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76B1 - 차량용 백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76B1
KR0156776B1 KR1019950013921A KR19950013921A KR0156776B1 KR 0156776 B1 KR0156776 B1 KR 0156776B1 KR 1019950013921 A KR1019950013921 A KR 1019950013921A KR 19950013921 A KR19950013921 A KR 19950013921A KR 0156776 B1 KR0156776 B1 KR 015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se
rotating
rotating member
positio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0622A (ko
Inventor
츠요시 미키
이쿠오 사카타
죠지 가토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시게오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2738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595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87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32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87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17329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시게오,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시게오
Publication of KR960000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구현하고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구현하고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및 복수의 위치결정 유니트 각각이 하우징을,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며 미러가 운전자에게 하우징이 자동차 후미쪽으로 또는 자동차 선두쪽으로 향해 있는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에 대한 필요한 시계(視界)를 제공하는 사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된 복수의 위치결정 유니트;를 포함한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요소중에서, 하우징 측면상의 요소는 모든 하우징용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는 한편 위치결정 유니트상의 요소는 모든 위치결정 유니트용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또한 설계되어 있다. 돌출부는 베이스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는 회전측 부재 및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회전측 부재 및 회전측 부재로부터 분리가능한 부재내에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돌출부가 오목부중의 어느 한 오목부내로 맞물리게 될때 하우징은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미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구조를 도시하는 백미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었으나 베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백미러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선(A-A)을 따라 절취한 저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선(B-B)을 따라 절취한 베이스를 포함하는 백미러의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서 백미러의 회전기구를 도시하여 설명하는 사시도.
제6도는 제2도에서 선(C-C)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에서 선(D-D)을 따라 절취한 평면도로서 전개된 단면도.
제8도는 제2도에서 백미러내의 회전축 부재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부재의 사시도.
제9도는 제2도에서 백미러의 하우징이 격납(格納)위치중의 한 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선(A-A)을 따라 절취한 배면도.
제10도는 제2도에서 백미러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선(A-A)을 따라 절취한 저면도.
제11도는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우터용 제어회로의 배선도.
제12도는 제1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었으나 베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또다른 백미러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서 선(E-E)을 따라 절취한 저면도.
제14도는 제13도에서 선(F-F)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2도에서 백미러의 하우징이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선(E-E)을 따라 절취한 저면도.
제16도는 제12도에서 백미러의 하우징이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부재의 상태를 도시하여 선(E-E)을 따라 절취한 저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구성을 도시하는 백미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었으나 베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백미러의 정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백미러의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에서 약간의 구성요소가 생략된 선(G-G)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21도는 제17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은 또다른 백미러의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구성을 도시하는 백미러의 제3실시예 대한 분해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에 도시된 백미러장치내에 결합된 2개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24도는 제22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었으나 베이스를 포함하지 않는 백미러의 정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선(H-H)을 따라 절취한 정면도.
제26도는 제25도에서 선(I-I)을 따라 절취한 백미러의 단면도.
제27도는 제22도에서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은 또다른 백미러장치의 정면도.
제28도는 제27도에서 선(J-J)을 따라 절취한 정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서 선(K-K)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
제30도는 제22도에서 수정된 부분을 가진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은 백미러의 분해 사시도.
제31도는 제30도의 백미러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2도는 제22도에서 수정된 부분을 가진 장치를 조립함으로서 얻은 또다른 백미러에 대한 분해사시도.
제33도는 제32도에서 백미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베이스 몸체
12 : 베이스 커버 20 : 하우징
22 : 개구부 23,24 : 시트
27,28,57,81 : 오목부 30 : 미러 유니트
32 : 미러 지지구 33,83 : 볼
34,68 : 코일스프링 35,88,89 : 스크루
40 : 틸딩기구 50 : 위치결정 유니트
51 : 고정부재 52 : 회전부재
55,56 : 고정구 58 : 베어링
60 : 브리지 64,79 : 축
65,72,77 : 기어 71 : 모우터
73,75 : 웜 74 : 웜기어
90 : 케이블
[발명의 배경]
a)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예컨대 미러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의 어느 한쪽 측면에도 설치되게 되어 있으며, 이 미러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기되어 자동차 운전자에게 배면시계(視界)를 제공하는 사용위치(정상위치)로 그리고 미러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에 거의 평행이 되는 사용위치(접혀진 위치)로 수동 또는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b)종래 기술
이 형태의 다양한 백미러는 일본 특개소 61-94845호(1986년 5월 13일 공개)에 개시된 전형적인 백미러를 포함하여 지금까지 제안되어 왔다. 이 종래의 도어 미러에서는 내부에 조립된 미러를 갖춘 미러하우징이 3개 위치:사용위치, 제1및 제2 격납위치를 취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즉 사용위치에 있을 때, 미러 하우징은 자동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기되어 자동차 운전자에게 배면이 보이게 한다. 제1격납위치에 있을 때, 미러 하우징 외부끝은 자동차 차체의 후미쪽으로 향하고 있는 한편 미러 하우징 측면은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한다. 제2 격납위치에 있을 때 미러 하우징 외부끝은 자동차 차체의 선두쪽으로 향하고 있는 한편 하우징 후부 측면은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한다. 미러 하우징은 미러 하우징이 손, 신체 또는 그외의 물체로도 가압되는 방향에 따라서 제2격납위치 또는 사용위치로부터 제1격납위치로 또는 제1격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 또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미러 하우징은 손의 압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백미러는 미러 하우징을 상술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위치결정 유니트를 갖추고 있다. 이 위치결정 유니트는 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미러 하우징에 고정되는 회전부재를 갖추고 있다. 이 고정부재에는 축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축위에는 회전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회전부재는 축상에 끼워져 있는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고정부재로 가압된다. 미러 하우징이 손으로 가압될 때 회전부재는 미러 하우징과 함께 코일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미러하우징이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상술한 형태의 또다른 백미러는 일본 실개소 4-114839호(1992년 10월 9일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위치결정유니트는 고정부재상의 축상에 장착된 기어, 기어와 축 사이에 배열된 클러치, 회전부재상의 모우터 및 기어 자체의 축상에서 회전하며 축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하는 동안 축상의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열을 포함한다. 모우터가 이 기어열을 구동할 때, 축상의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열의 기어는 축주위를 회전부재가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축 자체의 축상에서 그리고 축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한다. 미러하우징이 수동으로 가압될 때 한편으로 모우터는 정지되며, 클러치는 이완되어 축상의 기어는 따라서 축 주위를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는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된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에서 미러하우징과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칠 때, 클러치는 이완되어 회전부재는 축주위를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백미러에서는, 미러 하우징이 사용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부재내에 지지된 볼은 이동되어 회전부재를 사용위치내로 정확하게 고정시키도록 미러 하우징의 회전축과 동심으로 고정부재내에 형성된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는다. 또한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내에서 미러 하우징과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힐 때, 고정부재로부터 회전부재까지 뻗어서 구비된 돌출부는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쪽으로 미러 하우징을 더 또는 완전하게 회전시키는 것을 제한하도록 회전부재내에 형성된 오목부내로 삽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백미러는 미러 하우징이 모우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위치 결정 유니트와 미러 하우징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위치결정 유니트를 사용한다. 미러 하우징을 회전시키기 위해 한쌍의 이 백미러가 자동차 차체상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예컨대 미러 하우징이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좌측미러내에 조립된 위치결정 유니트, 미러 하우징이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우측 미러내에 조립된 위치결정 유니트, 미러 하우징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좌측미러내에 조립된 위치결정 유니트, 및 미러 하우징이 수동으로 회전되는 우측미러내에 조립된 위치결정 유니트를 포함하는 4개의 위치결정 유니트가 필요하다.
더욱이 미러 하우징과 베이스는 다양한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미러 하우징의 내부공간이 그때그때의 미러 하우징에 따라 변화함으로, 모우터 구동식의 위치결정 유니트와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각 세트의 베이스 및 미러 하우징용으로 준비되어 있어, 따라서 어느 정도 큰 수량의 위치결정 유니트 타입의 결과로 된다. 위치결정 유니트의 제조를 위해서는 많은 성형 다이(die)와 지그(jig)를 준비하며, 점검하고 관리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형태의 제조된 부품과 완성된 위치결정 유니트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즉 백미러의 제조는 많은 원가를 필요로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최소량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형태가 사용되는 개선된 백미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양상에 따르면, 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들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결합하여 이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들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결합하고 이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복수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각각이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었으며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포함된 베이스에 연결된 고정부재,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하우징에 연결된 회전부재, 및 모우터에 의해 회전부재를 하우징과 함께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기하는 사용위치로, 하우징이 자동차 후미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미러 측면이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하는 제1격납위치로, 또는 하우징이 자동차 선두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후방 측면이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하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된 회전기구, 로 구성된 복수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복수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각각이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대신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었으며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베이스에 연결된 고정부재,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하우징에 연결된 회전부재 및 수동에 의해 회전부재를 하우징과 함께 사용위치로, 제1격납위치로, 또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회전기구로 구성된 복수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장착부로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이며 각각의 모우터-구동식 또는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회전부재를 하우징에 연결시키기 위해 이 장착부와 협동하는 상보성 부분을 가지며, 장착부는 하우징용으로 동일형상으로 설계되어 있고, 이 상보성 부분은 위치결정 유니트용으로 동일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는 하우징;및 각각의 격납위치내에서 하우징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이며, 이 수단은 3개 부분을 포함하며 그중 제1부분이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베이스내에 형성되어 있고, 제2부분이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내에서 제1부분과 접촉되도록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내에서 형성되어 있으며 제3부분은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내에서 제1부분과 접촉되도록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로 구성되는 백미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들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결합하며 이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다양한 자동차 차체 스타일용으로 적합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며, 각각의 이들 세트는 베이스와 미러를 결합하며 이 베이스용으로 적합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 세트는 자동차 차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복수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각각이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었으며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베이스에 연결된 고정부재,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하우징에 연결된 회전부재, 및 모우터에 의해 회전부재를 하우징과 함께 하우징이 자동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기하는 사용위치로, 하우징이 자동차 후미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미러측면이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하는 제1격납위치로, 또는 하우징이 자동차 선두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후방측면이 자동차 차체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하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된 회전기구로 구성된 복수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복수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각각이 모우터-구동식 위치 결정 유니트 대신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었으며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베이스에 연결된 고정부재,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포함된 하우징에 연결된 회전부재, 및 수동에 의해 회전부재를 하우징과 함께 사용위치로, 제1격납위치 또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회전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된 회전기구로 구성된 복수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및 장착부로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이며,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부분은 나머지 회전부재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하우징에 연결되는 회전부재의 부위를 포함하고, 각각의 분리가능한 부분은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에 연결함에 있어 장착부와 협동하는 상보성 부분을 가지며, 장착부는 하우징용으로 동일형상으로 설계되어 있고, 상보성 부분은 위치결정 유니트용으로 동일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백미러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이들 목적과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실례를 거쳐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루어진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며 이 장치는 자동차의 우측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내로 조립되게 되어 있다.
백미러는 백미러가 고정되는 자동차의 스타일에 쌍방이 대응하여 형성된 베이스(10)와 하우징(20)을 갖추고 있다. 이 베이스(10)는 베이스 몸체(11)와 베이스 커버(12)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1)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고정되게 되어 있으며, 하우징은(20)은 내부에 구현된 미러 유니트(30)을 갖추고 있다. 이 미러 유니트(30)는 볼조인트를 갖춘 틸팅기구(40)에 의해 하우징(20)내에 지지되어 있다. 미러 유니트(30)는 틸팅기구(40)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도 기울어질 수 있다. 더우기 베이스(10)와 하우징(20)사이에는 하우징(20)을 모우터의 구동으로 회전시키는 위치결정 유니트(50) 또는 하우징(2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위치결정 유니트(50A)가 구비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 유니트(50 또는 50A)는 하우징(20)을 사용위치로, 제1격납위치 또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된다.
베이스(10)를 구성하는 베이스 몸체(11)와 베이스 커버(12)는 브래킷 또는 거의 L형상의 구조형태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 몸체(11)는 L형상의 한 아암을 형성하는 중공부분(13)과 이 아암의 외부벽내에 형성되며 위치결정 유니트(50)가 내부에 부분적으로 끼워져 있는 오목부(14)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 커버(12)는 L형상의 한 아암을 형성하는 부분(15)내에 형성된 개구부(16)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10)를 조립하기 위해서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은 베이스 커버(12)내의 개구부(16)를 통과하여 베이스 커버(13)의 다른 하나의 아암을 형성하는 부분(17)상에 고정된다.
하우징(20)은 전면이 개방된 얕고 긴 둥근박스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바닥으로 소용되는 원주(21)의 부위내에 형성된 긴 개구부(22)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개구부(22)의 양쪽 측면상에 구비되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50 또는 50A)가 고정되는 2개의 시트를 갖추고 있다. 제1도는 한 시트(23)만을 도시한다. 이 시트(23)는 하우징(20)의 일체로 형성된 블록, 즉 하우징의 바닥면으로 소용되는 하우징(20)의 원주(21) 부위의 내부벽상에 형성된 블록이다. 또한 다른 하나의 시트는 하우징(20)의 가로방향 측면으로 소용되는 하우징(20)의 원주(21)부위의 내부벽상에서 하우징(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0)은 후부벽(25)과 일체로 형성되었으며 틸팅기구(40)가 위에 고정되는 지지스터드(26)를 갖추고 있다:지지 스터드(26)는 예컨대 각각의 내부가 나사식 실린더로 되어 있는 4개의 스터드를 포함한다.
미러유니트(30)는 미러 그 자체(31)와 미러 그 자체(31)가 고정된 미러 지지구(32)로 구성된다. 이 미러 지지구(32)는 볼(33), 틸팅기구(40)의 몸체에 구비된 구면시트(41), 코일 스프링(34), 세트 스크루(35), 등등에 의해 틸팅기구(40)에 연결되어 있다. 틸팅기구(40)는 스크루(87)로 하우징(20)내부의 지지 스터드(26)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틸팅기구(40)는 2개의 로드와 이들 로드를 서로 독립적으로 전후로 이동시키는 모우터, 감속기어, 등등을 결합시키다. 미러유니트(30)를 경사지게 하기 위해서 모우터중의 하나는 볼 조인트 주위를 회전하게 될 미러 지지구(32)의 후부측면을 교대로 가압하게 될 로드(42)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모우터는 볼조인트 부위를 수평으로 회전하게 될 미러지지구(32)의 후부측면을 교대로 가압하게될 로드(43)를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모우터에 의해 하우징(20)을 회전시키는 위치결정 유니트(50)는 하우징을 사용위치로, 제1격납위치 또는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와 이 회전기구(40)를 받치고 있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 지지부는 베이스(10)에 고정된 고정부재(51)와 하우징(20)에 고정된 회전부재(52)로 구성된다. 고정부재(51)는 실질적으로 판 형태를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52)는 부재(53)와 이 부재(53)로부터 분리가능한 또다른 부재(54)로 구성된다. 전체로서 이 부재(53)는 정상부가 개방된 거의 얕은 박스이다. 이 부재(54)는 바닥이 개방된 일반적으로 얕은 박스이다. 부재(54)가 부재(53)상에 끼워져 있을 때 이들은 함께 하나의 케이싱을 형성한다. 부재(53)는 하우징(20)내의 개구부(22) 측면옆에 위치한 시트(23)에 체결되어야 하는 고정구(55)와 개구부(22)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위치한 다른 하나의 시트에 체결되어야 하는 또다른 고정구(56)를 갖추고 있다. 고정구(55)는 부재(53)의 바닥위의 계단이며 고정구(56)는 부재(53)의 끝면으로부터의 돌기부이다. 회전기구는 부재(53,54)에 의해 형성된 케이싱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밀폐되어 있다. 후에 상세하게 검토되는 바와 같이 회전기구는 축, 클러치에 의해 축에 고정된 기어, 회전부재(52)내에 구현된 모우터, 이 모우터의 회전을 축상의 기어에게 전송하는 기어열(gear train),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이 고정부재(51)상에 조립되어 있는 동안 회전부재(52)는 축상에 끼워져 있으며, 기어는 축상에 끼워져 있고, 클러치는 기어와 축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 모우터와 기어열이 회전부재(52)내에 구현되어 있어 회전부재(52)는 모우터가 작동함에 따라 고정부재(57)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쌍의 부채꼴 오목부는 회전부재(52)에 면하고 축과 동심으로 면하는 고정부재(51)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볼은 고정부재(51)에 면하는 부재(53)의 표면상에 지지되어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절반 볼은 고정부재(51)에 면하는 부재(51)의 표면상에서 부재(53)과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볼 또는 절반볼은 부채꼴 고정부재(51)에 면하는 부재(51)의 표면상에서 부재(53)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볼 또는 절반 볼은 부채꼴 오목부내에 각각 끼워져 있다. 이들 볼 또는 절반 볼은 고정부재(51)상의 회전부재(52)를 지지하기 위해 그리고 또한 이들 볼이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게 됨에 따라 사용위치에서 하우징(20)을 지지하기 위해 축과 협동한다.
위치결정 유니트(50)를 하우징(20)내로 조립하기 위해서, 예컨대 위치결정 유니트(50)는 우성 하우징(20)내측에 놓이며, 고정구(55)는 하우징(20) 내측 시트(23)의 정상부와 접촉되게 놓이고 또한 고정구(56)는 하우징(20) 내측 다른 하나의 시트의 바닥과 접촉되게 놓이는 한편 고정부재(51)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내측에 배치된다. 다음에 스크루(88)는 위치결정 유니트(50)를 하우징(20)에 연결시키도록 하우징(20)의 바닥외측으로부터 시트와 고정구내로 죄어진다.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내의 오목부(14)내로 끼워진 위치결정 유니트(50)의 고정부재(51)를 가지고, 베이스(10)는 하우징(20)내로 끼워지며 스크루(89)는 고정부재(51)를 베이스(10)에 연결시키기 위해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과 베이스커버(12)의 부분(15)을 통하여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밑으로부터 고정부재(15)내로 죄어진다. 상기 조립전에, 케이블(90)은 베이스 몸체(11)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며 축과 케이블(90)의 약간의 와이어는 회전기구내의 모우터에 접속되고 다른 와이어(91)는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에 접속된다.
하우징(20)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을 회전시키는 기구와 이 회전기구를 받치는 지지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부는 또한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1A)와 하우징(20)에 고정되는 회전부재(52A)로 구성된다. 고정부재(51A)는 실질적으로 판 형상이다. 또한 회전부재(52A)는 하우징(20)내의 시트(23)에 체결되는 또다른 고정구(50A)를 갖춘 판과 같다. 고정구(55A)는 회전부재(52A)밑에 형성된 계단이며 고정구(56A)는 회전부재(52A)의 끝면으로부터의 돌기부이다. 이들 고정구(55A,56A)는 치수와 형상이 위치결정 유니트(50)의 고정구(55,56)와 동일하다. 후에 상세하게 검토되는 바와 같이 회전기구는 고정부재(51A)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부재(52A)를 지지하는 축, 축상에 끼워져서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부재(52A)를 고정부재(51A)로 가압시키는 코일스프링, 고정부재(51A)에 면하는 회전부재(52A)의 표면상에 지지된 볼 또는 고정부재(51A)에 면하는 표면상에 회전부재(52A)와 일체로 형성된 절반볼, 고정부재(51A)에 면하는 회전부재(52A)의 표면상에 축과 동심으로 형성되었으며 볼 또는 절반 볼이 내부에 끼워져 있는 부채꼴 오목부,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0)내로 위치결정 유니트(50A)를 조립시키기 위해서는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유니트(50)를 조립하기 위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가 수행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케이블(90)은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의 내부공간과 축을 통과하여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에 접속되고, 다음에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내측에 놓여 있으며, 고정구(55A)는 하우징(20)내의 시트(23)와 접촉되어 있고 고정구(56A)는 하우징(20)내의 다른 하나의 시트(24)와 접촉되어 있는 한편 고정부재(51A)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스크루(88)는 회전부재(52A)를 하우징(20)에 연결시키도록 시트를 통해서 하우징(20)의 바닥외측으로부터 위치결정 유니트(50A)의 고정구(55A,56A)내로 죄어지고, 위치결정 유니트(50A)의 고정부재(51A)는 베이스(10)를 하우징(20)내로 조립시키도록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내의 오목부(14)내로 끼워진다. 그후 스크루(89)는 고정부재(51A)를 베이스(10)에 연결시키도록 베이스 커버(11)의 부분(13)과 베이스 커버(12)의 부분(15)을 통하여 베이스 커버(11)의 부분(13)밑으로부터 고정부재(51A)내로 죄어진다.
자동차의 좌측 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베이스와 하우징은 여기에 예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이들 베이스와 하우징은 전술한 우측 백미러의 베이스(10)와 하우징(20)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와 하우징 쌍방에 관련된 위치결정 유니트를 한 세트로 설치하기 위해서, 고정부재는 하우징의 개구부내에 놓이며, 회전부재는 하우징내의 시트(23)와 접촉되어 고정된 고정구중의 하나와 함께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한편 다른 하나의 고정구는 하우징내의 다른 하나의 시트(24)와 접촉되어 있고, 회전부재와 하우징은 서로가 스크루로 연결되어 있으며 베이스 몸체는 스크루로 고정부재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가 모우터의 구동으로 하우징(20)을 회전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는 제1도에 도시된 백미러중 우측 배미러를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고정된 조립상태의 미러를 가진 베이스(10)의 베이스 몸체(11)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90)의 끝(92)은 연결자로 자동차 차체내에 비치된 제어기에 접속된다. 운전자는 하우징(20)용의 회전기구의 모우터와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비치된 제어기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에 있을 때 위치결정 유니트의 모우터가 회전될때,기어열의 기어는 축 자체의 축선상에서 그리고 축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하는 축상의 기어와 맞물리게 된다. 회전부재(52)는 하우징(20)과 함께 축 주위를 사용위치쪽으로 회전한다. 모우터가 역회전할 때 하우징(20)은 제1격납위치쪽으로 회전된다. 하우징(20)이 사용위치로부터 제1격납위치로 또는 제1격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 수동에 의해 강하게 가압될 때 한편으로 모우터는 작동이 정지되며, 클러치는 고정부재(51)로부터 축상의 기어를 단절시키고, 회전부재(52)는 축상의 기어 및 하우징(20)과 함께 축 주위를 제1격납위치 또는 사용위치 쪽으로 회전된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에 고정된 하우징(20)에 접촉할 때 클러치는 하우징(20)과 함께 축주위를 제1격납 위치 또는 제2격납위치 쪽으로 차례로 회전될 회전부재(52)로부터 축상의 기어를 단절시킨다. 고정된 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에 있는 하우징(20)의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모우터에 걸리는 하중은 증대되며 증대된 전류가 모우터를 통해 흐른다. 제어기는 증대된 전류를 검출하여 모우터로의 동력공급을 차단하고 따라서 모우터는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에서 하우징(20)과 함께 회전이 정지될 것이다.
위치결정 유니트(50A)가 하우징(20)의 수동식 회전을 할 수 있게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백미러를 설치하기 위해서, 베이스(10)의 베이스 커버(12)는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90A)의 끝(92A)은 차체내에 비치된 제어기에 연결자로 접속된다. 이 경우에, 운전자는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만을 제어하도록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위치된 제어기의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하우징(20)은 사용위치로 또는 제1격납위치로 수동으로 회전된다. 하우징(20)이 가압되면, 회전부재(52A)는 코일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회전되며, 고정부재(51A)와 회전부재(52A) 사이의 볼(83)은 이동하여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으며 따라서 하우징(20)은 사용위치에서 고정된다. 신체 또는 물체가 하우징(20)에 접촉할 때 회전부재(52A)는 코일스프링의 압력에 대항하여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양쪽의 위치결정 유니트를 갖춘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20)은 고정부재(51)와 회전부재(52) 사이의 볼이 고정부재(51)내의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을 때 정지된다.
베이스(10)상에 형성된 돌출부가 회전부재(52)내에 형성된 오목부(57)내로 맞물려 있을 때 하우징(20)은 제1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제2격납위치에서, 베이스(10)의 돌출부가 하우징(20)내에 형성된 오목부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하우징(20)은 회전이 저지된다.
그렇지 않으면 베이스(10)상에 형성된 돌출부가 하우징(20)의 오목부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하우징(20)은 제1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저지되며, 베이스(10)상에 형성된 돌출부가 회전부재(52)내의 오목부(57)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하우징(20)은 제2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회전부재(52A)의 바닥부내에 형성된 57A로 표시된 오목부를 갖춘다. 예컨대, 차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제1도에 도시된 백미러에서,돌출부는 베이스(10)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오목부중의 하나는 회전부재(52,(52A))내에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오목부는 하우징(20)내에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가 회전부재내의 오목부(52(52A))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하우징(20)은 제1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돌출부가 하우징(20)내의 오목부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하우징(20)은 제2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부는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50(50A))의 고정부재(51(51A))상에 조립된 축과 동심인 가상원내에 놓여 있다. 돌출부(18)의 자유단은 하우징(20)의 바닥부까지 뻗어 있다. 오목부(57(57A))에 더하여, 또 다른 오목부(57'(57'A))는 오목부(57(57A))에 대향하는 위치내에서 회전부재(52(52A))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57(57A))는 각각 축과 동심인 가상원상의 원형 오목부의 한 끝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20)내의 오목부는 원형 오목부의 다른 하나의 끝으로서 또한 형성된 절단부이다. 회전부재(52(52A))의 오목부(57(57A))는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18)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원상의 위치내에 위치되어 있다. 하우징(20)내의 오목부는 하우징(20)이 제2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18)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원상의 위치내에 위치되어 있다. 고정부재(51)가 베이스(10)의 부분(15)에 연결되어 있을 때, 돌출부는 원형 오목부내에 있는 자유단을 갖추게 된다.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돌출부(18)는 회전부재(52)가 그 이상의 이동에서 정지되도록 회전부재(52)의 오목부(57)내로 맞물리게 된다. 하우징(20)이 제2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18)는 회전부재(52)의 그 이상의 어떤 회전이라도 저지되도록 오목부내로 맞물리게 된다.
좌측 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과 회전부재내의 오목부는 우측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하우징(20)과 회전부재(52)내의 오목부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20)은 사용위치내에 고정되어 우측 백미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격납위치내에서 회전이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백미러장치는, 자동차의 우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자동차의 좌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더하여 자동차의 스타일에 적합하고 자동차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자동차의 스타일에 적합하고 자동차의 좌측(도시되지않음)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의 우측 및 좌측 도어에 대해 전술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있어서, 하우징은 개구부, 시트 및 베이스에 면하는 부위내에 구비된 제1시트와 쌍으로 된 또다른 시트를 갖추고 있다. 한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이들 개구부와 시트는 또 다른 베이스-하우징 세트의 개구부 및 시트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시트에 대응하는 고정구를 회전부재에서 형성한다. 한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이들 고정구는 또 다른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고정구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각각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에 있어서도 또한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모우터-구동식 및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양쪽은 상술한 모든 베이스-하우징세트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도어 및 좌측 도어상에 설치하며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적합하게 된 모든 베이스-하우징 세트는 동일한 위치결정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위치결정 유니트는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으로 유일하게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 타입의 수량은 매우 감소될 수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는 절감된 총원가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위치결정 유니트는 양산될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 유니트의 제조원가는 더 절감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조립된 백미러에 있어서,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에 있는 하우징은 하우징내의 오목부와 돌출부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된다. 그래서 제1및 제2 격납위치 사이의 하우정의 각도범위내에서, 필요한 수량의 위치결정 유니트 타입을 더 감소시키게 하는 모든 차이를 조절하기 위해 특수한 위치결정 유니트는 사용되지 않아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제1 및 제2 격납위치 사이의 하우징 히전각도는 하우징의 회전중심 축선에 관련된 2개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부중 의 하나는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의 최대 회전 각도가 변화되면, 하우징내의 오목부의 위치는 변경되어야 하며, 하우징은 하우징의 최대 회전각도마다 생산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 하우징용으로 특수한 위치결정 유니트가 요구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 타입의 수량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에 관해서는, 타입의 수량은 하나까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제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50)의 조립된 상태가 제2도 내지 11도까지를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베이스(10)는 진술한 바와 같이 쌍방이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베이스 몸체(11)와 베이스커버(12)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은 베이스 커버(12)내의 개구부(16)내로 삽입되어 있으며 베이스 몸체(11)는 베이스(10)를 조립하도록 스크루(19)로 베이스커버(12)에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20)은 전면이 개방된 보통의 박스와 같은 형상으로 몰딩성형되어 있으며 그 재료는 또한 합성수지이다. 하우징(20)은 바닥으로 소용되며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에 면하는 원주(21)내에 형성된 개구부(22)를 가지고있다. 또한 하우징(20)은 개구부(22)의 대향하는 길이방향의 가장자리 뒤에 위치결정 유니트(50)가 고정되는 2개의 시트(23,24)를 형성하고 있다.
시트(23)가 개구부(22)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바닥으로 소용되는 원주(21)의 부위상에 위치되어 있는 한편 시트(24)는 개구부(22)의 다른 하나의 길이방향의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가로방향의 측면벽이 되는 원주(21)의 부위상에 위치되어 있다. 시트(23)의 정상부는 편평하며 시트(24)의 바닥부는 편평하다. 게다가 하우징(20)은 후부벽(25)에서 돌출된 스터드(도시되지 않음)을 가지고 있으며 후부벽(25)상에는 틸팅기구(40)가 고정되게 되어 있다.
미러 유니트는 미러와 미러 지지구로 구성되어 있다(도시되지 않음).미러 유니트는 볼 죠인트에 의해 틸팅기구에 설치되어 있다. 틸팅기구는 하우징(20) 내측스터드에 스크루로 고정식으로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는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기구와 이 기구의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져 있으며 고정부재(51)와 회전부재(52)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부재(51)는 보통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52)는 부재(53,54)로 구성된다.
이 부재(53)는 보통 정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박스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함께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58)과 브리지 시트(59)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브리지(60)는 브리지 시트(59)에 배치되어 고정되어 있다. 부재(53)는 한쪽 끝면에 돌출부를 그리고 다른 하나의 끝면 아래에 계단을 함께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가 하나의 고정구(55)로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이 계단은 또다른 고정구(56)로서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의 정상부와 계단의 바닥부는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다. 부재(54)는 바닥부가 개방된 중공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54)는 부재(53)와 함께 밀폐된 용기를 형성하도록 부재(53)의 정상부로 끼워지게 되어 있다. 부재(54)는 부재(52)의 가로방향의 측면상에 형성된 돌출부를 부재(54)의 내부벽내에 형성된 구멍안으로 끼움으로서 부재(53)에 연결되어 있다.
회전기구는 고정부재(51)와 일체식으로 형성된 중공의 축(64)을 갖추고 있다. 이 축(64)은 원주의 부분 위에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편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52)는 축(64)상에 끼워진 베어링(58)과 함께 고정부재(51)에 설치되어 있다. 축(64)은 기어(65)가 축(65)상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회전부재(52)를 넘어서 축의 일부에 끼워진 기어(65)를 갖추고 있다. 게다가, 기어(65)가 고정부재(51)사이에는 기어(65)와 함께 클러치를 형성하는 부재(66)가 구비되어 있다. 이 부재(66)는 기어(65)쪽으로 향한 끝면상의 폴(pawl)을 가진 보통의 링과 같은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66)는 중공의 축(64)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축(64)의 원주의 일부에 형성된 편평한 면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부재(66)에 면하는 기어(65)의 끝면내에는 부재(66)상의 폴이 내부에 맞물려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65)는 축(64)상에 장착되어 있어 부재(66)상의 폴은 오목부내에 맞물려 있다. 시트판(67)은 부재(66)와 고정부재(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판은 축(64)상에 끼워져 있는 동안은 고정부재(51)보다 높은 회전부재(52)의 일부분과 접촉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68)은 기어(51)와 축(64)의 자유단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69)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어(65)내의 오목부내의 부재(66)상의 폴의 맞물림을 유지하기 위해 그리고 기어(65), 부재(66) 및 시트판(67)을 회전부재(52)쪽으로 가압하기 위해 축(64)내에 삽입되어 있다.
모우터(71)는 브리지(60)내의 구멍을 통과한 구동축과 함께 브리지(61)상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축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에 의해 브리지(60)에서 돌기된 부분에 고정된 웜(73)을 갖추고 있다. 이 웜(73)은 브리지(60)밑에 배치되어 부재(55)내의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웜은 브리지(60)밑에 배치된 웜기어(76)와 맞물려 있다. 웜기어(75)의 축은 부재(53)내의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웜(75)의 축의 끝과 부재(53)사이에는 웜(75)의 추력하중을 지탱하는 볼(75A)이 구비되어 있다. 더구나, 축(78)은 브리지(60)와 부재(53)의 바닥벽을 건너서 배치되어 있으며 브리지(60)와 부재(53)의 바닥벽에 각각 구비된 베어링으로 지지된 대향한 끝을 가지고 있다. 기어 조립체(76)는 일체로 형성되고 서로 동심으로 형성된 웜기어와 스퍼 기어를 갖추고 구비되어 있다. 웜기어는 웜(75)과 맞물려 있다. 웜기어는 축(78)상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축(79)은 기어조립체(76)근처에 배치되어 있으며 브리지(60)내에 있고 부재(53)상에 있는 베어링에 의해서 각각 지지 되어 있다. 기어(77)는 축(79)상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이 기어(77)는 기어조립체(76)의 스퍼 기어 및 축(64)상의 기어(65)와 맞물려 있다.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을 사용위치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채꼴 오목부(81)는 축(64)과 동심인 회전부재(52)에 대향하는 고정부재(51)의 표면내에 형성되어 있다. 보올은 회전부재(52)내에 형성된 오목부(82)내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재(52)는 부채꼴 오목부(81)내에 배치된 볼(83)과 함께 축(64)상에 고정된 베어링(58)을 갖추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90)은 베이스 몸체(11)의 내부공간과 축(64)내의 구멍을 통과한다. 케이블(90)내의 약간의 와이어는 모우터(71)의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부재(54)내의 구멍을 통해 외부로 통하게 된다.
위치결정 유니트(50)를 하우징(20)내에 설치하기 위하여, 부재(54)내의 구멍을 통과한 케이블(90)의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고정부재(51)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 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결정 유니트(50)는 개구부(22)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시트(23)와 접촉된 부재(54)의 고정구(55)와 함께 하우징(20)내측에 놓여 있는 한편 고정구(56)는 개구부(22)의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에서 시트(24)와 접촉되어 있으며, 스크루(88)는 하우징(20)의 바닥부로부터 고정구(55) 및 시트(24)내로 죄어져 있고, 고정부재(51)는 베이스(10)의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내의 오목부(14)내로 끼워져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는 케이블(90)의 끝부(92)를 연결자를 통해 제어기에 접속시킴으로서 자동차 내측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배치된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백미러에 대한 이 실시예는 위치결정 유니트(50)가 하우징과의 사이에 어떤 상대적 변위 없이도 하우징내에 설치될 수 있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이것은 아래의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20)내의 개구부(22)는 길이방향의 벽들 사이의 폭(W)이 개구부(22)의 가장 바깥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감에 따라 더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3)는 하우징(20)의 바닥부 벽내의 개구부(22)의 한쪽 가장자리와 외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바닥부로 소용되는 하우징(20)의 원주(21) 부위의 내부면에서 돌출되어 있고 시트(24)는 개구부(22)의 대향하는 가장 자리의 상부부분에 위치되어 있으며 개구부(22)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시트(24)는 하우징(20)의 가로방향의 측면으로 소용되는 하우징(20)의 원주(21)의 부위의 내부벽상에 형성되어 있다. 시트(23)를 형성하는 돌출부의 정상부는 편평하고 시트(24)를 함께 형성하는 돌출부의 바닥부도 또한 편평하다. 고정구(56)와 이 돌출부에 인접한 회전부재(52)의 부위는 밑에서 보았을 때 형상이 개구부(22)와 비슷하다. 위치결정 유니트(50)를 하우징(20)내로 설치하기 위해서, 고정부재(51)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50)는 개구부(22)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시트(24)의 바닥부와 접촉된 회전부재(52)의 고정구(56)의 정상부와 함께 하우징(20)의 외부로 미끄럼 이동되어 있는 한편 고정구(55)의 바닥부는 개구부(22)의 대향한 가장자리에서 시트(23)의 정상부와 접촉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가 개구부(22)의 한쪽 측면에 집중하여 설치된 모우터, 기어열, 등등을 갖추고 있다 하더라도, 고정구(55,56)는 위치결정 유니트(50)에 의해 발생된 모우멘트로 인하여 시트(23,24)에 각각 가압된다. 게다가 개구부(22)의 길이방향의 벽들 사이의 폭(W)은 개구부(22)의 가장 바깥의 가장자리의 내부로 감에 따라 더 크며, 개구부벽들 사이에 끼워져 있는 부재(53)의 부위는 형상이 하우징(20)의 개구부(22)에 비슷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내로 테이퍼-끼움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50)는 하우징과의 사이에 어떤 상대적 변위없이도 하우징(20)내에서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의 시트(23)는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며 시트(24)는 내부에 형성된 스크루구멍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52)의 고정구(55)(계단부분)는 내부에 형성된 나사식 구멍(53')을 가지며 고정구(56)(돌출부)는 내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스크루(88)는 회전부재(52)를 하우징(20)에 고정시키도록 관통구멍을 통해서 내부나사식 구멍 안으로 각각 죄어져 있다. 내부 나사식 구멍(53')은 고정구(55)상에 일정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내부 나사식 구멍(53')은 수량이 4개이다. 하우징(20)의 시트(23)내의 관통구멍이 자동차의 스타일에 대응하여 변화된 하우징(20)의 형상으로 인하여 위치의 변화가 되어야 한다 하더라도, 하우징(20)내에 동일한 위치결정유니트(50)를 설치하는 것은 관통구멍과 동일한 피치 또는 정수로 곱셈하여 발생되는 피치에서 관통구멍을 형성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하우징(20)은, 웜(73), 웜기어(74), 웜(95) 및 기어 조립체(76)를 회전시키도록 하며 기어(77)를 기어 자체의 축상에서 그리고 기어(65) 주위를 회전시키도록 모우터(71)를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하우징(20)을 축(64)주위에서 회전시키거나 또는 기어(77)을 기어(77)자체의 축선상에서 그리고 기어(65)주위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모우터(71)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된다. 하우징(20)이 사용위치로 회전될 때 회전부재(52)에 의해 지탱된 볼(83)은 이동되며 하우징(20)의 그 이상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7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내의 부채꼴 오목부(81)의 각각의 끝과 맞닿는다. 따라서, 모우터(71)는 작동이 정지되며 하우징(20)은 여기에 고정된다. 게다가, 예컨대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로의 방향으로 수동에 의해 회전될 때,한편으로 모우터(71)는 정지되며, 기어(72,77)로 구성되는 기어열은 웜(73)과 웜기어(74)의 존재로 인해 회전이 저지되어 기어(65)와 함께 클러치를 형성하는 부재(66)는 회전될 수 없다. 그래서 기어(65)는 회전부재(52)와 함께 축(64)주위를 회전하며 부재(66)에 대하여 미끄럼이동된다. 부재(66)상의 폴은 기어(65)내의 오목부로부터 이탈되어 회전부재(52)는 하우징(20) 및 미러 유니트(30)와 함께 축(64) 주위를 회전한다. 신체 또는 물체가 격납위치에서 하우징(20)에 접촉되거나 또는 부딪칠 때, 기어(65)는 기어열내의 기어(72 내지 77)와 부재(66)가 서로 로크되기 때문에 회전부재(52)와 함께 축(64)주위를 회전하며, 따라서 부재(66)의 폴은 기어(65)내의 오목부로부터 이탈된다. 기어(65)는 회전부재(52)와 함께 회전하며, 볼(83)은 제7도에서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1)의 표면상으로 오목부(81)의 끝을 타고 있어, 회전부재(52)는 하우징(20)과 함께 제2격납위치로 축(64) 주위를 회전한다. 신체 또는 물체가 대향하는 측면에서 하우징(20)에 부딪힐 때, 볼(83)은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는 결과를 가지고서 제7도에서 1점쇄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81)의 틈새에 맞닿지는 않을 것이다.
제1및 제2격납위치에서, 하우징(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52)내의 오목부(57)또는 하우징(20)내의 오목부(27)내로 맞물린 베이스(10)의 돌출부(18)와 함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3도및 제6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18)는 하우징(20)의 회전 중심축선과 동심인 가상원상의 위치에서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결정 유니트(50)가 하우징(20)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구(55,56)가 하우징(20)의 시트(23,24)와 각각 접촉되어 있을 때 회전부재(52)는 하우징(20)의 바닥부와 거의 동일한 평면내에 놓이는 바닥면(62)을 가지고 있다. 부재(53)와 하우징(20)은 돌출부(18)의 자유단이 내부에 맞물리게 되는 오목부(57,27)를 각각 바닥부내에 형성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57)는 부재(53)의 가로방향의 측면내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오목부(27)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57,27)는 위치결정 유니트(50)가 하우징(20)내에 설치되어 있을 때 돌출부(18)가 또한 뒤에 놓이는 동일 원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8도는 부재(53)의 바닥면을 도시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재(53)는 또한 바닥부에 형성된 분리부(63)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20)은 개구부(22)의 가로방향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오목부(28)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28)와 분리부(63)는 돌출부(18)가 오목부(57)와 오목부(27)사이에서 이동되는 원형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오목부(57,27)를 서로 연결시킨다. 따라서 회전부재(52)가 하우징(20)과 함께 제1격납위치로 회전될 ㄸ, 돌출부(18)의 한쪽끝은 오목부(57)내로 삽입된다.
회전부재(52)가 하우징(20)과 함께 제2격납위치로 회전될 때, 돌출부(18)의 다른 한쪽끝은 오목부(27)내로 삽입된다. 베이스(10)를 고정부재(51)에 설치하기 위하여, 돌출부(18)의 끝은 오목부(27,57), 분리부(63), 및 오목부(28)에 의해 형성된 원형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은 스크루(89)를 외측으로부터 베이스(10)의 부분(13)을 통해 고정부재(51)내로 죄어 들게 함으로서 고정부재(51)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0)이 제1격납위치로 회전될 때, 돌출부(18)는 회전부재(52) 그리고 따라서 하우징(20)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52)내의 오목부(57)내로 삽입된다. 하우징(20)이 제2격납위치로 회전될 때, 돌출부(18)는 회전부재(52)와 하우징(20)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0)내의 오목부(27)내로 삽입된다. 제1격납위치와 제2격납위치 사이에서 상이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돌출부(18)의 원주폭 또는 오목부(57)의 깊이는 변화될 수도 있다.
게다가, 회전부재(52)는 회전부재(52)를 통한 길이방향의 중심축선에 대한 오목부(57)에 대칭으로 형성된 또다른 오목부(57')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부(57')는 위치결정 유니트(50)가 좌측 백미러의 베이스 및 하우징의 한 세트로 사용될 때 제1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게 되어 있다. 이 오목부(57')로 인해, 예컨대 하우징(20)의 스타일이 자동차 차체와 균형을 이루기 위하여 하우징(20)의 회전중심축선과 하우징(20)의 전면 사이의 거리(D1)가 하우징(20)의 회전중심축과 하우징(20)의 배면 사이의 거리(D2)보다 짧도록(D1D2) 하우징(20)이 설계되어 있다 하더라도 위치결정 유니트(50)는 하우징(20)내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도 내지 제10도에서와 같이 하우징(20)의 회전중심축과 하우징(20)의 전면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D1D2)에는, 오목부(28)는 하우징(20)의 절반중 앞부분내에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거리가 짧으면(D1D2), 오목부(28)는 하우징(20)의 절반중 앞부분내에 형성될 수 없다. 이 백미러의 회전부재(52)내의 오목부(57)에 대칭으로 형성된 오목부 때문에, 오목부(27,28)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회전중심축과 하우징의 배면 사이의 거리가 길어서(D1D2), 하우징이 제1격납위치로 회전될 때, 돌출부(18)가 오목부(57')에 대응하는 오목부내로 삽입되는 하우징의 절반중 후부분내에서 후자에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50)는 얇은 하우징내로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모우터의 구동으로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로 회전되며 모우터는 쌍방이 제어기내에 포함된 회로의 제어하에, 이 위치에서 하우징(20)과의 작동이 정지된다. 이 회로는 예컨대, 일본 실개평 4-76196호의 개시에서 잘 알려져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는 바테리(C), 회전식 스위치(94), 릴레이(95), 플러스 온도계수 서미스터, 등등을 포함한다. 하우징(20)은 운전자가 스위치(94)를 작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스위치(94)가 접점(A1,B2)으로 전위될 때, 전류는 축전기(96)를 통해서, 모우터(71)가 작동되도록 접점(98)이 차례로 폐쇄될 릴레이(95)의 릴레이 코일(97)로 흐른다. 하우징(20)이 모우터(71)의 구동으로 사용위치로 회전될 때, 회전부재(52)내의 볼(83)은 이동되어 부채꼴 오목부(81)의 끝에 맞닿으며, 모우터(71)에 걸리는 부하는 증대되고 증대된 전류는 플러스 온도 계수 서미스터(96)를 통해서 흐른다. 서미스터(96)내의 온도는 상승하며 서미스터(96)의 내부 저항도 또한 급속히 상승하여 릴레이 코일(97)을 통한 전류는 감소되어 릴레이(95)의 접점(98)은 개방된다. 따라서, 모우터(71)는 작동이 정지된다. 스위치(94)가 접점(B1,A2)으로 전위될 때 전류는 역류될 것이다. 릴레이(85)의 접점(98)은 폐쇄되며, 모우터(71)는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따라서 하우징(20)은 사용위치로부터 제1격납위치로 회전된다.
베이스(10)의 돌출부(18)가 회전부재(52)의 오목부(57)내로 맞물려 들어갈 때 모우터(71)에 가해지는 부하는 증대되며 증대된 전류는 플러스 온도계수 서미스터(96)을 통해서 흘러 서미스터(96)의 내부온도는 상승하고, 서미스터(96)의 내부저항도 또한 급속히 상승하여 릴레이(96)의 접점은 개방된다. 따라서 모우터(71)는 작동이 정지된다.
제12도 내지 제16도는 하우징(20)에 대한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50A)의 설치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위치결정 유니트(50)는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백미러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베이스(10)를 가지고 있다. 이 베이스(10)는 베이스 몸체(11)와 베이스(12)로 구성된다. 이 베이스 몸체(11)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미러(31)와 미러 지지구(32)로 구성된 미러 유니트는 하우징(20)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미러 유니트는 하우징(20)내의 틸팅기구(4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 미러 유니트는, 틸팅기구(40)에 의해 요망된 방향으로 경사진다.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을 회전시키게 하는 기구와 이 기구의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고정부재(51A)와 회전부재(52A)로 구성된다. 고정부재(51A)는 판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52A)는 보통 판과 같이 형성된 단일부재로 구성되며 중심에서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58A)을 갖추고 있다. 회전부재(52A)는 위치결정 유니트(50A)가 하우징(20)에 연결된 고정구(55A,56A)를 대향하는 끝에 각각 형성하고 있다. 이들 고정구(55A,56A)는 치수와 형상이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우니트(50)의 고정구(55,56)와 동일하다.
회전기구는 고정부재(51A)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의 축(64A)을 갖추고 있다. 고정부재(51A)는 베어링(58A)내에 끼워진 축(64A)을 가진 회전부재(52A)에 고정되어 있다. 코일스프링(68A)은 축(64A)에서 돌출하는 회전부재(52A)의 한 부분상에 끼워져 있다. 이 코일스프링은 회전부재(52A)를 시트판(67A)에 의해 고정부재(51A)쪽으로 가압하도록 축(64A)의 끝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구(69A)에 의해 압축된다. 게다가, 부채꼴 오목부(81A)는 고정부재(51A)내에 축(64A)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52A)는 부채꼴 오목부(81A)내에 배치된 볼(83A) 또는 절반 볼을 가진 축(64A)상에 끼워져 있다. 케이블(90A)은 베이tm몸체(11)의 내부공간과 축(64A)내의 구멍을 통과한다.
위치결정 유니트(50A)를 하우징(20)내에 설치하기 위해, 케이블(90)의 끝(93A)은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에 고정부재(51A)는 하우징(20)의 개구부(22)내측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내측에 놓여 있으며, 고정구(55A)는 개구부(22)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시트(23)와 접촉되게 놓여 있는 한편 고정구(56A)는 시트(24)와 접촉되게 놓여 있고,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제위치내에 수평으로 미끄럼이동되어 있으며 그 다음에 회전부재(52A)는 스크루(88) 또는 그 종류의 다른 것으로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51A)는 베이스(10)의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내의 오목부(14)내로 끼워져 있으며 다음에 베이스 몸체(11)의 부분(13)은 스크루(89)로 고정부재(51A)에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연결자에 의해 케이블(90A)의 끝(92A)을 제어기에 접속시킴으로서 자동차내의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는 틸팅기구(40)내의 모우터의 작동만을 제어하도록 의도되어 있다.
또한 백미러에 대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구(55A)가 시트(23)에 고정되어 있는 방향은 고정구(56A)가 시트(24)에 고정되어 있는 방향에 대향으로 되어 있음으로 이에 따라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에 고정되었을 때 회전될 수 없다. 하우징(20)내의 개구부(22)는 길이방향의 벽들 사이의 폭이 개구부(22)의 가장 바깥 가장자리에서 내부로 감에 따라 더 크게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의 벽과 접촉되어 있는 회전부재(52)의 부위는 형상이 개구부(22)의 벽에 대해 상사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50A)는 개구부(22)내로 테이퍼-끼워맞춤되어 있으며 개구부와 하우징 사이에 어떤 백래시(backlash)도 없이 하우징(20)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구(55A)는 위치결정 유니트(50A)를 하우징(20)에 고정시키도록 복수의 스크루 구멍을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20)의 형상이 자동차의 스타일에 대응하여 변화되기 때문에 하우징(20)의 시트(23)내의 관통구멍의 위치가 변화되어야 한다 하더라도 동일한 위치 결정 유니트(50A)는 하우징(20)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수동에 의한 압력에 따라 회전된다. 하우징(20)은 사용위치 또는 제1격납위치쪽으로 축(64A) 주위를 회전한다. 하우징(20)이 사용위치로 회전됨에 따라 볼(83A)은 이동하여 하우징(20)을 그 이상의 회전에서 제한하도록 부채꼴 오목부(81A)의 끝과 맞닿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20)을 그 자리에 유지시킨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에서 하우징(20)에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힐 때, 하우징은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하우징(20)이 제2격납위치쪽으로 회전됨에 따라, 볼(83A)은 부채꼴 오목부(81A)의 끝 위를 타고 넘어서 고정부재(51A)의 표면 위를 탄다. 볼(83A)은 고정부재(51A)의 표면상에서 구른다. 또한 이 백미러에 있어서, 각각의 격납위치에 있는 하우징은 베이스(10)상의 돌출부(18)가 회전부재(52A)내의 오목부(57A)내로 또는 하우징(20)내의 오목부(27)내로 맞물려 있을 때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백미러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회전부재(52A)내의 오목부(57A)는, 분리부(63A)와 하우징(20)내의 오목부(27,28)와 함께 돌출부(18)가 따라서 이동되어 하우징(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때 돌출부(18)가 오목부(57A)내로 맞물려 들어가며 그리고 하우징(20)이 제2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때 돌출부(18)가 하우징(20)내의 오목부(27)내로 맞물려 들어가는 원형 오목부를 형성한다. 하우징(20)이 신체 또는 물체에 의해 제1격납위치로 가압되거나 또는 부딪히게 됨에 따라 회전되었을 때, 돌출부(18)는 회전부재(52A)가 그 이상의 회전에서 저지되도록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52A)내의 오목부(57A)내로 맞물게 된다.
제17도는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장치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7도에서, 참조숫자(110)는 베이스몸체(111)와 베이스 커버(112)로 구성되는 베이스를 표시한다. 이 베이스 몸체(111)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고정시키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참조 숫자(120)는 미러와 미러 지지구로 구성되는 미러유니트(130)가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을 표시한다. 이 미러 유니트(130)는 미러유니트(130)가 용망되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는 틸팅기구에 의해 하우징(120)을 지지한다. 이 도어 미러장치용의 하우징 위치결정 유니트는 모우터-구동식 타입과 수동식 타입을 포함한다. 제17도는 모우터에 의해 하우징(120)을 회전시키는 모우터-구동식 타입의 위치결정 유니트(150)만을 도시한다. 이 위치결정 유니트(150) 또한 하우징(120)과 베이스(110) 사이에 설치되게 되어 있으며 하우징(120)을 사용위치, 제1및 제2 격납위치로 회전시킨다.
제1도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백미러 장치에서와 같이, 베이스(110)는 그 한쪽 아암이 베이스 몸체(111)이며 다른 하나는 베이스 커버(112)인 보통의 브래킷과 같은 또는 L형상을 갖도록 형상이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 몸체(111)는 베이스(110)를 성하도록 베이스 커버(112)의 개구부(116)를 통과하게 되어 있으며 베이스(112)의 부분(117)에 배치되는 한부분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120)은 전면이 개방된 얕은 박스의 보통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은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수용되어 있는 챔버(129)를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이 챔버(129)는 하우징(120)의 가로방향의 측면으로서, 하우징(120)의 후부변(125)의 한 부분으로서,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후부벽에 거의 평해인 벽과 하우징(120)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대체로 평행인 벽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20)의 내측에 놓인 L형상의 벽(1291)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정상부에 거의 평행인 하우징(120)의 내측에 놓인 벽(1292)으로 소용되는 하우징(120)의 원주(121)의 한 부위로 형성되어 있다. 챔버(129)는 하우징(120)의 바닥부로 소용되는 하우징 원주(121)의 한 부위내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통해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더구나 하우징(120)은 후부벽(125)를 일체로 형성하며 틸팅기구(140)가 고정되는 챔버(129) 스터드(126)을 형성하는 벽부분에서 이격되어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4개의 스터드(126)는 각각의 내면이 나사식인 실린더로 구비되어 있다.
미러 유니트(130)는 미러(131)와 미러(131)가 고정되는 미러 지지구(132)로 구성된다.
미러 지지구(132)는 구 형상의 시트(141), 코일스프링(134), 볼(133), 세트 스크루(135)등등으로 구성된 볼 조인트로 틸팅기구(140)에 설치되어 있다. 틸팅기구(140)는 스크루(187)로 하우징(120)내의 스터드(126)에 고정되어 있다. 틸팅기구(140)는 2개의 로드(142,143), 로드를 전후로 독립적으로 구동시키는 모우터, 감속기어, 등등을 결합시킨다.
모우터중의 하나는 미러 지지구(132)가 볼 조인트 주위를 수직으로 회전하도록 미러 지지구(132)의 배면의 하부를 차례로 가압하는 로드(14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한편 다른 하나의 모우터는 미러 지지구(132)가 볼 조인트 주위를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미러 유니트(130)를 요망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미러 지지구(132)의 배면의 가로방향의 부분을 차례로 가압하는 로드(143)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위치결정 유니트(150)는 하우징(120)을 사용위치, 제1및 제2격납위치로 회전시키는 기구와 회전기구를 받치고 있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베이스(1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51)와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회전부재(152)로 구성된다. 이 고정부재(151)는 보통 형태의 판을 갖추고 있다. 이 회전부재(152)는 부재(153)와 이 부재(153)에서 분리가능한 부재(154)로 구성된다. 이 부재(153)는 정상부가 개방된 보통 형태의 중공의 박스를 갖추고 있다. 이 부재(154)는 바닥부가 개방된 중공의 박스의 보통 형태를 갖추고 있다.
즉, 부채(154)가 부재(153)의 정상부상에 놓일 때 이 부재들은 함께 용기를 형성한다. 또한 이들의 형상과 치수는 하우징(120)의 챔버(129)내에 억지끼워맞춤되게 되어 있다. 회전 기구는 용기내에 조립되어 있으며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제1도 또는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백미러의 위치결정 유니트(50)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위치결정 유니트(150)내의 회전기구는 고정부재(151)내의 축, 클러치에 의해 축상에 설치된 기어, 회전부재(152)내에 조립된 모우터, 모우터와 축을 서로 연결시키는 기어열, 등등으로 구성된다. 모우터는 하우징(120)을 회전부재(152)와 함께 사용위치와 제1격납위치로 회전시키기위해 작동된다. 하우징(120)이 수동으로 가압되거나 또는 신체 또는 물체가 하우징(120)에 접촉되거나 또는 부딪쳐서 한편으로 모우터의 작동이 정지될때, 하우징(120)과 회전부재(152)는 제1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부채꼴 오목부는 회전부재(152)에 면하는 고정부재(157)의 표면에서 축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볼은 고정부재(151)에 면하는 부재(153)의 표면상에 지지되어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절반 볼은 부재(153)의 표면상에 부재(153)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볼은 부채꼴 오목부내에 각각 수용되어 있다. 축과 회전부재(152)는 이들 볼과 절반 볼에 의해 고정부재(151)상에 지지되어 있다.
볼 또는 절반 볼이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을 때, 하우징(120)은 사용위치에 위치된다.
케이블(190)은 축을 통해 회전부재(153)내로 통해 있다. 케이블(90)의 약간의 와이어는 회전기구내의 모우터에 접속되어 있는 한편 다른 나머지는 회전부재(152)를 형성하는 부재(154)상의 연결자(193)에 접속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를 하우징(120)내에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케이블(91)이 회전부재(152)상의 연결자(193)와 틸팅기구(140)내의 모우터에 접속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의 바닥부내의 개구부(122)를 통해 챔버(129)내로 삽입된 하우징(120)에 고정되어 있고, 스크루(189)는 고정부재(151)를 베이스(110)에 연결시키기 위해 베이스(111)의 부분(113)과 베이스 커버(112)의 부분(15)을 통해 고정부재(151)내로 죄어져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를 하우징(12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접착제를 챔버(129)의 내부벽 또는 회전부재(152)의 외부표면에 도포하여 회전부재(152)는 챔버(129)내로 삽입되어 있다. 접착제가 경화되었을때 위치결정 유니트(150)는 하우징(12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백미러에서,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상에 형성된 돌출부(1293)와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지지부를 형성하는 회전부재(152)상에 형성된 오목부(1531)로 인하여 하우징(120)에 또한 고정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하우징(120)의 챔버(129)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1292)는 오목부(1531)로 인하여 하우징(120)에 또한 고정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하우징(120)의 챔버(129)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1292)는 오목부(1531)내로 맞무려 들어감으로서 위치결정 유니트(150)를 챔버(129)내에서 유지하도록 하며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위치결정 유니트(150)를 적소에 유지하게 한다. 게다가 회전부재(152)가 하우징(120)의 챔버(129)내로 삽입되어 있을 때 고정부재(151)와 베이스(110)의 베이스 몸체(111)를 서로가 정확한 관계로 유지되게 하기 위해서, 위치결정 유니트(150)는 회전부재(152)의 다양한 끝에 형성된 돌출부(155,156)를 갖추고 있으며 하우징(120)은 챔버(129)의 바닥부내의 개구부(122)의 대향한 가장자리에 돌출부(155,156)가 걸리게 되는 계단을 형성한다.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하우징(120)의 챔버(129)내로 들어갈 때 돌출부(155,156)는 회전부재(152)와 챔버(129) 사이에 어떤 수직 백래시도 방지하도록 계단에 맞닿는다. 챔버(129)는 챔버(129)이 수평부위의 외형선이 회전부재(152)의 외형선에 대응하도록 형성됨으로서 회전부재(152)가 그들 사이에 어떤 수평 방향의 백래시도 없이 챔버(129)내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자동차의 좌측 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를 형성하는 베이스(도시되지 않음)는 앞에서 설명된 백미러(우측 도어상에 설치되는)의 하우징(120) 및 베이스(110)와 대칭으로 설계되어 있다. 또한 이 백미러에 있어서, 위치결정 유니트(150) 또는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를 하우징의 챔버내로 삽입함으로서 그리고 고정부재를 베이스 몸체에 볼트로 체결시키는 동안 회전부재를 하우징에 접착제로 고정시킴으로서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들 백미러를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 베이스(110)의 베이스 몸체(111)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게 되어 있으며 케이블(190)의 끝(192)은 자동차내에 구비된 제어기의 연결자에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제어기는 자동차내의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비치되어 있는 제어기의 운전자에 의한 스위치 작동을 통해 위치결정 유니트의 모우터와 틸팅기구의 모우터를 제어한다. 하우징(120)은 제1 격납위치로부터 사용위치까지 다음과 같이 회전한다. 모우터가 작동될 때, 축상의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열의 기어는 축 자체의 축선상에서 회전되며 축기어와 맞물려 있는 동안 축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한다.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과 함께 축 주위를 회전한다. 하우징(120)을 제1 격납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모우터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축상의 기어는 축 자체의 축상에서 그리고 충상의 기어 주위를 쌍방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가 함께 회전한다. 모우터가 정지되고 있는 동안 하우징(120)이 강력하게 가압되면, 클러치는 고정부재(151)로부터 축상의 기어를 단절시키며 회전부재(152)는 사용위치와 제1 격납위치 사이에서 축상의 기어와 함께 축 주위를 회전한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내에서 하우징(120)에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칠 때, 클러치는 회전부재(152)로부터 축상의 기어를 단절시키며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과 함께 축 주위를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한다.
제1도 및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백미러와 같이, 하우징(120)은 고정부재(151)내의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는 회전부재(151)와 고정부재(152) 사이에서 볼에 의해 사용위치내에서 유지된다. 각각의 격납위치에서 하우징(120)의 회전을 저지시키기 위하여, 돌출부(118)는 베이스(110)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 오목부는 축과 동심인 가상원 상에서 회전부재(152)와 하우징(120)의 바닥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격납위치내의 하우징(120)은 회전부재(152)내에 형성되었으며 원형 오목부의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120)은 하우징(120)내에 형성되었으며 원형 오목부의 다른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이에 반하여, 제1 격납위치내의 하우징(120)은 하우징(120)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 오목부의 다른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120)은 회전부재(152)내에 형성되었으며 원형 오목부의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회전부재(152)내의 오목부(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1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돌출부(118)가 이동되는 전술한 가상원상의 위치에 그리고 회전부재(152)의 가로방향의 바닥부분에 위치되어 있으며, 하우징(120)내의 오목부는 하우징(1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돌출부(118)가 이동되는 가상원상의 위치에 그리고 하우징(120)내의 개구부(122) 주위의 위치에 또한 위치되어 있다. 사용위치와 제1 격납위치에서 모우터는 다음과 같이 작동이 정지된다. 즉, 하우징(120)이 이 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되었을 때 모우터에 걸리는 부하는 증대되며 증대된 전류는 모우터를 통해 흐른다. 모우터 전류의 이 증대는 회전기구내에 구비되어 있는 제어기의 회로내의 플러스 온도계수 서미스터에 의해 검출된다. 이 서미스터는 모우터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는 릴레이를 켠다. 또한 좌측 도어상에 사용하고자 하며 동일한 위치결정 유니트(150)를 사용하는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120)은 사용위치내의 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쌍방이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2 개의 격납위치의 각각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하우징에 대한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예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치수와 형상이 하우징(120)용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150)와 동일한 회전부재를 갖추고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제1도 및 제12도 내지 제16도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백미러의 회전유니트(150)에서와 같이 회전기구는 회전부재를 지지하도록 고정부재상에 구비된 축, 회전부재를 고정부재에 가입하도록 축상에 끼워진 코일스프링, 회전부재에 면하는 고정부재의 표면에서 축과 동심으로 형성된 한쌍의 부채꼴 오목부, 이 부채꼴 오목부내에 각각 구비되었으며 회전부재에 의해 지지된 불, 또는 회전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절반 볼, 등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20)을 각각의 격납위치에서 지지하기 위해서, 베이스(10)상에 구비된 돌출부(118)와 회전부재 및 축과 동심인 가상원상이 하우징(120)내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 오목부는 결합하여 사용된다. 예컨대, 제1 격납위치에서의 하우징(120)은 회전부재내에 형성되었으며 원형 오목부의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베이스 몸체(110)상의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120)은 하우징(120)내에 형성되었으며 원형 오목부의 다른 한쪽 끝을 형성하는 오목부내로 맞물린 돌출부(118)와의 회전이 저지된다. 자동차의 좌측 도어상에 사용되는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과 회전부재내의 오목부는 우측도어 백미러의 하우징과 회전부재내의 오목부와 대칭으로 있으며 하우징은 사용위치내에 유지되고 있고 우측 도어 백미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각각긔 겹납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백미러장치는 자동차의 우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자동차의 좌측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더하여 자동차의 스타일에 적합하며 자동차의 우측에 설치되는 복수이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자동차의 스타일에 적합하고 자동차의 좌측(예시 되지 않음)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차의 우측 및 좌측 도어용의 전술한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있어서, 베이스-하우징 세트의 하우징내에 형성된 챔버는 치수와 형상이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각각의 모우터-구동식 및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내의 각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는 형상과 치수가 하우징내의 챔버내로 억지끼워맞춤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우터-구동식 및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의 어느쪽도 전술한 모든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설치될 수 있다. 우측 도어, 좌측 도어에 설치하며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적합한 모든 베이스-하우징 세트는 동일 위치결정 유니트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위치결정 유니트는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으로 유일하게 구성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위치 결정 유니트의 타입의 수량은 극도로 감소될 수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는 감소된 총원가로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위치결정 유니트는 양산이 될 수 있으므로 위치결정 유니트의 제조원가는 더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수동식 또는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접착제를 지지부 또는 챔버(129)의 내부벽에 미리 도포함으로서 그리고 지지부를 챔버(129)내로 삽입함으로서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그래서 회전기구는 손상되지 않을 수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는 하우징(120)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고 따라서 용이하게 자동화될 수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하우징(120)에 설치함에 있어서, 돌출부(1293)는 지지부내의 오목부(1531)내로 맞물린다.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는 위치결정 유니트를 체결시키기 위해서 인력이나 또는 어떤 지구도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하우징(120)에 위치결정 유니트를 설치하는 것은 보다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다 용하게 자동화될 수 있다.
더구나, 각각의 조립된 백미러에 있어서, 격납위치중의 하나에 있는 하우징은 돌출부와 하우징내의 오목부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그래서 요구되는 수량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타입을 더 감소시키게 하는 제1 격납위치와 제2 격납위치 사이의 하우징의 각도범위의 어떤 차이라고 조절하는데 특수한 위치결정 유니트는 사용되지 않아도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1 격납위치와 제2 격납위치 사이의 하우징 회전각도는 하우징의 회전중심축선에 대한 2개의 오목부에 의해 형성된 각도에 좌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목부중의 하나는 각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내에서 형성된다. 하우징 회전의 최대각도가 변화하면, 하우징내의 오목부의 위치는 변경되어야 하며 하우징은 하우징 회전의 최대각도마다 생산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하우징용으로 특수한 위치결정 유니트는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의 타입에 대한 수량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에 관해서는, 이 타입의 수량은 하나까지 감소될 수 있다.
이제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조립된 상태가 제18도 내지 제20도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베이스(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쌍방의 합성수지를 몰딩 성형함으로서 제조된 베이스 몸체(11)와 베이스 커버(112)로 구성된다. 베이스 몸체(111)의 부분(113)은 베이스 커버(112)내의개구부(116)내로 삽입되며, 베이스 몸체(111)는 베이스(110)를 구성하기 위해 스크루(119)로 베이스 커버(112)에 연결된다. 또한 하우징(120)은 가로방향의 측면이 개방된 보통의 박스와 같은 형상으로 몰딩 성형되어 있으며 그 재료는 또한 합성수지이다. 챔버(129)는, 하우징(120)의 가로방향의 측면, 하우징(120)의 후부벽(125)의 부분,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었으며 하우징(120)의 후부벽에 거의 평행인 벽과 하우징(120)의 가로방향의 측면에 대체로 평행인 벽으로 구성되는 하우징(120) 내측에 놓인 L-형상의 벽(1291), 및 하우징(120)과 일체로 형성되었으며, 벽 (1291)의 정상부를 폐쇄시키는 하우징(120)의 정상부에 거의 평행인 하우징(120) 내측에 놓인 벽(1292)으로 소용되는 하우징(120)의 원주(121)이 부위에 의해 형성된다. 베이스 몸체(111)의 부분(113)에 면하는 챔버(1291)이 부위는 하우징(120)의 바닥부로 소용되는 하우징(120)의 원주(121)의 부위내에 형성된 개구부(122)를 통해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계단(123 124)은 하우징 바닥부 근처에 있는 개구부(122)의 대향한 가장자리 위에 형성되어 있어, 그중 하나는 하우징 가로방향의 측면에 면하여 챔버(129)를 형성하는 벽(1291)의 하부에 있으며, 다른 하나는 하우징 가로방향에 대한 하우징 원주(121)의 하부에 있다.
미러 유니트는 하우징(120) 내부의 적소(도시되지 않음)에 배치되어 있다. 이 미러 유니트는 볼조인트를 가진 틸팅기구에 의해 하우징(120)내의 부위(도시되지 않음)내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151)와 회전부재(152)로 구성되는 지지부를 갖추고 있다. 고정부재(151)는 대체로 판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152)는 부재(153)와 이 부재(153)에서 분리가능한 부재(154)로 구성된다. 부재(153)는 정상부가 개방된 보통의 중공의 박스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향한 길이방향의 끝이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55,156), 내부가 일체로 형성된 브리지 시트(159) 및 또한 바닥부내에 형성되었으며, 회전기구의 축이 통과하는 구멍을 갖추고 있다. 브리지(160)는 모우터, 모우터용의 구동회로를 가진 프린트 배선기판, 등등을 내부에 설치하게 되어 있으며 브리지 시트(159)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다른 부재(154)는 부재(153)와 함께 용기를 형성하도록 브리지 시트(159)의 개구부내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부재(154)는 바닥부가 개방된 보통의 박스와 같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상부에 설치된 연결자(193)를 갖추고 있다.
회전기구는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전술한 위치결정 기구(50)의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164)은 중공상태이며 원주의 일부상에 형성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편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 축은 고정부재(1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152)는 축(164)상에 끼워져 있으며 고정부재(151)에 조립되어 있다. 기어(165)는, 회전부재(152) 외부에 있는 축의 한부분상에 끼워져 있다. 이 기어는 축(164)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게다가, 기어(165)와 함께 클러치를 형성하는 부재(166)는 기어(165)와 고정부재(15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시트판(167)은 부재(166)아 고정부재(151)사이에 배치되어있다. 시드판(167)은 축(164)상에 끼워져 있다. 더욱이, 코일스프링(168)은 기어(165)와 축(164)의 자유단에 고정된 스프링 리테이너(169) 사이에 베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168)은 기어(165)내에 형성된 오목부내의 클러치 부재(166)의 폴의 맞물림을 유지하게 하는 한편 기어(165), 부재(166) 및 시트판(167)을 회전부재(152)쪽으로 가압하게 축(164)상에 끼워져 있다. 모우터(171)는 브리지(160)내의 구멍을 통해 관통한 축과 함께 브리지(160)에 고정되어 있다. 웜은 웜과 축부분 사이에 배치된 커플링과 함께 브리지(160)에 돌출하는 모워터축의 일부분상에 고정되어 있다. 이 웜은 브리지(160) 밑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어링으로 부재(153)내에 지탱되어 있고, 브리지(160) 밑에 배치된 웜기어와 맞물려 있다. 이 웜기어는 또다른 웜의 축상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어 조립체는 제2 웜과 기어(165)와 맞물려 있는 스퍼 기어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8도는 기어열내의 기어 조립체(177)와 기어 조립체(177)의 축(178)만을 도시한다. 하우징(120)을 사용위치내에 유지하는 부채꼴 오목부(181)는 축(164)과 동심으로 회전부재(152)의 부재에 대향하는 고정부재(151)의 표면내에 형성되어 있다. 볼(183)은 회전부재(152)내의 오목부(182)내에 유지되어 있다. 회전부재(152)는 부채꼴 오목부(181)내에 놓인 볼(183)과 함께 축(164)상에 끼워져 있다. 케이블(190)은 베이스 몸체(111)의 내부공간과 축(164)내의 구멍을 통과하며, 케이블(190)의 약간의 와이어는 모우터(171)용의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부재(154)이 정상부 벽상에 위치된 연결자(193)에 접속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서, 예컨대, 우선 케이블(191)은 연결자(193)와 틸팅기구내의 모우터에 접속되며 위치결정 유니트(150)이 회전부재(152)는 챔버(129)내에 삽입되어 하우징(120)에 고정되는 한편 연결자(193)는 챔버(129)를 형성하는 정상부 벽(1292)내의 구멍안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회전부재(152)의 돌출부(155,156)는 하우징(120)내의 개구부(122)의 일부를 형성하는 계단(123,124)에 끼워져 있다. 그 다음에 고정부재(151)는 스크루(189)로 베이스 몸체(111)에 연결된다. 위치결정 유니트(15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하우징(120)의 챔버(129)내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착제(1296)는 챔버(129)의 내벽 또는 회전부재(152)의 외부표면에 도포되며 회전부재(152)는 챔버(129)내로 삽입된다. 접착제(1296)가 경화될 때까지 위치결정 유니트(1500를 하우징(120)의 챔버(129)내에 유지하기 위해서, 회전부재(152)는 회전부재(152)를 형성하는 부재(153)이 넓은 가로방향의 측면 양쪽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1293)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돌출부(1293)는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단면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가진 오목부(1531)는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챔버(129)내로 삽입되었을 때 돌출부(1293)가 오목부(1531)내로 끼워지도록 챔버(129)를 형성하는 하우징(120)의 후부벽(125)의 양쪽 내면내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챔버(129)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부재(153) 또는 챔버(129)를 형성하는 벽(1291) 또는 쌍방은 편향되며 따라서 돌출부(1293)는 오목부(1531)내로 들어간다. 다음에 부재(153) 또는 벽(1291) 또는 쌍방은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하우징(120)에 의해 유지되도록 초기상태를 탄성적으로 복귀시킨다. 더구나, 오목부(1531)는 부재(153)의 표면에서 돌기하는 2 개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돌기부는 접착제(1296)가 내부로 도포되게 되어 있는 회전부재(152)의 표면과 챔버(129)를 형상하는 벽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구배(1294)는, 위치결정 유니트(150)가 챔버(129)내로 삽입될 때 회전부재(152)의 돌출부(1293)보다 부재(153)의 끝에 더 가까운 회전부재(152)의 한부분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배(1294)는 오목부(1531)내로의 돌출부(1293)이 맞물림을 돕는다. 고정부재(151)는 베이스 커버(112)와 베이스 몸체(111)를 통해 고정부재(151)내로 죄어 들어간 스크루(189)로 베이스 몸체(110)에 연결되어 있다.
백미러를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서, 베이스 몸체(111)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다음에 케이블(190)의 끝(192)은 연결자에 의해 자동차 차체내의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구비된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전술한 백미러에서와 같이, 하우징(120)은 모우터(171)를 작동시킴으로서 사용위치 또는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모우터(171)가 전방으로 회전할 때 축(164)상에 있는 기어열의 기어(165)와 맞물려 있는 기어는, 하우징(120)을 축(164) 주위에서 사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기어 자체의 축선상에서 그리고 기어(165) 주위를 회전한다. 모우터(171)가 역회전할 때 축(164)상에 있는 기어열의 기어(165)와 맞물려 있는 기어는 하우징(120)을 축(164) 주위에서 제1 격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기어 자체의 축상에서 역방향으로 그리고 기어(165) 주위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사용위치에서, 하우징(120)은 볼(183)이 부채꼴 오목부(181)의 한쪽끝에 맞닿을 때 적소에 고정되며 기어열의 회전은 웜과 웜기어가 있으므로 인하여 로크된다. 사용위치 또는 제1 격납위치로의 하우징(120)의 수동식 회전을 위하여, 하우징(120)은 수동으로 가압되는 동안 모우터는 기어(64)와 부재(106)에 의해 형성된 클러치를 이완시키도록 작동이 정지되며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과 함께 축(164) 주위를 회전한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에서 하우징(120)에 접촉하거나 또는 부딪칠 때 기어(64)와 부재(166)로 구성된 클러치는 이완되며 회전부재(152)와 하우징(120)은 함께 축(164) 주위를 회전한다. 각각의 격납위치에서, 하우징(120)은 한쪽 끝이 회전부재(152)내의 오목부가 되며 한편 다른 한쪽 끝이 하우징(120)내의 오목부가 되는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 오목부의 양쪽 끝에 돌출부(118)가 맞닿을 때 베이스 몸체(111)의 부분(113)상에 구비된 돌출부(118)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원형 오목부는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회전부재(152)와 하우징(120)의 바닥부에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18)는 베이스 몸체(111)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은 원형 오목부내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회전부재(152)가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회전부재(152)내의 오목부는 하우징(120)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베이스 몸체(111)의 부분(13)상에 돌출부(118)를 수용한다. 회전부재(152)와 하우징(120)이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하우징(120)내의 오목부는 하우징(120)의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돌출부를 수용한다. 제17도는 하우징(120)내의 오목부와 회전부재(152)내의 오목부를 연결시키는 회전부재(152)내에서 원형 오목부의 일부로서 형성된 오목부(163)만을 도시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제18도 내지 제20도에 대해 전술한 백미러에 있어서 위치결정 유니트(150)의 회전부재(152)는 부재(153)와 부재(153)에서 분리가능한 부재(154)로 구성된다. 부재(153)내에 조립된 회전기구는 부재(154)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회전기구는 하우징으로 조립하는 동안 또는 조립전의 제품을 관리하는 동안의 손상 또는 오물부착으로부터 보호된다. 회전부재(152)를 형성하는 부재(154)는 하우징(120)의 챔버(129)를 형성하는 정상부 벽(1292)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미러의 부품수량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정상부 벽(1292)에 고정될 수도 있다. 제21도는 사용된 부품의 감소된 수량으로 형성된 백미러의 실례를 도시한다.
앞에서 설명된 백미러와 마찬가지로, 이 백미러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미러 유니트를 결합하는 하우징(120) 및 하우징(120)내에 조립되어 있는 위치결정 유니트로 구성된다. 제18도 내지 제20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백미러에서와 같이, 베이스(110)는 베이스 몸체(111)와 베이스 커버(112)로 구성된다. 이 베이스 몸체(111)는 베이스 커버(112)의 개구부(116)내로 삽입된 한 부분(113)을 가진 베이스 커버(112)에 조립되어 있으며, 이 부분(113)은 위치결정 유니트(150A)의 고정부재(151)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은 가로방향의 측면의 한쪽이 개방된 보통의 박스와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함께 하우징(120)을 형성하는 원주(121), 후부벽(125), L-형상 벽(1291) 및 정상부벽(1292)으로 형성된 챔버(129)를 갖추고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A)는 이 챔버(129)내에 수용되게 되어 있다. 챔버(129)는 하우징(120)의 바닥벽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베이스(110)에 면하는 부위가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정상부벽(1292)은 어댑터에 의해 연결자(193)를 위에 고정시켜 놓았다. 이 백미러는 볼 조인트와 볼 조인트 주위에 미러 유니트를 경사지게 하는 모우터, 등등으로 구성되는 틸팅기구에 의해 하우징(120)의 부위(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 미러 유니트(도시되지 않음)를 갖추고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150A)는 고정부재(151)와 회전부재(152)로 구성된다. 이 고정부재(151)는 제18도 내지 제20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백미러에서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나 이 회전부재(152)는 부재(153)만을 포함한다. 제18도 내지 제20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백미러에서와 같이, 하우징(120)용의 회전기구는 고정부재(151)내에 구비되어 있는 축(164), 이 축(164)상에 구비된 기어(165), 기어(165)와 함께 클러치를 형성하는 부재(166), 코일스프링(168), 회전부재(152)로 받쳐진 모우터(171), 모우터(171)와 기어(165) 사이에 배치되었으며 부재(153)내의 기어 조립체(177)를 포함하는 기어열, 축(164)고 동심으로 고정부재(151)내에 형성된 부채꼴 오목부(181), 회전부재(152)로 지지된 볼(183), 등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케이블(190)은 베이스 몸체(111)의 내부 공간과 축(164)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하며 다음에 케이블(90)의 약간의 와이어는 모우터(171)용의 구동회로에 접속된다.
위치결정 유니트(150A)를 하우징(120)에 설치하기 위해서, 예컨대, 케이블(190)이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연결자(193)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에 회전부재(152)는 챔버(129)내로 유도되는 한편 위치결정 유니트(150A)의 돌출부(155,156)는 하우징(120)의 계단(123,124)과 각각 접촉되게 놓이고, 회전부재(152)는 하우징(120)에 고정된다. 회전부재(!52)는 L-형상의 벽(1291)과 회전부재(152)의 돌출부(155,156)를 통해 하우징(120)의 챔버(129)를 함께 형성하는 하우징 원주(121)에 형성된 스크루 구멍내로 스크루(188)를 죄어 들어가게 함으로서 하우징(120)에 고정된다. 틸팅기구와 위치결정 유니트(150A)는 케이블(191)을 연결자(193)와 틸팅기구의 모우터에 접속시킴으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자동차 차체 내측 운전자 시트 근처에 구비된 제어기와 위치결정 유니트(150A)는 케이블(190)의 끝(192)을 연결자에 의해 제어기에 접속시킴으로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22도 및 제2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22도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설치되며 백미러가 설치되는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따라 베이스(210)와 하우징(220)이 설계되어 있는 백미러장치의 백미러중의 하나를 도시한다.
베이스(210)는 자동차의 우측 도어에 고정되게 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미러와 미러지지구로 구성되는 미러 유니트(230)를 구현한다. 미러 유니트(230)은 틸팅기구(240)의 볼조인트에 의해 하우징(220)내에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하우징(220)의 위치결정 유니트는 베이스(210)와 하우징(220)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는 모우터-구동식 타입(250)이거나 수동식 타입(250A)이다. 하우징(220)은 모우터의 구동 또는 수동으로 시용위치와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 사이에서 회전된다.
베이스(210)은 베이스 몸체(211)와 베이스 커버(212)로 구성된다. 이들은 다른 백미러의 베이스와 마찬가지로 거의 L-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베이스 몸체(211)는 L-형상의 한 아암이 되는 한 부분(213)과 위치결정 유니트(250)의 한 부분이 끼워지게 되는 개구부(214)를 갖추고 있으며, 베이스 커버(212)는 L-형상의 한 아암이 되는 한 부분(215)과 베이스 몸체(211)의 이 부분(213)이 끼워지게 되는 한 개구부(216)를 갖추고 있다. 베이스(210)를 조립하기 위해서, 베이스 몸체(211)는 베이스 커버(212)내의 개구부(216)를 통과하며, 부분(213)은 베이스 커버(212)의 또다른 아암이 되는 한 부분(217)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부분(213,217)은 스크루(219)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전면이 개방된 얕은 박스와 같이 설계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하우징(220)의 바닥부로서 소용되는 한 부위내의 개구부(222)를 가진 원주(221)를 가지고 있다. 개구부(222)에서 이격되어 위치결정 유니트(250)가 고정되는 스터드(223)는 하우징(220)의 후부 벽(225)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터드(223)는 스크루 구멍이 나 있는 실린더의 형태로 설계되어 있다. 3 개의 이 스터드가 형성되어 있으나 그들중 하나만이 예시되어 있다.
미러 유니트(230)는 미러(231)과 미러 지지구(232)로 구성된다. 미러(231)는 미러 지지구(232)에 고정되어 있다. 미러 지지구(232)는 볼(233), 틸팅기구(240)의 몸체에 구비된 구형 시트(241), 코일스프링(234), 세트스크루(235), 등등에 의해 틸팅기구(240)에 고정되어 있다. 틸팅기구(240)는 2 개의 로드(242), 이들 로드를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모우터, 감속기어, 등등울 포함한다. 모우터중의 하나가 회전하여 로드(242)중의 하나를 이동시킴에 따라, 로드(242)는 볼 조인트 주위를 수직으로 차례로 회전하게 될 미러 지지구(232)의 하부 후부분을 가압한다. 다른 하나의 모우터가 구동하여 다른 하나의 로드(242)를 이동시킴에 따라, 로드(242)는 볼 조인트 주위를 수평으로 차례로 회전하게 될 미러 지지구(232)이 가로방향의 후부분을 가압한다. 따라서 미러 유니트(230)는 요망된 방향으로 경사될 수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는 하우징(220)을 회전시키는 기구와 이 회전기구를 받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고정부재(251)와 회전부재(252)를 포함한다. 고정부재(251)는 제2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 형태의 판을 갖추고 있다. 회전부재(252)는 부재(253)와 이 부재(253)에서 분리가능한 부재(254)로 구성된다. 부재(253)는 가로방향의 측면에 형성된 좁은 시트(2532)르 가진 정상부가 개방된 보통 형태의 중공의 박스와 한쪽 끝에 형성된 돌출부(2533)를 갖추고 있다. 부재(254)는 커버(2541)와 연장부(2542)로 구성된다. 커버(2541)는 용기를 형성하도록 부재(253)의 원통형 부분 위에 끼워지게 형상과 치수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커버(2541)는 커버가 부재(253)의 좁은 시트(2532)와 접촉하게 되어 있는 부재(253) 끝면상에 끼워져 있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의 끝에, 그리고 커버(2541)의 개구부의 벽의 내면에 부재(253)의 돌출부(2533)가 끼워지게 되어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부재(254)를 부재(253)에 설치하기 위해서, 커버(254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의 끝면과 벽내에 형성된 오목부는 시트(2532)와 접촉되게 놓이며 부재(253)의 돌출부(2533)상으로 끼워지고, 따라서 커버(2541)는 부재(253)상으로 끼워지며, 다음에 스크루(2531)는 부재(253)밑으로부터 커버(2541)내로 죄어들어간다. 연장부(2542)는 보통 형태의 얕은 박스를 가지며 커버(2541)의 가로방향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커버(2541)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연장부는 원주상에 하우징(220)의 스터드(223)에 접합되는 고정구(255,256)를 형성하며 후부 벽상에 틸팅기구가 고정되게 되어 있는 시트(226)를 형성한다. 고정구(255,256) 자체는 연장부(2542)를 형성하는 원주와 일체로 형성된 탭이다. 각각의 탭은 위치결정 유니트가 하우징(220)에 설치될 때 스터드(223)내의 스크루 구멍과 일치하는 관통구멍을 내부에 형성한다. 시트(226)는 스크루 지지구가 형성되어 있는 실린더와 같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은 연장부(1542)의 후부벽상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그 스크루 구멍은 틸팅기구(240)내의 관통구멍과 일치하게 되어 있다. 회전기구는 부재(253)과 부재(254)의 커버(2541)에 의해 형성된 용기내에 설치되고 폐쇄되어 있다. 전술한 다른 위치결정 유니트에서와 같이, 회전기구는 축(264), 클러치에 의해 축(264)상에 장착된 기어, 회전부재(252)내에 설치된 모우터(271), 및 모우터(271)로부터의 동력을 축(264)상의 기어로 전송하는 기어열로 구성된다. 축(264)은 고정부배(251)내에 조립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부재(252)는 축(264)상에 끼워져 있고, 기어는 축(264)상에 끼워져서 장착되어 있으며, 클러치는 축(264)상의 기어와 축(264) 자체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모우터(271)와 기어열은 회전부재(252)내에 설치되어 있다. 모우터(271)가 작동하게 됨에 따라, 축(264)내의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열의 기어는 회전부재(252)를 고정부재(251)상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기어 자체의 축상에서 그리고 축(264)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한다. 한쌍의 부채꼴 오목부는 축(264)과 동심으로 그리고 회전부재(252)에 면하는 고정부재(251)의 표면내에서 형성된다. 볼은 고정부재(251)에 면하는 회전부재(252)의 부재(253)의 표면상에 지지되어 있거나 또는 절반 볼은 고정부재에 면하는 부재(253)의 표면상에 부재(253)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볼 또는 절반 볼은 부채꼴 오목부내에 각각 놓인다. 회전부재(252)가 회전됨에 따라, 볼 또는 절반 볼은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을 사용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해 부채꼴 오목부의 끝에 맞닿는다. 제23도는 이들 구성요소의 축(264), 모우터(271) 등을 도시한다.
예컨대, 위치결정 유니트(250)를 하우징(220)에 설치하기 위해서, 우선 케이블(290)은 베이스 몸체(211)와 축(264)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케이블(290)은 베이스 몸체(211)와 축(264)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며, 케이블(290)의 약간의 와이어는 회전기 구내의 모우터(271)에 연결되고,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부재(254)내의 개구부로부터 위치결정 유니트(250) 밖으로 유도되어 틸팅기구(240)내의 모우터의 구동회로에 접속되며 다음에 틸팅기구(240)은 미러 유니트(230)와 함께 스크루(287)로 연장부(2542)이 시트(226)에 고정되고, 고정부재(251)는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2)내에 놓이며 위치결정 유니트(250)는 하우징(220) 내측에 배치되고, 고정구(255,256)는 스크루(288)로 하우징(220)의 스터드(223)에 고정되며, 스크루(289)는 베이스 커버(212)의 부분(217)과 베이스 몸체(211)의 부분(213)을 통해 고정부재(251)내로 죄어 들어간다. 백미러를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서, 베이스(210)의 베이스 몸체(211)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케이블(290)의 끝(292)은 연결자에 의해 자동차 내부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전술한 백미러에서와 같이 운전자는 하우징(22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의 모우터와 미러 유니트를 경사지게 하는 틸팅기구(240)의 모우터를 제어하도록 운전자의 시트 근처에 구비된 제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하우징(220)용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A)는 하우징(220)의 수동식 회전을 허용하는 기구와 이 회전기구를 받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고정부재(251A)와 회전부재(252A)로 구성된다. 이 고정부재(251A)는 판과 같이 보통 형성되어 있다.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내의 회전부재(252)와 마찬가지로, 회전부재(252A)는 회전기구를 받치는 부재(253A)와 이 부재(253A)와 함께 용기를 형성하며 부재(253A)로부터 분리가능한 부재(254)로 구성된다. 분리가능한 부재(254)는 하우징(220)용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회전부재(252)의 한 부분을 형성하는 부재(254)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부재(253A)는 가로방향의 측면상에 형성된 시트(2532A)와 한쪽 끝에 형성된 돌출부(2533A)를 가진 판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부재(253A)를 부재(254)에 설치하기 위해서, 부재(253A)는 부재(254)의 커버(2541)내로 끼워져 있는 한편 부재(253A)와 돌출부(2533A)상의 시트(2532A)는 부재(254)의 커버(2541)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과 이 벽의 내부면상에 형성된 계단의 끝면과 각각 접촉되어 놓여 있으며, 스크루(2531)는 부재(253A)밑으로부터 부재(253A,254)내로 죄어 들어간다. 회전기구는 부재(253A)와 부재(254)의 커버(2541)에 의해 형성된 용기 내로 삽입되어서 따라서 외부로부터 밀폐된다. 전술한 하우징용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에서와 같이 회전기구 자체는 고정부재(251A)상에 구비되어 회전부재(252A)를 적소에 지지하는 축(264A), 회전부재(252A)를 고정부재(251A)에게 가압시키도록 축(264A)에 장칙된 코링스프링(268A), 고정부재(251A)에 면하는 부재(252A)의 표면상에 지지된 볼 또는 고정부재(251A)에 면하는 회전부재(252A)의 표면상에 부재(252A)와 일체로 형성된 절반 볼, 축(264A)과 동심으로 형성되었으며 회전부재(252A)에 면하는 고정부재(251A)의 표면내에 형성되었고 볼과 절반볼이 배치되어 있는 부채꼴 오목부, 등등을 포함한다.
예컨대, 위치결정 유니트(250A)를 하우징(220)에 설치하기 위해서, 케이블(290A)는 베이스 유니트(211)와 축(264A)의 내부공간을 통과하며 부재(254)내의 개구부로부터 위치결정 유니트(250A) 밖으로 유도되고 와이어(291A)는 틸팅기구(240)내의 모우터의 구동회로로 접속되며, 다음에 틸팅기구(240)는 미러 유니트(230)와 함께 부재(254)의 연장부(2542)상의 시트(226)에 스크루(287)로 고정되고, 고정부재(251A)는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2)내에 배치되며, 부재(254)의 연장부(2542)상의 고정구(255,256)는 하우징(220)내의 스터드(223)에 스크루(288)로 체결되고, 고정부재(251A)는 베이스 부재(211)의 부분(213)에 스크루(289)로 체결된다. 백미러를 자동차 차체에 설치하기 위해서, 자동차 차체에 대한 베이스(210)의 베이스 몸체(211)와 케이블(290)의 끝(292)은 연결자에 의해 자동차 차체의 내측에 구비되었으며 틸팅기구(240)내의 모우터용만의 제어회로를 가진 제어기로 연결된다.
이들 백미러중 하우징(220)용의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가 설치되어 있는 하나의 백미러에 관해서, 모우터가 제1 격납위치에서 하우징(220)과 함께 회전하게 놓일 때, 축상의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열의 기어는 그 자체의 축상에서 축의 기어주위를 회전하며, 회전부재(252)는 하우징(220)과 함께 축주위를 사용위치로 회전된다. 모우터가 역회전할 때, 하우징(220)은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하우징(220)이 수동으로 사용위치로부터 제1 격납위치쪽으로 또는 반대로 강력히 가압될 때 축상의 기어는 고정부재(251)로부터 풀려서 회전부재(252)는 사용위치와 제1 격납위치 사이에서 축주위를 축상의 기어와 함께 회전할 것이다.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에서 하우징(220)을 가압하거나 부딪칠 때, 축상의 기어는 회전부재(252)로부터 풀려서 하우징(220)과 함께 축주위를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하우징(220)용의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A)를 구현하는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220)은 사용위치 또는 제1 격납위치로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신체 또는 물체가 하우징(220)을 가압하거나 부딪칠 때, 회전부재(252A)는 코일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자동차의 좌측 도어상에 사용되는 백미러용의 베이스와 하우징은 예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들은 우측 도어상에 설치되는 절술한 백미러에 사용된 베이스(210) 및 하우징(220)과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용의 모우터-구동식 및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쌍방에 있어서, 회전부재의 분리가능한 부재만이 우측 도어 백미러내의 부재(254)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베이스와 하우징에 한 세트로 설치하기 위해서, 우측 도어에 설치되며, 부재(254)의 커버(2541)에 대응하는 이 세트용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한 부분은 부재(253(253A))상으로 끼워져서 볼트로 죄어져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서, 위치결정 유니트는 하우징내의 개구부내에 놓인 고정측 유니트와 함께 하우징내로 놓이게 하며 연장부는 하우징의 스터드에 볼트로 죄어지고 고정부재는 베이스 몸체에 볼트로 죄어진다.
또한 차량용의 이들 백미러에 있어서, 하우징(220)이 사용위치에서 적소에 지지되어 있을 때 모우터는 정지되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의 볼은 고정부재내의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맞닿는다. 제1 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은, 베이스상의 돌출부가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내의 오목부내에 맞물려 있을 때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은, 베이스상의 돌출부(218)가 분리가능한 부재내의 오목부내에 맞물려 있을 때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된다. 예컨대 제22도에 도시된, 자동차 차체의 우측면에 설치되는 백미러에 관해서, 돌출부(218)는 위치결정 유니트(250(250A))의 고정부재(251(251A))내의 축(264(264A))과 동심인 가상원상에 위치되어 베이스(210)상에 구비되어 있으며 돌출부(218)의 자유단은 하우징(220)의 바닥부쪽으로 뻗어 있다.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 오목부는 위치결정 유니트(250(250A))의 회전부재(252(252A))의 부재(253(253A))의 바닥부내에 형성되어 있으며 축(264(264A))과 동심인 가상원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254)내의 오목부(257(257A))는 원형 오목부의 한쪽 끝을 형성하며 하우징(2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원상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오목부 (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220)이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원상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오목부(도시되지 않음)는 하우징(220)이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가 취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원상의 위치에서 부재(254)내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51)가 베이스(210)의 부분(213)에 고정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의 끝은 원형 오목부내로 들어간다. 하우징(2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는 회전축 부재(252)가 회전을 저지하도록 회전부재(252)내의 오목부(257(257A))내로 맞물력 들어간다. 하우징(220)이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는 회전부재가 회전을 저기하도록 부재(254)내의 오목부로 맞물려 들어간다. 전술한 이 형식의 백미러에서와 같이,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의 모우터는 하우징이 다음과 같이 사용위치 또는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정지된다. 즉, 하우징이 사용위치 또는 제1 격납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될 때 모우터에 가해지는 부하는 증대되며 증대된 전류는 모우터를 통해 흐른다. 제어기내의 플러스 온도계수 서미스터는 증대된 전류를 검출하며 따라서 회전이 정지될 모우터로의 전력공급을 차단한다. 좌측 도어상에 설치되는 백미러에 있어서, 회전기구가 수용되어 있는,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의 부재내의 오목부와 하우징 부재로부터 분리가능한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의 부재내의 오목부는 회전부재(252(252A))의 부재(253(253A))내의 오목부(257(257A))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도어상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부재(253(253A))로부터 분리가능한 부재(254)내의 오목부와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 도어 백미러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하우징은 사용위치내에서 견고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납위치에서 회전이 저지된다.
이 백미러장치는 자동차 차체의 우측면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의도되었으며 자동차 차체의 좌측면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의도된 전술한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더하여,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대응하여 형성되었으며 자동차 차체의 우측면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의도된 각각의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자동차 차체 스타일에 대응하여 형성되었으며 자동차 차체의 좌측면상에 설치하기 위하여 의도된 각각의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이들은 예시되지 않음)로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있어서, 각각이 하우징은 베이스에 면하는 원주의 한 부위내에,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가 끼워지게 되는 개구부와 또한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가 고정되는 개구부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된 시트를 형성하였으며, 각각의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의 한 부분은 백미러장치내에 포함된 모든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부재를 갖추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백미러장치의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으로 분리가능한 부재만을 준비함으로써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와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 양쪽을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의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한다. 즉, 자동차의 좌측도어상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를 위해, 우측 도어상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를 위해, 그리고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에 대응하여 형성된 각각의 복수이 베이스-하우징 세트를 위해 특수한 위치결정 유니트가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동일 형식의 위치결정 유니트가 다양한 많은 형식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함께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그래서 다양한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으로 많은 형식의 위치결정 유니트를 생산할 필요는 없다. 위치결정 유니트는 상당히 감소된 원가로 생산될 수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의 양산이 가능하다. 따라서, 위치결정 유니트의 제조용 원가는 더 감소될 수 있다. 게다가 각각의 조립된 백미러에 있어서,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에 있는 하우징은 베이스상의 돌출부에 의해서 그리고 위치결정 유니트의 회전부재로부터 분리가능한 부재내의 오목부에 의해서 회전이 저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회전의 최대각도가 서로 상이한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으로 분리가능한 부재를 준비함으로써 이들 베이스-하우징 세트의 제1과 제2 격납위치 사이의 각도범위가 서로 상이하다 하더라고 각각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용의 위치결졍 유니트를 제작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이 특징과 상술한 특수 위치결정 유니트의 불필요성에 기인하여, 위치결정 형식의 수량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의 주된 부품과 회전기구는 각각 단일형식으로 제한될 수 있다.
이제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의 조립된 상태가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베이스 몸체(211)와 베이스 커버(212)로 구성된다. 이들은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다. 베이스 몸체(211)는 스크루(219)로 베이스 커버(212)내의 개구부(216)를 통과한 부분(213)과 함께 베이스 커버(212)에 체결되어 조립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또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으며 전면이 개방된 박스의 보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22)는 베이스 몸체(211)의 부분(213)에 대응하는 하우징(220)의 바닥부위내에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가 고정되는 스터드는 하우징의 후부벽(225)상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스터드는 각각의 하우징의 후부벽(225)과 일체인 내부 나사식 실린더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는 하우징(220)을 회전시키는 기구와 회전기구를 받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지지부는 쌍방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고정부재(251)와 회전부재(252)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51)는 보통 형상의 판을 가지고 있다. 회전부재(252)는 전에 설명한 바와같이 부재(253)와 부재(253)로부터 분리가능한 부재(254)로 구성된다. 부재(253)는 정상부가 개방된 보통 형상의 중공의 박스로 설계되어 있다. 부재(253)는 내부에 일체로 형성된 베어링(258)가 브리지시트(259)를 내부에 구비하였다. 브리지(260)는 브리지 시트(259)상에 장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부재(253)는 부재(254)를 수용하는 돌출부(2533)를 한쪽 끝에 일체로 형성하였다. 제23도에서 부재(254)를 수용하는 시트(2532)는 돌출부(2533)의 정상부가 또한 놓이는 평면내에서 부재(253)의 원통부분의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다. 부재(254)는 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커버(2541)와 연장부(2542)로 구성된다. 커버(2541)는 바닥부가 개방된 중공의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다. 커버(2541)가 부재(253)상으로 끼워져 있을 때, 이들은 밀폐된 용기를 형성할 것이다. 부재(254)는 부재(253) 위로 끼워져 있는 개구부의 내부벽상에 부재(253)의 돌출부(3533)상에 끼워지게 되는 계단을 형성한다. 연장부(2542)의 일부만이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연장부분은 전면이 개방된 얕은 박스의 보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연장부분은 원주상에 하우징의 시트에 체결되는 고정구를 형성하였으며 내부벽상에 틸팅기구가 고정되게 되어 있는 시트를 형성한다. 부재(254)를 부재(253)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커버(254)의 개구부 끝면은 부재(253)의 시트(2532)와 접촉되게 놓여 있으며 개구부의 내부벽상의 계단은 부재(253)의 돌출부(2533)와 접촉되게 놓여 있고, 다음에 커버(254)는 부재(253)상으로 끼워져 있으며, 스크루(2531)는 부재(253) 밑으로부터 부재(254)내로 죄어져 있다.
축(264)은 중공이며 원주의 부분상에 형성된 길이방향을 뻗어 있는 편평한 면을 가지고 있다. 이 축은 고정부재(25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51)는 축(264)상에 끼워진 베어링(258)과 함께 회전부재(252)에 설치되어 있다. 축(264)는 기어(265)가 축(264)상에서 회전되며 미끄럼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회전부재(252)를 넘어서 한 부분에 끼워져 있는 기어(265)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기어(265)와 고정부재(251) 사이에는 기어(265)와 함께 클러치를 형성하는 부재(266)가 구비되어 있다. 부재(266)는 기어(265)쪽으로 향한 끝면상에 폴을 가진 링과 같이 대체로 형성되어 있다. 부재(266)는 중공의 축(264)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축(264)의 원주부분상에 형성된 편평한 면에 의해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부재(266)에 면하는 기어(265)의 끝면내에는 부재(266)상의 폴이 맞물려 있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기어(265)는 축(264)상에 끼워져 있어 부재(266)상의 폴은 오목부내에 맞물려 있다. 시트판(267)은 부재(266)와 고정부재(25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트판은 축(264)상에 끼워져 있는 동안 고정부재(251)보다 높이 있는 회전부재(252)의 한 부분과 접촉되어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268)은 기어(265)와 기어(265)내의 오목부내에서 부재(266)상의 폴의 맞물림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기어(265), 부재(266) 및 시트판(267)을 회전부재(252)쪽으로 가압하도록 축(264)내에 삽입되어 축(264)의 자유단에 고정된 스프링 시트(269)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모우터(271)는 브리지(260)내의 구멍을 통과한 구동축과 함께 브리지(261)상에 고정되어 있다. 웜은 커플링에 의해 브리지(260)로부터 돌기되어 있는 모우터축의 한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웜은 브리지(260) 아래에 배치되어 부재(253)내의 베어링으로 지지되어 있다. 웜기어는 또 다른 웜의 축상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다. 동축 기어는 웜기어를 제2 웜으로 연결시키도록 그리고 스퍼 기어를 기어(265)와 맞물려 있는 기어에 연결시키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26도는 이들 기어 사이의 동축 기어(277)만을 도시한다. 하우징(220)을 사용위치내에 지지하는 부채꼴 오목부(281)는 축(264)과 동심으로 회전부재(252)의 부재에 대향으로 되어 있는 고정부재(25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볼(283)은 회전부재(252)내의 오목부(282)내에 지지되어 있다. 회전부재(252)는 부채꼴 오목부(281)내에 놓인 볼(283)을 가진축(264)상에 끼워져 있다.
케이블(290)은 베이스 몸체(211)의 내부공간과 축(264)내의 구멍을 통과하며, 케이블(290)의 약간의 와이어는 위치결정 유니트(250)내의 모우터(271)용의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고 다른 나머지 와이어는 부재(254)내의 개구부를 통해 위치결정 유니트(250)의 밖으로 유도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를 하우징에 설치하기 위해서, 예컨대 케이블(290)의 약간의 와이어는 우선 틸팅기구(240)내의 모우터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고정부재(251)는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2)내에 배치되어 있고, 연장부(2542)상의 고정구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220)상의 시트에 볼트로 죄어져 있으며, 고정부재(251)는 스크루(289)로 베이스 몸체(211)이 부분(213)에 고정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는 연결자에 의해 케이블(290)이 끝(292)을 제어기에 연결시킴으로서 자동차 차체의 내측면에 위치된 제어기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다른 위치결정 유니트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위치로 또는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즉, 모우터(271)가 회전하게 될 때, 기어(265)와 맞물린 기어는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을 축(264) 주위에서 사용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기어 자체의 기어 자체의 축상에서 그리고 기어(265) 주위를 회전한다. 모우터(271)가 역회전할 때, 기어(265)와 맞물린 기어는 하우징(2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하도록 기어 자체의 축상에 그리고 기어(265) 주위를 역회전한다. 사용위치에서 하우징(220)은 고정부재(251)내의 부채꼴 오목부(281)의 끝과 맞닿는 볼(283)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하우징(220)은 다음과 같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하우징(220)이 수동으로 가압될 때 한편으로 모우터(271)는 작동이 정지되며, 기어(265)와 클러치와 부재(266)는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이 함께 축(264) 주위를 회전하도록 서로 풀린다. 또한 신체 또는 물체가 사용위치내에서 하우징(220)에 접촉되거나 또는 부딪칠 때, 기어(265)와 클러치의 부재(266)는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이 함께 축(264)주위를 회전하도록 서로 풀린다.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2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부재(252)내의 오목부(257)또는 부재(254)내의 오목부(227)내로 맞물린 베이스(210)상의 돌출부(218) 함께 회전이 저지된다. 제2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218)는 베이스 몸체(211)의 한 부분상에서 그리고 하우징(220)과 동심인 부채꼴의 형태로 일체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6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52)는 위치결정 유니트(252)가 하우징(220)내에서 고정되고 부재(254)의 고정구가 하우징(220)상의 스터드(223)에 고정되어 있을 때, 바닥부(262)는 하우징(220)의 바닥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재(253)와 하우징(220)은 바닥부내에 돌출부(218)가 맞물려 있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이 오목부는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오목부이다. 오목부의 한쪽 끝은 부재(253)의 가로방향의 측면내에 형성된 오목부(257)이며 다른 한쪽 끝은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0)내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254)의 부분내에 형성된 오목부(227)이다. 오목부(257,227)를 서로 연결시키는 오목부(228,263)는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2)내에 위치되어 있는 부재(253,254)의 부분의 바닥부내에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57)는 돌출부(218)의 함쪽끝이 내부에 맞물려 있을 때 회전부재(252)가 하우징(220)과 함께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한편 오목부(227)는 다른 한쪽 끝이 내부에 맞물려 있을 때 회전부재(252)가 하우징(220)과 함께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있다. 고정부재(251)를 베이스(210)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돌출부(218)는 오목부(257,287)와 오목부(263,228)에 의해 형성된 원형 오목부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베이스 몸체(211)의 부분(213)과 고정부재(251)는 스크루(289)로 서로에세 체결되어 있다.
하우징(2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는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이 그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회전부재(252)내의 오목부(227)내로 맞물린다. 반대로, 하우징(220)이 제1 격납위치로 회전되어 있을 때 돌출부(218)는 회전부재(252)와 하우징(220)이 회전을 저지하도록 부재(254)내의 오모부(257)내로 맞물린다.
또한 이 백미러에 있어서, 회전부재(252)는 회전부재(252)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오목부(257)와 대칭으로 형성된 또 다른 오목부(257')를 내부에 구비하고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가 자동차 차체의 좌측 도어에 설치되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설치되어 있을 경우 돌출부(218)는 제1 격납위치에 있는 하우징(220)이 그 이상의 회전을 저지하도록 이 오목부(257')내로 맞물리게 된다. 제2도 내지 제11도를 참조로 하여 앞에서 설명된 백미러와 마찬가지로, 하우징(220)이 자동차 차체와이 스타일의 균형을 갖기 위하여 회전중심축 전면의 부분에서 얇게 설계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위치결정 유니트(250)는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설치될 수 있다.
제27도 내지 제29도는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의 조립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베이스(210) 및 하우징(220)은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로 하여 앞에서 설명된 백미러의 베이스 및 하우징과 동일하다.
위치결정 유니트(250)와 마찬가지로, 위치결정 유니트(250A)는 하우징(220)을 회전시키는 기구와 이 회전기구를 받치는 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지지부는 쌍방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고정부재(251A)와 회전부재(252A)로 구성된다. 고정부재(251)와 마찬가지로, 고정부재(251A)는 보통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252A)는 한쪽 끝에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2533A)를 가진 거의 판과 같이 형성된 부재(253A)와 가로방향의 측면상에 형성되었으며 제2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533A)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시트(2532)를 포함한다. 돌출부(2533A) 및 시트(2532)는 모우터-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250)와 동일한 치수와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회전부재(252A)는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로 하여 앞에서 설명된 백미러의 부재(254A)와 동일한 또다른 부재를 가지고 있다. 부재(253)를 부재(254)에 설치하기 위해서, 커버(2541)내의 개구부의 내부벽상의 계단은 개구부의 끝면 및 시트를 가진 돌출부(2533A)와 접촉되게 놓이며, 부재(253)는 커버(2541)내로 끼워져 있고 부재(253,254)는 부재(253A) 밑으로부터 부재(254A)내로 스크루(2531)르 죄임으로서 서로 고정된다.
중공의 축(254A)는 고정부재(251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51A)는 축(254A)을 베어링(258A)내로 삽입함으로서 회전부재(252A)에 연결되어 있다. 코일스프링(268A)은 회전부재(252A)로부터 돌출하는 축(264A)의 한 부분상에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스프링(268A)는 축(264)의 자유단에 구비된 스프링 지지구에 의해 압축되어 시트판(267A)에 의해 고정부재(251A)쪽으로 회전부재(252A)을 가압한다. 게다가, 고정부재(251A)는 회전부재(252A)내의 오목부(282A)내에 지지된 볼(283A)이 맞물려 있는 부채꼴 오목부(281A)를 축(264A)과 동심으로 내부에 형성한다. 케이블(290A)은 베이스 몸체(211)의 내부공간과 축(264A)내의 구멍을 통과하여 회전부재(252A)의 부재(254A)내의 개구부로부터 위치결정 유니트 밖으로 유도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A)를 하우징(220)에 설치하기 위해서 예컨대, 케이블(290A)의 끝(291A)은 틸팅기구내의 모우터의 구동회로에 접속되어 있으며, 다음에 고정부재(251A)는 하우징(220)내의 개구부(222)내에 배치되어 있고, 위치결정 유니트(250A)는 하우징(220)내로 놓여 있으며, 연장부(2542)상의 고정구는 하우징(220)상의 시트에 볼트로 고정되고, 고정부재(251A)는 스크루(289)로 베이스 몸체(211)의 부분(213)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이것을 수동으로 가압함으로서 사용위치 또는 격납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가압되었을 때, 하우징(220)은 축(264A) 주위를 회전한다. 하우징이 사용위치로 회전되었을 때, 볼(283A)은 하우징(22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고정부재(251A)내의 부채꼴 오목부(281A)의 끝과 맞닿는다. 사용위치에서 하우징(220)이 신체 또는 물체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 하우징은 제1 또는 제2 격납위치로 회전된다. 제24도 내지 제26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된 백미러에서와 같이, 제1 격납위치에서 하우징(220)은 부재(253A)내의 오목부인, 축과 동심으로 부재(253A,254A)의 바닥부내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단편인 원형 오목부의 한쪽 끝내로 맞물린 돌출부(218)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220)은 부재(254A)내의 오목부인, 원형 오목부의 다른 한쪽 끝내로 맞물린 돌출부(218)에 의해 회전이 저지된다. 부재(253A)는 회전부재(252A)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해 오목부(257)와 동심으로 내부에 형성된 또다른 오목부(257')를 가지고 있다. 이 오목부(257')는 위치결정 유니트(250A)가 제1 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의 회전이 저지되도록 자동차의 좌측도어에 설치되는 백미러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 설치되어 있을 때 사용되게 되어 있다. 위치결정 유니트(250A)는 자동차 차체의 스타일과 스타일상의 균형을 취하기 위하여 회전 중심축 전면의 부분이 얇게 설계된 하우징(22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와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해 운전자의 시트가 자동차 차체의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되어 왔다는 것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운전자의 시트는 자동차의 우측 및 좌측 도어상에 설치된 백미러 어느 한쪽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미러 표면과, 하우징이 사용위치에 있을 때의 운전자의 미러에 대한 시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는 자동차 차체의 좌측에 설치된 백미러와 우측에 설치된 백미러 사이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회전부재상에 지지된 볼이 사용위치에서 하우징의 회전을 저지시키도록 맞닿는 고전부재내의 부채꼴 오목부의 끝이 위치와, 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의 회전을 저지시키는 돌출부의 원주상의 길이는 우측 백미러와 좌측 백미러가 상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장치에 있어서, 제2 격납위치에서 하우징은 베이스상의 돌출부가 회전부재내의 오목부내로 맞물리므로서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지, 부채꼴 오목부의 끝과 볼 또는 회전부재와 일체식으로 형성된 절반 볼 사이의 어떤 접촉에 의해서도 회전이 저지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는 각각 우측 및 좌측 백미러에 적합하게 생산된다. 따라서, 동일한 위치결정 유니트는 우측 및 좌측 백미러 쌍방의 베이스-하우징 세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미러 표면과 운전자의 미러에 대한 시선 사이에 형성된 각도가 우측 백미러와 좌측 백미러 사이에서 크게 상이하여 우측 및 좌측 백미러중의 하나용으로 이와 같은 각도의 위치결정 유니트를 사용하는 한편 다른 하나의 백미러용으로 또다른 각도의 위치결정 유니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하더라도, 필요한 위치결정 유니트는 종래의 백미러에 필요했던 수량의 위치결정 유니트형식보다 훨씬 적은 4개(2개의 상ㅇ나 모우터-구동식 및 2개의 상이한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만이 고려된다.

Claims (21)

  1. 하우징을,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사용위치까지,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의 후방 끝부쪽으로 향하며 하우징의 미러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가로방향 측면에 면하는 제1 격납위치까지, 그리고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의 전방 끝부쪽으로 향하며 하우징의 후방 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가로방향 측면에 면하는 제2 격납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베이스(10;100) 및 하우징(20;200)으로 구성되는 백미러의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장치는 상기 베이스(10;100)상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20;220)내에 설치되기 이전에 조립되도록 유니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50,50A;150,150A)는: 베이스(10;1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51;151), 하우징(20;120)에 연결되는 회전부재(52;152), 및 회전부재(52;152)을 하우징과 함께 사용위치 또는 격납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해 수동 구동식 또는 모터구동식 회전장치(40;140);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 유니트(50,50A;105,105A)는 상기 격납위치를 넘는 상기 하우징(20;120)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베이스(10;110)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소(18;118), 이 제1 요소(18;118)를 상기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52,52A,152,152A)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요소(57,57A;157,157A) 및 상기 제1 요소(18;118)를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0;120)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요소(27;27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의 위치결정장치.
  2. 하우징을,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하는 사용위치까지,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의 후방 끝부쪽으로 향하며 하우징의 미러 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가로방향 측면에 면하는 제1 격납위치까지, 그리고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의 전방 끝부쪽으로 향하며 하우징의 후방 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가로방향 측면에 면하는 제2 격납위치까지 회전시키도록 베이스(210) 및 하우징(220)으로 구성되는 백미러의 위치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장치는 상기 베이스(210)상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내에 설치되기 이전에 조립되도 록유니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위치결정 유니트(250,250A)는: 베이스(10)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51), 하우징(220)에 연결되어야 하는 주된 부분(253)과 이 주된 부분(253)으로부터 분리가능한 부분(254)으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부재(252), 및 주된 부분을 하우징(220)과 함께 사용위치 또는 격납위치까지 회전시키는 수동구동식 또는 모터구동식 회전기구, 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된 부분(253;253A)은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를 넘는 회전에 대항하여 하우징(220)을 봉쇄하도록 베이스(210)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218)와 맞물리기 위해 제1 오목부(257)를 가지며, 분리가능한 부분(254)은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를 넘는 회전에 대항하여 하우징(220)을 봉쇄하도록 베이스의 돌출부(218)와 맞물리기 위해 제2 오목부를 내부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의 위치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기구는 주된 부분(253)을 지지하도록 고정부재(251)상에 구비된 축(264), 이 축(264)상에 장착된 기어(265), 주된 부분(253)상에 구비된 모터(271), 이 모터(271)와 축상의 기어(265) 사이에 배치되었으며 축상의 기어와 맞물려 있는 기어가 기어 자체의 축선상에서 그리고 축상의 기어 주위를 회전하는 기어 열(gear train), 하우징(20)에 외부의 힘이 가해질 때에만 축상의 기어(265)를 축(264)으루부터 이탈시키도록 축상의 기어(265)와 축(264) 사이에 배치된 클러치(266), 고정부재(251)내에 형성된 부채꼴 오목부(81), 및 주된 부분(253)을 사용위치내에 고정시키도록 부채꼴 오모부(281)의 끝부와 맞닿는 주된 부분(253)상에 형성된 돌출부(28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의 위치결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회전 기구는 주된 부분(253)을 지지하도록 고정부재(251)상에 구비된 축(264), 주된 부분(253)을 고정부재(251)쪽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된 스프링(268), 및 주된 부분(253)상에 형성되었으며 주된 부분(253)을 사용위치내에 고정시키도록 섹터오목부(281)의 끝부와 맞닿는 섹터오목부(281),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결정 유니트.
  5. 승용차 차체의 우측에 설치되는 다양한 승용차 차체 스타일용의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로서, 이들 세트의 각각은 베이스(10;110;210) 및 미러(30;130;23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하우징(20;120;220)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승용차 차체의 좌측에 설치되는 승용차의 다양한 차체 스타일용의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로서, 이들 세트의 각각은 베이스(10;110;210) 및 미러(30;130;230)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베이스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하우징(20;120;220)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베이스/하우징 세트; 및 각각이 상기 각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복수의 모우터 구동식 위치결정장치(50;150;250) 및/또는 각각이 모우터 구동식 위치결정장치의 대신 각각의 상기 베이스/하우징 세트에 연결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복수의 모우터 구동식 위치결정장치(50;150;250); 로 구성되는 일련의 차량용 백미러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위치결정장치는 상기 베이스상에 그리고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기 이전에 조립되는 유니트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위치결정 유니트(50,50A;150,150A;250,250A)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고정부재(51,51A;151,151A;251,251A), 상기 하우징에 연결되는 회전부재(52,52A;152,152A;252,252A), 및 상기 회전부재(52,52A;152,152A;252,252A)를 상기 하우징(20;120;220)과 함께 상기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로부터 가로방향을 돌출하는 사용위치까지,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 후방 끝부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미러 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측면에 면하는 제1 격납위치까지 또는 상기 하우징이 승용차 차체의 전방 끝부쪽으로 향해 있으며 하우징의 후방측면이 승용차 차체의 측면에 면하는 제2 격납위치까지 수동으로 또는 모터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고정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배치된 회전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베이스/하우징 세트의 상기 하우징(20;120;220)은 상기 위치결정 유니트(50,50A;150,150A;250,250A)중의 하나가 부착될 수 있는 장착부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모터구동식 또는 수동식 위치결정 유니트는 상기 회전부재(52,52A;152,152A;252,252A)를 상기 하우징(20;120;220)에 연결시키도록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상보성 부분(53;153;253)을 갖추고 있고, 상기 장착부는 모든 하우징용으로 동일형상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상보성 부분은 모든 위치결정 유니트(50,50A)용으로 동일형상을 갖추고 있고;그리고 각각의 상기 위치결정 유니트(50,50A;150,150A;250,250A)는 상기 격납위치를 넘는 상기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베이스(10;110;210)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소(18;118;218), 상기 제1 요소(18;118;218)를 상기 격납위치중의 한 위치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회전부재(52,52A)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요소(57.57';57A,57'A;257,257'A), 및 상기 제1요소(18;118;218)를 다른 하나의 격납위치내에 접촉시키도록 상기 하우징(20;120) 또는 상기 회전부재(252,252A)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요소(27;127;2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차량용 백미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베이스(10;110;210)에 면하는 상기 하우징(20;120;220)의 개구부(22;122;222)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위치결정 유니트의 상기 고정부재(51,51A;151,151A;251,251A)는 상기 개구부내로 끼워맞춤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52,52A;152,152A;252,252A)는 상기 회전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로서 형상이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차량용 백미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회전부재(52,52A;152,152A;252,252A)는 모든 베이스/하우징 세트내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리가능한 부분(54,54A;154,154A;254,254A)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분리가능부재는 상기 상보성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하우징(120)의 상기 개구부(122)를 통해 상기 베이스(110)에 면하여 상기 장착부를 형성하는 챔버(1291)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기능부분(154)상의 상기 상보성 부분은 상기 챔버(1291)내로 삽입가능하고 위치결정 유니트의 상기 고정부재(151)는 상기 개구부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9. 제5항에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개구부(22)와 별개로 구비된 시트(23,24)로 구성되며, 상기 상보성 부분은 상기 회전부재(52,52A)로부터 상기 시트(23,24)와 연결되도록 상기 시트(23,24)쪽으로의 연장부상에 형성된 고정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백미러는 단일 모우터 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50;150;250) 및/또는 단일 수동 구동식 위치결정 유니트(50A;150A;250A)로 구성되며; 각 하우징은 미러 틸팅기구(30;130;230)를 더 장식하고; 베이스는 승용차 차체에 부착될 수 있으며; 하우징의 개구부는 하우징의 회전축선에 집중되 있고;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수단의 상기 제1 요소는 하우징(20;120;220)쪽으로 뻗어 있는 돌출부(18;118;218)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요소는 회전부재(51,51A;151,151A;251,251A)상의 오목부(57,57';57A,57A';257,257A)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요소는 하우징(20;120) 또는 회전부재(252;252A)상의 오목부(27;227)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1. 제10항에 있어서, 개구부(22)가 평면상에 돌출되어 있을 때 형성된 하우징(20)의 상기 개구부(22)의 외형선의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20)의 외측쪽으로 점차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2. 제10항에 있어서, 위치결정 유니트(50,50A)가 하우징(20)상에 설치되어 있을 때 회전부재(52,52A)의 바닥부는 하우징(20)의 바닥부와 동일레벨에 있으며 회전부재(52,52A)와 하우징(20)내에 형성된 오목부(57,57A,27)는 각각 하우징(20)의 회전중심축선과 동심인 하우징(20)과 회전부재(52,52A)이 바닥부내에 형성된 부분적으로 단편인 보통의 원형 오목부의 끝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52,52A)는 이 회전부재의 제1 오목부(57,57A)에 대칭인 제2 오목부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52,253,254)는 컨테이너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기구는 상기 컨테이너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129)는 하우징(20)의 회전중심축선과 동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6. 제15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측면상의 부위를 포함하는 상기 회전부재의 분리가능부분은 회전부재의 잔여부와 함께 컨테이너를 형성하며 회전기구는 컨테이너내에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7. 제16항에 있어서, 챔버(129)는 챔버를 형성하는 벽 위에 돌출부(1293)를 갖추고 있으며 회전부재(152)는 상기 돌출부(1293)와 맞물리도록 오목부(1531)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8. 제9항에 있어서, 연장부(2542)를 제외하는 분리기능부분(254)의 한 부분(2541)은 회전부재(252)의 잔여부(253)와 함께 회전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19. 제18항에 있어서, 연장부(2542B;2542C)는 분리가능부분(2541B;2541C)의 상기 부분으로부터 제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20. 제18항에 있어서, 회전부재(252;252A)의 바닥부는 위치결정 유니트가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을 때 하우징의 바닥부와 거의 동일 레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련의 백미러.
  21. 베이스(10;110)와 하우징(20;120;220), 그리고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항에 따른 위치결정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KR1019950013921A 1994-06-09 1995-05-30 차량용 백미러장치 KR0156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27384 1994-06-09
JP12738494A JP3259520B2 (ja) 1994-06-09 1994-06-09 車両用後写鏡装置
JP17087494A JP3173292B2 (ja) 1994-07-22 1994-07-22 車両用後写鏡装置
JP94-170874 1994-07-22
JP94-170873 1994-07-22
JP17087394A JP3173291B2 (ja) 1994-07-22 1994-07-22 車両用後写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22A KR960000622A (ko) 1996-01-25
KR0156776B1 true KR0156776B1 (ko) 1998-11-16

Family

ID=27315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921A KR0156776B1 (ko) 1994-06-09 1995-05-30 차량용 백미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7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0622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4084A1 (en) Rear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US6362548B1 (en) Housing with integral gasket components for a rearview mirror actuator assembly
US6037689A (en) Housing with integral weather seals and noise dampeners for a rearview mirror actuator assembly
EP0764562B1 (en) Positioning device for car sideview mirror and car sideview mirror
JP3145395B2 (ja) 自動車用バックミラー組立体
EP0801609B1 (en) Exterior mirror with single pivot power fold
EP0686524B1 (en) Mirror-housing positioning device for car rearview mirror
JPH055822Y2 (ko)
US7546997B2 (en) Fastening construction,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of a motor vehicle
WO2016158498A1 (ja) 車両用電動格納式視認装置および該装置に組み込まれるシャフト外挿ギヤ
US4286841A (en) Electrically operated remote control rearview mirror
KR0156776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US5669667A (en) Motor-vehicle seat headrest
EP1347890B1 (en) Movement mechanism
US5270907A (en) Integral plastic socket assembly with insert-molded metal supports for headlamp mounting arrangement
JP3173291B2 (ja) 車両用後写鏡装置
EP1178904A1 (en) Mirror actuator housing construction
EP0531944A1 (en) A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KR20040019920A (ko) 상용차용 외부 리어 뷰 미러
JP3475616B2 (ja) 車両用後写鏡装置
JP2002301988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
JP7187866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H01122744A (ja) 乗物用外部後写鏡組立体
US20030179475A1 (en) Motion mechanism
JPH05121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