 작게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로 출력되며, 수평편향 드라이브펄스단(203)의 수평 드라이브 펄스가 트랜스포머(T1)에서 변환되어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Q3)를 온/오프에 따라 감소된 가변된 상기 수평편향 전원이 수평편향코일(L1)과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로 공급토록 제어하므로 편향값은 작아지게 되어 4:3화면의 표시모드가 된다. 그리고 상기 플라이백 트랜스포머(T2)의 2차측에 나타나는 수평편향 전원을 저항(R6,R7)에서 분압하여 연산증폭기 (OP1)의 비반전으로 입력되어 상기 4:3, 16:9 선택 가변전압모드에 따라 인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간편한 구성회로에 의해 와이드 TV에서 16:9 또는 4:3 절환을 용이하게 하여 와이드 TV의 보급에 향상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마이콤(122)와, 튜너(102)와, Y/C분리색복조부(104)와, 동기분리부(112)와, 수평편향부(118)와, CRT드라이브(108)를 구비한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에 있어서, 수평편향전원단(201)의 전원과 상기 마이콤(122)으로부터 발생되는 4:3/16:9가변선택단(202) 및 동기분리부(203)의 수평편향드라이브펄스단(203)의 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편향부(118)에서 16:9화면에서 4:3화면으로 변환하기 위한 편향 가변전원을 제공하는 편향전원가변부(114)와, 상기 수평편향부(118)의 출력에 따라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킹신호발생부(120)와, 상기 블랭킹신호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수평 블랭킹신호 발생 기간에서 상기 Y/C 분리색복조부(104)의 출력을 중첩시켜 왜곡을 보정하는 블랭킹처리부(10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편향전원가변부(114)가 4:3/16:9 가변선택단(202)의 4:3 또는 16:9 선택가변전원신호를 저항(R1,R2)과 연산증폭기(OP1)에 의해 증폭하며, 상기 연산증폭기(OP1)의 출력에 의해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되고, 상기 분압에 의해 바이어싱되는 트랜지스터(Q1)의 구동으로 트랜지스터(Q2)의 제어하되, 상기 수평편향전원단(201)의 수평편향전원이 저항(R8,R9)을 통해 상기 트랜지스터(Q2)로 공급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KR1019940019654A 1994-08-10 1994-08-10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KR0156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654A KR0156852B1 (ko) 1994-08-10 1994-08-10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654A KR0156852B1 (ko) 1994-08-10 1994-08-10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00A KR960009700A (ko) 1996-03-22
KR0156852B1 true KR0156852B1 (ko) 1998-11-16

Family

ID=1939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654A KR0156852B1 (ko) 1994-08-10 1994-08-10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8577A (ko) * 1996-03-15 1997-10-13 조석구 4:3의 화면비를 갖는 텔레비전 수상기에서 화면비 비매칭시 화면비 맞춤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9700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231B1 (ko) 텔레비젼 신호 처리 회로
KR920004563B1 (ko) 영상 재생 장치에 의해 유입된 전류를 변화시키는 장치
KR100202345B1 (ko) 텔레비젼온-스크린 문자 디스플레이 시스템
US6288748B1 (en) Display device also compatible with digital broadcasts
KR0156852B1 (ko) 와이드 스크린 텔레비젼의 화면 변환장치
US4622589A (en) Television receiver on-screen character display
JP3724809B2 (ja) ワイド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ー用偏向回路
US5523789A (en) High definition television monitor for displaying video images reproduced from normal standard video signals
JP3214527B2 (ja) 文字多重放送デコーダ内蔵機器
KR0150538B1 (ko) 부화면 모양 변환장치
KR100211459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캡션자막 표시장치
KR0153893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부화면 osd표시 장치
KR19990026700A (ko) 영상화면의 확대 장치와 방법
JP2911259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16392B2 (ja) 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20050117058A1 (en) Video display unit
KR20030050553A (ko)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KR100211460B1 (ko) Tv 수상기의 부신호 화이트밸런스 조정장치
KR19990005416A (ko) 와이드화면모드로의 전환시 오버스캔 처리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19990033071A (ko) 수직편향출력 제한에 의한 osd출력제어장치
KR200159621Y1 (ko) 와이드텔레비젼의 흑레벨보상장치
KR0131597Y1 (ko) 수직동기신호 발생회로
JPH04110069U (ja) 高品位テレビ受像機の垂直偏向装置
KR19990015894U (ko) 와이드 텔레비젼 디스플레이 포맷 변환장치
KR19980075337A (ko) 텔레비전의 수평편향화면 가변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