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426B1 -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 Google Patents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426B1
KR0155426B1 KR1019950048198A KR19950048198A KR0155426B1 KR 0155426 B1 KR0155426 B1 KR 0155426B1 KR 1019950048198 A KR1019950048198 A KR 1019950048198A KR 19950048198 A KR19950048198 A KR 19950048198A KR 0155426 B1 KR0155426 B1 KR 0155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kelp
alginic acid
powd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002A (ko
Inventor
곽성학
Original Assignee
곽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학 filed Critical 곽성학
Priority to KR1019950048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426B1/ko
Publication of KR970043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for specific us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갈색조류 특히, 다시마의 분말을 포함한 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근해에서 다량 채집되고 있는 다시마는 영양물질인 요오드와 알긴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알긴산은 증점성, 보호콜로이드싱(유화성, 침전방지작용), 피막형성성, 응교성등 우수한 친유성을 갖기 때문에 이를 화장비누 소지에 함께 혼합하여 비누를 조성할 때 다시마의 영양물질이 포함된 비누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비누와 함께 용해되어 피부속으로 침투되는 알긴산, 요오드에 의해 피하지방 용해 배출되는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통상의 비누공정중 건조시킨 다시마를 100-1000 매쉬로 곱게 분쇄한 분말을 20-30 중량부로 혼합하여 화장비누를 조성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본 발명은 갈색조류 특히 다시마의 분말을 첨가시킨 화장비누에 관한 것으로, 세안 또는 목욕시 비누에 포함된 다시마 분말이 비누와 함께 용해되어 다시마에 포함된 영양물질이 피부로 침투되어 피부미용을 증진시켜 주며, 또한, 다시마에 요오드가 피하지방을 용해시켜 밖으로 배출시켜주므로 탁월한 효과를 갖도록 한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화장비누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지된 비누조성물에 관한 국내 특허 문헌중 본 발명과 유사한 것으로, 해조류가 첨가(한국 공개특허공보 86-4628)된 특허문헌이 있는 바, 이는 해조류 분말 외에 알로에 생즙 및 흰반점이 있는 장석, 석영, 반암의 분말등이 혼합된 것이므로, 통상의 비누조성물에 다시마 분말만 섞은 본 발명과는 그 제조방법이 다른 것이며, 또한, 미역이 첨가 (한국공개특허공보 91-4793)된 특허문헌도 있으나, 이도 미역추출물외에 인삼잎추출물, 알로에추출물, 천연 향료등 여러 가지 추출물이 혼합된 것이므로 본 발명과는 그 제조방법이 다른 것이다.
한편, 이외에도 특허공고번호 제93-3760호 비누조성물을 볼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비누 제조공정 중에 바이오 세라믹스와 후라보노이드를 일정량 첨가하여 체취와 세탁물의 악취에 대한 탈취 및 소취 효과를 갖도록 한 화장비누에 관한 것임을 볼 수 있으며, 또다른 공지된 비누조성물에 관한 국내 특허 문헌으로는 특허공고번호 제91-1922호 비누조성물을 볼 수 있다.
이는 통상의 비누 제조공정 중에 살구씨 기름과 비타민 E 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첨가한 것으로, 피부의 청결력 증진 및 미용효과를 증진토록한 비누에 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외에 공지된 비누조성물에 관한 특허 문헌으로는 특허공고 제92-2116호 비누조성물, 특허공고 제90-4557호 비누로캡슐화한표백제입자, 특허공고 제 89-2378호 비누의 제조방법등을 볼 수 있다.
이와같은 종래 공지된 비누에 대한 특허문헌은 모두 비누의 효능인 세척력, 탈취력, 탈지력, 피부보호, 피부청결등을 주안점으로 개발되어 온 것을 볼 수 있으며, 또한, 이들 모두의 공지된 특허 문헌에 의한 비누 또는 이에 대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을 살펴볼 때, 통상의 비누 제조공정에 특정성분을 갖는 물질을 1-3 가지 첨가하여 비누의 통상적인 용도 이외에 별도의 효능을 갖도록 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도 역시 통상의 비누(화장비누, 미용비누)의 제조 공정에 있어 충분히 건조된 다시마의 분말을 일정량 투여하여 다시마가 갖는 특유의 화학성질(알긴산, 요오드) 및 영양물질이 비누와 함께 용해되어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비누와 함께 용해될 때 피부에 지방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피하지방을 용해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상의 비누원료 및 비누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비누(미용비누, 화장비누등등)는 알카리 금속비누로 야자유, 당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탐핵유등의 식물성유지와 우지, 돈지, 양지, 어유등 동물성 유지로부터 얻어진 지방산과 나트륨 또는 칼륨을 단독으로 아니면 혼합한 알카리 금속염을 함께 혼합 중화시켜서 비누를 제조한다. 상기 동, 식물성 유지 및 알카리 금속염을 보통 화장비누 소지라 통칭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화장비누 소지 60-70 중량부와 다시마 분말 20-40 중량부 및 향료, 염료 1-3 중량부 및 기타 첨가제 5중량부를 갖도록 한 것이다.
즉, 혼합반죽기에 수분이 8-20 중량부 포함된 화장비누 소지 60-70 중량부와 다시마 분말 20-40 중량부 및 기타첨가제 (향료, 염료, 산화티탄) 2-5 중량부를 혼합하면서 진공 탈수공정을 거쳐 통상적인 방법으로 압출성형 제조토록 한다.
상기에 있어 본 발명은 서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갈색조류중 다시마만 사용한 것이나, 넓게 갈색조류가 갖는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갈색조류 즉, 갈조류(Phaeophyta)의 대표적인 해초는 다시마(Laminaria), 모자반류(Sargassum), 미역(Undaria), 김태류(Ecklonia)등이 있다.
이와 같은 갈색조류는 특히 알긴산(Alginic Acid)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해초로 본 발명 이전에도 산업 각 분야에 다양하게 이용되어 왔다.
알긴산(Alginic Acid)은 다시마, 감태, 미역, 모자반과 같은 갈조류에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으며, 산성점질 다당류로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알긴산은 수용성 염류이며, 고분자 다당류인 동시에 친수성 물질이므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게 된다.
1) 중점성 2) 보호콜로이드성(유화성, 침전방지작용) 3) 포말안정성 4) 보형성 5) 피막형성성 6) 이장방지작용 7) 응교성 8) 결정석출 방지작용 9) 응집침강촉진작용 등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갈조류에서 추출된 알긴산은 아이스크림의 안정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저장물질의 빙결정성의 성장 방지제로 사용되며, Ca와의 반응에 의한 보형성제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알긴산은 유화성 및 친유기성를 가지고 있으므로 콜로이드 용액에 대한 안전성과 계면활성제적인 유화성을 가지며, 뛰어난 유화안전성을 지니게 된다.
우리나라 연안에서 자생하는 길조류 중의 알긴산 함유량은 다음 표와 같다.
본 발명은 상기표와 같은 갈색조류중 다시마를 채집과 동시에 청결하게 씻어 흙, 모래 및 바닷물속에 포함된 염분등을 제거한 후, 자연건조로 잘 말린다.
(열풍건조는 영양물질의 파괴로 바람직하지 않다.) 충분히 건조되어야만 분쇄시 서로 달라 붙지 않고, 미세한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분쇄시 분쇄정도는 100-1000 매쉬 정도로 아주 곱게 분쇄한다.
다시마 분말을 화장비누 소지와 혼합하여 비누를 제조할 때 다시마 성분이 녹아 없어지지 않고, 화장비누 소지와 함께 혼합되어야 하므로 미세하지 않고, 굵게 분쇄되면 피부에 거친 감촉을 유발하게 되며, 쉽게 비누와 함께 용해되지 않아 기대하는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통상 비누를 제조할 때 화장비누 소지에 포함된 8-20 중량부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탈수제, 경화제를 투여하게 되나, 상기 탈수제나 경화제는 피부에 자극을 가해 바람직한 첨가물은 아니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비누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경화제나 탈수제등의 화학물질의 투여없이 굳은 비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다시마 분말은 이를 완전히 건조시킬 때 그 부피가 약 50-80% 이상 축소되기 때문에 이를 화장비누 소지와 함께 혼합하여 비누를 조성할 경우 다시마 분말은 화장비누 소지중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고, 팽창되기 때문에 비누중의 수분을 제거하고 팽창되는 힘으로 비누를 가압하여 견고한 비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 비누에서와 같이 탈수제 및 경화제의 투여없이 단단한 비누를 얻을 수 있게 되며 특히, 다시마에 포함된 요오드는 알긴산과 함께 비누에 용해되어 피부를 보호함은 물론 피부속으로 침투되어 피하지방을 용해 배출시키므로 체중감량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비누를 얻을 수 있게 있다.

Claims (1)

  1. 통상의 비누조성물에 있어서, 매쉬 100-1000 정도의 다시마 분말이 20-30 중량부를 포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KR1019950048198A 1995-12-11 1995-12-11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KR0155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198A KR0155426B1 (ko) 1995-12-11 1995-12-11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8198A KR0155426B1 (ko) 1995-12-11 1995-12-11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002A KR970043002A (ko) 1997-07-26
KR0155426B1 true KR0155426B1 (ko) 1998-11-16

Family

ID=1943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198A KR0155426B1 (ko) 1995-12-11 1995-12-11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4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996B1 (ko) * 2000-08-23 2002-11-07 벤트리 주식회사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WO2011062441A2 (ko) * 2009-11-19 2011-05-26 주식회사 해조나라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98B1 (ko) * 2014-11-21 2016-10-10 한장호 다시마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996B1 (ko) * 2000-08-23 2002-11-07 벤트리 주식회사 감태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WO2011062441A2 (ko) * 2009-11-19 2011-05-26 주식회사 해조나라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WO2011062441A3 (ko) * 2009-11-19 2011-11-03 주식회사 해조나라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002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4164C2 (ru) Абразивное средство на основе натурального сырья с улучшенными реологическими свойствами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TW201701863A (zh) 組合物
WO1999052500A1 (de) Mild abrasive hautreinigungsmittel
CN105219569A (zh) 一种绿色安全粉状果蔬餐具洗涤剂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R3098401A1 (fr) Nettoyant cosmétique solide
KR0155426B1 (ko)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HU216060B (hu) Javított darabos szappan
JPH11188253A (ja) 乳化用組成物および乳化物
KR20140130830A (ko) 천연물을 포함하는 세정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05438A (ko) 다시마 분말이 첨가된 화장비누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CN103820250A (zh) 皂角灵芝护肤皂及其制作方法
KR101279571B1 (ko) 피부의 수분 유지력을 높이는 비누 조성물
KR20130037855A (ko) 이탄과 모링가를 함유한 세정제 조성물
KR100222129B1 (ko) 현미를 함유하는 미용비누
KR102033372B1 (ko) 미역귀를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61068B1 (ko) 인디루빈을 함유한 샴푸바 및 그 제조방법
KR102110269B1 (ko)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워시-오프 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87344B1 (ko) 천연 원료를 이용한 물비누
KR102201395B1 (ko)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JP2004123665A (ja) 化粧料およびその添加物
KR100451395B1 (ko) 게르마늄이 함유된 곤달비를 포함하는 기능성 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691966A (zh) 一种含薯莨提取物的卸妆油及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