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63B1 - 모듈러 잭형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러 잭형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63B1
KR0156063B1 KR1019950020552A KR19950020552A KR0156063B1 KR 0156063 B1 KR0156063 B1 KR 0156063B1 KR 1019950020552 A KR1019950020552 A KR 1019950020552A KR 19950020552 A KR19950020552 A KR 19950020552A KR 0156063 B1 KR0156063 B1 KR 0156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s
terminal
housing means
pair
ty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162A (ko
Inventor
보르드롱 프랑크
부샹 크리스토프
그랑끌로드 파스칼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60006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3Snap means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67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cross-over of signa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32Reducing cross-talk, e.g. by compens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1Crosstalk suppre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모듈러 잭형 커넥터(10)는 플러그 수납 공동(22)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12)을 포함한다. 복수의 단자(34)는 하우징상에 장착된다. 각 단자는 플러그 수납 공동 내부에 단일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C1-C8)와, 하우징에 위치된 곡선 기부(42)에서 연장하는 상기 접점부와, 근접 단자의 각 쌍이 단자의 각 열내의 미부를 구비하는 상기 단일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두 열로 하우징에서 돌출하는 미부(T1-T8)를 포함한다. 중간부(I1-I8)는 상기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는 근접 단자의 적어도 한 쌍의 중간부(I1, I2, I7, I8)를 구비하는 곡선 기부와 미부 사이에서 연장된다. 활형부(60)는 인접 단자 중 한 쌍의 중간부와 미부를 연결하며 이들을 상기 열에 횡단하는 평면에서 각각 겹친다. 적어도 단자의 다른 쌍의 중간부의 확대 부분(I3, I4, I5, I6)는 다른 단자 쌍 사이에서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상기 열에 평행 방향으로 서로 겹친다. 상기 터미널은 절연 하우징상에 역방향 장착되고 중첩되는 동일한 구조의 제1 및 제2리드 프레임(50, 52)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모듈러 잭형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의 사시도.
제2도는 커넥터 성분 요소들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커넥터의 단자 모듈의 사시도.
제4도는 단자 접점부의 소정 순서를 도시하기 위한 커넥터 결합면의 사시도.
제5도는 제1금속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
제6도는 제2금속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
제7도는 반대 방위로 서로 중첩되고 그 사이에 절연판이 삽입되는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의 평면도.
제8도는 삽입 성형 모듈내의 제7도의 조립체의 사시도.
제9도는 일반적으로 제8도의 9-9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접점부와 단자의 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단면도에 유사하나 제8도의 10-10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1도는 조립된 잭의 단면도.
제12도는 단자와 그 접점부 및 미부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듈러 잭형 커넥터 12 : 하우징
14 : 실드 16 : 단자 모듈
22 : 플러그 수납 공동 24 : 주형 장착 포스트
32 : 지지체 34 : 단자
36 : 단자 블록 42 : 곡선 기부
C1 내지 C8 : 스프링 빔 접점부 T1-T8 : 미부
I1 내지 I8 : 중간부 50, 52 : 리드 프레임
54 : 캐리어 스트립 58 : 노치
60, 62 : 활형부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의 기술 분야, 특히 모듈러 잭형 커넥터가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키기 위한 터미널 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잭형 커넥터는 잭 하우징부로부터 하우징의 플러그 수납 공동으로 돌출 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를 포함하고, 접점이나 단자가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성형부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단자는 일반적으로 핀의 형상으로 상보형 전기 장치의 단자와 결합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예컨대, 단자핀은 인쇄 회로 기판내의 구멍으로 삽입하여 기판상에 또는 구멍내의 납땜 연결을 위해 납땜 미부를 형성할 수 있다. 몇 가지 예로는, 단자 핀이나 납땜 미부는 단일 열로서 배열되나 많은 다른 예로는 그것들이 두 열이 번갈아서 엇갈린 배치로 배열된다. 스프링 빔 접점은 대체로 단일 열 내의 플러그 수납 공동으로 돌출 한다.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그런 모듈러 잭형 커넥터는 아주 작거나 소형화되고 결과적으로, 단자들은 아주 가까이 이격된다. 따라서, 이렇게 근접한 단자들 사이에, 특히 단자의 긴 직선 평행부내에서 크로스 토크나 소음이 끊이지 않는 문제를 남긴다. 다양한 접근법들은 잭상에 접지면을 제공하거나 단자와 접지면(ground plane)사이에 축전기 필터등의 필터 부품을 결합시키는 등 크로스 토크의 제거나 감소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다. 그런 소형화된 커넥터에 접지면과 같은 부품의 부가는 커넥터의 가격을 상당히 상승시킨다.
이런 문제들은 꼬임들을 케이블 쌍들을 통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 통신 산업으로의 표준화로 인해 더욱 복잡해진다. 다시 말해서, 전송 시스템의 팁과 링 와이어를 형성하는 꼬임 케이블은 특수한 순서로 잭 내부로 결합해야 한다.
본 발명은 잭 구조에 접지면과 같은 부속품을 제공하지 않고도 잭의 단자들 사이에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키는 독특한 단자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이들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특징을 갖는 새롭고 개선된 모듈러 잭형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 한 단부에서 개방된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복수의 단자가 장착되는데, 스프링 빔 접점부는 단인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플러그 수납 공동 내부로 연장되도록 상기 하우징상에 장착된다. 접점부는 하우징에 고정된 곡선 기부에서 연장한다. 단자는 각 근접 단자 쌍이 각 단자 열 내의 미부를 포함하는 형식으로 상기 단일 열의 접점부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열로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자가 곡선 기부와 미부 사이에 연장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접 단자쌍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가 상기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단자는 상기 근접 단자쌍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와 미부를 연결하는 활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활형부는 상기 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서로 겹치도록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다른 단자 쌍의 중간부의 확대 단면부는 일반적으로 상기 열에 평행인 평면 내에서 서로 겹쳐서 상기 다른 단자 쌍 사이에 물리적 축전기를형성한다.
본 명세서에서 양호한 실시예로 설명된 바와 같이, 단자 중간부의 확대 단면부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겹치는 평면부를 포함한다. 단자 열의 각 대향 단부의 근접 단자 쌍은 분리된 중간부 및 활형부를 포함한다. 상기 열의 각 대향 단부에 있는 근접 쌍들 사이의 두 개의 단자 쌍이 확대 단면부를 푸함하여 두 개의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이 제공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 프레임은 유전체 하우징 수단 상에서 서로 중첩된다.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은 구조가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인 좌, 우 방향으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으로 장착된다. 더구나, 유전체 하우징내로 두 개의 중첩된 리드 프레임 사이에 중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구성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특별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은 도면 내에서 동일한 성분요소에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 첨부 도면에 관련해 취해진 아래의 설명에서 잘 이해될 수 있다.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제1도에서 모듈러 잭형 커넥터(10)로 구체화되어진다. 제2도에서 조립체로 도시한 것처럼, 커넥터는 유전성 하우징 수단(12)과, 실드(14) 그리고 터미널 모듈(16)로 불리는 세 개의 주요 부품을 포함한다.
하우징(12)은 플라스틱 등과 같은 유전성 재료로 일반 입방체 형상으로 성형되며 결합면(18)과 장착면(20)을 한정한다. 하우징은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상보형 잭 플러그를 수납하기 위해 결합면(18)에서 안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수납 공동(22)을 한정한다. 하우징은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은)에 설치되어 지고, 하나 또는 그이상의 일체로 주조된 장착 포스트(24)는 기판내의 적당한 장착구멍에 삽입하기 위해 장착면(20)으로부터 돌출한다.
실드(14)는 금속 판재를 압입하여 성형되며, 하우징(12)과 마찬가지로 결합면(26)과 장착면(28)을 포함한다. 실제로, 장착면은 실드의 네 개의 측벽(30) 모서리에 의해 한정된다. 실드는 일반적으로 박스형이며 화살표A(제2도)의 방향에서처럼 하우징(12)의상에 장착되게 되어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설치 다리(3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측벽(32)과 일체로 압인되며 인쇄 회로 기판내의 적당한 구멍에 삽입하도록 모서리(28)에서 돌출 된다. 그 지지체는 기판상이나 구멍내의 적당한 접지 회로에 납땜된다.
단자 모듈(16)은 유전체 단자 블록(36)에 삽입 주조된 복수의 단자(34)를 포함한다. 단자 모듈(16)은 화살표 B(제2도)의 방향으로 하우징(12)에 조립되며, 모듈이 하우징의 내부 공동(38)에 위치되어진다.
제1도 및 제2도와 연관해 제3도를 참조하면, 단자(34)는 하우징의 플러그 수납 공동(22)내의 단일열로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되는 스프링 빔 접점부(C1 내지C8)를 포함한다. 이들 스프링 빔 접점부는 플러그 수납 공동 외측의 하우징 내부에 위치되는 곡선기부(42)로부터 연장한다. 단자의 미부(T1 내지 T8)는 단자 블록(36)과 하우징의 장착면(20)으로부터 연장한다. 단자의 미부(T1 내지 T8)는 단자 블록(36)과 하우징의 장착면(20)으로부터 돌출하여 기판 또는 구멍내의 회로선에 납땜 연결하기 위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구멍에 삽입된다. 미부(T1 내지 T8)는 접점부(C1-C8)의 단일열에 평행이 두 열로 되어 있다. 근접한 각 쌍의 단부(34)는 그 각 열에 미부를 포함한다.
제4도는 커넥터(10)의 결합면(26)을 플러그 수납 공동 내부에 보이는 접점부(C1 내지 C8)와 커넥터의 저부로부터 돌출 하는 미부(T1-T8)와 함께 다소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4도의 윗부분은 꼬임쌍 케이블이나 와이어의 상호 연결에 관한 현재의 전신 산업 기준에 따른 단자 (즉, 접점부 (C1 내지 C8))의 배치를 도시한다. 특별히, 쌍A는 중앙에 위치된다. 쌍 B는 쌍 A의 양측에 놓인다. 쌍 C와 D는 쌍 B의 양측면상에 위치한다. 한편, 이 배선 시스템에 따르면, 꼬임쌍 케이블이나 와이어는 단자(34)의 접점부에 따라서 C1/C2, C3/C6, C4/C5, 그리고 C7/C8로 배열된다.
제4도에 연관해 접점쌍과 케이블링 시스템의 상기 설명에 의해 잭 내의 크로스 토크는 단자 쌍 B 즉, C3/C6과 모든 다른쌍들 사이가 가장 좋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것은 접점쌍(C3/C6)을 구비한 단자가 잭내의 단자나 다른 모든 접점쌍에 근접한 접점을 포함하는 유일한 쌍이기 때문이다. 이로써, 접점부(C3)를 접점부(C2)에 근접시키면 접점쌍(C3/C6 및 C1/C2)사이에서 크로스 토크가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접점부(C3)도 역시 접점부(C4)에 근접시키면, 접점쌍(C3/C6 및 C1/C2)사이의 크로스 토크가 개선된다. 마찬가지로, 접점부(C6)를 접점부(C5)에 근접시키면 접점쌍(C3/C6 및 C4/C5)사이의 크로스 토크가 개선된다. 접점부(C6)도 역시 접점부(C7)에 근접시키면 접점쌍(C3/C6 및 C4/C5)사이의 크로스 토크가 개선된다.
본 발명은 단자를 다른 단자 쌍이 잭 내에서 물리적 축전기를 형성하게 하면서 루프형 단자쌍을 이루게 하고 이들 모두를 동일한 금속 리드 프레임쌍의 역전 중첩 제조 기술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상술한 크로스토크 문제를 충분히 감소시키려는 것이다.
특히, 제5도는 제1 리드 프레임(50)을 도시하며, 제6도는 제2 리드 프레임(52)을 도시한다. 리드 프레임은 금속 판재로 압인되고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것과 같이 인덱싱 구멍(56)과 노치(58)를 포함하는 캐리어 스트립(54)에 의한 제조과정을 통해 보유된다. 리드 프레임(52 및 54)은 본 발명에 따른 잭(10)의 단자(34)를 형성한다. 리드 프레임의 일부를 상술한 단자 접점부(C1 내지 C8) 및 단자 미부(T1 내지 T8)와 서로 관련시키기 위해, 접점부와 미부가 제5도 및 제6도에 함께 도시하였다. 제1 리드 프레임(50)과 제2 리드 프레임(52)은 기본적으로 단자(34)를 한정한다. 이들 리드 프레임은 동일하게 구성되나 제5도 및 제6도에 비교 도시된 것처럼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두 리드 프레임을 잭내에 설치할 때, 리드 프레임은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역설치 방향으로 중첩한다. 간단히 말해서, 제5도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50)을 제6도에 도시된 리드 프레임(52)위에 중첩하면, 이것이 바로 제7도에 도시된 잭내의 터미널 부의 배치가 되는 것이다.
접점부(C1 내지 C8)는 제7도에 도시된 소조립체의 상부에 하나씩 번호순으로 놓이게 되었다. 이와 유사하게, 미부(T1 내지 T8) 또한 번호순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잭의 결합 단부에서의 접점부의 소정 순서는 잭의 종단부에 종단 또는 미부의 소정 순서와 같다.
제5도 및 제6도를 다시 참조하면, 접점부(C1)는 중간부(I1)에 의해 미부(T1)에 연결되고, 접점부(C2)는 중간부(I1)에 유사하게 형성화된 중간부(I2)에 의해 미부(T2)에 의해 연결된다. 이 단자 쌍이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첩되면, 단자 쌍C(제4도)의 중간부(I1 및 I2)는 일반적으로 단자 열에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마찬가지로, 접점부(C7)는 중간부(I7)에 의해 미부(T7)에 연결되고, 접점부(C8)는 중간부(I8)에 의해 미부(T8)에 연결된다. 이들 두 단자 즉, 단자 쌍 D(제4도)가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중첩되면, 중간부(I7 및 I8)는 단자 열에 평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다. 각 쌍 C와 D 내의 각 단자는 단자의 각 중간부와 각 미부를 연결하는 활형부(bowed portion)(60)를 포함한다. 각 단자 쌍의 활형부는 단자열을 횡단하는 평면내에서 서로 겹쳐진다. 활형부(62)도 역시 각각 중간부(I1, I2, I7, I8)를 접점부(C1, C2, C7, C8)와 겹치게 하며, 이는 터미널이 미부(T1 내지 T8)는 물론, 접점부(C1 내지 C8)도 동일한 연속적인 번호순을 유지하도록 중간부의 위, 아래로 겹쳐진다.
잭(10)내의 단자 배열의 양 단부에서 쌍 C와 D내에 단자의 구조와 기능을 요약하면, 이들 단자의 분리 및 중첩된 중간부(I1, I2, I7, I8)는 다음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한다.
(1) 이들은 중간부의 구역 내에 가능한 많은 각 쌍의 단자를 분리하며, 두 다른 쌍의 두 근접한 단자 사이에, 즉, 쌍 D로부터의 단자(7)사이와 쌍 B로부터 단자(6)사이 그리고 쌍C로부터 단자(2)사이와 쌍 B로부터 단자(3) 사이의 전체 평행 길이를 제한한다.
(2) 활형부(60, 62)의 중첩으로 인해, 이들 단자쌍은 꼬임쌍 케이블과 유사하게 된다.
(3) 활형부의 두 교차부는 단자나 미부(T1 내지 T8)는 물론, 접점부(C1 내지 C8)도 동일한 순서나 번호순을 유지한다.
(4) 각 쌍의 단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므로 동일한 전기적 저항을 갖는다.
단자 쌍 A와 B내의 단자에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단자와 접점부(C3 내지 C6)가 제공된다. 그러나, 쌍 A내의 단자는 접점부(C4와 C5)를 포함하는 반면에 쌍 B내의 단자는 접점부(C3, C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자 사이에 물리적 축전기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잭 내에 최악의 크로스 토크 문제를 일으키는 이들 단자 쌍사이에 크로트 토크의 감소가 가능해진다. 특히, 물리적 축전기는 각 쌍 A, B의 각 단자와 대향 한 쌍의 한 단자 사이에 제공된다.
좀더 상세히, 제5도를 다시 참조하면, 접점부(C3)는 확대 중간부(I3)에 의해 각 단자의 미부(T3)에 연결된다. 접점부(C4)는 확대 중간부(I4)에 의해 미부(T4)에 연결된다. 접점부(C5)는 확대 중간부(I5)에 의해 미부(T5)에 연결된다. 접점부(C6)은 확대 중간부(I6)에 의해 미부(T6)에 연결된다.
제5도에 도시된 제1 리드 프레임(50)이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6도의 반대로된 리드 프레임(52)의에 중첩되면, 확대 중간부(I3)는 확대 중간부(I5)위로 중첩되어 사이에 각 쌍 A 와 B로부터의 단자를 터미널을 포함하는 물리적 축전기를 형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확대 중간부(I4)는 확대 중간부(I6)와 겹쳐져서 사이에 A 와 B로부터의 단자를 포함하는, 물리적 축전기를 형성한다. 이들 물리적 축전기는 특별히 접점부(C4, C5)를 포함하는 단자의 A쌍과 관련하는 크로스 토크와, 특별히 접점부(C3, C6)를 포함하는 B쌍과 관련하는 최악의 크로스 토크를 감소시킨다.
제7도 역시 절연판이나 스트립(70)이 두 중첩 리드 프레임 사이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을 도시한다. 한편, 절연판을 일반적으로 단자 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보조 조립체 단자열도 포함한다. 그 후, 보조 조립체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자 블록(36)내로 삽입 성형되어 결국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단자 모듈(16)이 된다. 단자 블록(36)내에 절연판(70)을 중첩시키고 리드 프레임(50, 52)를 삽입 성형한 후, 접점부(C1 내지 C8)와 미부(T1 내지 T8)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잭 장착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술되고 제11도에 더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내에 조립되는 완성 단자 모듈(16)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적 또는 중심적 특성을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한 형태들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예와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예로서든 것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 것이며, 상술한 소정 발명에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25)

  1.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상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플러그 수납 공동 내에서 단일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며 하우징 수단내에 위치되는 곡선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와, 각 근접 단자쌍이 각 단자 열 내의 미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단일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열로 하우징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미부와, 곡선 기부와 미부 사이에 연장되며 상기 근접 단자 쌍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 것끼리는 상기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된 중간부와, 상기 열에 횡단하는 평면 내에서 서로 겹치도록 상기 근접 단자쌍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와 미부를 연결하는 활형부와, 상기 다른 단자 쌍 사이에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일반적으로 상기 열에 평행한 평면 내에서 서로 겹치는 다른 단자 쌍 중 적어도 하나의 중간부의 확대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간부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겹치는 평면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각 대향 단부의 근접 단자 쌍(34)이 상기 횡방향 분리된 중간부와 상기 활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각 대향 단부에 있는 상기 근접 쌍들 중 적어도 두 개의 단자 쌍이 두 개의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상기 확대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겹치는 근접 단자 쌍중 적어도 하나의 쌍의 중간부와 곡선부를 연결하며 상기 열에 평면 이동 방향으로 서로 활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을 따라 차례로 1 내지 8로 번호 매김될 수 있는 8개의 단자를 포함하며, 1, 2번 단자와 7, 8번 단자는, 상기 횡방향 분리 중간부와 상기 횡방향 활형부를 포함하는 상기 열의 대향 단부에 두 개의 근접 단자쌍을 구비하며 3, 5번 단자와 4, 6번 단자는, 터미널들 사이에 두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상기 확대 단면부를 포함하는 두 단자 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 3, 4, 7번 단자는 제1 금속 리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2, 5, 6, 8번 단자는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은 구성이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들 사이에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0.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상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단자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는, 상기 플러그 수납 공동 내에서 단일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며 하우징 수단내에 위치되는 곡선 기부로부터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와, 각 근접 단자쌍이 각 단자 열 내의 미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상기 단일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두 열로 하우징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미부와, 상기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한 평면 내에서 서로 겹쳐서 상기 근접 단자쌍 사이에 물리적 축전기를 형성하도록 된 한 쌍의 단자의 확대 중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중간부는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겹치는 평면 단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2. 상기 복수의 단자의 중심에 배치된 두 개의 쌍(34)이 두 단자 쌍들 사이에 두 개의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상기 확대 중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을 따라 차례로 1내지 8로 번호 매김 될 수 있는 8개의 터미널을 포함하며, 3번 및 5번 단자는 제1축전기를 한정하도록 겹쳐진 확대 중간부를 구비하고 제4번 및 6번 단자는 제2축전기를 한정하도록 겹쳐진 확대 중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3번 및 4번 단자는 제1 금속 리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5번 및 6번 단자는 제2 리드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은 구성이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들 사이에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7.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수납 공동 내부에서 단일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와, 상기 하우징 수단에서 돌출하는 단자부 및 상기 접점부와 단자부 사이의 중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단자들의 한 쌍 사이에 물리적 축전기를 한정하도록 일반적으로 상기 열에 평행한 평면내에서 서로 겹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쌍의 쌍의 확대 중간부와, 복수의 상기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한 쌍 중 한 단자는 상기 유전체 하우징 수단 상에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은 구성이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들 사이에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0.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수납 공동 내에서 단일 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와, 하우징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자 및 접점부와 단자부 사이에 중간부를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와, 복수의 상기 단자 및 그 한 쌍중 한 단자가 상기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서로 중첩되는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단자 중 적어도 한 쌍의 중간부는 상기 열에 일반적으로 평행 방향으로 서로 분리되며, 활형부는 중간부와 상기 한 쌍의 단자부를 잇고 상기 열에 횡단 방향으로 서로 겹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들 사이에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3. 플러그 수납 공동을 형성하는 유전체 하우징 수단과, 상기 하우징 수단상에 장착되고 상기 플러그 수납 공동 내부로 소정의 단일열의 외팔보 형식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빔 접점부와 상기 하우징 수단에서 돌출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자와, 각각 복수의 상기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 한 쌍중의 한 개의 단자가 유전체 하우징 수단 상에서 서로 겹치며, 단자의 상기 접점부의 소정 순서가 상기 단자의 소정 단자 순서와 같도록 구성되는 제1 및 제2 리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금속 리드 프레임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리드 프레임의 횡방향으로 좌에서 우로 유전체 하우징 수단상에 역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프레임들 사이에 절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잭형 커넥터.
KR1019950020552A 1994-07-14 1995-07-13 모듈러 잭형 커넥터 KR0156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4110980A EP0692884B1 (en) 1994-07-14 1994-07-14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EP94110980.3 1994-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162A KR960006162A (ko) 1996-02-23
KR0156063B1 true KR0156063B1 (ko) 1998-11-16

Family

ID=8216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0552A KR0156063B1 (ko) 1994-07-14 1995-07-13 모듈러 잭형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26497A (ko)
EP (1) EP0692884B1 (ko)
JP (1) JP2932161B2 (ko)
KR (1) KR0156063B1 (ko)
CN (1) CN1091981C (ko)
DE (1) DE69430194T2 (ko)
MY (1) MY119486A (ko)
SG (1) SG38853A1 (ko)
TW (1) TW28917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96B1 (ko) * 1999-11-12 2005-12-20 주식회사 케이티 누화 억제 기능을 가진 고성능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430194T2 (de) * 1994-07-14 2002-10-31 Molex Inc Modularer Steckverbinder mit verringertem Übersprechen
US6171151B1 (en) 1995-08-10 2001-01-09 Halo Electronics, Inc. Isolation module for RJ-45 modular jack
US5791943A (en) * 1995-11-22 1998-08-11 The Siemon Company Reduced crosstalk modular outlet
US5769647A (en) * 1995-11-22 1998-06-23 The Siemon Company Modular outlet employing a door assembly
AU716436B2 (en) * 1995-12-25 2000-02-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Connector
WO1998005100A1 (en) * 1996-07-26 1998-02-05 Berg Technology, Inc. Modular telephone connector with a floating spring contact
US5931703A (en) * 1997-02-04 1999-08-03 Hubbell Incorporated Low crosstalk noise connector for telecommunication systems
DE19708798A1 (de) * 1997-03-05 1998-09-24 Krone Ag Anordnung von Kontaktpaaren zur Kompensation des Nahnebensprechens
JP3238895B2 (ja) * 1997-08-28 2001-1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
US6007368A (en) * 1997-11-18 1999-12-28 Leviton Manufacturing Company, Inc.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improved crosstalk reduction
DE69808595T2 (de) * 1998-02-04 2003-06-18 Nexans Kontaktsatz
US6120329A (en) * 1998-05-08 2000-09-19 The Whitaker Corporation Modular jack with anti-cross-talk contact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9822630C1 (de) * 1998-05-20 2000-09-07 Krone Gmbh Anordnung von Kontaktpaaren zur Kompensation des Nahnebensprechens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
JP3398663B2 (ja) 1998-06-02 2003-04-21 スチュワート・コネクター・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複数ポート多段コネクタ・アセンブリなどの高周波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066005A (en) * 1998-06-30 2000-05-23 Berg Technology, Inc. Vertical modular connector having low electrical crosstalk
GB2343558B (en) * 1998-11-04 2002-10-30 Itt Mfg Enterprises Inc Electrical connector
CA2291373C (en) 1998-12-02 2002-08-06 Nordx/Cdt, Inc. Modular connectors with compensation structures
US6334792B1 (en) 1999-01-15 2002-01-01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including reduced crosstalk spring insert
TW444959U (en) * 1999-02-19 2001-07-01 Berg Electronics Mfg Modular jack with lead frame insert
US6176742B1 (en) * 1999-06-25 2001-01-23 Avaya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communication connectors
US6089923A (en) 1999-08-20 2000-07-18 Adc Telecommunications, Inc. Jack including crosstalk compensa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
US6139371A (en) * 1999-10-20 2000-10-31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connector assembly with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US6165023A (en) * 1999-10-28 2000-12-26 Lucent Technologies Inc. Capacitive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for a communication connector
DE69925126T2 (de) 1999-10-29 2005-09-22 Nexans Modularer Telekommunikationsverbinder mit Übersprechverringerung
CN2419700Y (zh) * 2000-03-29 2001-02-14 杨泰和 具有与电磁波隔离壳体隔离结构的导电连接接口装置、
US6402560B1 (en) * 2000-05-31 2002-06-11 Avaya Technology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crosstalk compensation
US6368158B1 (en) * 2000-07-14 2002-04-09 Chin-Mao Kan Electric connector having integrally molded terminals and guide pins
US6394853B1 (en) * 2000-08-04 2002-05-28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Data connector for selective switching between at least two distinct mating connector plugs
US6244908B1 (en) * 2000-08-04 2001-06-12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witch within a data connector jack
US6331126B1 (en) 2000-09-07 2001-12-18 Sentinel Holding, Inc. High speed modular jack
GB2367194A (en) 2000-09-15 2002-03-27 R W Data Ltd Socket for data transmission.
US6433272B1 (en) * 2000-09-19 2002-08-13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Crosstalk reduction in constrained wiring assemblies
JP3727233B2 (ja) * 2000-11-02 2005-12-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6843657B2 (en) * 2001-01-12 2005-01-18 Litton Systems Inc. High speed, high density interconnect system for differential and single-ended transmission applications
US6979202B2 (en) * 2001-01-12 2005-12-27 Litton Systems, Inc. High-speed electrical connector
US6554653B2 (en) 2001-03-16 2003-04-29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connector with spring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US6739892B1 (en) 2001-04-24 2004-05-2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odular connector for very high frequency applications
US6848949B2 (en) * 2002-04-22 2005-02-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alant-filled connector assemblies for use with connector plug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US6964587B2 (en) * 2002-11-10 2005-11-15 Bel Fuse Ltd. High performance, high capacitance gain, jack connector for data transmission or the like
KR100524586B1 (ko) * 2002-11-21 2005-10-31 대은전자 주식회사 모듈러 잭
US7052328B2 (en) 2002-11-27 2006-05-30 Panduit Corp. Electronic connector and method of performing electronic connection
US6821142B1 (en) 2003-03-04 2004-11-23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crosstalk reduction and control
US6786775B1 (en) 2003-06-10 2004-09-07 Molex Incorporated Modular jack assembly
US6916209B1 (en) * 2004-01-23 2005-07-1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
CA2464834A1 (en) * 2004-04-19 2005-10-19 Nordx/Cdt Inc. Connector
US7038554B2 (en) * 2004-05-17 2006-05-02 Leviton Manufacturing Co., Inc. Crosstalk compensation with balancing capacitance system and method
US7628656B2 (en) 2006-03-10 2009-12-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with crosstalk optimizing contact array
US7381098B2 (en) 2006-04-11 2008-06-03 Adc Telecommunications, Inc. Telecommunications jack with crosstalk multi-zone crosstalk compensation and method for designing
US7686650B2 (en) * 2006-05-17 2010-03-30 Bel Fuse Ltd. High speed modular jack with flexible compensation circuit
US7410366B2 (en) * 2006-08-25 2008-08-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reduced crosstalk and electromaganectic interference
US20080254685A1 (en) * 2007-04-13 2008-10-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Receptacle connector assembly for reducing EMI and/or crosstalk
TW200929721A (en) * 2007-12-26 2009-07-01 Delta Electronics Inc Connector
CN101483298B (zh) * 2008-01-11 2011-09-14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连接器
US7841909B2 (en) 2008-02-12 2010-11-30 Adc Gmbh Multistage capacitive far end crosstalk compensation arrangement
US7727028B1 (en) * 2009-07-14 2010-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s designed to improve impedance
DE202010008678U1 (de) 2009-11-16 2011-02-17 Zellner Gmbh Buchse zum elektrischen und mechanischen Verbinden von elektrischen Leitern
US9088116B2 (en) 2011-11-23 2015-07-21 Panduit Corp. Compensation network using an orthogonal compensation network
US9136647B2 (en) 2012-06-01 2015-09-15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crosstalk compensation
CN103915700B (zh) * 2013-01-09 2016-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US9246463B2 (en) 2013-03-07 2016-01-26 Panduit Corp. Compensation networks and communication connectors using said compensation networks
US9257792B2 (en) 2013-03-14 2016-02-09 Panduit Corp. Connectors and systems having improved crosstalk performance
CN103872524A (zh) * 2014-03-05 2014-06-18 无锡国丰电子科技有限公司 网络连接器插座
US9634433B1 (en) * 2016-04-13 2017-04-25 Panduit Corp. Communication jack having a dielectric film between plug interface contacts
JP7109353B2 (ja) * 2018-12-12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モジュラージャ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1842A (en) * 1972-06-01 1973-09-25 Bell Telephone Labor Inc Twisted pair flat conductor cable with means to equalize impedance and propagation velocity
US5186647A (en) * 1992-02-24 1993-02-16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US5299956B1 (en) * 1992-03-23 1995-10-24 Superior Modular Prod Inc Low cross talk electrical connector system
MY109024A (en) * 1992-03-24 1996-11-30 Molex Inc Impedance and inductance control in electrical connectors
CA2072380C (en) * 1992-06-25 2000-08-01 Michel Bohbot Circuit assemblies of printed circuit boards and telecommunications connectors
SG46385A1 (en) * 1992-11-16 1998-02-20 Krone Ag Electrical plug connector
US5295869A (en) * 1992-12-18 1994-03-22 The Siemon Company Electrically balanced connector assembly
US5269708A (en) * 1993-03-03 1993-12-14 Adc Telecommunications, Inc. Patch panel for high speed twisted pair
US5362257A (en) * 1993-07-08 1994-11-0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munications connector terminal arrays having noise cancelling capabilities
GB2271678B (en) * 1993-12-03 1994-10-12 Itt Ind Ltd Electrical connector
DE69430194T2 (de) * 1994-07-14 2002-10-31 Molex Inc Modularer Steckverbinder mit verringertem Übersprech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996B1 (ko) * 1999-11-12 2005-12-20 주식회사 케이티 누화 억제 기능을 가진 고성능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26497A (en) 1997-05-06
CN1120271A (zh) 1996-04-10
CN1091981C (zh) 2002-10-02
EP0692884A1 (en) 1996-01-17
EP0692884B1 (en) 2002-03-20
JPH0864288A (ja) 1996-03-08
KR960006162A (ko) 1996-02-23
DE69430194T2 (de) 2002-10-31
JP2932161B2 (ja) 1999-08-09
DE69430194D1 (de) 2002-04-25
SG38853A1 (en) 1997-04-17
TW289172B (ko) 1996-10-21
MY119486A (en)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063B1 (ko) 모듈러 잭형 커넥터
KR0151778B1 (ko) 모듈 잭형 커넥터
US5647767A (en) Electrical connector jack assembly for signal transmission
US6712646B2 (en) High-speed transmission connector with a ground structure having an improved shielding function
US4392701A (en) Tap connector assembly
US5620340A (en)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US381507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717732B2 (en) Plug-in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s
US6592395B2 (en) In-line cable connector assembly
EP0994535B1 (en) Modular connector with reduced crosstalk
US7819703B1 (en) Electrical connector configured by wafer having coupling lead-fr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192624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2002016889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fferential pair terminals with equal length
US4938719A (en) Junction block
KR0121794Y1 (ko) 분로식 전기 커넥터
EP0554003B1 (en) Dual readout extended socket
JPH03187173A (ja) 表面実装コネクタ
KR970018870A (ko) 위킹 방지용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6638121B1 (en) Stacked connector with LED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EP1044486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6739892B1 (en) Modular connector for very high frequency applications
US4541174A (en) Process of making a jack-type electrical connector
WO1996024968A1 (en) Electrical connector jack assembly for signal transmission
US5628643A (en) Contact connector
CN111585113B (zh) 模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