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987B1 -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987B1
KR0154987B1 KR1019910021056A KR910021056A KR0154987B1 KR 0154987 B1 KR0154987 B1 KR 0154987B1 KR 1019910021056 A KR1019910021056 A KR 1019910021056A KR 910021056 A KR910021056 A KR 910021056A KR 0154987 B1 KR0154987 B1 KR 0154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resin
inorganic pigment
titanium dioxide
pi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4892A (ko
Inventor
데이비드 스트라멜 로드니
Original Assignee
죠오지 알. 헤니갠
케르-맥기 케미칼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죠오지 알. 헤니갠, 케르-맥기 케미칼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죠오지 알. 헤니갠
Publication of KR920014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4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10Treatment with 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36Compounds of titanium
    • C09C1/3607Titanium dioxide
    • C09C1/3669Treatment with low-molecula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3/00Treatment in general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C09C3/08Treatment with low-molecular-weight non-polymer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80Particles consisting of a mixture of two or more inorganic ph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igments, Carbon Blacks, Or Wood Stai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조성물 및 안료 조성물의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안료 조성물은 안료 위에 침착되어 있는 유기포스페이트 에스테르 처리제를 갖는 무기안료(예: 이산화티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중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눈 물질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에 사용하기 적당한 화학 처리된 무기 안료(pigments)에 관한 것이며, 가장 구체적으로는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로 처리한 이산화티탄 안료에 관한 것이다.
각종 열가소성 수지에 자외선 안정제, 착색제, 유백제 등으로서 무기안료(예: 이산화티탄 안료)를 사용하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상기 무기 안료의 친수성 및 열가소성 수지의 소수성으로 인해, 특히 안료를 다량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수지 중에서의 안료의 혼화성 및 분산성이 상당히 요구된다는 점도 공지되어 있다.
안료를 화학적으로 표면 처리하면, 열가소성 수지중에서의 무기 안료의 혼화성 및 분산성이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는 점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 4,209,430 호에는 무기 안료(예: 이산화티탄 안료)를 가인산화 폴리엔, 즉 포스포릴리가 올레핀의 불포화 결합부에 첨가된 C10이상의 지방족 다중 불포화 화합물로 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렇게 처리한 안료는 우수한 안료 특성뿐 아니라 우수한 분산 균일성을 가지며, 이렇게 처리된 안료가 첨가되는 열가소성 폴리올레핀을 황색화시키는 경향도 감소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무기 안료, 구체적으로 이산화티탄이 각종 중합체 조성물을 황색화시키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방법 또는 처리법의 또 다른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4,357,170 호 및 제 4,377,417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특허에 따르면, 유기인산염/알칸올아민의 첨가 생성물과 폴리올의 혼합물로 구성되거나, 또는 유기 인산염/알칸올아민의 첨가 생성물만으로 구성된 첨가제 시스템을 이산화티탄 안료에 첨가하면, 이산화티탄 안료가 중합체 조성물을 황색화시키는 경향이 감소한다. 상기 첨가 생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유기인산염 물질로는 미합중국 특허 제 3,380,927 호에 개시된 유기 인산염 물질이 있다. 이들 물질은 C6-C16의 지방족 알코올, 및 산화 에틸렌과 반응성 수소-포함 유기 화합물의 비이온성 첨가 생성물의 오르토 인산염 또는 폴리 인산염 코에스테르(coester)를 포함한다. 상기 첨가 생성물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로는 알킬화 페놀, C6-C25의 지방족 알코올,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등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357,170 호나 제 4,377,417 호에는 처리된 안료를 중합체 조성물에 사용했을 때 그러한 처리에 의해 제공되는, 처리된 안료의 분산성과 관련된 잇점을 언급하고 있지 않다.
무기 충전제 또는 안료를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로 처리하는 부가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4,183,843 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는 이산화티탄을 비롯한 무기 충전제 또는 안료를 산과 극성 에스테르기를 모두 포함하는 극성 인산염 에스테르 계면활성제로 표면 처리하는 방법을 교시하고 있다. 이렇게 처리된 충전제 또는 안료는, 분무가능한 경화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합하면, 점도가 저하된 충전제 또는 안료/폴리에스테르 분산액이 생성된다. 처리제의 정확한 성질 또는 구조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코팅 물질의 예로서 수록되어 있는 Triton QS-44(롬 앤드 하스의 제품)와 같은 물질은 조성물, 즉 옥틸페녹시에톡시에틸 인산염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들 중 어느 것에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중합체 농축물 또는 처리된 유기 안료는 거론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안료가 제공된다. 개선된 무기 안료, 바람직하게는 이산화티탄 안료에는 하기 일반식에 해당하는 하나 이상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가 증착되어 있다. :
[RO(R'O)x]3PO
상기 식중, R은 약 C1- 약 C6의 1가 저급 알킬기이고; R'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가 탄화수소기이며; x는 약 1 내지 약 15의 수이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수지는 연속상으로,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된 무기 안료는 분산상으로서 포함하는 착색된 중합체 농축물에 관한 것이다.
후술되는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로 처리되어 본 발명의 개질된 무기 안료를 제공할 수 있는 무기 안료는 표면 코팅(예: 페인트) 및 플라스틱 산업에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되는 백색 또는 유색의 불투명하거나 투명한 입상 무기 안료(또는 광물함유의 안료)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용어 무기 안료는 본래 입상이면서 사용시 비휘발성이며, 불활성제, 충전제, 증량제, 강화 안료등으로서 통칭되는 물질을 정의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본원에서와 같이 처리하면 본 발명의 개질된 무기 안료를 제공할 수 있는 무기 안료의 대표적인 예로는 백색의 유백화 안료(예: 이산화티탄, 염기성 탄산 백납, 염기성 황산 백납, 염기성 규산 백납, 황화아연, 산화아연, 리토폰(황화아연과 황산바륨의 복합 안료), 산화안티몬 등, 백색 증량안료(예; 탄산칼슘, 황산칼슘, 백토 및 카올린 점토), 운모, 규조토 및 유색 안료(예: 산화철, 산화납, 황화 카드뮴, 셀렌화 카드뮴, 크롬산납, 크롬산 아연, 티탄산 니켈, 산화크롬 등)가 있으나, 이에 따라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질된 무기 안료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모든 무기 안료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안료는 이산화티탄 안료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개질된 안료를 제조하는데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이산화티탄 안료는 아나타제(anatase) 또는 루틸(rutile) 결정 구조, 또는 이 두 구조의 복합구조일 수 있다. 이 안료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각종 공지된 상업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는 한편, 이 방법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특정 안료는 잘 공지된 황산염법 또는 널리 공지된 증기상 산화법에 의해 제조된 안료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황산염법은, 티탄철(I) 광석을 황산으로 용출시켜 황산티탄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이 황산티탄을 가수분해시켜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이 이산화티탄 침전물을 적당한 첨가제의 존재하에 하소시켜 하소된 최종 이산화티탄 생성물에 원하는 결정구조를 형성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증기상 산화법은 할로겐화 티탄(예: 사염화티탄)을 고온에서 증기상으로 산화시켜 통상적으로 생(raw) 이산화티탄으로 통칭되는 이산화티탄을 생성시킨다. 이어서, 이 발열성 생 이산화티탄의 생성물을 회수하고, 분쇄시켜 분류한 후, 안료상에 각종 함수성 금속 산화물 코팅를 침착시킨 뒤 최종적으로 분쇄시킴으로써 원하는 입자크기의 안료를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최종 분쇄 단계에서는 유체 에너지 분쇄법들을 사용할 것이다. 이들 기법들은, 공기 또는 증기와 같은 분쇄 유체의 분사에 의해 생성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체 스트림을 사용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 2,032,827 호와 제 2,219,011 호에 기재되어 있는 유체 에너지 분쇄기와 같은 분쇄장치에 안료를 통과시켜 개개의 안료 입자들을 충돌시킴에 따라 입자의 크기를 감소시킨다. 유체 에너지 분쇄 과정 동안 각종 첨가제를 안료에 첨가하여 미합중국 특허 제 3,531,310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같이 안료의 분쇄도를 향상시키거나,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52,340 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쇄된 안료의 특정한 화학적, 물질적 및 광학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한 첨가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올(예: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등), 지방산(예: 올레산, 스테아르산 등), 트리알칸올아민(예: 트리에탄올아민 등) 및 아민염(예: 트리에탄올아민 멜로네이트, 트리이소프로판올 아민 숙시네이트 등)이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첨가제의 사용량은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량은, 사용된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한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첨가제를 이산화티탄 안료의 분쇄를 돕기 위해 사용한 경우에는,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5 내지 약 5.0 중량% 이다. 안료의 화학적, 물리적 또는 광학적 특성들 중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변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첨가제의 양은,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약 3.0 중량% 이다.
상술한 첨가제와 유사하게, 본 발명의 개선된 이산화티탄 안료 및 기타 무기 안료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는 유체 에너지 분쇄 과정 동안에 상기 안료상에 쉽게 침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과 기타 무기 안료를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로 처리하는 다른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한 다른 방법들로는, 예를 들어 처리제를 분사 방식으로 안료에 분무하는 방법, 또는 그렇지 않으면 건조 안료와 처리제를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따라서, V-혼합기의 증감기 바아를 통해 상기 안료에 처리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상기 처리제를 안료가 수용된 스크류 컨베이어 또는 패들 믹서내로 분무함으로써 안료에 처리제를 도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열가소성 수지중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한 무기 안료를 제공하는데 유용한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로는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류가 있다.
[RO(R'O)x]3PO
상기 식중, R은(C1-C6)의 1가 알킬기, 바람직하게는(C2-C4)의 1가 알킬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4개의 탄소원자를 가진 1가 알킬기이고 ; R'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가의 탄화수소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이며; x는 약 1 내지 약 15,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5,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인 정수이다. 상기 식중 1가의 알킬기 R은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기의 대표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부틸, n-펜틸, 이소펜틸, n-헥실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개선된 무기 안료를 제조하는데 유용한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리(메톡시에틸) 인산염, 트리(부톡시에틸) 인산염, 트리(이소부톡시에틸) 인산염, 트리(헥속시 에틸) 인산염, 트리(에톡시폴리에톡시에틸) 인산염, 트리(에톡시폴리프로폭시프로필) 인산염 등이 있다.
상술한 무기 안료 및 특히 이산화티탄 안료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또는 트리에스테르)의 양은, 처리 이전의 안료에 비해, 열가소성 수지내에서의 안료의 분산성이 큰 처리된 안료를 제공하기에 충분한 양이면 될 것이다. 대체로,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또는 트리에스테르) 처리제의 사용량은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5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0.3 내지 약 1.2 중량% 이다.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된 무기 안료를 사용하면 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용이하면서도 균일하게 착색시킬 수 있다. 이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방향족) 수지, 폴리(비닐할라이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과 같은 널리 공지된 열가소성 수지류가 있다. 각종 열가소성 수지류의 대표적인 예로는 폴리올레핀 수지(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아크릴 수지(예: 폴리(아크릴산), 폴리(메타크릴산),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등); 폴리에스테르 수지(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아미드 수지(예: 나일론-6 및 나일론-6,6 등); 에폭시수지(예: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 A 등) 및 이의 에스테르(예, 지방산, 수지산, 토올유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한 폴리(에피클로로히드린/ 비스페놀 A)의 에스테르화에 의해 제조된 에스테르); 페놀 수지(예: 포름알데히드와 페놀, 레졸시놀, 크레졸, p-페닐페놀 등과의 반응에 의해 유도된 수지); 폴리(비닐방향족) 수지(예: 폴리스티렌) 및 이들의 공중합체(예: 폴리(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폴리(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등), 폴리(비닐 할라이드) 수지(예: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등);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예: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비스페놀 A (즉, 4,4'-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 등과 같은 디히드록시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단량체를 포스겐화시키거나 염기 촉매하게 디페닐 카르보네이트를 이용하여 비스페놀 A를 트랜스 에스테르화시켜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시킴으로써 수득되는 수지); 및 글리콜 또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 에테르와 같은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히드록시 화합물을 이작용성 또는 다작용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되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있다.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에 직접 첨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처리된 무기 안료의 양은 상기 수지의 궁극적인 용도에 따라 광범위하게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박막(薄漠)인 경우에는 종종 매우 높은 함량의 안료가 필요한 반면; 후막(厚漠)인 경우에는 아주 소량만이 요구된다. 따라서, 처리된 안료의 사용량은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적게는 약 1중량%에서 많게는 약 80중량%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로 처리된 무기 안료는 분산된 안료 농축액의 제조시 특히 유용하다. 대체로, 상기 분산된 안료 농축액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연속상 및 본 발명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된 무기 안료로 구성된 분산상을 포함한다. 상기 연속상은 폴리올레핀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페놀 수지, 폴리(비닐방향족) 수지, 폴리(비닐할라이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등을 비롯한 전술한 열가소성 수지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산된 안료 농축물의 제조시, 열가소성 수지 연속상에 포함된 안료의 양은 매우 광범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 안료의 함량은 전색제(展色濟)로서 이들 분산 안료 농축물을 사용했을 때 최종제품 또는 완성 제품에 요구되는 착색도, 및 최종제품 또는 완성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중에 분산된 안료 농축물을 용해시키거나, 그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또는 희석시키는데 사용된 처리 시설의 효율에 다라 달라질 것이다. 대체로, 본 발명의 분산된 안료 농축물은 처리된 무기 안료 및 이를 분산시킨 열가소성 수지를 약 0.5:1 내지 5: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범위내에서는, 본 발명의 처리된 무기 안료가, 생성된 분산안료 농축물의 연속상으로서 사용된 열가소성 수지 전체에 용이하면서도 균일하게 분산되거나 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분산된 안료 농축물의 제조에 유용한 방법 또는 장치는 공지되어 있으며, 이들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지는 않는다. 이러한 공지된 방법은 통상적으로 가소성이 높은 점성 물질을 다룰 수 있는 장치를 사용하는 혼합 및/또는 배합기법을 이용한다. 혼합 및/또는 배합기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장치로는 밴버리 믹서기, 단일 기능 및 다기능 분쇄기등과 같은 각종 혼합형 분산기가 있다. 혼합기법 및/또는 배합기법과, 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커크-오트머의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2판, 15권, pp 592-596]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태양을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간 입자 크기가 약 0.33㎛ 인, 루틸 이산화티탄 제품(미합중국, 오클라호마주, 오클라호마시에 소재하는 케르-맥기 코오포레이션의 제품; 상품명 CR-834)을 본 발명에 따라 처리했다. 즉, 먼저 이산화티탄 입자를 미세분말 또는 분무 물질 형태의 트리(부톡시에틸) 인산염(안료에 대해 약 1중량%의 농도)으로 건식처리했다. 특히, 트리(부톡시에틸) 인산염을 증압기 바아를 통해 첨가하는 V형 혼합기에서 이산화티탄과 트리(부톡시에틸) 인산염을 혼합했다.
이어서, 처리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을, 미처리된 이산화티탄과 비교 측정했다. 즉, 폴리스티렌 수지(다우 케미칼 컴패니에서 상표명 STYRON# 615로 시판) 36.50g, 아연 스테아레이트(윤활제) 0.31g 및 상기 처리된 이산화티탄 109.50g을 브라벤더 플라스티코오더(Plasticorder)의 혼합용기에 넣었다. 상기 용기의 온도는 40℃, 블레이드의 속도는 150rpm으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토크(torque)와 온도를 시간에 대해 기록했다. 처리된 이산화티탄과 미처리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을 비교하기 위해, 미처리된 이산화티탄을 함께 사용하여 상기 절차를 반복 수행하였다. 이들 테스트의 결과는 하기 표 1에 제시한다.
미처리된 이산화티탄에 비해 처리된 이산화티탄의 토크와 온도가 낮다는 것은, 처리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이 미처리된 이산화티탄보다 크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실시예 2]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을 미처리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과 비교하는 대신에, 본 발명의 처리된 본문에 참고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4,209,430 호(1980년 6월 24일)에 개시된 종류의 가인산화 폴리엔 처리제, 즉 Sylvakote k(이는 실바킴 코오포레이션의 상표명임) 안료 분산제 1중량%(안료기준)로 처리한 케르-맥기사의 CR-834 루틸 이산화티탄과 비교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했다. 이 비교 결과는 하기 표 2에 제시한다.
표 2에서는, 본 발명의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가 보다 낮은 토크와 온도를 보이므로 가인산화된 폴리올레핀 처리제로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에 비해 분산성이 더 큼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를, 본문에 참고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 4,183,843 호(1980년 1월 15일)에 개시된 각종 피복 물질(안료에 대해 1중량%)로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와 비교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였으며, 이 시험결과는 하기 표 3에 제시한다.
표 3의 데이타는 극성 인산염 에스테르로 처리된 안료에 비해 본 발명의 안료가 보다 낮은 토크과 온도를 보임에 따라, 분산성이 보다 크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기재된 이산화티탄올, 플루이드 에너지 프로세싱 앤드 이큅먼트 컴패니에서 제조한 Jet'O밀에서 트리(부톡시에틸) 인산염(안료에 대해 1중량%)으로 처리했다. 처리된 이산화티탄과 미처리된 이산화티탄의 분산성은 실시예 1에 기재되어 있는 대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제시한다.
[실시예 5]
이산화티탄 안료(케르-맥기 컴패니 제공; CR-834)에 있어서, 처리된 샘플과 미처리된 샘플의 분산성을 시험했다. 밴버리 믹서기에 105 파운드의 STYRON # 615(다우 케미탈 컴패니 제공) 폴리스티렌, 5파운드의 통상적인 처리 보조제 및 200 파운드의 이산화티탄 샘플을 충전시켰다. 혼합 과정 동안의 배치 온도는 압출시 혼합물질의 용융 유소과 같이 측정했다.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와 미처리된 안료를 시험하여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제시하였다.
표 5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된 이산화티탄이 최저의 배치 혼합온도와 최고의 용융유속을 보임에 따라 분산성이 가장 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고 상술된 목적과 장점을 수득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현재 제조된 본 발명의 실시 태양을 본문에 기재하긴 했으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처리된 안료 및 농축물은 변경 및 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14)

  1. 일반식 [RO(R'O)x]3PO(식중, R은 약 C1내지 약 C6의 1가 저급 알킬기이고, R'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가의 탄화수소기 이며, x는 약 1 내지 약 15의 수임)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가 침착된 무기 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는 상기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중량% 이상의 양으로 상기 안료위에 침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 수지중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안료가 이산화티탄 안료를 포함하는 안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안료위에 침착된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의 양이 약 0.1 내지 약 5중량%인 안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의 R이 약 2 내지 약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저급 알킬기이고, R'는 2가의 에틸렌기이며, x는 약 1 내지 약 5의 수인 안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의 R이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알킬기이고, x는 1인 안료 조성물.
  6. 연속상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고, 분산상으로서 무기 안료를 포함하는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로서, 상기 안료는 일반식 [RO(R'O)x]3PO (식중, R은 1 내지 약 6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저급알킬기 이고, R'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기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2가의 탄화수소기 이며, x는 약 1 내지 약 15의 수임)의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가 그 위에 침착되어 있으며,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는 상기 안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1% 중량 이상의 양으로 상기 안료 위에 침착되어 있는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열가소성 동종 중합체 수지 또는 공중합체 수지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동종 중합체 수지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비닐 수지, 폴리아크릴 수지, 페놀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나일론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페녹시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되는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동종 중합체 수지 또는 공중합체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 비닐 수지를 포함하는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안료가 이산화티탄 안료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물 내의 상기 처리된 이산화티탄 안료 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중량비가 약 0.5:1 내지 5:1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위에 침착된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의 양이 약 0.1 내지 약 5중량%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인산염 에스테르 처리제의 상기 일반식에서 R이 약 2 내지 약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알킬기들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가의 알킬기이고, R'는 2가의 에틸렌기이며, x는 약 1 내지 약 5의 수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의 R이 4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1가의 알킬기이고, x는 1인 분산된 무기 안료 농축물.
KR1019910021056A 1991-01-25 1991-11-25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KR0154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697091A 1991-01-25 1991-01-25
US07/646,970 1991-01-25
US7/646,970 1991-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4892A KR920014892A (ko) 1992-08-25
KR0154987B1 true KR0154987B1 (ko) 1998-11-16

Family

ID=24595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056A KR0154987B1 (ko) 1991-01-25 1991-11-25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496150B1 (ko)
JP (1) JP2636598B2 (ko)
KR (1) KR0154987B1 (ko)
CN (1) CN1063496A (ko)
AU (1) AU645596B2 (ko)
CA (1) CA2050521C (ko)
DE (1) DE69103131T2 (ko)
ES (1) ES2036492B1 (ko)
FI (1) FI106724B (ko)
GE (1) GEP19981038B (ko)
LT (1) LT3954B (ko)
LV (1) LV11040B (ko)
MD (1) MD940245A (ko)
MX (1) MX9101164A (ko)
MY (1) MY109776A (ko)
RU (1) RU2092508C1 (ko)
ZA (1) ZA91685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592A (en) * 1991-08-09 1997-07-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Surface-coated particulate additives for polymers
US5369160A (en) * 1992-09-24 1994-11-29 Basf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amide with reduced flammability
BR9406056A (pt) * 1993-04-05 1995-12-26 Du Pont Processo para a preparação de aminas aromáticas substituídas
EP0707051B1 (en) * 1994-10-14 2001-05-16 Tioxide Group Services Limited Inorganic particles coated with an alkylphosphonic acid or an ester thereof,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FR2729964B1 (fr) * 1995-01-31 2003-02-28 Omya Sa Charges minerales traitees. suspensions de ces charges dans des polyols et leurs utilisations dans les mousses polyurethannes
JPH10298450A (ja) * 1997-02-25 1998-11-10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顔料組成物
FR2780409B1 (fr) * 1998-06-30 2001-07-13 Omya Sa Procede pour traiter une charge minerale par un phosphate, charge minerale ainsi traitee, mousses de polyurethanne et polyurethannes composites utilisant cette charge, objets moules ou non les contenant
PT1160278E (pt) * 2000-05-29 2007-11-23 Grace Gmbh & Co Kg ''agentes anti-aderência com dispersividade melhorada em películas de poliolefina e métodos para a sua produção e utilização''
JP3915554B2 (ja) 2001-03-14 2007-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白色インクおよびそれに用いる二酸化チタンスラリー
KR100488854B1 (ko) * 2002-06-14 2005-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수성의 멀티컬러 안료입자와 이를 포함하는 수용성 도료조성물
FR2843121B3 (fr) * 2002-08-02 2004-09-10 Rhodia Chimie Sa Agent ignifugeant, procede de preparation et l'utilisation de cet agent
WO2018000295A1 (en) * 2016-06-30 2018-01-0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hosphonate modified metal oxide p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2827A (en) 1933-11-21 1936-03-03 Internat Pulverizing Corp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aterial in finely divided form
US2219011A (en) 1936-06-20 1940-10-22 Materials Reduction Company In Apparatus for grinding
US3380927A (en) 1963-10-03 1968-04-30 Dexter Chemical Corp Broad spectrum surface active ag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DE1519544A1 (de) * 1964-07-23 1970-04-30 Bayer Ag Leicht dispergierbare pulverige Substanzen
GB1169352A (en) * 1965-10-13 1969-11-05 Laporte Titanium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Treatment of Pigments
FR1511082A (fr) 1966-12-15 1968-01-26 Peugeot Nouvel agencement de l'arbre à cames sur un moteur thermique ou compresseur et machine en résultant
US3531310A (en) 1967-05-29 1970-09-29 Ppg Industries Inc Production of improved metal oxide pigment
US3556828A (en) * 1968-01-22 1971-01-19 Laporte Titanium Ltd Process for treating titanium dioxide pigments
GB1327833A (en) * 1971-04-28 1973-08-22 British Titan Ltd Pigments
US4183743A (en) * 1975-11-20 1980-01-15 Ishihara Sangyo Kaisha Ltd. Novel herbicidally active, nuclear-substituted phenoxy-phenoxy-alkanecarboxylic acid derivatives and use thereof for controlling grass-like weeds
US4183843A (en) 1978-09-20 1980-01-15 Aluminum Company Of America Phosphate ester coating on inorganic fillers for polyester resins
US4209430A (en) * 1978-11-24 1980-06-24 Scm Corporation Treatment of inorganic pigments
JPS608057B2 (ja) * 1979-05-28 1985-02-28 旭化成株式会社 水分散性金属粉組成物
US4377417A (en) * 1981-07-30 1983-03-22 Gulf & Western Industries, Inc. Titanium dioxide pigment treated to suppress yellowing in polymers
CH661741A5 (en) * 1984-01-31 1987-08-14 Inventa Ag Process for preparing non-reagglomerating pigments and use thereof as delustrants for fibres and yarns made of synthetic organic polymers
US4704165A (en) * 1985-05-21 1987-11-03 Dainichiseika Color & Chemicals Mfg. Co., Ltd. Pigment composition
JPH0713205B2 (ja) * 1986-01-10 1995-02-15 大日精化工業株式会社 顔料のフラッシング方法
US4752340A (en) 1987-01-27 1988-06-21 Kerr-Mcgee Chemical Corporation Titanium dioxide pigments
US4798856A (en) * 1987-11-06 1989-01-17 Columbian Chemicals Co. Pigment dispersion in resin
GB2228274B (en) * 1989-01-12 1992-01-02 Sandoz Ltd Surface active compositions their production and use
JP2641993B2 (ja) 1991-02-05 1997-08-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窒化珪素系複合焼結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277566A (ja) 1992-10-02
RU2092508C1 (ru) 1997-10-10
ES2036492B1 (es) 1994-03-01
LTIP1616A (en) 1995-07-25
FI920092A (fi) 1992-07-26
AU645596B2 (en) 1994-01-20
EP0496150A3 (en) 1992-10-14
ES2036492A1 (es) 1993-05-16
LT3954B (en) 1996-05-27
DE69103131D1 (de) 1994-09-01
DE69103131T2 (de) 1994-11-03
LV11040A (lv) 1996-02-20
CA2050521A1 (en) 1992-07-26
GEP19981038B (en) 1998-03-26
CN1063496A (zh) 1992-08-12
EP0496150B1 (en) 1994-07-27
FI920092A0 (fi) 1992-01-09
EP0496150A2 (en) 1992-07-29
LV11040B (en) 1996-08-20
JP2636598B2 (ja) 1997-07-30
CA2050521C (en) 2002-04-23
KR920014892A (ko) 1992-08-25
FI106724B (fi) 2001-03-30
MY109776A (en) 1997-06-30
AU8342291A (en) 1992-07-30
MD940245A (ro) 1996-01-31
ZA916851B (en) 1993-03-01
MX9101164A (es) 1992-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625A (en) Pigments for improved dispersibility in thermoplastic resins
AU696389B2 (en) Treatment of pigments for improved dispersibility and concentration in thermoplastic resins
AU696325B2 (en) Pigments with improved dispersibility in thermoplastic resins
KR0154987B1 (ko) 열가소성 수지내에서 개선된 분산성을 갖는 안료
KR101710216B1 (ko) 안료를 불투명화시키는 중합체 캡슐화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U730494B2 (en) Process for preparing an improved low-dusting, free-flowing pigment
US4122062A (en) Alkoxy titanate salts useful as coupling agents
US20030018103A1 (en) Coating with improved hiding, compositions prepared therewith,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8906982B2 (en) Coating with improved hiding compositions prepared therewith,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US3660134A (en) Inorganic materials surface reacted with organo titanium compounds
EP2408848B1 (en) A dispersion,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1692078A1 (de) Desagglomeriertes bariumsulfat
US9902800B2 (en) Polymer, polymer modified titanium dioxide pigment, and method of forming a pigmented paint form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