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430B1 -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430B1
KR0149430B1 KR1019940017112A KR19940017112A KR0149430B1 KR 0149430 B1 KR0149430 B1 KR 0149430B1 KR 1019940017112 A KR1019940017112 A KR 1019940017112A KR 19940017112 A KR19940017112 A KR 19940017112A KR 0149430 B1 KR0149430 B1 KR 0149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weight
composition
fou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704A (ko
Inventor
김병수
김형진
유영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4001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430B1/ko
Publication of KR960003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6Multiple emulsions, e.g. water-in-oil-in-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상성분으로서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안정화시킨 실리콘 겔을 함유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겔은 물 1~20중량%, 다가알콜 1~2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5~10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50~97.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며, 화운데이션 조성물 전체량에 대한 실리콘 겔의 바람직한 함량은 8~30%이다.

Description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본 발명은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상성분으로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안정화 시킨 실리콘 겔을 다량 함유하고, 유화제, 안료 및 보습성분을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됨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좋고, 사용감이 향상된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화형 화운데이션 화장품은 사용성, 색감 표현력, 지속성, 경시 안정성, 피부 안전성에 따라 그 품질이 평가된다. 즉, 피부에 도포하여 사용시 감촉과 퍼짐성이 좋고 화장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부착성 및 물이나 땀에 의하여 쉽게 화장이 얼룩지지 않도록 내수성이 뛰어나야 하며, 제조, 판매 또는 소비자가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물성의 변화가 없고, 특히 피부에 대한 안전성이 우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화형 화운데이션으로서는 수중유,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이 있다. 이중 수중유 유화형 화운데이션은 피부에 도포시, 가벼운 사용감과 안정성은 우수하지만, 물이나 땀에 대한 내수성이 약하기 때문에 쉽게 화장이 얼룩지거나 지워지는 단점이 있고, 이러한 수중유 유화형 화운데이션의 지속성이 약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어 왔으나, 기존의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은 수중유 유화형 화운데이션에 비하여 내수성이 개선되기는 하였으나, 장시간의 경시 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피부에 도포시 무거운 사용감과 끈적임을 나타내고 안료의 분산이 잘되지 않으며, 유화입자 상태가 나쁜점 등이 여러 가지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에 관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83-228호가 있는데, 이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유 처리한 안료를 첨가하여 화운데이션의 안정성을 개선시킨 것에 관한 것이나,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거릴 뿐만 아니라 안료가 응집되어 화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시 화장효과가 우수하지 못하며, 또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상성분에 왁스등을 혼합, 제조하여 점도를 상승시켰기 때문에 사용감이 무겁고 안정성이 미비한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보다 가볍고 산뜻한 느낌의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이 제안되었으나, 이들은 사용성은 가벼우나 휘발성 실리콘 오일과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문제로 고온에서 휘발성 실리콘 오일이 분리되어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안정화 시킨 실리콘 겔을 미리 베이스로 만들어 첨가하여야 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다른 성분과의 사용성을 높임으로써 경시 안정성이 좋고, 사용성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휘발성 실리콘 오일이라 함은 비점 300。C 이하의 휘발성 환상 실리콘 오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리콘 겔이라 함은 물 1-20중량%, 다가알콜 1-20중량%, 바이온 계면활성제 0.5-10중량%, 휘발성 실리콘 오일 50-97.5중량%를 혼합하여 만든 것을 말한다. 이때 실리콘 겔의 점도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혹은 제조하고자 하는 화운데이션의 특성에 맞게 물과 다가알콜의 혼합물 밀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함량을 조정함으로써 점도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계면활성제나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함량은 안정한 실리콘 겔이 만들어지는 조건하에서 적당한 함량 조절이 필요하다. 실리콘 겔의 제조에 사용되는 다가알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솔비톨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하며, 필요시 2종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투명하고 안정한 겔을 얻으려면 물/다가알콜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조성비를 1종의 다가알콜만을 사용하는 경우와는 다르게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는 자극이 적은 비이온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는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에테르 중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볍고 끈적임이 없는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고, 화장의 흐트러짐이 없이 피부에 화장이 잘 도포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리콘 겔의 함유량은 화운데이션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8-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가 적당하다. 8중량%미만에서는 가볍고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기 어렵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산뜻한 사용감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다소 발림성이 떨어지며 균일한 화장표현을 나타내기 어렵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유상성분으로 위에서 설명한 실리콘 겔을 15-25중량% 함유하며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 2-5중량%, 스쿠알란 2-5중량%, 카나우바왁스 1-3중량%등의 유상성분을 75-80。C에서 가열하여 왁스를 완전히 녹이고, 산화티탄등 안료를 10-25중량% 가하여 분산시킨 후, 미리 75-80。C로 가열용해된 보습제, 방부제, 첨가제 등의 수상성분을 가하여 유화시킨 다음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되는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유상성분으로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용성이 가벼운 오일이나 제품의 사용성을 무겁게 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경도 형성제로서 왁스류, 고온 안정성 및 안료 분산을 위해 스테알코늄 벤토나이트 등의 무기 점증제를 소량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안료로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유상 성분중에서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는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색상효과 및 피복력을 나타내기 위하여 이산화티탄, 산화철계통의 안료나,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등을 친유 처리한 체질 안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수상성분으로 적당한 보습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프로필렌 글리콜, 1. 3-부틸렌 글리콘, 글리세린, 솔비톨 등의 다가알콜 중에서 1종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방부제, 향, 첨가제등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은 종전의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을 피부에 도포시 무거운 사용감과 끈적임을 나타내는 등의 단점을 해소하고,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만든 실리콘 겔을 다량 사용함으로써 사용감이 우수하고, 고온과 저온에 대한 장기 경기 안정성이 뛰어난 유중수 유화형으로 설계되어 화운데이션으로서의 요구되는 특성을 겸비한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참고예와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예 1~11]
표 1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바이온 계면활성제를 물과 다가알콜의 혼합물에 가열하여 완전히 녹인 후 , 휘발성 실리콘 오일을 소량씩 첨가하여 유화시켜 실리콘 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
표 2에 나타낸 조성에 따라 유상 A의 (1)-(13)의 성분을 평량하여 75~80℃로 가열하여 녹인후, 안료상 B의 (14)~(19)의 성분을 가한 후 충분히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75~80℃로 사전에 가열 용해시킨 수상 C의 (20)~(24)의 성분을 가하여 5분간 유화시킨 후, 50℃에서 첨가제를 넣고, 실온까지 냉각하여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을 제조하였다.
[품질평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품에 대하여 이하의 기준에 따라 품질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사용성]
20세 내지 40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운데이션 화장품으로 화장을 실시하게 한 다음, 산뜻하고 가볍게 발리며 오일감이 적게나는 사용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매우 우수(50/0~45/5)
● : 보통(44/6~25/25)
▲ : 좋지 않음(24/26~6/44)
× : 아주 나쁨(5/45~0/05)
(양호하다고 평가한 사람수/불량하다고 평가한 사람수)
[내수성]
20세 내지 40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화장품을 이용하여 피시험자의 팔을 4부위로 나누어 동일 면적에 동량(0.02MM 두께)으로 도포하고, 그 위로 35℃의 식염수를 30분동안 흘려보낸 후, 화장품 도포전·후의 색상 변화를 평가하였다.
⊙ : 매우 우수
● : 보통
▲ : 좋지 않음
× : 아주 나쁨
[안정성]
화장품을 45℃와 -15℃ 범위에서 1일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며 유화 상태가 파괴되어 분리현상을 나타내는 시점의 순환 횟수에 따라 평가하는 순환 온도법과 실온과 냉동온도(-25℃)에서 1일간 번갈아 설치하면서 유화파괴 및 분리현상을 나타내는 시점을 관찰하는 Free Thaw법을 병용하여 그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 매우 우수
● : 보통
▲ : 좋지 않음
× : 아주 나쁨
상기 표 2의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리콘 겔이 함유된 본 발명의 화운데이션은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이 좋지않은 환상실리콘을 사용한 비교예의 화운데이션보다 사용성 및 안정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종래의 화운데이션보다 사용감이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이다.

Claims (3)

  1. 안료와 유상성분 및 수상성분으로 된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에 있어서, 유상성분으로서 물 1-20중량%에 다가알콜 1-2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0.5-10중량%, 비점 30℃ 이하의 휘발성 환상 실리콘 오일 50-97.5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된 실리콘 겔 8~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다가알콜은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솔비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페닐에테르,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옥틸도데실에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19940017112A 1994-07-15 1994-07-15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KR014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112A KR0149430B1 (ko) 1994-07-15 1994-07-15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7112A KR0149430B1 (ko) 1994-07-15 1994-07-15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704A KR960003704A (ko) 1996-02-23
KR0149430B1 true KR0149430B1 (ko) 1998-10-15

Family

ID=1938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7112A KR0149430B1 (ko) 1994-07-15 1994-07-15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78B1 (ko) * 2012-09-12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078B1 (ko) * 2012-09-12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704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15469A (en) Water-in-oil emulsion type cosmetics
KR100802322B1 (ko) 유중수형 에멀젼 액상루즈 조성물
DE69732464T2 (de) Äusserliches gelförmiges Hautpflegemittel
CA1311194C (en) Oil-in-water-in-silicone emulsion compositions
EP1839644B1 (en) Nanoemuls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it
JPS63250311A (ja) 油中水型化粧料
CN114224753A (zh) 一种油包水型乳化组合物、粉底液及其制备方法
KR20220042013A (ko)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57815A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A2275288A1 (en) Stable high spf foundation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JP2001002521A (ja) 転相感の優れた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CN111419740A (zh) 一种高效持妆粉底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高效持妆粉底液
JPS6323962B2 (ko)
KR0149430B1 (ko) 유중수 유화형 화운데이션 조성물
KR101015384B1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0405870B1 (ko) 비수 및 비계면활성제형 오일-분체 분산계 및 그 안정화방법
JP2686805B2 (ja) 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2002145733A (ja) 固形状油中水型乳化化粧料
JP3965825B2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702340B1 (ko) 레시틴을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559066B1 (ko) 피부 보습 및 쿨링 효과를 가지는 수분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158714A (ja) 高内水相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130051544A (ko) 겔상 메이크업 화장료 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