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986B1 -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 Google Patents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986B1
KR0154986B1 KR1019910011516A KR910011516A KR0154986B1 KR 0154986 B1 KR0154986 B1 KR 0154986B1 KR 1019910011516 A KR1019910011516 A KR 1019910011516A KR 910011516 A KR910011516 A KR 910011516A KR 0154986 B1 KR0154986 B1 KR 0154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ens
circuit board
photographing
fil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095A (ko
Inventor
노리히로 나까이
타쯔야 모치쯔끼
야스히로 야마시나
토시유끼 오구라
타카시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오오니시 미노루
후지샤신필름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니시 미노루, 후지샤신필름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니시 미노루
Publication of KR920003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04Roll-film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9/00Cameras
    • G03B22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2219/04Roll-film cameras
    • G03B2219/045Roll-film cameras adapted for unloading the film in the processing laboratory, e.g. disposable, reusable or recyclable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렌즈가 부착된 필름 유니트의 본체에는 필름 권취기구, 촬영렌즈 및 셧터기구가 형성된다. 미노광 필름과 본체는 걸림돌기와 걸림공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전방커버와 후방커버에 의해 덮혀진다. 본체는 2개의 커버사이에 단단히 보지되므로 2개의 커버가 제거될 때 손상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체에는 X 접점을 이용하여 셧터날과 동기식으로 작동되는 전자 플래쉬 기구가 형성되어있다. 한쌍의 금속판 단자가 연장되어 본체의 차광부 외측에 형성된 지지부재와 지지판에 의해 본체에 제거가능하게 지지된 인쇄 회로기판과 접촉된다.

Description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4도 도시한 렌즈보드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 사용되는 X접점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요부 단면도.
제9도는 종래의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필름 유니트 3 : 필름 하우징
4 : 외장체 5 : 촬영렌즈
9 : 필름 권취노브 10 : 발광부
12 : 셧터기구 13, 14, 70 : 본체
15, 41, 71 : 전방커버 16, 42, 62, 72 : 후방커버
19, 2, 3, 37, 47, 48, 51, 92, 101, 110 : 걸림돌기
21, 25, 44, 52, 53, 93 : 걸림공 28 : 필름 수납실
29 : 필름 권취실 30 : 미노광 필름
32 : 카세트 본체 43 : 전자 플래쉬기구
60 : 사진촬영 기구부 61 : 필름 홀더
63 : 노광부 65, 78 : 차광부
67 : 필름 수납체 77 : 렌즈보드
79 : 셧터날 81 : 인쇄회로기판
82 : 회로 패턴 90 : 지지판
91 : 지지부재 102, 103 : 금속판
본 발명은 사진을 촬영하는 렌즈가 부착된 필름 유니트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분해시에 구성 부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는 종래의 필름에 비해 저렴하며 필름을 파는 곳에서는 손쉽게 구입할 수 있는바, 카메라를 휴대하지 않은 사람이 사진을 찍고 싶을 경우, 새로운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를 구입하여 카메라 없이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출원공개 제64-544호에 기재된 바와같이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를 출원하고 현재 일련의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고 있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필름 유니트는 촬영렌즈(5), 필름 권취기구의 필름 권취 노브(9) 및 셧터기구(12)가 조립된 본체(13)에 국제표준규격 ISO 1007, 1979년에 규정된 카세트인 135 필름을 광밀 수납하고, 전방커버(15)와 후방커버(16)가 본체(13)에 고착된 구조로 되어있다.
후방커버(16)와 전방커버(15)에는 본체(13)에 있는 걸림공(21)과 걸림돌기(19)에 각각 계합되는 걸림돌기(23)와 걸림공(25)이 형성되어 있는바, 걸림돌기(19)가 걸림공(25)에 계합되고, 걸림돌기(23)가 걸림공(21)에 계합됨에 따라 본체(13)는 이들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단단히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13)에는 촬영렌즈(5)의 좌우측에서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이 설치되어 있는데, 필름 수납실(28)에는 미노광 필름(30)을 로울 상태로 감아 수납한다. 따라서, 필름 유니트를 구입한 사용자는 촬영시마다 필름(30)을 필름 권취실(29)에 넣어진 카세트 본체(32)의 스풀(31)에서 1프레임씩 감아서 필름이 완전히 노광 되었을 때 현상 취급점으로 필름 유니트 전체를 가져가서 현상 의뢰하고, 현상소에서는 필름 유니트로부터 노광된 필름(30)이 들어있는 카세트 본체(32)를 꺼내서 종래의 현상처리시스템을 사용하여 현상 및 인화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인화된 사진과 네거티브 필름을 받지만 처리 곤란으로 인해 필름 유니트의 필름 하우징은 되돌려 받지 않는다. 이렇게 현상처리후 필름 하우징은 폐기처분 되지만, 폐기물이 증가하고, 환경오염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현상처리후 필름 하우징을 회수하여 재활용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비추어 전방커버(15)와 후방커버(16)는 필름 유니트의 사용시 먼지가 들어가게 되고, 또한, 필름통의 분해시에 걸림돌기와 걸림공이 파괴되기 때문에 재활용 하기가 곤란하다. 한편, 본체(13)는 전방커버(15)와 후방커버(16)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에 먼지가 끼거나 긁히지 않게 되므로 촬영렌즈(5), 필름 권취기구 및 셧터기구(12)로된 본체(13)를 회수할 경우 높은 효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는 전자 플래쉬 기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있는바, 이 전자 플래쉬 기구는 저렴하게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기 위해서 필름 하우징과 같이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구조는 전자 플래쉬 회로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기판에 발광부를 직접 지지시키고, X 접점 또는 동기스위치를 인쇄 회로기판에 납땜한 것으로서, 여기에서 X 접점은 전자 플래쉬 기구를 작동시켜 필름 하우징에 장착된 셧터 날을 완전히 개방시킬 때 동기되어 섬광을 발생 시키기 위한 것이다. 비록 전자 플래쉬 기구가 현상소에서의 처리후에 필름 하우징과 함께 폐기처분 될지라도, 회수에 의해 재활용 가능하다.
그러나, 전방커버(15)와 후방커버(16)에 계합되는 본체(13)의 걸림돌기(19)와 걸림공(21)은 지구를 사용하여 분해하므로 손상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걸림돌기(19)와 (23)는 걸림공(25)와 (21)에 각각 계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손상된 본체(13)는 새로이 제공된 전방커버와 후방커버에 부착될시 느슨하게 되며 걸림돌기(19)와 걸림공(21)의 변형으로 인해 새로운 필름 유니트의 조립이 어렵게 될 수 있으므로 필름 하우징의 구조를 개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자 플래쉬 기구를 납땜으로 조립할 경우, X 접점을 인쇄 회로기판에 완전하게 납땜하지 못함으로 인해 섬광의 발생이 완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게되는바, 이러한 불완전한 방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납땜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인쇄 회로기판상의 X 접점의 과도한 납땜을 하게되면 필름 하우징을 회수하여 전자 플래쉬 기구를 재활용하기 위해서 전자 플래쉬 기구를 필름통으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름 유니트를 회수한 후 재활용 하고자 하는 구성부품을 손상없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는 필름 권취기구, 촬영렌즈 및 셧터를 구비하며 미노광 필름이 장착되는 본체; 본체의 전방에 위치된 전방커버; 및 전방커버와 계합되어 그 사이에 본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본체뒤에 위치된 후방커버로 구성시켜서 된것인바, 본체는 필름 유니트의 분해시에 전혀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래쉬 기구의 플래쉬 회로기판은 플래쉬기구가 사진 촬영시에 광선을 발생 시키도록 한다. 플래쉬 회로기판에는 한쌍의 접점이 제공되고, 한쌍의 세장형 금속접점판은 사진촬영 기구부에 나란히 배열되는바, 각각의 접점판의 일단부는 셧터기구의 작동시에 온/오프되어지는 X 접점으로 작용하며, 각 접점판의 다른 단부는 단자로서 작용한다. 지지수단은 플래쉬 회로기판이 사진촬영 기구부에 제거 가능하게 삽입될 때 플래쉬 회로기판의 접점을 접점판의 단자에 접촉되도록 플래쉬 회로기판을 지지하므로, 플래쉬 기구는 손상없이 제거되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2)가 도시되어 있는바, 이 유니트는 사진 촬영 기구를 갖는 필름 하우징(3)과, 이 필름 하우징(3)을 수납하는 외장체(4)로 구성된다. 사진은 외장체(4)에 들어 있는 필름 하우징(3)에 수납되어 있다. 외장체(4)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2)가 호감있게 보이도록 되어 있으며, 예컨대 외측 표면이 프린트된 종이상자로 형성된다. 이외장체(4)에 촬영렌즈(5), 피사체측 뷰파인더(6a), 촬영측 뷰파인더(6b)(제2도 참조), 셧터버튼(7), 필름 카운터(8), 필름 권취노브(9) 및 발광램프를 포함하는 발광부(10)를 위한 개구와 플래쉬 스위치(도시하지 않았음)를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밀려 넣어지는 절단부(11)가 형성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2)는 본체(40)와, 이와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커버(41)와, 필름을 넣은후 본체(40) 뒤에 위치되어지는 후방커버(42)로 구성되는데, 이들 본체(40), 전방커버(41) 및 후방커버(42)는 플라스틱으로서 일체로 성형된다. 본체(40)에는 사진을 촬영하는데 필요한 촬영렌즈(5), 필름 카운터(8), 셧터기구(12), 필름 권취기구 및 전자 플래쉬 기구(43)와 같은 것이 제공되어있고, 본체(40)의 전방에는 본체(40)를 전방커버(41)에 대해 위치시키기 위한 구멍(44)이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본체(40)에는 35mm 필름 카세트 본체(32)를 수납하는 필름 권취실(29)과, 네거티브 필름과 같은 미노광 필름(30) 두루마리를 수납하는 필름 수납실(28) 및 필름 권취실(29)과 필름 수납실(28) 사이에 형성된 노광부가 제공된다. 필름 수납실(28)에는 회전스풀(31)이 제공되는데 필름(30)의 두루마리는 회전스풀(31)에 감기게 된다.
미노광 필름(30)은 카세트 본체(32)의 스풀(31)에 부착된 필름 끝부분과 함께 카세트 본체(32)에 들어있게 되는바, 카세트가 본체(40)에 넣어질 경우, 미노광 필름(30)은 카세트 본체(32)로부터 풀려나와 두루마리 형태로 감기게 된다. 후방커버(42)를 전방커버(4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걸림돌기(47, 48)가 후방커버(42)의 상·하측에 형성되어있고, 걸림돌기(48)에 형성된 저면부(49)는 완전히 노광된 후 카세트를 꺼내도록 아래쪽으로 개방가능한 뚜껑의 형상을 하고 있다. 참조번호 35와 36은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에 결합되어 본체(40)를 후방커버(42)에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를 표시한다. 돌출부(35, 36) 주위에는 본체(40)뒤에 형성된 요홈(도시하지 않았음)에 결합되어지는 돌기(37)가 제공되는바, 이 돌기(37)와 요홈은 미로 밀봉을 형성하여 2개의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에 광선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전방커버(41)에는 촬영렌즈(5)가 촬영시야로 노정 되도록 한 개구부(50)가 형성되고, 개구부(50) 주위의 전방커버(41)의 배면에는 본체(40)의 구멍(44)에 결합 되어지는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커버(41)의 상부와 하부에는 후방커버(42)에 설치된 걸림돌기(47, 48)에 대응한 위치에서 각각 걸림공(52, 53)이 설치되는바, 걸림돌기(47, 48)와 걸림공(52, 53)사이에서 전방커버(41)와 후방커버(42)가 본체(40)를 그사이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가진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조립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40)에 전술한 기구를 조립하고, 미노광 필름(30)이 들어있는 카세트 본체(32)를 넣은후, 본체(40)의 배면과 후방커버(42)의 전면을 결합시킨다음, 전방커버(41)의 돌기(51)를 본체(40)의 구멍(44)에 삽입시켜, 본체(40)를 전방커버(41)와 결합시킴으로써 본체(40)는 비록 후방커버(42)를 누르더라도 움직이지 않게된다.
그리고 후방커버(42)의 걸림돌기(47, 48)가 전방커버(41)의 걸림공(52, 53)과 계합되어 있으므로 전방커버(41)와 후방커버(42)는 본체(40)에 단단히 고정된다. 따라서, 현상소에 보내진 사용된 필름 카세트가 치구등을 사용하여 분해될시에 걸림돌기(47, 48)는 본체(40)에 손상을 주지 않고서 분해 제거될 수 있게된다.
걸림돌기(47, 48)를 용이하게 분해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일본선특허출원에서 제안한 바와같이 걸림돌기의 주위에서 걸림돌기를 분해방향으로 변형되도록한 슬리트를 형성한 구조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다른 실시예를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방커버(62)는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을 구비한 필름 홀더(61)에 부착되는바, 차광부 또는 노광 터널(65)은 촬영렌즈(5), 셧터기구(12) 및 전자 플래쉬 기구(43)가 제공된 사진 촬영 기구부(60)에 탑재된다. 필름 수납체(67)에는 걸림돌기와 걸림공 사이에 걸착되거나 접착에 의해 후방커버(62)에 고정된 필름 홀더(61)가 형성되고, 미노광 필름(30)과 함께 너허지게되며, 필름 권취실(29)의 상부에서 필름 권취노브(9)를 갖는다. 노광부(63)는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 사이에 위치되며 차광부(63)에 의해 형성된 후방주변부(66)에 계합되어지는 홈(64)이 제공되어있다.
후방 주변부(66)가 홈(64)에 삽입되면, 사진 촬영 기구부(60)와 필름 수납채(67)가 위치 결정되고, 또한, 외부로부터 노광부(63)로 들어오는 광선이 차단된다.
필름 수납체(67)에 사진 촬영 기구부(60)를 위치 시킨후,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돌기(51)를 구멍(44)에 삽입함으로써 사진 촬영 기구부(60)에 전방커버(41)가 위치된다. 또한, 후방커버(62)와 전방커버(41)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47, 48)와 걸림공(52, 53)을 계합시킴으로써 필름 유니트(2)의 조립이 완료된다.
비록 상기의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가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로서 촬영을 하는 사진 촬영 기구부를 갖을 지라도, 전자 플래쉬 회로를 X접점에 부착시키는 향상된 구성을 변경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제거 가능한 구조의 전자 플래쉬 기구를 구비한 필름 유니트를 설계할 수도 있다.
제4도에는 이러한 같은 필름 유니트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필름 유니트(2)는 본체(70)와 걸림돌기를 사용하여 본체(70)에 계합되는 전방커버(71)와 후방커버(72)로 구성되는바, 이 커버들은 차광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서 일체로 성형된다. 필름 수납실(28)의 전방에는 이후 기술할 인쇄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걸림돌기(28a)가 형성되어 있다.
촬영렌즈(5)를 보지하기 위한 렌즈보드(77)는 차광부(78)에 설치되는바, 이것은 필름 수납실(28)과 필름 권취실(29)사이에 형성된다. 차광부(78)의 전방에는 스프링(79a)에 의해 작동되며 노광시 외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개구(80)를 덮는 셧터날(79)와 제공된다. 차광부(78)의 우측에는 발광부(10)를 보지하는 인쇄 회로기판(81)이 설치되어있고, 인쇄 회로기판(81)의 전면에는 회로 패턴(82)이 인쇄되어 있는데, 이의 배면에는 전지의 음극과 접속되는 접촉단자(83)와 콘덴서(84)가 설치되어 있다. 회로 패턴(82)은 콘덴선(84)와 함께 전자 플래쉬 기구(43)를 구성한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차광부(78)의 요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그의 측면에는 인쇄 회로기판(81)을 지지하는 지지판(90)과 한쌍의 지지부재(91)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지지판(90)과 지지부재(91) 사이에는 협소한 간격이 형성되는데, 이 사이에 인쇄 회로기판(81)이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된다.
지지판(90)에는 인쇄 회로기판(81)의 위치를 결정하는 한쌍의 돌기(92)와, 이후 기술한 렌즈 보드(77)의 걸림돌기(101)와 계합시켜 렌즈보드(77)를 차광부(78)에 위치시켜 보지하는 걸림공(93)이 형성되어 있다. 보지용 돌기(92)는 지지판(90)대신에 지지부재(91)의 배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인쇄 회로기판(81)의 보지구조는 상술한 것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인쇄 회로기판(81)에는 돌기(92)가 탄입되어지는 한쌍의 구멍(95)과, 걸림공(93)이 노출되지 않도록한 요구(9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회로 패턴(82)에는 X 접점에 접촉되어지는 랜드(97, 98)가 형성되어 있다.
렌즈 보드(77)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한쌍의 요구(100)와 걸림돌기(1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구(100)는 지지부재(91)에 계합되어 렌즈보드(77)를 위치 결정한다.
렌즈보드(77)에는 전술한 X 접점을 구성하는 한쌍의 금속판(102, 103)이 부착 되어있다. 또한, 렌즈보드(77)에는 5개의 돌기(77a~77e)가 형성되어 있는바, 돌기(77b, 77c, 77e)는 금속판(102)에, 돌기(77a, 77b, 77d)는 금속판(103)에 접속되어 이들 금속판을 평행하게 보지한다. 참조번호 76은 촬영 렌즈(5)를 통해 들어오는 광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를 표시한다.
금속판(102, 103)의 일단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L자형으로 절곡되어 랜드(97, 98)에 접촉되는 접촉편(102a, 103a)이 제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102a, 103a)의 중앙부(102b, 103b)는 양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고, 인쇄 회로기판(81)의 상면보다는 낮게 위치된다. 따라서, 양단부와 중앙부(102b, 103b)사이에는 경사면(104)이 형성된다. 지지판(90)상에서 인쇄 회로기판(81)을 제5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 넣으면, 인쇄 회로기판(81)의 선단은 경사면(104)에 접촉되어 접촉편(102a, 103a)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접촉편(102a, 103a)은 랜드(97,98)에 대해 압압되어 접촉된다.
금속판(103)의 타단에는 절곡부(103c)가 형성되는데, 이 절곡부(103c)는 금속판(103)이 셧터날(79)에 의해 압압될 때 금속판(102)에 접촉된다. 또한, 금속판(102)의 타단에는 전지의 양극에 접촉되는 접촉단자(105)가 형성된다.
이하,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렌즈가 부착된 필름 유니트의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차광부(78)에 대해 금속판(102, 103)을 취부한 렌즈보드(77)를 장착한 본체(70)와, 발광부(10)가 조립된 인쇄 회로기판(81)을 별도의 공정으로 조립한 후, 본체(70)에 인쇄 회로기판(81)을 조립한다. 그리고나서, 인쇄 회로기판(81)을 화살표 방향으로 지지판(90)위로 미끄러지게 하여 선단부를 지지판(90)과 지지부재(91)사이에 삽입한다. 인쇄 회로기판(81)의 선단부는 경사면(104)에 접속되어 접촉편(102a, 103a)을 상측방향으로 압압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좀더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인쇄 회로기판(81)은 돌기(92)에 접속된다. 양측 끝부분에 힘을 가함으로써 인쇄 회로기판(81)이 U-자형으로 약간 절곡되는데 이러한 상태로 선단부가 차광부(78)에 접촉될 때까지 인쇄 회로기판(31)을 삽입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 회로기판(81)의 양측 끝부분에 가해지는 힘을 해제하면, 인쇄 회로기판(81)은 평평해져서 구멍(95)이 돌기(92)에 결착되고, 인쇄 회로기판(81) 차광부(78)에 보지 위치된다. 렌즈보드(77)가 차광부(78)에 대해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접촉편(102a, 103a)은 랜드(97, 98)에 확실히 접촉된다.
인쇄 회로기판(81)을 필름 유니트(2)에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방 커버(71)를 제거한 후, 인쇄 회로기판(81)의 양측 끝부분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걸림구멍(95)과 돌기(92)를 해제함으로써 인쇄 회로기판(81)은 제5도의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는데, 인쇄 회로기판(81)의 슬라이드에 의해 금속판(102, 103)을 본체(70)에 남겨두고 차광부(78)와의 장착을 해제하게 된다.
제8도는 또다른 힘을 가하여 X 접점의 접촉편(102a, 103a)을 인쇄 회로기판(81)에 압압하여 금속판과 전자 플래쉬 회로와의 접속을 양호하게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도시한 구조는 2개의 접촉편을 압압하는 구조로서 접촉편(102a, 103a)은 실제로 압압된다. 인쇄 회로기판(81)은 지지판(90)의 전방에 유사하게 장착된다. 인쇄 회로기판(81)의 전면에는 전방커버(71)에 형성된 돌기(110)에 압압되어 돌기(110)와 랜드(97)사이에 보지된다. 돌기(110)에는 가이드면(111)이 설치된 요홈(112)이 형성되는데, 가이드면(111)은 금속판(102)이 상.하로 약간 이동되어질 때 금속판(102)의 위치를 교정하게 된다.
인쇄 회로기판(81)이 본체(70)와 전방커버(71)에 장착될 때, 돌기(110)의 선단부가 금속판(102)에 접속된다. 금속판(102)은 그의 위치가 상.하로 약간 움직이더라도 가이드면(111)에 의해 요홈(112)에 정확하게 삽입된다. 걸림돌기를 사용하여 전방커버(71)가 본체(70)에 부착될 경우, 요홈(112)은 금속판(102)을 인쇄 회로기판(81)에 대해 제8도의 우측으로 압압한다. 따라서, 접촉편(102a)과 랜드(97)는 상호 확실히 접촉된다. 돌기(110)와 인쇄 회로기판(81)사이가 금속판(102)에 비해 매우 협소할 경우, 접촉편(102a)이 변형됨으로써 접촉편(102a)과 랜드(97)에 가해지는 압압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전방커버와 후방커버가 재용해되는 펠리트로 만들어 지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에는 걸림공과 걸림돌기 대신에 이들의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을 초음과 용접으로 고착시킬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공장에서 미리 카세트로부터 전체의 필름을 송출하여 촬영시마다 카세트내에 감도록한 예비권상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카세트를 이용하지 않거나, 필름 수납실과 필름 권취실측의 각각에 카세트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커버와, 후방커버 및 본체등 3개의 구성부로 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전방 및 후방커버를 상면 커버에 계합하고, 전방 및 후방커버에 의해 본체를 협지하도록 할 수 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을지라도 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있을 수도 있다.

Claims (25)

  1. 미노광 필름을 수납하는 필름 수납실과, 노광개구에 노광된 필름을 권취하는 필름 권취실과, 촬영렌즈와, 셧터기구 및 상기 노광된 필름을 감기위한 필름 권취기구등을 구비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노광개구, 필름 수납실, 필름 권취실 및 필름 권취기구를 갖는 필름 수납부; 상기 필름 수납부 뒤에 배치된 후방커버; 상기 촬영렌즈와 셧터기구를 갖는 사진 촬영 기구부; 상기 필름 수납부 전면에 배치된 전방커버; 및 상기 필름 수납부와 상기 사진 촬영 기구부를 상기 두 커버사이에 단단하게 보지되도록 배치하며, 상기 필름 수납부 또는 상기 사진 촬영 기구부가 없더라도 상기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의 외형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및 후방커버를 서로 결함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촬영 기구부는 상기 촬영렌즈와 노광개구 사이에 배치된 차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촬영렌즈와 셧터기구는 차광부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수납부와 사진 촬영 기구부를 본체와 일체로 형성시키고, 상기 후방커버와 전방커버를 서로 결합시켜 이들 커버사이에 장착된 미노광 필름과 본체를 단단히 보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수납부는 상기 후방커버를 필름 수납부 뒤에 부착시킨 필름 수납체로 구성시켜 상기 필름 수납부에 미노광 필름을 넣은 후에 광선으로부터 배면을 차폐하도록하고, 상기 전방 및 후방커버를 서로 결합시켜 상기 필름 수납체와 전방커버 사이에 사진 촬영 기구부를 단단히 보지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광개구의 주변에는 직각의 요홈을 형성시키고, 사진 촬영 기구부의 차광부의 배면에는 상기 요홈이 결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커버 중 어느 한곳에는 걸림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전방 및 후방커버 중 다른 곳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계합되는 걸림공을 형성시켜서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권취실에는 회전 스풀을 갖는 카세트를 수납시키고, 상기 필름 수납실에는 상기 미노광 필름이 상기 카세트로부터 풀려진 뒤에 형성되는 필름 두루마리를 수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를 렌즈보드에 장착시키고, 상기 전방커버의 배면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위치 결정핀을 상기 렌즈보드에 형성된 적어도 2개의 구멍에 계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커버를 L-자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후방커버에는 상기 필름 수납실, 필름 권취실 및 노광개구 뒤로부터의 광선을 차폐하기 위한 제1부위와, 상기 필름 수납실과 필름 권취실의 하부로 부터의 광선을 차폐하기 위한 제2부위를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를 L-자형으로 형성시키고, 상기 전방커버에는 상기 사진 촬영 기구부의 전방에 배치된 제3부위와, 상기 필름 수납부의 상측에 배치된 제4부위를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위의 상면에는 제1걸림돌기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2부위의 전면에는 제2걸림돌기를 형성시키며, 상기 제4부위의 배면에는 상기 제1걸림돌기와 결합되는 제1걸림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3부위의 하면에는 상기 제2걸림돌기와 결합되는 제2걸림공을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진 촬영시에 발광부가 섬광을 발생시키도록 한 플래쉬 기구의 플래쉬 회로기판과; 상기 회로기판과;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면에 제공된 한쌍의 접점과; 상기 사진 촬영 기구부에 지지되어 어느 한쌍의 단부는 셧터기구의 작동시에 온/오프되는 X접점으로 작용하고, 다른 한쌍의 단부는 단자로서 작용하기 위해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세장형 금속 접촉판; 및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이 사진 촬영 기구부에 제거가능하게 삽입될 때 플래쉬 회로기판의 접점을 상기 접촉판의 단자에 접촉되도록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를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에 장착 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셧터기구의 셧터날의 부위에 의해 압압되어 셧터날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다른 접촉판과 접촉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을 촬영렌즈를 지지하는 렌즈보드에 부착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의 접점은 랜드이고, 상기 접촉판의 단자는 L-자형으로 만곡되어 탄력적으로 상기 랜드와 접촉되도록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플래쉬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과, 플래쉬 회로기판을 지지하기 위해 플래쉬 회로기판 전방에 설치된 지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과 지지부재를 촬영렌즈와 노광개구 사이에 배치된 차광부의 외측에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커버에는 접촉판을 플래쉬 회로기판에 압압하기 위한 수단이 또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전방커버의 배면에 형성되어 플래쉬 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적어도 1개의 돌기와; 상기 돌기에 형성되어 접촉판을 플래쉬 회로기판과 접촉시키도록 접촉판을 수납하기 위한 2개의 요홈; 및 상기 돌기에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삽입되어지는 접촉판을 안내하기 위한 경사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1. 필름 권취기구, 촬영렌즈 및 셧터를 구비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필름 권취기구와 촬영렌즈 및 셧터가 형성되고 미노광 필름 수납하는 본체; 상기 본체 전방에 배치된 전방커버; 및 상기 본체 뒤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전방커버와 결합되는 후방커버로 구성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2. 필름 권취기구와, 필름 수납부에 미노광 필름을 넣은 후에 광선으로부터 필름 수납부의 배면을 차폐하도록 필름 수납부에 부착된 후방커버가 형성된 필름 수납체; 촬영렌즈와 셧터기구가 형성된 사진 촬영 기구; 및 상기 사진 촬영 기구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사진 촬영기구를 필름 수납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사진 촬영 기구를 지지하도록 상기 후방커버와 결합되는 전방커버로 구성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3. 촬영렌즈, 셧터기구 및 필름 권취기구가 미노광 필름을 수납하는 필름 하우징에 장착된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촬영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홀더; 플래쉬 기구를 위한 플래쉬 회로기판; 및 상기 렌즈홀더에 지지되어 나란히 배치된 한쌍의 금속접촉판으로 구성시키되, 상기 각 접촉판의 한쌍의 단부는 상기 셧터기구가 상기 단부에 접촉될때 플래쉬기구가 섬광을 위한 동기신호를 발생하는 X접점을 구성하고, 다른 한쌍의 단부는 단자로서 작용하며 플래쉬 회로기판쪽으로 연장되며, 상기 단자들은 플래쉬 인쇄기판이 필름 하우징에 삽입될 때 상기 플래쉬 회로기판의 접점에 압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의 단자들은 L-자형으로 만곡되어 플래쉬 회로기판의 접점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경사짐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판을 플래쉬 회로기판에 압압하기 위한 수단을 또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KR1019910011516A 1990-07-09 1991-07-08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KR01549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0994 1990-07-09
JP18099490 1990-07-09
JP8358090 1990-08-07
JP2-83580 1990-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095A KR920003095A (ko) 1992-02-29
KR0154986B1 true KR0154986B1 (ko) 1998-12-01

Family

ID=2642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516A KR0154986B1 (ko) 1990-07-09 1991-07-08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70199A (ko)
EP (1) EP0465897B1 (ko)
KR (1) KR0154986B1 (ko)
CN (1) CN1031478C (ko)
DE (1) DE691275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9391B2 (ja) * 1991-07-15 1998-12-1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368664A (en) * 1991-11-01 1994-11-29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film casset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235366A (en) * 1992-03-09 1993-08-10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use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camera
DE69311828T2 (de) * 1992-04-09 1997-10-16 Fuji Photo Film Co Ltd Filmpackung mit Aufnahmeobjektiv
US5600391A (en) * 1992-09-15 1997-02-04 Eastman Kodak Company One piece viewfinder and fabrication process
JP2925860B2 (ja) * 1992-11-04 1999-07-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分解組立方法
EP0599230B1 (en) * 1992-11-20 1998-02-04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 lens-fitted photo film unit
DE4414854A1 (de) * 1994-04-28 1995-11-02 Agfa Gevaert Ag Fotografischer Rollfilmpack mit einer Aufnahmelinse
US5452033A (en) * 1994-06-06 1995-09-19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use photographic film package and camera
US5615394A (en) * 1994-06-23 1997-03-25 Eastman Kodak Company Anamorphic lens for a photographic flash assembly
US5574337A (en) * 1994-06-30 1996-11-12 Eastman Kodak Company Single touch flash charger control
US5541687A (en) * 1995-01-03 1996-07-30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nic flash assemblage with reflector to circuit board connection
US5870643A (en) * 1995-12-28 1999-02-09 Eastman Kodak Company Single-use flash cameras with reflector or siren
GB2312050B (en) * 1996-04-10 2001-04-04 Eastman Kodak Co Camera with smile sound
US5878283A (en) * 1996-09-05 1999-03-02 Eastman Kodak Company Single-use camera with motion sensor
US5708876A (en) * 1997-01-14 1998-01-13 Eastman Kodak Company One-time-use camera with combined shutter-flash synchronization contact and holder for flash capacitor and battery
US7126629B1 (en) 2001-09-07 2006-10-24 Pure Digital Technologies, Icn. Recyclable, digital one time use camera
US6628896B2 (en) 2001-12-04 2003-09-30 Arc Design, Inc. Motorized single use camera
CA2558239A1 (en) * 2004-03-06 2005-09-22 Calisto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quantitative information of substances in living organis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57833A (ko) * 1972-09-30 1974-06-05
US4041507A (en) * 1975-07-02 1977-08-09 W. Haking Industries, Ltd. Camera for underwater and above water use
US4803504A (en) * 1984-09-03 1989-02-07 Canon Kabushiki Kaisha Waterproof camera
US4801957A (en) * 1988-02-18 1989-01-31 Eastman Kodak Company Disposable single-use camera and accessory re-usable electronic flash unit
DE3905310C2 (de) * 1988-02-22 2003-02-27 Fuji Photo Film Co Ltd Einwegkamera
US4882600A (en) * 1989-04-07 1989-11-21 Eastman Kodak Company Underwater disposable single-use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65897A2 (en) 1992-01-15
CN1058106A (zh) 1992-01-22
EP0465897A3 (en) 1993-03-10
DE69127594T2 (de) 1998-01-22
US5170199A (en) 1992-12-08
KR920003095A (ko) 1992-02-29
EP0465897B1 (en) 1997-09-10
DE69127594D1 (de) 1997-10-16
CN1031478C (zh) 1996-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4986B1 (ko) 렌즈 부착형 필름 유니트
US5436685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whose parts can be recycled easily
US5235364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with flash unit
GB2216278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US5659803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US5563669A (en) One-time-use camera with heat disabling mechanism
US5913083A (en) Camara-to-flash unit attachment assembly
GB2202056A (en) Camera-film package
KR19990068184A (ko) 컴팩트 카메라
US615460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5875369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unit
US6480682B1 (en) Photometric device comprising a photo sens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JP294264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4011587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US5899583A (en) Viewfinder lens assembly
JP3059616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JPH10301180A (ja) 小型カメラ
US6356711B1 (en) Lens-fitted photo film unit and sprocket wheel for the same
JP2000066276A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
GB2247754A (en) Lens-fitted photographic film package
KR100665725B1 (ko) 보조 모듈을 갖는 렌즈 부착 사진 필름 유닛
JP3310770B2 (ja) レンズ付きフイルム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035129A (en) Optical film encoder for camera
JP3340107B2 (ja) カメラ
JP2847901B2 (ja) 特殊画面撮影用の遮光部材および撮影範囲表示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