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742B1 -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742B1
KR0155742B1 KR1019930019681A KR930019681A KR0155742B1 KR 0155742 B1 KR0155742 B1 KR 0155742B1 KR 1019930019681 A KR1019930019681 A KR 1019930019681A KR 930019681 A KR930019681 A KR 930019681A KR 0155742 B1 KR0155742 B1 KR 015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convergence correction
memory
data
interpo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9802A (ko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742B1/ko
Publication of KR95000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00Details of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or of ion trap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3/07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때 보조 메모리에 일부 구간의 콘버젼스 증감분을 계산하여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 화면의 콘버젼스를 보정함으로써 보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전 화면을 구성하는 씨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a 내지 2j도는 각 함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PU 20 : 저장수단
21-24 : 제1-4메모리 30 : 콘트롤러
40 : 버퍼 50 : 제5메모리
60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70 : 저역통과필터
본 발명은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탈적으로 콘버젼스를 보정하는데 있어서 보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버젼스(Convergence)란 3개의 전자총을 갖는 디스플레이기기에 있어서 R, G, B 3개의 전자비임이 샤도우 마스크(Shadow Mask)상에 집중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R, G, B 전자총의 위치가 각각 다르고, 편향 중심점으로부터 샤도우 마스크면 또는 형광면까지의 거리가 샤도우 마스크면 또는 형광면상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름으로 인하여 인접한 형광체가 발광하지 못하여 가색이 되지 않고, 색이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버젼스를 보정한다.
일반적인 칼라 텔레비젼 수상기에서는 3개의 전자비임을 샤도우 마스크면 또는 형광면상에 집중시키기 위하여 U자형으로 된 페라이트 코어(Ferrite Core)에 수평 콘버젼스 코일과 수직 콘버젼스 코일이 감겨진 것 3조가 수상관의 네크에 120°간격으로 배치되고, 조정할 수 있는 영구자석 1개씩을 각각 끼워 둔 콘버젼스 요우크(Convergence Yoke)를 구비하여, 콘버젼스 요우크에 끼워져 있는 영구자석은 주로 화면의 중심부분을 집중시켜 주는 정집중(Static Convergence)에 사용하고, 화면의 주변부를 집중시켜 주는 동집중(Dynamic Convergence)는 수평, 수직 콘버젼스 코일에 주기적으로 적당한 파라볼라(Parabolla) 전류를 흘려 줌으로써 실현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아날로그 콘버젼스 보정방식에서는 보정시간은 짧으나 정밀보정을 필요로 하는 경우 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아날로그 콘버젼스 보정방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식이 대두되었으나, 이 방식은 씨드(Seed) 데이터 - 콘버젼스 보정을 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준 데이터 - 이용하여 전화면에 대한 보정 데이터를 추출하기 때문에 화면의 주사선수가 많아지게 되면 보간(Interpolation)에 의해 추출해야 할 데이터의 수가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계산시간이 길어지게 되어 전체적인 콘버젼스 보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주메모리에 저장할 때 콘버젼스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에서의 콘버젼스 증감분을 보간하여 보조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주메모리의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에 가감한 후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화면의 콘버젼스를 보정함으로써 보정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을 실현하는데 가장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은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면, 판별된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 및 부호를 설정하여 전 화면에 대한 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의 보간작업 수행결과로부터 보조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사용자로부터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반복 수행하기 위한 제4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보간작업에 사용되었던 씨드 데이터를 원래 위치에 저장하기 위한 제5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는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전 화면을 구성하는 소정 갯수의 씨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보정 함수에 해당하는 보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CPU; 상기 CPU가 보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씨드 데이터 및 실행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상기 CPU 및 상기 제1저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버퍼링한 후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에 가감한 후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상기 제2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도록 저역 통과 피터링하기 위한 복수개의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전 화면을 구성하는 씨드 데이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총 (n×m)개의 씨드 데이터가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경우 이 씨드 데이터로부터 (수평방향의 씨드 데이터수 n×주사선수)개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만들어 낸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주사선수가 많아지거나 고차의 보간 함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계산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제2a 내지 2j도는 각 함수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2a도는 틸트(Tilt) 함수로서, 수직(V)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고, 부호가 반대되는 특징이 있고, 제 2b도는 스큐(Skew) 함수로서, 수평(H)축을 중심으로 대칭되고, 부호가 반대되는 특징이 있고, 제2c도는 수평-보오(H-BOW)함수로서, 수직(V)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d도는 수직-보오(V-BOW) 함수로써, 수평(H)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e도는 높이(Height) 함수로서, 수평(H)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f도는 폭(Width) 함수로서, 수직(V)축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g도는 키-스톤(Key-Stone) 함수로서, 제1블럭(Block 1)이 수평(H)축, 수직(V)축 및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h도는 상/하(T/B) 핀쿠션(Pincushion) 함수로서, 제1블럭(Block 1)이 수평(H)축, 수직(V)축 및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i도는 사이드 핀쿠션 함수로서, 수평(H)축, 수직(V)축 및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고, 제2j도는 핀쿠션 밸런스함수로서, 수평(H)축, 수직(V)축 및 원점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대칭이 된다는 것은 보정함수가 수평, 수직 또는 원점에 대해 대칭인 함수라는 의미이다. 스큐 함수를 예로들어 대칭의 의미와, 부호의 의미(제2A-2J도에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큐함수는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인 보정함수이다. 수직방향으로 1라인 만큼 보정하는 경우, 위쪽 방향의 1/2라인만 보정하고, 아래쪽 1/2라인에 해당하는 보간은 위쪽 1/2라인 보정한 값을 수평축을 중심으로 대칭시키고, -의 부호를 붙여줌으로써 수행된다. 즉 대칭인 방향의 보간은 어느 한 쪽의 보간을 하면 다른 한 쪽의 보간값은 쉽게 구할 수 있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도의 구성은, 전 화면을 구성하는 소정 갯수의 씨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여구하는 보정 함수에 해당하는 보간작업을기 위한 CPU(10)와, 씨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20)와, CPU(10)의 작업 영역인 제2메모리(30)와, CPU(10)의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우히나 제3메모리(40)와, 보조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한 제4메모리(50)와, CPU(10), 제1메모리(20) 내지 제4메모리(50)를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60)와, 콘트롤러(60)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버퍼링하기 위한 버퍼(70)와, 버퍼(7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5메모리(80)와, 제5메모리(80)로부터 독출되는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C;90)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9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내지 제4메모리는 제1저장수단에 해당하고, 제5메모리는 제2저장수단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1메모리(21)는 E2PROM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2메모리(22)는 스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3메모리(23)는 EPROM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4메모리(24)는 DRAM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5메모리(50)는 CRT의 R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영역(R-H, R-V)과, CRT의 G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영역(G-H, G-V)과, CRT의 B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3영역(B-H, B-V)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제 100단계 내지 제140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면, 판별된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 및 부호를 설정하여 전 화면에 대한 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간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이고 제 150, 160단계는 보간작업 수행결과로부터 보조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과정이고, 제170단계는 사용자로부터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는 과정이고, 제180, 190단계는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50 내지 170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보간작업에 사용되었던 씨드 데이터를 원래 위치에 저장함으로써 보정작업을 완료하는 과정이다.
그러면 본 발명의 동작을 제3도와 제4도를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CPU(10)는 사용자에 의해 콘버젼스 보정 요구신호가 발생하면, (제110단계) 보정 요구신호에 따른 보정함수를 판별한다.(제120단계)
제120단계에서 판별된 보정함수에 따라서 보간(Interpolation) 구간 및 부호를 설정한다.(제130단계)
제130단계에서 보간 구간 및 부호가 설정되면 제1메모리(21)에 저장되어 있는 씨드 데이터 및 제3메모리(23)의 실행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2메모리(22)에서 보간작업을 수행하고(제140단계), 제140단계에서 수행된 보간 결과를 제4메모리(24)에 저장한다.(제150단계)
여기서 제4메모리(24)의 용량은 전 화면에 대한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5메모리(50)의 용량의 1/4에 해당한다.
제150단계 수행후, 제4메모리(24)에 저장된 데이터를 콘트롤러(30), 버퍼(40)를 통해 제5메모리(50)에 저장되어 있는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에 가감함으로써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업데이트(Update)시킨다.(제160단계)
제160단계 수행후, 사용자에 의해 콘버젼스 보정 요구신호가 재차 발생하였는지 판단하여, (제170단계) 콘버젼스 보정 요구신호가 재차 발생한 경우 제120단계로 복귀하여 제120단계 내지 제170단계를 반복수행하고, 제170단계에서 콘버젼스 보정 요구신호가 재차 발생하지 않은 경우 보간작업에 사용되었던 씨드데이터를 다시 제1메모리(21)에 저장함으로써(제180단계) 보정이 완료된다.(제190단계)
콘트롤러(30)는 CPU(10) 및 제1메모리 내지 제4메모리(21∼24)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제110단계 내지 제190단계를 통해 보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씨드데이터는 콘트롤러(30)를 통해 버퍼(40)로 입력되어 버퍼링된 후 제5메모리(50)로 입력된다.
제5메모리(50)는 제110단계 내지 제190단계를 통해 보간작업을 수행함으로써 보정된 씨드 데이터를 적 CRT의 수평, 수직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 저장영역(R-H, R-V), 녹 CRT이 수평, 수직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 저장 영역(G-H, G-V), 청 CRT의 수평, 수직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 저장영역(B-H, B-V)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 중 해당하는 영역에 각각 가감하여 저장한다.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0)는 제5메모리(6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저역통과필터(70)로 출력한다.
저역통과필터(70)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6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편향부(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로 출력하고, 해당하는 파라볼라 전류를 콘버젼스 요우크에 흘려줌으로써 콘버젼스를 보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에서는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주메모리에 저장할 때 콘버젼스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에서의 콘버젼스 증감분을 보간하여 보조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를 주메모리의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에 가감한 후 저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전체 화면의 콘버젼스를 보정함으로써 보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면, 판별된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 및 부호를 설정하여 전 화면에 대한 씨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간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제1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의 보간작업 수행결과로부터 보조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이를 이용하여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제2단계; 상기 제2단계 수행후 사용자로부터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하기 위한 제3단계; 상기 제3단계에서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반복 수행하기 위한 제4단계; 및 상기 제3단계에서 재차 콘버젼스 보정요구 신호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보간작업에 사용되었던 씨드 데이터를 원래 위치에 저장하기 위한 제5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판별된 보정함수가 스큐함수인 경우 수직방향으로 1/2라인 만큼 보간작업을 수행한 후 수평축에 대해 대칭시키고, 상기 보간작업 수행된 값에 -를 붙임으로써 전 라인에 대한 보간작업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판별되는 보정함수의 종류로는 틸트 함수, 스큐 함수, 수평-보오 함수, 수직-보오함수, 높이 함수, 폭 함수, 키-스톤 함수, 상/하 핀쿠션 함수, 사이드 핀쿠션 함수, 핀쿠션 밸런스 함수가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4. 투사형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전 화면을 구성하는 소정 갯수의 씨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가 요구하는 보정 함수에 해당하는 보간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CPU; 상기 CPU가 보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씨드 데이터 및 실행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제1저장수단; 상기 CPU 및 상기 제1저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콘트롤러; 상기 콘트롤러를 통해 출력되는 데이터신호를 버퍼링한 후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에 가감한 후 저장하기 위한 제2저장수단; 상기 제2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 데이터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도록 저역 통과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개의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CPU는 사용자로부터 콘버젼스 보정요구신호가 입력되면, 보정함수를 판별한 후 보정함수에 따른 보간구간 및 부호를 설정한 후 보간작업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저장수단은 상기 씨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메모리; 상기 CPU의 보간 작업영역으로 사용하기 위한 제2메모리; 상기 CPU의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제3메모리; 및 보간 작업을 통해 출력되는 보간작업에 사용된 함수의 증감분을 저장하는 보조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한 제4메모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메모리는 상기 제5메모리의 용량의 1/4에 해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메모리는 CRT의 R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1영역과, CRT의 G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2영역과, CRT의 B신호에 대한 수직, 수평 콘버젼스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제3영역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30019681A 1993-09-24 1993-09-24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KR015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81A KR0155742B1 (ko) 1993-09-24 1993-09-24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681A KR0155742B1 (ko) 1993-09-24 1993-09-24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02A KR950009802A (ko) 1995-04-24
KR0155742B1 true KR0155742B1 (ko) 1998-10-15

Family

ID=19364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681A KR0155742B1 (ko) 1993-09-24 1993-09-24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083A (ko) * 1998-11-19 2000-06-15 윤종용 컨버전스 조정장치 및 이에 적합한 컨버전스 조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802A (ko) 199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9143C (en) Convergence control system for multiple vertical formats
US4203051A (en) Cathode ray tube apparatus
US5345280A (en) Digital convergenc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correction data
EP0626794B1 (en) Interpol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egistration adjustment in a projection television system
JPS61281791A (ja) デイジタルコンバ−ジエンス装置
JPS61269592A (ja) 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用の画像歪調整装置
US4733296A (en) Multi-tube color TV camera in which linear and non-linear components of a registration error due to chromatic aberration of a lens are corrected with corresponding deflection correction signals
US5497054A (en) Automatic digital convergence corr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7379124B2 (en) Center convergence optimization in a projection display apparatus
US5793447A (en) Digital convergence apparatus
KR0155742B1 (ko)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JPH04216275A (ja) ラスタひずみ補正回路
JPH0126234B2 (ko)
JPS631792B2 (ko)
KR0141230B1 (ko) 자동 디지탈 콘버젼스 보정방법 및 장치
JP2697012B2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GB2101459A (en) Television display correction
JPH05227536A (ja) ディ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3047433B2 (ja) デジタルコンバーゼンス補正装置
KR100226810B1 (ko) 프론트 프로젝터용 디지탈 컨버젼스 조정방법
JPS6412437B2 (ko)
US6952242B2 (en) Convergence correction of a CRT screen or projector
JPH0122796B2 (ko)
JPH0543688U (ja) カラー画像表示装置
JPH11155148A (ja) プロジェクション映像表示器のコンバージェンス補正装置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