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93B1 -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93B1
KR0155693B1 KR1019920008951A KR920008951A KR0155693B1 KR 0155693 B1 KR0155693 B1 KR 0155693B1 KR 1019920008951 A KR1019920008951 A KR 1019920008951A KR 920008951 A KR920008951 A KR 920008951A KR 0155693 B1 KR0155693 B1 KR 0155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caption information
mix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8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982A (ko
Inventor
유재천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20008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693B1/ko
Publication of KR930023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Circuits (AREA)

Abstract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방법은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함께 기록하고 재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분리기, 기록모드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압축하여 기록하고 독출하여 출력하는 자막정보 기록처리부, 재생모드시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실려 있는 자막정보를 검출하고 복원하여 기록하고 재생되는 영상신호와 소정구간에서 중첩되도록 독출하여 출력하는 자막정보 재생처리부, 동기신호분리기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와 명령인가부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기록시에는 자막정보를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혼합되도록 하고 재생시에는 수직귀선기간에 실려 있는 자막정보를 재생되는 영상신호상의 원하는 지점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제어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다양한 자막정보를 기록 및 재생할 수 있고, 자막정보의 기록시 원 영상신호의 정보가 손상되지 않는다.

Description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정보 기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정보 재생장치의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의 시스템제어기에서 기억수단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혼합수행(Call MIXER)에 대한 서브루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명령인가수단 10 : 키매트릭스
20 : 원격제어수신 증폭기 30 : 시스템 제어기
40 : 동기신호 분리수단 50 : 자막정보 기록처리부
60,130 : 혼합기 70 : FM변조기
80 : 기록증폭기 100 : 프리앰프
110 : FM복조 120 : A/D변환기
140 : D/A변환기 150 : 자막정보 재생처리부
160 : 자막정보 중첩제어부
본 발명은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자막정보를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영상신호의 손상이 없도록 자막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으로는 비디오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Fecorder, 이하 VCR이라 함), 비디오카메라와 VCR를 복합한 캠코더(CAMCORDER), 레이저디스크플레이어(Laser Disk Player, 이하 LDP라고 함) 등을 들 수 있다. 자막정보는 그림이나 문자 또는 도형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보이다. 여기서 문자는 OSD(On Screen Display) 대상이 되는 문자나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텔리텍스트문자 등을 포함한다.
종래의 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자막정보에 대한 기능은 주로 영상신호 재생시 중첩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즉 자막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IC를 장착하고 시스템의 전기능을 제어하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하여 원하는 자막정보를 독출하여 영상신호의 소정의 위치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중첩시켰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자막정보를 중첩할 경우, 중첩할 수 있는 자막정보가 장착된 IC내의 정보에 한정되므로 다양한 자막정보를 지원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안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상에 영상신호를 기록할 때 영상신호상에 디스플레이하고자 하는 자막정보를 함께 기록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발된 바 있다. 이 경우에는 기록시 자막정보를 외부에서 인가할 수 있으므로 다양하게 자막정보를 기록할 수 있고, 재생시에는 자막정보를 중첩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다는 장점은 있으나, 영상신호에 한번 삽입된 자막정보는 제거할 수 없으며 기록시 자막정보가 기록된 부분의 원영상신호가 소멸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①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압축하여 기록매체상에 기록되는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을 통해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기 위한 자막정보기록장치 및 방법을 구비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②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수직귀선기간에 압축되어 기록된 자막정보를 검출하고 복원하여 재생되는 영상신호의 소정 위치(재생구간)에 중첩하여 재생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장치 및 방법을 구비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③영상신호 기록 및 재생시스템에 있어서 기록매체에서 검출된 자막정보에 대하여 재생되는 영상신호에의 중첩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재생시스템의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위한 명령인가수단; 상기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수단; 기록모드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에 해당되는 외부신호를 압축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는 자막정보 기록처리부,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에서 독출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1혼합기; 재생모드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픽업되어 복조처리된 영상신호에서 자막정보만을 검출하고 원래의 신호로 복원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처리부, 복조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2혼합기; 상기 기록모드시에는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혼합기의 혼합작동과 자막정보 기록처리부의 독출작동을 제어하고, 재생모드시에는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의 분할과 기록 및 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수행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에 있어서;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자막정보로서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혼합제어명령 및 정보에 의하여 상기 기록재생시스템의 혼합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 기록시,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의 기록유효기간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 기록시, 상기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에서 검출된 기간내에 외부에서 상기 자막정보로 인가되는 신호를 압축한 신호를 삽입하여 상기 영상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기록신호처리과정; 재생시, 상기 기록유효기간내에 기록되어 있는 자막정보만을 검출하여 기록제어전의 원신호 형태로 복원하여 재생되는 상기 영상신호상의 원하는 지점에 혼합하여 재생하는 재생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저역필터링하고 압축한 뒤 기록(또는 저장)시켰다가 기록매체상에 기록되는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독출(또는 재생)하여 기록매체상에 기록하고, 재생시에는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원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을 통해 재생되는 자막정보를 검출하고 복원하여 기록한 뒤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소정의 위치에 중첩하는 것으로, 재생시 자막정보가 중첩되는 부분의 원 영상신호의 소멸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정보 기록장치의 블럭도로서,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의 기록회로에 적용한 예이다.
제1도의 구성은,
복합영상신호를 입력단에 인가되도록 접속하고 인가된 복합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분리수단(40)과,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입력신호로 하여 인가된 자막정보를 기록매체상에 기록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하기 위한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와, 사용자의 제어명령 및 키제어신호를 입력신호로 하는 명령인가수단(1)과, 상기 복합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60)와,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과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이루어지는 자막정보의 기록과정과 독출과정을 제어하고 혼합기(60)의 혼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30)와, 혼합기(6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FM(Frequency Modulation)변조하기 위한 FM변조기(70)와, FM변조기(7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치 증폭하기 위한 기록증폭기(80)와, 기록증폭기(8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매체(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상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헤드(REC-HEAD)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대하여 저역필터링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51)와, 저역통과필터(51)에서 출력된 신호를 R, G, B색신호로 디코드하기 위한 RGB디코더(52)와, RGB디코더(52)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색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53)와, A/D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색신호에 대한 디지탈신호를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처리기(54)와, 영상압축처리기(5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시스템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해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독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억수단(55)으로 이루어진다.
명령인가수단(1)은 프론트 패널에 있는 키에 대한 정보를 인가하는 키메트릭스(10)와, 원격제어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에서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 및 키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치 증폭하기 위한 원격제어수신 증폭기(20)로 이루어진다.
혼합기(60)는 복합영상신호와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FM복조기(70)로 출력하기 위한 혼합수단(62)과,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혼합 제어신호(MIXER ON/OFF)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혼합수단(62)의 자막정보 입력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용스위치(61)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정보 재생장치의 블럭도로서, 제1도와 같은 시스템의 재생회로에 적용한 예이다.
제2도의 구성은, 기록매체(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에 기록된 정보를 픽업하는 재생용 헤드(PB-HEAD)와, 재생용 헤드((PB-HEAD)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치 증폭하여 출력하기 위한 프리앰프(100)와, 프리앰프(10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FM복조하기 위한 FM복조기(110)와,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변환기(120)와,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자막정보를 검출하고 재생처리하여 기록 및 독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와,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수단(40)과, A/D변환기(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여 자막정보가 중첩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혼합기(130)와, 제13도에서와 같은 명령인가수단(1)을 통해 인가되는 혼합제어신호(또는 중첩제어신호, MIXER ON/OFF)와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이루어지는 기록 및 독출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제어기(30)와,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색신호정보와 상기 시스템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혼합기(130)의 중첩작동을 제어하기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로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는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서 자막정보를 검출하기 위하여 인가되는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 분할기(151)와, 데이터분할기(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처리기(152)와, 영상복원처리기(152)에서 출력된 신호를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정보를 독출하는 기억수단(153)과, 기억수단(153)에서 독출되는 신호를 휘도신호로 디코드하는 RGB디코더(154)로 이루어진다.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는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의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자막정보 중첩을 제어하는 블랭크신호(Blank Signal)를 발생하기 위한 블랭크발생기(161)와, 블랭크발생기(161)의 출력신호와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혼합기(1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용 스위치(162)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의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시스템제어기(30)에서 기억수단(55)의 동작을 제어하는 과정과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혼합상태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제200단계는 명령인가수단(1)에 의하여 혼합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이고, 제201, 202단계는 현재 시스템의 동작모드를 체크하는 과정이고, 제203~211단계는 기록모드시 기억수단(55)을 제어하는 과정이고, 제217~220단계는 재생모드시 기억수단(153)을 제어하는 과정이다. 특히 제203~205단계는 기록모드시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제206~211단계는 기록모드시 수직귀선기간내에서 기록유효기간을 검출하는 과정이고, 제212~216단계는 기록모드시 기록유효기간에서 기억수단(55)의 독출제어 과정이고, 제217단계는 재생모드시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인가되는 신호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제218단계는 재생모드시 기억수단(153)의 기록제어과정이고, 제219~220단계는 재생모드시 기억수단(153)의 재생제어과정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제200단계의 서브루틴으로, 제2001단계는 혼합제어키의 인가상태를 체크하는 과정이고, 제2002단계는 현재 시스템의 상태가 기록모드상태인지 재생모드상태인지를 체크하는 과정이고, 제2003~2005단계는 기록모드상태일 때 혼합기(60)를 제어하는 신호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이고, 제2006~2008단계는 재생모드 상태일 때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를 제어하는 신호의 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이다.
그러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도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명령인가수단(1)내의 키매트릭스(10)와 원격제어수선 증폭기(20), 동기신호 분리수단(40), FM변조기(70), 기록증폭기(80) 등은 공지된 바와 같다. 즉 키매트릭스(10)는 프론트패널(도면에 예시되지 않음)을 통해 사용자가 제어하는 명령 및 정보가 인가되면 해당되는 매트릭스정보를 후술할 시스템 제어기(30)로 인가한다. 원격제어수신증폭기(20)는 키매트릭스(10)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원격제어기(도면에 예시되지 않음)를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정보를 수신하여 소정치 증폭하고 키매트릭스(10)와 같이 시스템제어기(30)로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키매트릭스(10) 및 원격제어수신 증폭기(20)를 통해 인가되는 것은 기록시 자막정보를 혼합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와 재생시에도 마찬가지로 자막정보의 혼합(중첩)여부에 대한 정보와 재생시에도 마찬가지로 자막정보의 혼합(중첩)여부에 대한 정보를 인가하게 된다. 동기신호 분리수단(40)은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에서 수직동기 및 수평동기신호와 수직 및 수평귀선기간 등을 분리한다. FM변조기(70)는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켜 안정된 상태의 파형을 출력하는 것으로, 특히 후술할 혼합기(6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디지탈신호이므로 이를 FM변조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한다. 기록증폭기(80)는 FM변조기(70)에서 출력된 신호를 소정치 증폭하여 기록용 헤드(PB-HEAD)로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는 저역통과킬터(51)를 통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저역필터링한다. 이때 제한대역은 약 2.5㎒로 이것은 기록매체에 기록된 영상신호의 대역폭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저역통과필터(51)는 2.5㎒이하의 신호를 RGB디코더(52)로 출력한다. RGB디코더(52)는 저역통과필터(5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가 휘도신호이므로 이를 R, G, B의 색신호로 코딩하여 출력된다. 코딩방식은 종래의 색신호매트릭스회로와 유사한 것으로 휘도신호와 색신호간의 관계식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A/D변환기(53)는 RGB디코더(52)에서 출력되는 R, G, B신호에 대하여 각각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영상압축처리기(54)는 A/D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샌신호에 대한 디지탈신호를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에 살릴 수 있도록 압축하기 위한 것으로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 혹은 그외의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MPEG방식에 대하여 간략하게 정리하면,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분포도를 검출한 뒤, 검출된 분포도에 의하여 코드를 부여한다. 부여기준은 가장 많은 분포도를 갖는 성분은 코드길이를 가장 작게 설정하고 가장 작은 분포도를 갖는 성분은 코드길이를 가장 크게 설정하도록 되어 있다. 분석결과 무시할 만큼 적은 량을 갖는 성분은 무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로 압축된 각각의 색신호는 기억수단(55)으로 인가된다. 기억수단(55)은 후술할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영상압축처리기(54)에서 출력된 신호를 저장한다.
시스템 제어기(30)는 동기신호 분리수단(40)과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술한 기억수단(55)과 후술할 혼합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우선 기억수단(55)에 인가되는 자막정보가 기억되도록 제어하는 것은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종류가 되므로 전자펜이나 기타 자막정보를 발생할 수 있는 기기에서 발생되는 정보로서, 본 시스템과는 외부 잭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잭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자막정보를 인가할 때 명령인가수단(1)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은 자막정보가 기억수단(55)에 기록될 수 있도록 인가될 것이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기(30)는 기억수단(55)을 기록모드(R/W제어신호 출력단으로 하이논리신호를 출력한다.)로 설정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칩인에이블신호(CE)를 로우논리로 출력하여 기억수단(55)이 인에이블 상태가 되도록 한다. 기억수단(55)의 기록기간은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한 전구간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압축처리기(54)를 통해 인가되는 자막정보의 각각의 색신호에 대하여 할당된 영역에 저장될 수 있도록 어드레스신호를 인가한다.
반면에 기억수단(55)에 기록된 정보에 대한 독출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만 가능하다. 즉,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의 검출에 의하여 수직귀선기간에서도 기록유효기간을 통해 압축된 자막정보가 독출되도록 제어한다. 이를 제3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복합영상신호에 실린 동기신호의 포맷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직귀선기간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약 3H의 등화펄스기간과 3H의 수직동기기간과 3H의 등화펄스시간 후 약 10주사라인(기수의 경우이고, 우수의 경우에는 약272주사라인)정도에서 약 20주사라인(기수의 경우이고, 우수의 경우에는 약 282주사라인)까지는 빈영역으로 수평동기신호만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술한 빈영역이 지나서야 실질적인 영상이 실리는 부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언급된 자막정보에 대한 수직귀선기간내에서의 기록유효영역은 상술한 2번째의 등화펄스가 모두 검출된 다음에 바로 검출되는 수평동기신호에 해당되는 데이터영역부터 상술한 실질적인 영상이 실리는 부분의 수평동기신호가 검출되기 전까지가 된다.
이와 같은 수직귀선기간내의 펄스구성에 의하여 시스템제어기(30)는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체크하게 되는데 이에 앞서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와 시스템의 동작모드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시스템의 조건체크 및 조건설정을 한다. 즉 제200단계에서 혼합제어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한다. 혼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은 제4도에 도시된 흐름도와 같이 이루어진다. 우선 명령인가수단(1)에서 MIXER ON/OFF 제어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01단계). MIXER ON/OFF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다음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리턴된다. 그러나 MIXER ON/OFF제어신호가 인가되면 현재 시스템의 동작모드가 재생모드인지를 체크한다(제2002단계). 현재는 기록모드이므로 기록 모드에 해당되는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제2003~2005단계)을 수행한다. 즉 제2003단계에서 인가된 MIXER ON/OFF제어신호가 MIXER ON상태인지를 체크한다. 제2003단계에서 MIXER ON키가 인가되었으면 시스템 제어기(3)로부터 출력되는 MIXER ON신호를 하이논리로 출력되도록 설정한다(제2004단계). 그러나 MIXER OFF신호가 인가되면 시스템제어기(30)로부터 출력되는 MIXER ON신호를 로우논리로 출력되도록 설정한다(제2005단계). 그러나 MIXER ON/OFF 제어신호에 따라 시스템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는 시스템의 조건 설정시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이 이루어지면 시스템 제어기(30)는 혼합기(60)의 제어용 스위치(61)로 MIXER ON신호가 하이논리로 출력될 때 온상태가 되고 로우논리로 출력될 때 오프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에 의하여 기억수단(55)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수직동기신호(V_SYNC)가 인가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3단계). 체크결과 인가되지 않았으면 인가될 때까지 계속 체크한다. 그러나 인가되었으면, 그 다음에 수평동기신호(H_SYNC)가 인가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4단계). 인가되지 않았으면, 인가될 때까지 계속 체크한다. 그러나 인가되었으면 수직귀선기간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록유효기간인가를 체크한다(제205단계). 일반적으로 수직귀선기간은 V_BLK(BLanKing)로 표기하나 여기서 사용한 V_BLK=1은 상술한 기록유효기간인 경우이고 V_BLK+0은 수직귀선기간내라도 기록유효기간이 아닌 경우로 정의한다. 따라서 수직귀선기간내의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고 수평동기신호가 인가되었음이 판단되어도 상술한 바와 같이 2번째 등화필스 구간이 모두 지나기 전에는 기록유효기간이라고 할 수 없다.
제205단계에서 기록유효기간이 아니면, 기록유효기간에 도달할 때까지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를 체크한다. 이때 체크과정은 제206~211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즉 제205단계에서 기록유효기간이 아닐 경우에 시스템 제어기(10)는 인가된 수평동기신호를 소정의 카운터레지스터를 통해 카운트한다. 이때 카운트는 1씩 업카운트된다(제206단계). 카운트한 후 이미 저장되어 있는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 기준값(H1)과 비교한다(제207단계). 여기서 기준값(H1)은 상술한 기록유효영역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 4H이나 기준값(H1)은 임의로 설정이 가능하다. 제207단계에서 카운트된 수평동기신호의 갯수(H_COUNT)가 H1보다 작으면 기억수단(55)으로 어드레스를 인가하는 제어단자를 리세트시키고(제208단계), 칩인에이블()단자로는 하이논리를 출력하도록 한다(제209단계). 여기서는 칩인에이블단자()가 로우논리일 때가 기억수단(55)이 인에이블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현재는 디스에이블상태이다. 따라서 기록유효상태는 0으로 설정되면서(제210단계), 제203단계로 궤환되어 또 다시 수평동기신호가 인가되는지를 체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207단계에서 수평동기신호의 카운트값(H_COUNT)이 기준값(H1)보다 같거나 크면 기록영역으로 판단하고 V_BLK를 1로 설정한 다음(제211단계), 제204단계로 돌아가 다시 수평동기신호가 인가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인가되었으면 기록유효기간이 1로 설정되었는지를 체크한다(제205단계). 이 때 제11단계에서 기록유효기간을 1로 설정하였으므로 V_BLK는 1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시스템 제어기(30)는 상술한 소정 카운터레지스터의 카운트값을 0으로 클리어시킨다(제212단계). 그리고 기억수단(55)으로 칩인에이블신호()를 로우논리상태로 출력함과 동시에출력단을 통해 독출모드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기억수단(55)은 독출모드로 설정되어 기록하고 있던 자막정보를 후술할 혼합기(60)로 독출하여 출력한다(제213단계).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정보는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인가되는 어드레스신호나 클럭신호에 의하여 제어되어 독출된다. 여기서 어드레스는 기록유효기간과 일치된다. 마지막 어드레스까지 리드되면(제215단계), 시스템 제어기(30)는 다시 기록유효기간정보를 0으로 세트하고 칩인에이블신호()는 하이논리상태로 설정한다(제216단계). 그리고 다시 제203단계로 돌아가 수직동기신호가 검출되었는지를 체크하게 된다. 이 때 칩인에이블()제어신호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압축한 신호를 기억수단(55)에 기록하기 위하여 다시 로우논리로 바뀐다.
혼합기(60)는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MIXER ON신호가 ON상태로 출력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용스위치(61)를 온시키고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압축된 자막정보를 혼합수단(62)의 일축입력단으로 출력한다. 혼합수단(62)은 복합영상신호에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기억수단(55)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실려 다음단의 FM변조기(70)로 출력된다. FM변조기(70)로 인가된 신호는 기록증폭기(80)와 기록용 헤드(REC-HEAD)를 통해 기록매체상에 기록되게 된다. 여기서 혼합수단(62)은 덧셈기를 이용하였다.
제2도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프리앰프(100)와 FM복조기(11)) 및 동기신호분리수단(40)은 공지된 바와 같다. 즉 프리앰프(100)는 도면에 제시되지 않은 기록매체로부터 재생용 헤드(PB-HEAD)에서 픽업된 신호를 소정치(약 수백배)만큼 증폭하고, FM복조기(11)는 인가된 신호를 FM변조기(70)와는 상반되게 주파수 변환하여 복합영상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동기신호 분리수단(40) 역시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제1도에서와 같이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와 수직 및 수평귀선기간 등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D변환기(120)는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이는 후술할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디지탈신호이기 때문이다.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는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자막정보를 검출하여 재생이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데이터분할기(151)는 FM복조기(110)에서 출력된 복합영상신호가 인가되면 기록시 수직귀선기간에 기록되어 있넌 자막정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인가되는 복합영상신호를 분할하는 것으로, 자세한 동작상태는 후술할 시스템제어기(30)에 대한 설명시 하기로 한다.
시스템 제어기(30)는 우선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제200단계의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을 수행한다.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은 제4도의 서브루틴에서 제생모드시 혼합에어모드 설정과정인 제2006~2008단계를 수행한다. 즉 제2001단계에서 명령인가수단(1)을 통해 MIXER ON/OFF제어신호가 출력되었으면 현재 시스템의 동작모드가 재생모드인지를 체크한다(제2002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는 재생모드중이므로 그 다음 과정인 제2006~2008단계를 수행한다. 제2006단계에서는 상술한 기록모드시 제2003단계와 같이 인가된 MIXER ON/OFF제어신호가 MIXER ON되도록 제어된 것인지를 체크한다. MIXER ON신호이면 시스템 제어기(30)의 MIXER ON신호는 하이논리로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MIXER OFF신호이면 시스템 제어기(30)의 MIXER ON신호는 로우논리로 설정되도록 출력된다.
이와 같이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이 수행되면, 제201단계에서 현재 시스템의 동작모드가 다시 재생모드인지를 체크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루틴을 설정하기 위한 판단과정으로 현재는 재생모드이므로 다음단인 제217~220단계를 수행한다. 그러나 제217~220단계는 재생모드시 기억수단(153)을 제어하는 과정으로, 이에 앞서 동기신호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제1도에서와 같은 수직귀선기간내의 펄스형태에 따라 기록시 수직귀선기간내의 기록유효기간에 기록된 자막정보만을 분할하여 출력하기 위하여 데이터분할기(151)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인가되는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에 의하여 기록유효기간이 검출되면, 데이터분할기(151)에 해당되는 칩인에이블 신호()로 로우논리로 출력되도록 하여 데이터분할기(151)를 인에이블시킨다. 이러한 인에이블상태는 수직귀선기간내에서도 기록유효기간에만 이루어진다. 데이터분할기(151)는 기록유효기간에서도 수평동기 신호를 제외한 데이터영역의 신호만 출력되도록 흑레벨을 기준으로 한 연산증폭기를 사용할 수 있다.
영상복원처리기(152)는 제1도의 자막정보 기록장치의 영상압축처리기(54)에서 이루어진 압축방식과 상반되는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 분할기(151)에서 출력된 신호를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킨다. 이때 데이터분할기(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디지탈신호이므로 영상복원처리에 별무리가 없다.
기억수단(153)은 영상복원처리기(152)에서 출력된 신호를 저장한다. 기억수단(153)의 저장 및 재생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제어기(30)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기록시와는 반대로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독출(READ)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단 제1도에서와 같이 명령인가수단(1)을 통해 인가되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이나 정보가 MIXER ON되는 측면으로 인가되어 제2007단계와 같이 설정된 경우에 실질적인 독출이 이루어진다. 즉 영상복원처리기(15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간은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수직동기신호(V_SYNC)가 검출되면(제217단계), 시스템 제어기(30)는 기억수단(153)에해당되는 칩인에이블신호()를 로우논리로 출력되고모드로 로우논리로 출력한다(제218단계). 이에 따라 기억수단(153)은 인에이블상태가 되어 영상복원처리기(15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한다(). 기록되는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 및 기타 제어2정보는 기록시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저장수단(153)의 독출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단 제4도에서와 같이 MIXER ON/OFF제어키가 MIXER가 되도록 ON되도록 인가된 상태에서 명령인가수단(1)을 통해 자막정보 발생요구키가 제어되면(제219단계), 다시 기억수단(153)으로 칩인에이블신호()를 로우논리신호로 출력하여 기억수단(153)을 인에이블시키고 R/W신호를 하이논리로 출력하면서 독출할 정보에 대한 어드레스를 비롯한 독출에 필요한 제어정보를 제1도에서와 같이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제공해 주게 된다(제220단계).
RGB디코더(154)는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자막정보가 RGB색신호에 대하여 각각 출력되므로 이를 기록시와는 반대의 매트릭스처리에 의하여 휘도신호로 디코드하여 출력한다.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는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시스템 제어기(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후술할 혼합기(130)로 중첩을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즉 블랭크발생기(161)는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색신호에 대하여 논리합적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3색신호중 하나만 존재하면 하이논리상태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3색신호중 하나도 존재하지 않으면 출력신호는 로우논리상태가 된다. 이것은 기억수단(153)이 시스템 제어기(30)에 의해서 인에블상태가 되었다 할지라도 저장되어 있는 자막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된다. 한편 제2006단계에서 시스템 제어기(30)로부터 MIXER신호가 ON상태로 제어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용스위치(162)는 블랭크발생기(161)의 출력신호로 접속되게 된다. 그러나 MIXER신호가 OFF상태로 제어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용스위치(162)는 접진단에 접속되게 된다.
혼합기(130)는 제어용스위치(162)가 접지단에 접속되면 A/D변환기(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다음단의 D/A변환기(140)로 출력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D/A변환기(140)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되는 복합영상신호에는 자막정보를 중첩하라는 제어신호가 인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자막정보는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블랭크발생기(161)로 제어용스위치(162)의 기준접점이 접속되면, 블랭크발생기(16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혼합기(130)의 작동은 제어된다. 즉 블랭크발생기(161)의 출력신호가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에 의하여 로우논리상태로 출력되게 되면, 혼합기(130)는 제어용스위치(162)가 접지단에 접속되었을 때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그러나 블랭크발생기(161)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상술한 조건에 의하여 하이논리상태가 되면, 혼합기(130)는 RGB디코더(154)에서 출력되는 자막정보를 다음단의 D/A변환기(140)로 출력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를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실릴 수 있도록 압축처리하여 기록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다양한 자막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자막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부분의 영상이 손실되지 않도록 하며 또한 자막정보재생시 자막정보 중첩여부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영상신호 기록시 수직귀선기간에 자막정보를 기록하였다 하더라도 혼합제어키(MIXER ON/OFF)의 제어에 의하여 재생시 자막정보를 혼합(또는 중첩)하지 않은 원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이점 등이 있다.

Claims (30)

  1.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영상신호기록 및 재생시스템의 자막정보 기록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수단(1);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에 해당되는 외부신호를 압축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는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60); 상기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수단(40);과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출력되도록 상기 혼합기(60)의 혼합작동과 자막정보 기록처리부(150)의 재생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자막정보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는 인가되는 상기 외부신호에 대하여 저역필터링하기 위한 저역통과 필터(51)와, 상기 저역통과필터(51)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5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의해 코드를 할당하여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처리기(54)와, 상기 영상압축처리기(5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기억수단(5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는 상기 저역통과필터(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색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53)로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52)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30)는 상기 명령인가수단(1)의 상기 혼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기억수단(55)의 기록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수직귀선 기간내의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수단(55)의 독출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60)는 상기 자막정보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혼합수단(62)과,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혼합수단(62)의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으로의 인가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6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장치.
  6. 영상신호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에 기록된 자막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수단(1);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픽업되어 복조처리된 영상신호에서 자막정보만을 검출하고 원래의 신호로 복원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130); 상기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수단(40);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의 분할과 기록 및 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장치는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의 출력신호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상에 상기 자막정보가 중첩될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에 존재하는 자막정보만 검출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분할기(151)와, 상기 데이터분할기(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신호처리전의 원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처리기(152)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영상복원처리기(15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독출하여 상기 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기억수단(15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는 상기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를 휘도신호로 변환하여 상기혼합기(13)로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154)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상에 상기 자막정보가 중첩될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는 상기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에 의해 블랭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블랭크발생기(161)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상기 혼합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블랭크발생기(161)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혼합기(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1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30)는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인가되는 수직귀선기간신호에 의해 상기 데이터분할기(151)의 데이터 분할지점을 제어하고 상기 기억수단(153)의 기록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명령연가수단(1)에서 인가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수단(153)의 독출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장치.
  13.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기록 및 재생시스템의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어 명령 및 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수단(1); 상기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하기 위한 동기신호 분리수단(40); 기록모드시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막정보에 해당되는 외부신호를 압축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는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독출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1혼합기(60); 재생모드시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픽업되어 복조처리된 영상신호에서 자막정보만을 검출하고 원래의 신호로 복원처리하여 기록하고 독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 복조 처리된 상기 영상신호와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제2혼합기(130); 상기 기록모드시에는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처리된 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출력되도록 상기 제1혼합기(60)의 혼합작동과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의 독출작동을 제어하고, 재생모드시에는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된 동기신호와 상기 명령인가수단(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의 분할과 기록 및 독출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제어기(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는 인가되는 상기 외부신호에 대하여 저역필터링하기 위한 저역통과필터(51)와, 상기 저역통과필터(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색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52)와, 상기 디코더(52)에서 출력된 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53)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5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소정의 방식에 의해 코드를 할당하여 압축하기 위한 영상압축처리기(54)와, 상기 영상압축처리기(5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기록하고 기록된 신호를 독출하기 위한 기억수단(55)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30)는 상기 명령인가수단(1)의 출력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수단(53)의 기록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출력되는 수직귀선기간내의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수단(53)의 독출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혼합기(60)는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여 출력하기 위한 혼합수단(62)과,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혼합수단(62)의 자막정보 기록처리부(50)의 출력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으로의 인가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6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상에 상기 자막정보가 중첩될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2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처리부(150)는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에 존재하는 자막정보만 검출하기 위하여 데이터를 분할하는 데이터분할기(151)와, 상기 데이터분할기(15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신호처리전의 원상태로 복원하기 위한 영상복원처리기(152)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영상복원처리기(15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하고 독출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억수단(153), 상기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를 휘도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2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디코더(154)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는 상기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영상신호상에 상기 자막정보가 중첩될 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제2혼합기(130)로 출력하기 위한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및 재생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중첩제어부(160)는 상기 기억수단(153)에서 출력되는 색신호에 의해 블랭크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블랭크발생기(161)와, 상기 시스템 제어기(30)의 상기 혼합제어신호와 블랭크발생기(161)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2혼합기(13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스위치(16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기(30)는 상기 동기신호 분리수단(40)에서 인가되는 수직귀선기간신호에 의해서 상기 데이터분할기(151)의 데이터 분할지점을 제어하고 상기 기억수단(153)의 기록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명령인가수단(1)에서 인가되는 혼합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억수단(153)의 독출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
  22.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자막정보로서 기록하기 위한 자막정보 기록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혼합제어명령 및 정보에 의하여 상기 기록재생시스템의 혼합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의 기록유효기간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 상기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에서 검출된 기간내에 외부에서 상기 자막정보로 인가되는 신호를 압축한 신호를 삽입하여 상기 영상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자막정보 기록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신호처리과정은 상기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 걸쳐 인가되는 상기 찹축된 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기록제어단계, 상기 기록제어단계에서 기록된 신호를 상기 기록유효기간이 되면 독출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독출제어단계와, 상기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제어단계에서 독출되는 자막정보를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혼합시키는 혼합단계를 홈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방법.
  24.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의 기록유효기간에 기록되어 있는 자막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자막정보 재생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혼합제어명령 및 정보에 의하여 상기기록재생시스템의 혼합상태를 제어하는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 상기 기록유효기간내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자막정보만을 검출하여 기록제어전의 원신호 형태ㅔ로 복원하여 재생되는 상기 영상신호상이 원하는 지점에 혼합하여 재생하는 자막정보 재생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신호처리과정은 상기 영상신호에서 검출된 3동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록유효기간내에 실려 재생되는 자막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검출단계, 상기 자막정보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자막정보를 복원하여 상기 수직귀선기간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단계, 상기 기록단계에서 기록된 상기 자막정보를 상기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에서 설정된 혼합제어모드에 따른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재생구간에서 독출하기 위한 독출단계, 상기 혼합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되는 자막정보와 상기 영상신호를 중첩하기 위한 중첩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단계는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되는 신호에서 자막정보혼합을 제어하기 위한 블랭크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크신호발생단계, 상기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에서 설정된 상기 혼합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블랭크신호 발생단계에서 발생되는 블랭크 신호의 전달여부를 제어하는 전달제어단계, 상기 전달제어단게에서 블랭크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소정 재생구간에 상기 자막정보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재생방법.
  27. 영상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 기록재생시스템에 있어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자막정보로서 기록하고 재생하기 위한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인가되는 혼합제어명령 및 정보에 의하여 상기 기록재생시스템의 혼합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혼합제어모드설정과정;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내의 기록유효기간을 검출하기 위한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 기록시, 상기 기록유효기간검출과정에서 검출된 기간내에 외부에서 상기 자막정보로 인가되는 신호를 압축한 신호를 삽입하여 상기 영상신호와 함께 기록매체상에 기록하는 자막정보 기록신호처리과정; 재생시, 상기 기록유효기간내에 기록되어 있는 자막정보만을 검출하여 기록제어전의 원신호 형태로 복원하여 재생되는 상기 영상신호상이 원하는 지점에 혼합하여 재생하는 자막정보 재생신호처리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기록신호 처리과정은 상기 수직귀선기간을 제외한 전 구간에 걸쳐 인가되는 상기 압축된 신호를 기록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기록제어단계, 상기 기록제어단계에서 기록된 신호를 상기 기록유효기간이 되면 독출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독출제어단계와, 상기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제어단계에서 독출되는 신호를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기간에 혼합시키는 혼합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정보 재생신호처리과정의 상기 영상신호에서 검출된 동기신호에 의하여 상기 기록유효기간내에 실려 재생되는 자막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자막정보 검출단계, 상기 자막정보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자막정보를 복원하여 상기 수직귀선기간내에 기록하기 위한 기록단계, 상기 기록단계에서 기록된 상기 자막정보를 상기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혼합제어모드에 따른 상기 영상신호의 소정 재생구간에서 독출하기 위한 독출단계, 상기 혼합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되는 자막정보와 상기 영상신호를 혼합하기 위한 혼합단계로 이루어짐을 틀징으로 하는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단계는 상기 독출단계에서 독출되는 신호에서 자막정보혼합을 제어하기 위한 블랭크신호를 발생하는 블랭크신호 발생단계, 상기 혼합제어모드 설정과정에서 설정된 상기 혼합제어모드에 따라 상기 블랭크신호 발생단게에서 발생되는 블랭크신호의 전달여부를 제어하는 전달제어단계, 상기 전달제어단계에서 블랭크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영상신호의 상기 소정 재생구간에 상기 자막정보를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정보기록 및 재생방법.
KR1019920008951A 1992-05-26 1992-05-26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KR015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951A KR0155693B1 (ko) 1992-05-26 1992-05-26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8951A KR0155693B1 (ko) 1992-05-26 1992-05-26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982A KR930023982A (ko) 1993-12-21
KR0155693B1 true KR0155693B1 (ko) 1998-12-15

Family

ID=1933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8951A KR0155693B1 (ko) 1992-05-26 1992-05-26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6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523B1 (ko) * 1999-03-11 200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티브이(Digital TV)의 예약녹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982A (ko) 199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8144B2 (ja) ビデオ番組を表す受信されたビデオ信号を処理する方法
JPS6150432B2 (ko)
JP4642161B2 (ja) データ復号化装置及びデータ復号化方法
US4499503A (en) Video format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tion system
JP2915676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US6271887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n image signal having superimposed information and for extracting information superimposed on an image signal
US4847840A (en) Digital data error block detection and display device
KR930010360B1 (ko) 동기신호복원회로
US6104858A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a video signal and a corrective signal and for correcting the video signal in response to the corrective signal
EP0608960B1 (en)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JPH04332282A (ja) 周波数重畳情報挿入及び分離回路とその情報発生方法
KR0155693B1 (ko) 자막정보 기록 및 재생장치와 그 방법
US4706134A (en) Playback unit for still pictures with sound
JP200232020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とその制御方法
EP0631437A2 (en) System for recording teletext data
US5585928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 frequency down-cinverted luminance signal into the vertical retrace line interval of a recording signal
US5729247A (en) Screen display device
JP346422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におけるビデオ信号への制御機能の同期化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7110660B2 (en) Video apparatus process for a video apparatus and video recorder
JP2599436B2 (ja) 画像拡大表示方法および装置
EP1261214A2 (en) Method and circuit for video signal correction
JPH03132182A (ja) 映像信号再生システム
JPH08242434A (ja) データエンコード装置、それを具備する記録再生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muse−ntsc変換装置
JPH09307852A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及びコピー防止方法
JPH03293878A (ja) ビデオディスク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