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50553A -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50553A
KR20030050553A KR1020010081003A KR20010081003A KR20030050553A KR 20030050553 A KR20030050553 A KR 20030050553A KR 1020010081003 A KR1020010081003 A KR 1020010081003A KR 20010081003 A KR20010081003 A KR 20010081003A KR 20030050553 A KR20030050553 A KR 20030050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creen
display unit
displaying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6089B1 (ko
Inventor
오지병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8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089B1/ko
Priority to US10/242,724 priority patent/US20030112368A1/en
Publication of KR20030050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0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화면비 전환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가 개시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음극선관과, 부가신호를 생성하는 OSD/OSG 발생부와, 부가신호를 영상신호가 표시된 영역을 제외한 블랙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또한,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휘도검출부를 가지며, 제어부는 휘도검출부에서 검출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부가신호를 생성하도록 신호생성부를 제어한다. 즉, 부가신호는 음극선관에 영상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영역인 블랙영역에 표시되며, 이때 부가신호의 밝기는 휘도검출부가 검출한 휘도레벨과 동일하다. 따라서, 화면비가 전환됨에 따라 음극선관에 블랙영역이 존재하게 되는 경우, 블랙영역에 부가신호가 출력된다. 이에 따라, 음극선관의 영역별로 상이한 상태 변화가 방지되어 화면이 변색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화면표시방법{Display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dditional signal on black area of screen and a disply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예:음극선관(CRT:cathode ray tube))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면비 전환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의 음극선관의 화면상태를 보호하기 위한 텔레비젼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데, 화면비 4:3의 화면비를 갖는 영상표시장치에서 16:9의 와이드 화면으로 전환될 경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의 상하부분에는 영상신호가 표시되지 않는 블랙영역이 표시된다.
이렇게, 하나의 화면에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블랙영역이 동시에 표시되면 표시영역과 블랙영역의 휘도레벨이 서로 다르게 되어, 시청자의 눈의 피로 및 시각효과가 좋지 않음으로써 시청효율이 떨어진다.
또한, 표시영역의 사용빈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블랙영역은 사용하지 않게 된다. 즉, 16:9 화면의 사용에 대한 사용시간이 많아질수록 음극선관의 표시영역에만 영상신호가 표시됨으로써 표시영역과 블랙영역에 대한 주사되는 광량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표시영역이 블랙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음극선관의 상태가 나빠지게 되어 화면 전환시 번트(burnt)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즉, 오랜시간동안 와이드 화면(16:9)으로 시청하다 보면 음극선관의 표시영역과 블랙영역의 화면상태가 고르지 못하게 되어, 일반 화면(4:3)으로 전환하여 방송을 시청할때 와이드화면에서 나누어진 표시영역과 블랙영역에 대해 자국이 남게 된다.
따라서, 일반화면에서 화면에 처리되는 영상신호의 선명도가 떨어진다.
물론, 4:3으로 전환 가능한 16:9의 화면비를 갖는 텔레비젼에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비가 전환될 경우에 발생하는 블랙영역에 소정의 부가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시각효과 및 음극선관(CRT)의 상태를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의 복합영상신호가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의해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에 나타나는 수직구간을 나타낸 도,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따른 화면표시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튜너20 : 영상IF부
30 : 영상검파부40 : 영상처리부
41 : 디코더42 : 프레임버퍼
43 : Y/C신호처리부44 : 편향부
50 : 음극선관(CRT)60 : 휘도검출부
61 : FBT부62 : ABL부
70 : OSD/OSG발생부80 : 입력부
90: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된 상기 휘도레벨에 대응되는 밝기를 갖는 부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블랙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주사되는 주사신호의 주사타이밍을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부가신호의 생성타이밍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가신호는 OSD 발생부 및 OSG 발생부에서 생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화면비 전환 모드에서의 영상표시방법은,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휘도레벨에 대응되는 밝기를 갖는 부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표시부 내의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단계에서는 실시간적으로 상기 휘도레벨이 검출되며, 상기 부가신호는 OSD 발생부 및 OSG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부가신호의 생성타이밍은 상기 표시부에 주사되는 주사신호의 주사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신호에 맞추어 제어된다.
이하에서는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표시장치로, 예컨데, 4:3의 일반화면모드에서 16:9의 화면전환모드로 전환되는 텔레비젼을 예로 설명한다.
텔레비젼은 튜너(10), 영상IF부(20), 영상검파부(30), 영상처리부(40), CRT(50), 휘도검출부(60), OSD/OSG 발생부(70), 입력부(80), 제어부(90)를 가진다.
입력부(80)를 통해 입력된 채널선택신호에 따라 제어부(90)는 소정채널을 선국하기 위해 튜너(10)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입력부(80)는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본체(미도시)에 마련된 조작패널(미도시)이다. 또한, 리모콘(81)을 통해 원격으로 사용자의 선택명령이 입력가능하다.
튜너(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채널선택명령 따라 해당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영상IF부(20)는 튜너(10)에 의해 선국된 방송신호의 중간주파수신호에서 영상중간주파수신호 및 음성중간주파신호를 분리하여 증폭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음성중간주파신호에 대한 신호처리과정을 생략한다.
영상검파부(30)는 영상중간주파신호로 부터 영상중간주파신호의 변조성분인복합영상신호를 검파한다.
영상처리부(40)는 디코더(41), 프레임버퍼(42), Y/C신호처리부(43), 편향부(44)를 가진다.
디코더(41)는 검파된 영상신호, 즉 , 복합영상신호(CVBS)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프레임 버퍼(42)에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복합영상신호가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다.
Y/C신호처리부(43)는 전송된 복합영상신호에서 화면의 밝기를 나타내는 휘도신호인 Y신호와, 색의 성질을 나타내는 색신호인 C신호를 분리하여 신호처리한다. Y/C신호처리부(43)에서 신호처리된 휘도신호와 색신호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DAC:미도시)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동기신호(후술됨)에 맞추어 음극선관(CRT:50)에 주사된다.
편향부(44)는 동기발생부(44a)와 수직/수평편향회로(44b)를 갖는다.
동기발생부(44a)는 검파된 복합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고, 수직/수평편향회로(44b)는 분리된 동기신호에 의해 동기를 맞춘다.
도 3은 수직편향회로에 의해 음극선관(CRT:50)에 편향되는 수직구간(1vertical)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화면모드(4:3)에서는 수직구간 내의 신호구간(A)에 영상신호가 표시된다. 반면, 화면전환모드에 의해 와이드 화면(16:9)으로 전환될 경우에는, 표시영역(B)에 복합영상신호가 표시되고, 블랙영역(C)에는 부가신호가 표시된다. 부가신호에 대한 설명은 후술된다.
휘도검출부(60)는 입력부(80)를 통해 사용자의 화면비 전환 모드에 대한 선택명령이 입력될 경우, 현재 음극선관(CRT:50)에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한다.
휘도검출부(60)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flyback transformer:61), 자동휘도제한회로(ABL:automatic beam(or brightness) limitter:62),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ADC:63)를 가진다.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BT:61)를 이용해 현재 음극선관(CRT:50)의 표시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복합영상신호의 전류량을 검출한다.
자동휘도제한회로(ABL:62)에서는 플라이백 트랜스포머(61)에서 검출된 전류량에 대응하는 전압값을 출력하고, 출력된 전압값은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63)에 의해 디지털값으로 변환됨으로써 현재 음극선관(CRT:50)에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산정한다.
제어부(90)는 휘도검출부(60)에 의해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OSD(on screen display)발생부 및 OSG(on screen graphics)발생부(70)를 구동시킨다. 즉, 현재 음극선관(CRT:50)에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과 같은 부가신호를 생성하도록 OSD/OSG 발생부(7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90)는 OSD/OSG 발생부(70)에 의해 생성된 부가신호를 화면비 전환 모드시에 음극선관(CRT:50)의 표시영역의 상하에 표시되는 블랙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90)는 OSD/OSG 발생부(70)에서 생성된 부가신호를 영상처리부(40)의 Y/C신호처리부(43)로 피드백 한다.
따라서, 현재 수신되고 있는 복합영상신호와 OSD/OSG 발생부(70)에서 생성한 부가신호를 함께 신호처리한다. 즉, 화면의 밝기신호인 휘도신호(Y신호)와, 색의 성질을 나타내는 색신호(C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음극선관(CRT:50)에 출력한다. 따라서, 음극선관(CRT:50)의 전체 화면에 동일한 휘도레벨을 갖는 영상신호가 출력된다.
물론, 제어부(90)는, 입력부(80)를 통해 화면비 전환 모드가 선택될 경우, 검출부(60)를 실시간으로 구동시켜 상기와 같은 휘도레벨의 보정과정을 실시간적으로 수행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화면모드(4:3)에서 와이드화면모드(16:9)로 전환될 경우에는, 수직구간(1 Vertical)은,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B)과 표시영역의 상하에 OSD/OSG 발생부(70)에 의해 생성된 부가신호로 표시되는 OSD/OSG 영역(C)을 갖는 신호구간(A)으로 나타난다.
반면, 16:9의 화면을 갖는 텔레비젼에서 4:3의 화면모드로 전환될 경우에는(미도시), 수평구간(1 Horizontal)에 대해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영역과 표시영역의 좌우에 부가신호가 표시되는 OSD/OSG 영역을 갖는 신호구간이 나타난다.
따라서, 화면비 전환 모드에서 음극선관(CRT) 등에서 발생되는 블랙영역과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의 휘도레벨이 같게 됨으로써, 시각효과도 향상시키고, 음극선관의 상태도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텔레비젼의 화면표시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80), 예컨데, 리모콘(81)의 조작버튼을 통해 화면비 전환 모드가 선택되면(S10), 휘도검출부(60)는 현재 음극선관(CRT:50)으로 출력되고 있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한다(S20).
검출된 휘도레벨에 대응하여 OSD/OSG 발생부(70)에서는 휘도레벨이 같은 부가신호를 생성한다(S30).
생성된 부가신호는 Y/C신호처리부(42)로 피드백되어(S40), 현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복합영상신호와 함께 신호처리된다(S50).
따라서, 와이드 화면의 블랙영역에는 현재 방송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과 같은 부가신호가 출력된다(S60).
물론, 휘도레벨만을 같게 할 수도 있고, 현재 방송 중인 영상신호의 색차신호에 대해 비슷한 색차신호를 갖는 휘도레벨이 같은 가상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핵심은, 음극선관의 신호영역(A)인 표시영역(B)과 블랙영역(C)에 같은 휘도레벨을 갖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는 점이다.
상기와 같은 화면표시방법은 화면비 전환 모드에 나타나는 블랙영역에, 음극선관의 화면에 실시간적으로 변화되어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의 휘도레벨과 같은레벨의 부가신호를 출력시킴으로써 음극선과의 화면상태를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표시부를 음극선관으로 적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액정패널 및 PDP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현재 방송 중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과 같은 레벨 및 색차신호와 비슷한 색차신호를 갖는 가상신호를 표시함으로써 영상표시부의 화면상태를 보호할 수 도 있고 시청자의 눈의 피로 등과 같은 시각효과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비 전환 모드시에 현재 방송중인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실시간적으로 검출하여, 검출된 휘도레벨과 같은 레벨을 갖는 부가신호를 블랙구간에 출력함으로써 영상표시부의 화면상태를 보호한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화면비 전환시에, 영상표시부에 나타나는 블랙구간과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표시구간에 서로 다른 휘도레벨의 영상신호가 표시됨에 의해서 영상표시부의 화면이 변색되는 문제점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수신된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검출부;
    검출된 상기 휘도레벨에 대응되는 밝기를 갖는 부가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 및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인 블랙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주사되는 주사신호의 주사타이밍을 동기신호에 맞추어 상기 부가신호의 생성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생성부는 OSD 발생부 및 OSG 발생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신호의 휘도레벨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상기 휘도레벨에 대응되는 밝기를 갖는 부가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및
    상기 부가신호를 상기 표시부 내의 상기 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에서는 실시간적으로 상기 휘도레벨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에서, 상기 부가신호의 생성타이밍은 상기 표시부에 주사되는 주사신호의 주사타이밍을 동기화시키기 위한 동기신호에 맞추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영상표시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신호는 OSD 발생부 및 OSG 발생부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
KR10-2001-0081003A 2001-12-19 2001-12-19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KR100426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03A KR100426089B1 (ko) 2001-12-19 2001-12-19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US10/242,724 US20030112368A1 (en) 2001-12-19 2002-09-13 Displaying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dditional signal on blanking area of screen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1003A KR100426089B1 (ko) 2001-12-19 2001-12-19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0553A true KR20030050553A (ko) 2003-06-25
KR100426089B1 KR100426089B1 (ko) 2004-04-06

Family

ID=1971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1003A KR100426089B1 (ko) 2001-12-19 2001-12-19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30112368A1 (ko)
KR (1) KR100426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059B1 (ko) * 2003-08-25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0745576B1 (ko) * 2006-08-28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의 입력 윈도우의 크기를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20116550A1 (en) * 2019-05-01 2022-04-14 Bryan Ku Bias Lighting Effect Generation for Video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7162T2 (de) * 1988-01-29 1994-11-24 Hitachi Ltd Videowiedergabevorrichtung für Bilder mit unterschiedlichen Bildformaten.
JP2904975B2 (ja) * 1991-10-30 1999-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ドアスペクト比の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291295A (en) * 1992-08-17 1994-03-01 Zenith Electronics Corp. System for equalizing phosphor aging in CRT, subject to different aspect ratio displays by operating unused display portions at brightness levels determined by the brightness levels of corresponding adjacent similar sized display portions
KR0144941B1 (ko) * 1994-09-30 1998-07-15 김광호 와이드 비젼 디스플레이 장치
KR980007540A (ko) * 1996-06-14 1998-03-30 김광호 자막신호 발생회로
KR100199878B1 (ko) * 1996-08-31 1999-06-15 전주범 Osd(on-screen display)신호처리장치와 그 방법
JPH10178598A (ja) * 1996-10-17 1998-06-30 Toshiba Corp レターボックス検出装置
JPH11150710A (ja) * 1997-11-14 1999-06-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文字多重放送用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00034582A (ko) * 1998-11-30 2000-06-26 전주범 블랭킹 메뉴의 콘트라스트 조정 방법
JP2001078113A (ja) * 1999-09-06 2001-03-23 Sony Corp 映像機器および映像表示方法
JP2001313911A (ja) * 2000-04-28 2001-11-09 Nippon Hoso Kyokai <Nhk> テレビジョン送信装置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690425B1 (en) * 2000-06-22 2004-02-10 Thomson Licensing S.A. Aspect ratio control arrangement in a video display
US6678009B2 (en) * 2001-02-27 2004-01-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djustable video display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6089B1 (ko) 2004-04-06
US20030112368A1 (en) 200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2562C (en) Image signal conversion equipment
US4549217A (en) Automatic contrast reduction circuit for a teletext or monitor operation
KR19990009021A (ko) 평판디스플레이를 채용한 tv의 디지탈 특성조성장치
KR100426089B1 (ko) 화면의 블랙영역에 부가신호를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그의 화면표시방법
JPH0746508A (ja) 主画面位置補償回路及びその方法
KR20000001754A (ko) 순차주사방식의 투사형 영상 디스플레이장치
KR101090067B1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2820B1 (ko) 텔레비젼 수상기의 이중화면장치
KR100247086B1 (ko) 다중화면분할방식에 의한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제어장치
KR0153893B1 (ko) Pip기능을 갖춘 텔레비전의 부화면 osd표시 장치
KR100429228B1 (ko) 티브이의 사이드 화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186630B1 (ko) 다화면 텔레비전의 부화면위치 변환장치
KR100277727B1 (ko) 복합 영상 신호의 수평 라인 정보 검출 장치
KR100264323B1 (ko) 텔레비젼의 표준신호레벨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154866Y1 (ko) 두화면 디스플레이기능을 구비한 영상기기의 화상밝기 제어장치
EP13898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video signals
KR950011040B1 (ko) 영상데이타 보상장치 및 방법
KR19990005416A (ko) 와이드화면모드로의 전환시 오버스캔 처리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수상기
KR200149258Y1 (ko) 텔레비전의 영상동기안정화장치
KR19990027731U (ko) Hdtv 모니터에서 화면의 위치를 자동제어하는 장치
JPH06178314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9990031447A (ko) 와이드화면 상하 조절방법
KR19980014551A (ko) Pip모드시 화면밝기 조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KR19990038780A (ko) Hdtv의 무신호시 오에스디 표시장치
KR19990043032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주화면 밝기에 따른 부화면 밝기 자동조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