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037B1 -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037B1
KR0156037B1 KR1019950006181A KR19950006181A KR0156037B1 KR 0156037 B1 KR0156037 B1 KR 0156037B1 KR 1019950006181 A KR1019950006181 A KR 1019950006181A KR 19950006181 A KR19950006181 A KR 19950006181A KR 0156037 B1 KR0156037 B1 KR 0156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sing
gel composition
weight
parts
polyoxy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434A (ko
Inventor
공우식
김영수
김성남
조준환
Original Assignee
최무섭
애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무섭, 애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무섭
Priority to KR1019950006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037B1/ko
Publication of KR96003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0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0Biolog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72Hypo-allergen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써,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Poly(oxyethylene) nonylphenylether),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diisostearate)와 옥틸 이소노나네이트(Octyl isono nanate)를 주재로 하는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세안용 제품들은 사용감이 무거운 느낌을 주고 안정도 측면에 있어서도 외부적 환경요인에 의해 상당히 불안정하여 유화후 경시변화가 심하며, 크린싱후 피부에 남아 있는 오염물을 제거할 때 피부에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크린싱 크림류와 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감이 산뜻하고 부드러우며 세안능력이 향상된 저자극성 유화형 크린싱 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크린싱 젤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화제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가 사용되며, 오일로 옥틸 이소노나네이트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크린싱 젤 조성물의 세안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는 2.0~7.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는 3.0~8.0 중량부, 옥틸 이소노나네이트는 0.5~1.5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본 발명은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Poly(oxyethylene) nonylphenylether),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diisostearate)와 옥틸이소노나네이트(Octyl isononanate)를 주재로 하는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후 안면에 잔존하는 화장품 성분들은 피부의 자극을 유발하기 쉽고 민감한 사람에게는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화장후 세안은 피부관리를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종래부터 세안용 제품으로는 크린싱 크림 및 크린싱 로션류와 오일 및 오일증점제, 보습제, 정제수로 구성된 제형과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주재로 한 제형으로 구분되는 크린싱젤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동파라핀, 왁스, 유화제, 보습제, 정제수로 구성된 유화형태의 크린싱 크림, 로션류 등은 오일의 함유량이 많아서 사용감이 무겁고, 사용자에게 상쾌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 뿐만아니라, 안정도 측면에 있어서도 외부적 환경요인에 의해 상당히 불안정하여 유화후 경시변화가 심하며, 크린싱후 피부에 남아 있는 오염물을 티슈에 의해 제거할 때 피부에 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오일과 오일증점제를 주재로 구성된 크린싱 젤은 오일의 함량이 많아 크린싱 크림에서와 같은 사용감이 무겁고 고온 안정도가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음이온계면활성제를 주재로한 크린싱 젤은 크린싱 후 오염물을 물로 씻어낼 수 있으나 음이온계면활성제의 다량 사용으로 인한 피부자극을 유발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크린싱 크림류와 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감이 산뜻하고 부드러우며 세안능력이 향상된 저자극성 유화형 크린싱 젤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유화형 화정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은 유화제, 오일 및 오일증점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데, 유화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사용되고, 오일로는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Cetyl ethyl hexanoate)와 선택적으로 옥틸이소노나네이트가 사용되며, 중점제로는 카리복시비닐폴리머와 부드러운 왁스인 크로달란 SWL (Crodalan SWL)(라놀린계 유도체로 제조회사는 크로다(Croda))이 사용된다. 상기 크린싱 젤 조성물의 세안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는 2.0~7.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는 3.0~8.0중량부, 옥틸이소노나네이트는 0.5~1.5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크린싱 젤 조성물의 각 성분별 비율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린싱 젤 조성물은 적은 양의 오일이 사용되어 소비자가 사용시 사용감이 매우 산뜻하고 가벼우며 또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없이도 단지 비이온 유화제의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조합 (혼합된 여러가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의 HLB전체값)을 통하여 크린싱 후 물에 의한 크린싱 젤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티슈오프(tissue off)에 의한 자극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는 유화제, 가용화제, 분산제로서의 기능이 뛰어나 세정기능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친화력이 좋아 피부에 매우 안정한 특성을 지닌다. 또한 색조제품들을 구성하고 있는 색소들 또는 각 원료들은 내수성과 부착성을 높여주기 위해 실리콘으로 코팅처리되는데 실리콘에 대해 용해성이 뛰어난 옥틸이소노나네이트는 피부에 밀착된 색소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크린싱 효과를 상승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크린싱 젤 조성물의 제1구체예는 1, 3-부틸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방부제,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정제수로 구성된 성분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크로달란 SWL로 구성된 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킨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 중에 에탄올과 향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증점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1구체예는 상기의 크린싱 젤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전체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가 6.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4.00 중량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크린싱 젤 조성물의 제2구체예는 1, 3-부틸렌글리콜,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방부제, 디메티콘 코폴리올 및 정제수로 구성된 성분과 세틸에틸헥사노이트, 옥틸이소노나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 및 크로달란 SWL로 구성된 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킨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 중에 에탄올과 향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증점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제2구체예는 상기의 크린싱 젤 제조방법에서 사용되는 전체성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 중량부, 옥틸이소노나에이트가 1.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가 6.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4.00 중량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하는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A)성분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가 6.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4.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중량부, 크로달란 SWL가 2.00 중량부인 (B)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중에 (C)성분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증점시켜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A)성분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가 6.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4.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중량부, 옥틸이소노나네이트가 1.00 중량부 크로달란 SWL가 2.00 중량부인 (B)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 중에 (C)성분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점시켜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1]
(A)성분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가 10.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중량부, 크로달란 SWL가 2.00 중량부인 (B)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 중에 (C)성분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증점시켜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A)성분과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10.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중량부, 크로달란 SWL가 2.00 중량부인(B)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 중에 (C)성분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점시켜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A)성분과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가 4.00 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6.00 중량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가 4.00 중량부, 크로달란 SWL가 2.00 중량부인 (B)성분을 각각 75-80℃까지 가열 용해시켰다. 다음, 이들 성분들을 혼합 유화한 후 냉각중에 (C)성분을 혼합시키고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중점시켜 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표1의 성분비율로 제조된 크린싱 젤의 크린싱 효과, 실온경시변화, 고온경시변화, 사용감 테스트에 대한 시험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시험예1]
비교예와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크린싱 젤의 크린싱효과 시험으로서 파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하고 일정시간 방치한 후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크린싱 젤을 처리한 후 유동파라핀으로 추출하였다. 다음, 캐리 UV-비스 분광계 (Cary UV-Vi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예 2]
실온경시변화 시험으로서 비교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크린싱 젤을 실온에서 6개월 방치 후 아래와 같은 조건하에서 레오미터(Rheometer)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표3에 나타난 바와 같다.
측정조건 - 기기명 : NMR-2002 레오미터(Rheometer)
- 온도 : 25℃
- 속도(Speed) : 3cm/min
- 범위(Range) : 3.3 cm
- 스핀들 번호(Spindle No.) : 8-14φ
[시험예 3]
고온경시변화 시험으로서 비교예 및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크린싱 젤 조성물을 43℃에서 6개월간 관찰하였다. 측정결과는 표4에 나타난 바와 같다.
[시험예 4]
사용감 시험으로서 비교예와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크린싱 젤 조성물을 20∼40대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판넬(Panel)시험하였다. 시험결과는 표5에 나타난 바와 같다.
평가방법 : 5점을 만점으로 하고 수치는 30명의 평균치이다.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
이상과 같은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은 그 사용감이 산뜻하고 가벼울 뿐만아니라 메이크업 화장료의 제거 효과가 뛰어나고, 경시변화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의 우수한 성능은 유화제, 가용화제, 분산제로서의 기능이 뛰어나 세정기능이 우수하고 적은 양의 오일을 가지고서도 계면을 안정화시키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디이소스테아레이트에 기인하며 또한 옥틸이소노나네이트가 화장료의 색소에 코팅된 실리콘을 용해시켜 주기 때문이다.

Claims (3)

  1. 보습제, 오일, 유화제, 증점제, 방부제, 및 정제수를 포함하는 크린싱젤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가 조성물 전체 기준으로 4.5∼7.0중량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가 조성물 전체 기준으로3.0∼5.0중량부 함유하고, 상기 오일로서 세틸에틸 헥사노에이트가 조성물 전체 기준으로 4.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화장전용크린싱젤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옥틸 이소노나네이트 0.5∼1.5중량부를 또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화장전용크린싱젤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와 폴리옥시에틸렌 디이소스테아레이트의 혼합비는 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형 화장전용크린싱젤조성물.
KR1019950006181A 1995-03-23 1995-03-23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KR0156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181A KR0156037B1 (ko) 1995-03-23 1995-03-23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6181A KR0156037B1 (ko) 1995-03-23 1995-03-23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34A KR960033434A (ko) 1996-10-22
KR0156037B1 true KR0156037B1 (ko) 1998-11-16

Family

ID=1941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181A KR0156037B1 (ko) 1995-03-23 1995-03-23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03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434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46072A (en) Stable hair relaxer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CN114224753B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JPH11504326A (ja) 薄膜形成ファンデーション
GB1563163A (en) Emulsion-type hair cnditioner composition
CA1311194C (en) Oil-in-water-in-silicone emulsion compositions
WO2018097584A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1936113A (zh) 含有水溶性表面活性剂以及油溶性表面活性剂的彩妆妆容去除用化妆料组合物
CN113476344A (zh) 化妆品用组合物、化妆品、水包油型唇釉及其制备方法
AU605396B2 (en) Emulsified hair cosmetic
AU698643B2 (en) Oil-in-alcohol emulsified composition
CN111419740A (zh) 一种高效持妆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高效持妆粉底液
JPS627163B2 (ko)
JP2001002521A (ja) 転相感の優れた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0156037B1 (ko) 유화형 화장전용 크린싱 젤 조성물
JP2000143454A (ja) 油性毛髪化粧料
JP729098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JP2554523B2 (ja) 枝毛・切れ毛の予防・修復剤
JPH10167948A (ja) 化粧料
JPH0859444A (ja) 透明な液状整髪剤組成物
KR0149430B1 (ko)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JP3656209B2 (ja) 白濁液状化粧料
KR102622689B1 (ko) 과량의 펄을 함유하는 저점도 가용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475B1 (ko) 현탁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