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36B1 -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 Google Patents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36B1
KR0156736B1 KR1019900011516A KR900011516A KR0156736B1 KR 0156736 B1 KR0156736 B1 KR 0156736B1 KR 1019900011516 A KR1019900011516 A KR 1019900011516A KR 900011516 A KR900011516 A KR 900011516A KR 0156736 B1 KR0156736 B1 KR 015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entral
holes
chamber
fluid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019A (ko
Inventor
유진 리페버 토마스
Original Assignee
월터 이. 파블리크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월터 이. 파블리크, 모다인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filed Critical 월터 이. 파블리크
Publication of KR910005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1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apparatus having an annula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65/00Heat exchange
    • Y10S165/916Oil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ransformer Cool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제1도는 내연기관 블록상의 제위치에 오일필터와 함께 설치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입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열교환기의 평면도.
제3도는 장착용 어댑터가 도시된 제2도의 3-3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각 쳄버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선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제1형의 평면도.
제7도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제2형의 평면도.
제8도는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의 제3형의 평면도.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오일 냉각기에 유용한 소위 도넛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 채용되는 윤활유 냉각용 열교환기의 이용은 공지되어 있으나, 1973년 7월 3일자 미합중국 특허 제 3,743,011호에 예시된 것과 같은 프로스트((Donald J. Frost)에 의한 소위 도넛형 오일 냉각기의 발명은 차량 오일 냉각기의 신기원을 개시하였다. 프로스트의 발명을 통하여, 처음으로 내연기관의 윤활유장치에 냉각기능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게 됐다. 프로스트형의 도넛 오일 냉각기는 단지 2-3인치 정도의 축길이를 가지며, 어댑터 또는 파이프등의 보조물로 내연기과 블록과 오일 필터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넛 오일 냉각기의 하우징상에 냉매 포트를 단순히 호스로 이루어진 차량냉각장치내에 연결하면 이 장치는 완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도넛 오일 냉각기는 냉매를 수용하기 위하여 연결되며, 냉각될 오일이 순환되는 비교적 얇고 원판모양의 중첩되어 있는 쳄버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배관상 이와같은 오일 냉각기를 필터의 상류에 설치하면, 오염된 오일을 냉각시키고, 필터의 하류에 설치하면 청결한 오일을 냉각시킨다. 도넛 오일 냉각기는 전형적으로 오일이 순환되는 쳄버내에 터뷸레이터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청결한 오일을 냉각하도록 필터의 하류쪽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하며, 따라서 터뷸레이터가 오염된 오일에 막혀 오일의 흐름을 방해하고, 열전달을 어렵게 하는 경우를 줄일수 있다.
상기한 프로스트의 특허에는 엔진으로부터 뜨거워진 오일이 열교환을 위해 쳄버에 유입되기 전에, 먼저 오일 냉각기내의 폐쇄된 통로를 통하여 여과용 필터를 거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프로스트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 통로는 오일 냉각기의 중심의 반경방향으로 밖쪽으로 위치하고 있으나, 원판형 쳄버의 주변의 반경방향으로 약간 안쪽으로 위치한다. 결국, 유체의 흐름이 정체되기 쉬운 필터로 통하는 폐쇄 통로와 쳄버의 주변 사이에는 작은 용적의 오일이 정체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유체의 교란은 유체들간의 열전달율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정체한 유체의 영역이 존재하면, 열전달은 교란이 있을 때보다 현저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은 오일이 먼저 오일필터를 통하여 흐름으로써 오일이 깨끗한 상태에서 냉각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고, 열전달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정체영역을 제거하는 유형의 도넛 오일 냉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소위 도넛형의 신규의 개량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냉각되기전 먼저 그 불순물을 여과하는 기능을 가진 필터가 함께 설치되어 있고, 열전달의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유체의 흐름이 정체되기 쉬운 곳을 제거한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열교환 유체를 위합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제2열교환 휴체를 수용하도록 중첩되어 있는 쳄버와, 중첩되어 있는 쳄버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 중앙관통공 및 이 중앙관통공 주위에 배치된 최소한 제1, 제2 및 제3관통공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 연통되며,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를 통하여 폐쇄된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한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제3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또다른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일단부근방의 상기 제2관통공 사이에 유체 연통되고, 상기 중앙 관통공과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타단부근방의상기 제3관통공 상이에 유체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스페이서내의 중앙관통공 주위에 여러가지 유동통로를 형성하는 각종 관통공들을 배치함으로써, 유체가 정체되는 스페이서의 주변과 쳄버의 주변 사이의 공간에 아무 도관이 존재하지 않는 간결한 장치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및 제3관통공은 중앙관통공 주위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스페이서 중앙관통공의 대향하는 양쪽에 또한 제2 및 제3관통공 사이에 2개의 제1관통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일실시에에 있어서, 제1관통공은 중앙관통공에 근접하여 아치형 슬롯에 의하여 형성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아치형 슬롯은 좁은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쳄버가 2개의 판이 대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그 주변이 밀봉되어 형성되고, 스페이서는 최소한 2종류로 되는 것을 기도한다. 한종류는 중첩되어 있는 쳄버들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이고, 다른 종류는 각 쳄버의 판사이에 대략 그 중앙부에 배치된 스페이서이다.
기타 목적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내연기관의 윤활유를 위한 오일 냉각기능과 관련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른 응용기기에서도 그 실용성을 발견할 수 있고, 다른 분야의 오일 냉각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도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블록이 (10)으로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보통 오일 필터(14)를 부착하도록 시트(12)를 가진다. 그러나, 본발명의 경우에는 (16)으로 표시되는 도넛 오일 냉각기가 오일 필터(14)와 시트(12)사이에 삽입된다.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열교환기(16)는 제3도에 도시된 어댑터(18)에 의하여 필터(14)와 시트(12)사이에 샌드위치관계로 지지된다. 어댑터(18)는 시트(12)내의 오일 귀환 포트내로 연결되는 나사낸 단부(20)와 필터(14)의 중앙관통공내로 연결되는 반대쪽 나사낸 단부(22)를 가진다.
통상적으로, 오일 필터(14)에 부착되어 있는 시일(24)은 열교환기(16)용 하우징(28)의 윗면(26)을 밀봉하도록 결합한다. o링 시일(30)이 하우징(28)의 반대쪽면과 시트(12)사이에 삽입된다.
제2 및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o링(30)의 수용을 위한 홈(34)이 면(32)에 형성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26)에는 평면(38)을 가진 원형리브(36)가 있으며, 이 평면(38)이 필터(14)에 부착된 시일(24)과 연결된다.
또한, 제1,2 및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8)의 한면(40)의에는 입구 및 출구 니플(42,44)이 다소의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다. 제1도에 제1점쇄선으로 표시된 호스(46,48)에 의하여 이 니플(42,44)이 내연기관의 냉매장치로 연결될 수 있다.
다시 제3도에 있어서, 장착용 어댑터(18)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나사단부(22)에는 육각숄더(50)가 있으며, 이것을 렌치로 적당히 돌리면 어댑터(18)를 엔진블록의 나사낸 단부(20)에 연결시킬수 있다. 또한, 숄더(50)는 열교환기 윗면(26)을 지지하여 열교환기가 제자리에 위치하도록 한다.
어댑터(18)는 하우징(28)의 두면(26,32)사이의 대략 중간에 있는 제1숄더(52)와 실질적으로 면(32)에 또는 그와 같은 평면에 있으면서 o링등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밀봉될 수 있는 제2숄더(54)를 갖는다. 여기서, 밀봉을 위한 시일(30)은 없어도 좋다
어댑터(18)는 단부(22)로부터 숄더(52)로 이어지는 내부통로(56)와, 단부(20)로부터 숄더(52)로 이어지는 내부통로(58)를 갖는다. 통로(56,58)는 이 통로보다 직경이 작은 통로(6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내부숄더(62)는 통로(58)를 마주보면서, 통로(58)내에서 임의의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고정된 스프링(66)에 의해 숄더(62)를 향하여 밀어내는 감압밸브(64)를 위한 밸브시트로서 작용한다.
이 장치는 통로(56)내의 압력이 소정 레벨을 초과하면, 밸브(64)가 열리도록 작용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밸브(64)에 의하여 폐쇄되어 있던 통로(56,58)사이에 흐름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어댑터(18)는 통로(56)와 유체연통되도록 숄더(50,52) 사이에 구멍(70) 및 통로 (58)와 유체연통되도록 숄더(52)와 숄더(54)사이에 같은 구멍(72)을 가진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는 면(26,32) 사이를 연결하는 중앙통로(74)내에 위치한다. 숄더(52)는 도면과 같이 저지판 목적으로서 작용하도록 통로(74)내에 정확하게 맞추어진다. 숄더(54)도 마찬가지이다.
제3도에는 또한 열교환기의 하우징(28)내에 쳄버유닛(76)이 중첩되어 있는 것이 도시도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는, 8개의 쳄버유닛(76)이 있으나, 이 분야의 기술자는 더 많거나 더 작은 수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쳄버유닛(76)은 대체로 앞서 프로스트의 특허에 기재된 것과 같이 형성되며, 그 상세는 여기에 참조된다. 본 목적을 위하여, 제4 및 5도에 하나의 쳄버(76)가 도시되어 있다. 이 쳄버는 스테인레스 강과 같은 금소재료로 만든 2개의 판(78,80)을서로 겹쳐 그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그 주변(82)에서 접어 밀봉시킨 원판형의 것이다.
앞서 프로스트의 특허에 기재된 형의 텨뷸레이터(84)가 판(78,80)사이에 위치하며, 하우징(28)내의 쳄버(76)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2개의 형중 하나인 스페이서(86)가 마찬가지로 판(78,80)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제4도에 있어서, 각 판(78,80)(판(78)만이 도시됨)은 부분적으로 중앙통로(74)를 형성하는 중앙관통공(88)을 가진다. 중앙관통공(88)의 바로 주위에 근접하여 제1관통공(90), 제2관통공(92) 및 제3관통공(94)이 위치한다. 제1관통공(90)은 중앙관통공(88)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쌍으로 되어 있으며, 중앙관통공(88)을 중심으로 동심인 좁은 아치형의 슬롯으로 형성된다. 제2관통공(92)과 제3관통공(94)은 중앙관통공(88)을 중심으로 대향하여 위치하여, 2개의 제1관통공 쌍을 분리시키는 위치에 있다.
다시 제3도에 있어서, 제2관통공(92)은 면(26)과 면(32)를 내부적으로 연결하는 통로(96)를 형성하는 반면에, 제3관통공(94)은 통로(96)를 대향하여 마주보면서 면(26)과 (32)를 내부적으로 연결하는 통로(98)를 형성한다. 제1관통공(26),(32)의 면에 나타내고, 그 면들 사이를 연장하는 폐쇄통로(100)(제2도)를 형성한다.
통로(74,96,98,100)를 형성하는 판내의 관통공과 함께 스페이서내의 구멍 또는 관통공이 또한 이용된다. 3개의 형의 스페이서를 사용한다. 제1형의 스페이서(102)는 중첩되어 있는 각 쳄버 유닛(76)사이에 위치한다. 이 스페이서(102)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78,80)내의 관통공(88)과 일치하는 중앙관통공(104)과, 관통공(90)과 일치하는 서로 대향하고, 아치형의 슬롯 모양의 제1관통공(105)과, 관통공(92)과 일치하는 제2관통공(106)과, 관통공(94)과 일치하는 제3관통공(108)을 가진다. 각 관통공(104,105,106,108)은 스페이서(102)의 몸체에 의하여 완전히 포위되어 있는 것에 특히 유의하여야 한다.
면(26)에 의하여 표시되는 열교환기의 단부근방의 4개의 쳄버 유닛(76)은 제7도에 도시된 구조의 내부 스페이서(110)를 가진다. 또한, 판(78,80)내의 관통공(88)과 일치할 수 있는 중앙관통공(112)과, 관통공(90)과 일치하면서 좁은 아치형의 슬롯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관통공(114)과, 관통공(92)와 일치하는 제2관통공(116)과, 관통공(94)와 일치하는 제3관통공(118)이 있다.
제2 및 제3관통공(116,118)은 각각 완전히 폐쇄되지 않았으며, 스페이스(110)가 위치하는 판들 사이에 수용되는 터뷸레이터 쪽을 향하여 반경방향으로 밖쪽으로 열려 있음을 알수 있다. 또한, 통로(120)는 스페이서(110)내의 중앙관통공(112)과 제3관통공(118)이 상호연통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110)내의 중앙관통공(112)과 제3관통공(118)을 연결하는 통로(120)는 4개의 상단 쳄버유닛(76)의 내부와 숄더(52)위의 통로(74)사이를 연결한다.
면(32)로부터 순차적으로 있는 4개의 쳄버유닛(76)은 제8도에 도시한 구조의 내부 스페이서(130)를 가진다. 이 스페이서(130)는 판(78,80)내의 중앙관통공(88)과 일치하는 중앙관통공(132)과, 관통공(90)과 일치하며, 좁은 아치형의 슬롯으로 서로 대향하는 제1관통공(134)과, 관통공(92)과 일치하는 제2관통공(136)과, 관통공(94)과 일치하며, 서로 대향하는 제3관통공(138)을 가진다. 또한, 제2 및 제3관통공(136,138)은 중첩되어 있는 하부의 쳄버유닛(76)내의 터뷸레이터 쪽을 향하여 열도록 반경방향으로 밖쪽으로 열려있다. 또한, 통로(140)는 스페이서(130)내의 중앙관통공(132)과 제2관통공(136)을 상호연결한다. 제3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이것은 통로(98)를 숄더(52)아래의 통로(74)의 부분과 유체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동작시에, 여과될 오일은 어댑터(18)의 나사낸 단부(20)을 수용하는 것의 반경방향으로 밖쪽이면서 시일(30)의 안쪽에 위치한 통상의 포트를 통하여 내연기관과 결합된 오일 펌프(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블록(10)으로부터 유입된다. 제2도에서 알수 있듯이, 그 오일은 통로(100)내로 통과하여 열교환기 유닛(16)을 전부 통과하고, 나사낸 단부(22)의 반경방향 밖쪽이면서 시일(24)의 반경방향 안쪽으로 필터(14)내의 포트로 통과한다. 그 다음에, 냉각되지 않고 여과되지않은 오일은 필터(14)를 통과하여 여과되어서 필터로부터 통상의 방법으로 어댑터(18)의 나사낸 단부(22)내로 유입된다. 그곳으로부터, 밸브(64)에 의하여 저지될 때까지 통로(56)내로 흐른다. 그것을 어댑터(18)내의 내부통로(56)를 통과하여 구멍(70)을 경유하여 숄더(52)위의 통로(74)부분으로 흐른다. 그곳으로부터, 그것은 상부의 4개의 쳄버유닛(76)의 각각의 내부에 있는 스페이서(110)내의 통로(120)을 통과한다.
오일은 또한 4개의 상부 쳄버유닛(76)내의 통로(120)를 경유하여 통로(96)로 들어가며, 통로 내에서 4개의 하부 쳄버유닛(76)으로 하강한다. 모든 쳄버유닛(76)의 경우에, 오일은 텨뷸레이터 및 중앙 스페이서를 통과하며 스페이서(110)의 관통공(118)의 개방 단부나 또는 스페이서(130)의 관통공(138)을 경유하여 통로(98)로 들어간다.
일단 통로(98)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은 중첩되어있는 쳄버내에 외하향으로 흘러서 4개의 하부 쳄버유닛(76)의 내부에 위치한 스페이서(130)내의 통로(140)에 도달한다. 이 위치로부터, 오일은 숄더(52)아래의 중앙통로(74)의 부분으로 흐르고, 최후로 구멍(72)을 경유하여 통로(58)로 흐른다. 일단 통로(58)에서는 나사낸 단부(20)를 경유하며 엔진윤활장치내의 시트(12)의 저압측으로 되돌려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냉각하기 이전에 오일을 여과하며, 끈적끈적 달라붙는 등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여과된 오일만이 텨뷸레이터(84)에 노출될 것이라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서의 프로스트 특허에서 개시한 것과 같이 오일통로를 반경방향으로 밖쪽에 위치시키는것과는 대조적으로, 중앙에 위치한 스페이서 및 쳄버유닛(76)을 만드는 판들내의 중앙위치에 오일통로(100)를 위치시킴으로써, 여과되기 이전에 열교환기를 통하여 필터에 여과되지 않은 오일을 흐르게 하므로, 오일통로에서의 유체흐름의 정체영역이 완전히 없어진다. 결국, 열교환이 극대화된다.
이 분야의 기술자들은 또한 상기 프로스트의 특허에서 개시한 열교환기에 비하여, 본 발명은 열교환기로의 오일의 2개의 통과 흐름보다는 오히려 오일의 단일통과 흐름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것을 프로스트의 특허에 의한 구조로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좋은 성능을 결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모든 오일용 유체통로는 프로스트에 의하여 개시된 것과 같이 얇은 프레스한 판이 아니라 스페이서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 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프로스트의 특허에 개시된 것보다 구조적으로 더 강하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열교환기는 더 높은 유압에 견딜 수 있다.

Claims (6)

  1. 제1열교환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제2열교환유체를 수용하도록 중첩되어 있는 쳄버와, 중첩되어 있는 쳄버 사이에 배치되고, 각각 중앙관통공 및 이 중앙관통공 주위에 배치된 최소한 제1, 제2 및 제3관통공을 가지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를 통하여 폐쇄된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한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제3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또다른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일단부근방의 상기 제2관통공 사이에 유체연통되고,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타단부근방의 상기 제3관통공 사이에 유체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관통공은 상기 중앙관통공주위에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열교환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기 중앙관통공의 대향하는 양쪽에 또한 상기 제2 및 제3관통공 사이에 2개의 제1관통공이 서로 대향하여 위치하는 열교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중앙관통공에 근접하여 아치형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는 열교환기.
  5. 제1열교환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제2열교환유체를 수용하고, 2개의 판이 대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그 주변이 밀봉되어 이루어진 중첩되어 있는 쳄버와, 중첩되어 있는 쳄버 사이에 배치된 제1스페이서와, 각 쳄버의 판들 사이에 대략 그 중앙부에 배치된 제2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들 및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 일치된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앙관통공 주위에 배치된 최소한 제1, 제2 및 제3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괴며,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를 폐쇄된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한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제3관통공은 상호간에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또다른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유체연통되고,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이 연통되고,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제2스페이서는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제3관통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6. 제1열교환유체를 위한 입구 및 출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수용되고, 제2열교환유체를 수용하고, 2개의 판이 대향하여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그 주변이 밀봉되어 이루어진 중첩되어 있는 쳄버와, 중첩되어 있는 쳄버 사이에 배치된 제1스페이서와, 각 쳄버의 판들 사이에 대략 그 중앙부에 배치된 제2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판들 및 상기 스페이서는 각각 일치된 중앙관통공과 상기 중앙관통공 주위에 배치된 제1, 제2 및 제3관통공을 가지고, 상기 제1관통공은 상기 중앙관통공을 중심으로 동심은 좁은 아치형의 슬롯이고, (a)상기 중앙관통공의 양쪽에 대향하여 일렬로 정렬되는 쌍으로 되어 있고, (b)상기 제2 및 제3관통공 사이에 위치하고, (c)상호간에 유체연통되어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 통하여 폐쇄된 유체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호간에 일렬로 정렬되어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한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3관통공은 상호간에 일렬로 정렬되어 유체연통되며, 상기 중앙관통공의 또다른 쪽의 상기 쳄버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중첩되어 있는 쳄버의 일단부에 있는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제2관통공이 연통되고, 상기 중첩되어있는 쳄버의 타단부에 있는 상기 제2스페이서는 상기 중앙관통공과 상기 제3통공이 연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
KR1019900011516A 1989-08-21 1990-07-28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KR0156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96,279 1989-08-21
US07/396,279 US4967835A (en) 1989-08-21 1989-08-21 Filter first donut oil coo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019A KR910005019A (ko) 1991-03-29
KR0156736B1 true KR0156736B1 (ko) 1999-01-15

Family

ID=23566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516A KR0156736B1 (ko) 1989-08-21 1990-07-28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967835A (ko)
EP (1) EP0421570B1 (ko)
JP (1) JP2927906B2 (ko)
KR (1) KR0156736B1 (ko)
AT (1) ATE113369T1 (ko)
AU (1) AU619112B2 (ko)
BR (1) BR9003163A (ko)
CA (1) CA2016128C (ko)
DE (1) DE69013633T2 (ko)
ES (1) ES2066131T3 (ko)
MX (1) MX16711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8077A (en) * 1989-02-24 1996-07-23 Long Manufacturing Ltd. In tank oil cooler
DE3938253A1 (de) * 1989-11-17 1991-05-23 Behr Gmbh & Co Oelkuehler fuer eine brennkraftmaschine
DE4040875C2 (de) * 1990-12-20 1994-09-01 Laengerer & Reich Kuehler Ölkühler
DE4042019A1 (de) * 1990-12-28 1992-07-02 Behr Gmbh & Co Waermetauscher
FR2678052B1 (fr) * 1991-06-19 1993-09-24 Valeo Thermique Moteur Sa Dispositif pour la fixation de deux tubulures sur deux ouvertures voisines d'un boitier d'echangeur de chaleur.
DE4128153C2 (de) * 1991-08-24 1994-08-25 Behr Gmbh & Co Scheibenölkühler
JP3663981B2 (ja) * 1999-06-30 2005-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及びそのろう付け方法
FR2712967B1 (fr) * 1993-11-23 1996-01-19 Valeo Thermique Moteur Sa Echangeur de chaleur à lames, en particulier radiateur d'huile pour véhicule automobile.
US5435383A (en) * 1994-02-01 1995-07-25 Rajagopal; Ramesh Plate heat exchanger assembly
DE9406197U1 (de) * 1994-04-14 1994-06-16 Behr Gmbh & Co Wärmetauscher zum Kühlen von Abgas eines Kraftfahrzeugmotors
US5544699A (en) * 1995-02-10 1996-08-1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Oil cooler with a self-fastening, self-orienting pressure relief valve
US5499675A (en) * 1995-03-10 1996-03-19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Oil cooler with a self-retaining, self-orienting pressure relief valve
US5758908A (en) * 1996-05-22 1998-06-02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Oil cooler with improved coolant hose connection
DE19707647B4 (de) * 1997-02-26 2007-03-01 Behr Gmbh & Co. Kg Scheibenkühler
US6032503A (en) 1998-11-23 2000-03-07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roll forming a plurality of heat exchanger fin strips
CA2257076C (en) * 1998-12-23 2005-03-22 Long Manufacturing Ltd. Radial flow annular heat exchangers
US6446712B1 (en) 1999-02-23 2002-09-10 Long Manufacturing Ltd. Radial flow annular heat exchangers
CA2312113C (en) 2000-06-23 2005-09-13 Long Manufacturing Ltd. Heat exchanger with parallel flowing fluids
US20020162646A1 (en) 2001-03-13 2002-11-07 Haasch James T. Angled turbulator for use in heat exchangers
US6510830B2 (en) 2001-04-13 2003-01-28 David Rossiter Method and apparatus for a lubricant conditioning system
US7017656B2 (en) * 2001-05-24 2006-03-2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eat exchanger with manifold tubes for stiffening and load bearing
KR100514572B1 (ko) * 2001-06-07 2005-09-14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초극세 단섬유의 제조방법
DE10214467A1 (de) * 2002-03-30 2003-10-09 Modine Mfg Co Abgaswärmetauscher für Kraftfahrzeuge
FR2856747B1 (fr) * 2003-06-25 2005-09-23 Valeo Thermique Moteur Sa Module de refroidissement de l'air de suralimentation et des gaz d'echappement recircules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de vehicule automobile.
DE10347181B4 (de) * 2003-10-10 2005-12-22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Wärmetauscher, insbesondere Ölkühler
DE10351112A1 (de) * 2003-11-03 2005-05-25 Mahle Filtersysteme Gmbh Wärmetauscher-Einrichtung mit einem Wärmetauscher-Funktionsteil
DE102005004520A1 (de) * 2005-01-31 2006-08-10 Behr Gmbh & Co. Kg Stapelscheibenkühler
DE102005012550A1 (de) 2005-03-18 2006-09-21 Mahle International Gmbh Filter-Kühler-Kombination für Flüssigkeiten, insbesondere Schmieröl eines Kraftfahrzeug-Verbrennungsmotors
JP2012096779A (ja) * 2010-10-07 2012-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熱媒体加熱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用空調装置
WO2016057856A1 (en) * 2014-10-10 2016-04-14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Brazed heat exchanger and production method
EP3179190A1 (en) * 2015-12-11 2017-06-14 Alfa Laval Corporate AB Plate heat exchanger
CN106895696A (zh) * 2017-03-12 2017-06-27 深圳市上羽科技有限公司 一种烘干机专用的板式换热器
CN115552100A (zh) * 2020-05-08 2022-12-30 康明斯公司 用于内燃发动机的润滑剂歧管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4794A (fr) * 1971-11-04 1973-05-16 Modine Mfg Cy Appareil echangeur de chaleur
US4360055A (en) * 1976-09-08 1982-11-2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JPS59191888A (ja) * 1983-04-13 1984-10-31 Nippon Denso Co Ltd 熱交換器
US4561494A (en) * 1983-04-29 1985-12-31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with back to back turbulators and flow directing embossments
JPS6144294A (ja) * 1984-08-07 1986-03-03 Nippon Denso Co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9112B2 (en) 1992-01-16
CA2016128C (en) 2000-11-07
JP2927906B2 (ja) 1999-07-28
KR910005019A (ko) 1991-03-29
JPH03221786A (ja) 1991-09-30
CA2016128A1 (en) 1991-02-21
AU5593790A (en) 1991-02-21
US4967835A (en) 1990-11-06
BR9003163A (pt) 1991-08-27
ATE113369T1 (de) 1994-11-15
EP0421570A1 (en) 1991-04-10
DE69013633D1 (de) 1994-12-01
MX167116B (es) 1993-03-04
ES2066131T3 (es) 1995-03-01
EP0421570B1 (en) 1994-10-26
DE69013633T2 (de) 199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736B1 (ko) 필터가 부착된 도넛형 오일 냉각기
KR870001781B1 (ko) 단일화한 오일 쿨러(Oil Cooler)와 필터조립체
EP0344206B1 (en) A combined filter and heat exchanger
US4360055A (en) Heat exchanger
US20210086115A1 (en) Filter cartridge endplate with integrated flow structure
KR920016806A (ko) 열교환기
EP0124217A1 (en) Heat exchanger
DE69500348T2 (de) Passive umleitung für wärmetauscher
JPS6144294A (ja) 熱交換器
KR100308892B1 (ko) 열교환기를사용하는계유류도넛형오일냉각기
KR20060051220A (ko) 필터 통합형 오일 쿨러
US3682308A (en) Engine coolant filter
US5499675A (en) Oil cooler with a self-retaining, self-orienting pressure relief valve
US5588485A (en) Plate-type heat exchanger, for use especially as an oil cooler
US3862037A (en) Fluid diverter device
US20080128345A1 (en) Unified Oil Filter and Cooler
US2859016A (en) Heat exchanger
GB1595051A (en) Adaptor device for oil temperature control system
JP3735993B2 (ja) オイルクーラ
US3003637A (en) Filters
JP2551694Y2 (ja) オイルフィルタ付オイルクーラ
JPH0417206Y2 (ko)
JPS6141930Y2 (ko)
JPS6259393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