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819B1 -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819B1
KR0154819B1 KR1019950014846A KR19950014846A KR0154819B1 KR 0154819 B1 KR0154819 B1 KR 0154819B1 KR 1019950014846 A KR1019950014846 A KR 1019950014846A KR 19950014846 A KR19950014846 A KR 19950014846A KR 0154819 B1 KR0154819 B1 KR 015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signal
voltage
automatic gain
g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068A (ko
Inventor
목도상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819B1/ko
Priority to JP10086496A priority patent/JP3872127B2/ja
Priority to TW085106725A priority patent/TW310500B/zh
Priority to US08/659,527 priority patent/US5822017A/en
Priority to DE19622627A priority patent/DE19622627A1/de
Publication of KR970003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2Automatic gain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을 퓨징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조정모드시 시리얼 입력데이터에 따라 자동이득제어회로의 이득이 최적의 값을 갖는 입력데이터를 찾고 퓨징모드시 이득이 최적이 되는 입력데이터를 인가하여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를 결정하여 정상모드시 퓨징여부가 결정된 퓨징결과 신호들에 따라 자동이득 제어회로는 항상 최적의 이득을 갖는다.

Description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2도는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논리조정회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3도(a)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퓨징회로도의 블록다이아그램.
제3도(b)는 퓨징회로도의 퓨징회로1의 상세도.
제4도는 자동이득제어회로의 블록다이아그램.
제5도는 자동이득제어회로의 전압가변회로이다.
본 발명은 자동이득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Integrated Circut:IC)의 제조과정은 매우 복잡하므로 동일한 기능을 가진 IC를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완성된 IC의 전기적 특성은 설계목표치를 기준으로 여러 가지로 나올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특성의 불균일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이득제어회로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ideo Cassette Recoder:VCR)의 영상신호처리IC에서도 휘도신호 기준으로 1.0Vpp의 영상신호입력에 대하여 2.0Vpp의 영상신호출력이 되어야 한다.
종래의 자동이득제어회로는 상기의 설계목표치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IC외부에 가변저항을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서 자동이득제어의 감도를 조정한다.
이렇게 가변저항에 의하여 자동이득제어의 감도조정을 일일이 손으로 하였기 때문에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제조시간이 길어지며 제조원가도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전류를 흘려주면 녹는(퓨징:Fusing) 메탈(Metal) 또는 폴리실리콘(Poly-Silicon)으로 만든 다수의 퓨징소자로 구성된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은 두입력단의 입력차에 따라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및 입력단, 출력단 및 제어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제어단에 인가되는 상기의 자동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상기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전압제어증폭기로 구성된 자동이득제어회로에 있어서, 일정전류를 흘려주면 퓨징되는 다수의 퓨징소자들을 가지고 있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의 다수의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를 결정하여 퓨징소자가 퓨징되면 로우 논리값을 갖고 퓨징되지 않으면 하이 논리값을 갖는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퓨징시스템 및 상기의 증폭기의 입력차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의 스위칭신호들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변화됨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는 일정전류를 흘려주면 퓨징되는 다수의 퓨징 소자를 가지고 있는 퓨징시스템(100)과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증폭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이득제어회로(200)로 구성되어 있다. 퓨징시스템(100)은 퓨징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클럭입력신호CK,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부로 나누어지는 시리얼데이터(Serial Data)신호D, 퓨징소자를 퓨징하기 위한 셋트신호SET들을 수신하여 퓨징소자의 퓨징여부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논리값을 갖는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퓨징시스템(100)은 클럭입력신호CK, 시리얼데이터신호D, 셋트신호SET들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그들의 전압레벨이 퓨징시스템을 구동시킬 수 없을 정도로 낮을 경우에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퓨징시스템을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높은 전압레벨로 만들어 내부클럭신호CKI, 내부시리얼데이터D1, 내부셋트신호SET1들을 출력하는 조정모드 인터페이스회로(10), 상기의 출력신호들을 수신하여 다수의 퓨징소자들 각각의 퓨징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시리얼 입력데이터를 찾기 위한 조정모드시 시리얼입력데이터에 따라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을 출력하고 조정모드 완료후 조정모드시에 찾은 최적의 시리얼데이터에 따라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를 결정하는 퓨징모드시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을 출력하는 논리조정회로(20), 퓨징모드시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에 따라 다수의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를 결정하여 그 결과에 따라 항상 고정된 데이터값을 갖게되는 퓨징결과신호들FADJ11~FADJ1n을 출력하는 퓨징회로(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에서 논리조정회로(20)은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부로 나누어지는 내부시리얼 데이터D1를 내부클럭신호CKI에 의해 한 비트씩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를 병렬로 어드레스 및 데이터를 출력하는 데이터저장회로(21), 병렬로 출력된 어드레스를 디코드하여 조정모드인에이블신호AJEN 및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FUEN를 출력하는 어드레스디코더회로(22), 조정모드인에이블신호AJEN나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FUEN가 활성화(Active)될 때 즉 조정모드 또는 퓨징모드시에 병렬로 출력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래치하는 제1래치회로(23),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FUEN만이 인에이블될 때 인에이블되어 제1래치회로(23)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래치하고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을 출력하는 제2래치회로(24), 조정모드 인에이블신호AJEN 및 내부셋트신호SET1가 활성화될 때 제1래치회로(23)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내부셋트신호SET1이 비활성화될 때 다수의 퓨징결과신호들의 데이터를 선택하여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을 출력하는 데이터선택회로(25)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a)는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의 퓨징회로(30)의 블록다이아그램이며 제3도(b)는 퓨징회로의 일부분인 퓨징회로1의 실시예이다.
제3도(b)의 퓨징회로1의 구성은 셋트신호SET와 제1노드A 사이에 있는 퓨징소자(32), 논리조정회로(20)의 출력인 퓨징선택신호들에 따라 상기의 퓨징소자의 퓨징여부를 결정하는 퓨징 인에이블회로(31), 콜렉터가 전원공급Vdd에 연결되고 베이스에 제1바이어스 전압Vbias1이 인가되고 에미터가 제2노드B에 연결되어 있는 제1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 제2노드B와 제3노드C 사이에 있는 저항R1, 한 단자가 접지전압에 연결되고 다른 단자가 제3노드C에 연결된 저항R2, 제1노드의 전압과 제3노드의 전압에 따라 로우 또는 하이 논리값을 갖는 퓨징결과신호들FADJ11~FADJ1n을 출력하는 제1비교기(33)로 구성되어 있다.
퓨징 인에이블회로(31)는 다수의 퓨징 선택신호들CADJ11~CADJ1n이 하이 논리값일 때 오프되고 로우 논리값일때는 되는 제1피모스트랜지스터MP1, 제1피모스트랜지스터MP1이 오프일 때 오프되고 온될 때 온되는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제2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될 때 오프되고 온될 때 포화(Saturation)되는 제3바이폴라 트랜지스터Q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도에서 자동이득제어회로(200)는 입력단, 출력단 및 제어단을 가지고 있고 제어단에 인가되는 자동이득 제어신호의 조정에 따라 입력단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증폭기VCA(210), 증폭된 영상신호를 검출하는 자동이득제어검출기(240), 논리조정회로(20)의 출력인 다수의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의 논리값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고 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회로(250), 자동이득 제어검출기(2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전압가변회로(25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의 차를 증폭하는 증폭기(230), 증폭기의 출력을 평탄화시켜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이득제어필터(220)로 구성되어 있다.
제5도는 전압가변회로(250)의 상세도로서 전압가변회로(250)는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의 논리값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전류변화회로(251), 전류변화회로(251)에서 발생된 전류에 따라 가변되는 가변전압V0를 출력하는 전류-전압변환회로(252)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변화회로(251)는 일정 전류를 흘려주는 다수의 전류원들, 소스가 상기의 전류원들중 하나의 전류원에 연결되고 게이트가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중 하나에 연결되고 드레인이 모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스위칭수단들인 피모스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어 있다.
전류-전압변환회로(252)은 제4, 제5바이폴라트랜지스터Q4, Q5, 저항R5, R6로 구성되어 제4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에 흐르는 전류와 동일하게 또는 저항 R5와 R6의 비를 조정하여 그 비 만큼의 전류를 제5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에 흐르게 하는 제1미러회로(253), 피모스트랜지스터들 MP6, MP7으로 구성되어 피모스트랜지스터MP6에 흐르는 전류와 피모스트랜지스터MP7에 흐르는 전류가 동일하도록 하는 제2미러회로(254), 제6, 제7바이폴라 트랜지스터들Q6, Q7로 구성되어 제6바이폴라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바이어스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제7바이폴라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가 갖도록 하는 전압쉬프터(255), 저항R7 및 전류원CS로 구성되어 있다.
제1미러회로(253)에서 제4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콜렉터는 전류변화회로(251)의 스위치칭수단들인 피모스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들과 연결되고 제4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는 저항R5의 한 단자와 연결되고 저항R5의 다른 단자는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5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는 제4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저항R6의 한 단자와 연결되고 저항R6의 다른 단자는 접지단자에 연결되어 있다. 제5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의 콜렉터는 전류원CS의 한 단자와 연결되고 있다.
제2미러회로(254)에서 피모스트랜지스터MP6의 소스는 전원공급Vdd에 연결되고 게이트와 드레인은 공통으로 연결되며 피모스트랜지스터MP7의 소스는 전원공급Vdd에 연결되고 게이트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6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드레인은 저항R7의 한 단자와 연결되어 전류변화에 따른 가변전압V0를 출력한다.
전압쉬프터(255)에서 제6바이폴라 트랜지스터Q6의 콜렉터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6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베이스는 일정한 바이어스전압Vbias2이 인가되고 에미터는 전류원CS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제7바이폴라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와 베이스는 저항R7의 다른 단자에 연결되고 에미터는 제6바이폴라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에 연결되어 있다. 전류원CS의 다른 단자는 접지전압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는 세가지 모드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모드는 퓨징시스템의 퓨징소자의 퓨징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조정모드이고, 두 번째 모드는 조정모드에서 찾은 입력데이터를 입력하여 퓨징시스템의 퓨징소자의 퓨징여부가 결정되는 퓨징모드이고, 세 번째 모드는 퓨징모드에서 결정된 퓨징소자의 퓨징여부에 따라 퓨징시스템은 항상 고정된 데이터들을 출력함으로써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어 주는 정상모드이다.
상기의 조정모드나 퓨징모드시에는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의 입력신호인 셋트신호SET는 항상 하이 논리값이 되고 정상모드시에는 로우 논리값이 된다.
제1도의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조정모드 인터페이스회로(10)는 클럭신호CK, 어드레스와 데이터가 시리얼하게 입력되는 시리얼데이터신호D 및 셋트신호SET들이 논리조정회로(20)를 구동시킬 수 없는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낮은 전압레벨일 경우 이들의 입력신호들의 노이즈가 제거되거나 높은 전압레벨을 갖는 내부클럭신호CK1, 내부시리얼데이터D1 및 내부셋트신호SET1를 출력한다. 물론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 제어시스템의 입력들인 클럭신호CK, 시리얼데이터신호D 및 셋트신호SET들이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고 논리조정회로(20)를 충분히 구동시킬 수 있는 전압레벨을 갖는 경우에는 조정모드 인터페이스회로(10)는 필요가 없다.
제2도의 논리조정회로(20)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데이터저장회로(21)는 내부클럭신호CK1에 따라 내부시리얼데이터D1의 어드레스부와 데이터부를 순차적으로 수신하여 이들 데이터를 병렬로 출력하며 어드레스 디코더회로(22)는 상기 병렬로 출력되는 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조정모드 인에이블신호AJEN, 퓨징모드 인에이블신호FUEN을 출력하며 이들의 인에이블신호들에 따라 제1래치회로(23)에 상기의 데이터부의 병렬데이터를 출력한다.
어드레스 디코더회로(22)에 조정모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입력되면 어드레스 디코더회로(22)의 출력인 조정모드 인에이블신호AJEN은 활성화되고 퓨징모드 인에이블신호FUEN은 비활성화되어 제1래치회로(23)는 인에이블되고 데이터저장회로(21)에 저장된 데이터가 입력되어 이를 래치하며 제2래치회로(24)는 디스에이블 되어 모두 하이 논리값을 갖는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을 출력한다. 데이터선택회로(25)는 조정모드 인에이블신호AJEN 및 내부셋트신호SET1가 활성화되어 있으므로 제1래치회로(23)에 래치하고 있는 데이터를 선택하여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을 출력한다. 즉 조정모드시에는 시리얼 데이터신호D의 데이터들과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의 데이터들은 동일하다. 어드레스 디코더회로(22)에 퓨징모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입력될때에는 조정모드 인에이블신호AJEN은 비활성화되고 퓨징모드 인에이블신호FUEN은 활성화되어 제1래치회로(23) 및 제2래치회로(24)는 모두 인에이블되므로 제2래치회로(24)는 제1래치회로(23)에 래치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퓨징소자의 퓨징여부를 결정하는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을 출력한다. 정산모드시에는 내부셋트신호SET1은 로우가 되므로 데이터선택회로(25)는 퓨징회로(30)에서 출력되는 퓨징결과 신호들FADJ11~FADJ1n을 선택하여 이들을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로 출력한다.
제3도의 퓨징회로, 제4도의 자동이득제어회로, 제5도의 전압가변회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조정모드인 경우 제3도의 퓨징회로(30)에 입력되는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은 모두 하이 논리값을 가지므로 퓨징 인에이블회로(31)의 피모스트랜지스터MP1은 오프되고, 제2, 제3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Q3는 모두 오프되어 퓨징회로(30)의 모든 퓨징소자들은 퓨징되지 않는다. 조정모드시에는 시리얼 데이터신호D의 데이터들과 스위칭 제어신호들ADJ11~ADJ1n의 데이터들은 동일하므로 제5도의 전압가변회로(250)의 스위칭수단들인 다수의 피모스트랜지스터들은 입력된 데이터들에 따라 온 또는 오프가 결정된다. 예를들어 조정모드시 시리얼 데이터신호D가 모두 하이 논리값을 갖고 개개의 전류원이 100μA를 흘려주는 전류원들로 된 다수의 전류원이라면 상기의 각 스위칭수단들은 모두 오프 되고 제1미러회로(253)의 제4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는 오프되므로 제2미러회로(254)의 피모스트랜지스터MP6 혹은 피모스트랜지스터MP7에 흐르는 전류는 전류원CS에 흐르는 전류의 반이 흐른다. 또한 전압쉬프터회로(255)에 의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6의 베이스에 제2바이어스전압 Vbias2이 인가되므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7의 콜렉터 전압은 제2바이어스 전압이 된다. 따라서 전압가변회로(250)의 출력인 가변전압V0는 R7 × CS/2+Vbias2의 전압을 갖는다. 만약에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중에서 어느 하나만이 로우 논리값을 갖을 때에는 상기의 스위칭수단들중 어느 하나만이 온되므로 제1미러회로(253)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에는 상기의 다수의 전류원들중 하나의 전류원에 흐르는 전류인 100μA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는 온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는 포화상태가 되며 저항R5와 R6의 저항값의 비에 따라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결정된다. 예를들어 저항R5와 R6가 동일한 저항값을 갖는다면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5에 흐르는 전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4에 흐르는 전류와 같아진다. 따라서 제2미러회로(254)의 피모스트랜지스터MP6 또는 피모스트랜지스터MP7에 흐르는 전류는 각각 CS/2+50μA가 되므로 전압가변회로(250)의 출력인 가변전압V0는 R7×(CS/2+50)+Vbias2가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하여 시리얼데이터신호D의 데이터들에 따라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의 데이터들은 동일하게 변화되어 상기의 스위칭수단들의 온 또는 오프되도록 제어함으로서 제1미러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가변되고 이에따라 전압가변회로는 가변전압V0를 출력한다. 상기의 가변전압V0는 제4도의 증폭기(230)의 하나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을 제어하므로 조정모드시 시리얼 데이터신호D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계속해서 바꾸어 주어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이 최적이 되도록 해 주는 최적의 입력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시리얼데이터신호D에 퓨징모드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상기의 최적의 입력데이터가 입력되면 제2도의 논리조정회로(20)의 출력인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은 최적의 입력데이터와 동일하게 된다.
제3도의 퓨징회로(30)는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에 따라 퓨징소자들을 퓨징되도록 인에이블시키거나 퓨징되지 않도록 디스에이블된다. 예를들어 퓨징선택신호들CADJ11~CADJ1n중 제1퓨징선택신호CADJ11가 하이 논리값을 갖는다면 피모스트랜지스터MP1은 오프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 Q3는 오프되므로 퓨징소자(32)는 퓨징되지 않는다. 만약에 제1퓨징선택신호CADJ11가 로우 논리값을 갖는다면 피모스트랜지스터MP1은 온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2는 온되고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3는 포화상태가 되고 퓨징모드시 셋트신호SET는 전원공급Vdd가 입력되므로 퓨징소자(32)는 퓨징된다. 따라서 퓨징모드시 조정모드에서 찾은 최적의 입력데이터들에 따라 퓨징회로(30)의 다수의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가 결정되어 퓨징시스템(100)은 고정된다.
상기의 퓨징모드가 완료된 이후 본 발명의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이 비디오 카세트 레코드등의 셋트에 적용될때의 정상모드에서는 셋트신호SET는 접지전압에 연결되므로 논리적으로 로우가 입력되어 퓨징회로(30)의 퓨징소자는 더 이상 퓨징되지 않게 된다.
제3도(b)에서 퓨징소자가 퓨징모드시 퓨징되었다면 제1노드A의 전압은 제3노드C의 전압보다 크므로 비교기(33)의 출력인 제1퓨징결과신호FADJ11은 로우 논리값을 출력하며 퓨징소자가 퓨징되지 않았다면 제1노드A는 셋트신호SET에 입력되는 로우 논리값을 갖게되므로 제1노드A의 전압은 제3노드C의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갖게되어 비교기(33)의 출력인 제1퓨징결과신호FADJ11은 하이 논리값을 출력한다. 따라서 스위칭제어신호들ADJ11~ADJ1n은 퓨징회로(30)의 출력인 퓨징결과신호들FADJ11~FADJ1n을 선택하여 출력하고 전압가변회로(250)는 자동이득 제어회로의 전압제어증폭기가 최적의 이득을 갖는 전압V0를 출력하여 자동이득제어회로의 증폭기(230)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정상모드시 자동이득제어회로는 영상신호입력에 대해 항상 최적의 영상신호출력을 갖는다.

Claims (15)

  1. 두입력단의 입력차에 따라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및 입력단, 출력단 및 제어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제어단에 인가되는 상기의 자동이득제어신호에 따라 상기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전압제어증폭기로 구성된 자동이득제어회로에 있어서, 일정전류를 흘려주면 녹는 다수의 퓨징소자들을 가지고 있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상기의 다수의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를 결정하여 퓨징소자가 퓨징되면 로우 논리값을 갖고 퓨징되지 않으면 하이 논리값을 갖는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퓨징시스템; 및 상기의 증폭기의 입력차를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의 스위칭신호들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변화됨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퓨징시스템은 어드레스와 데이터로 구성된 시리얼데이터신호, 클럭신호 및 셋트신호를 수신하여 상기의 셋트신호가 하이일 때 시리얼데이터신호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의 다수의 스위칭제어신호들을 출력하여 최적이 되는 상기의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해 주는 최적의 데이터를 찾고, 상기의 최적의 데이터를 시리얼데이터신호로 하여 퓨징소자의 퓨징여부를 결정하는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을 출력하고 상기의 셋트신호가 로우일 때 퓨징소자들의 퓨징결과를 상기의 스위칭제어신호들로 출력하는 논리조정수단; 및 상기의 셋트신호가 하이일 때 상기의 다수의 퓨징선택신호들에 따라 다수의 퓨징소자들의 퓨징여부가 결정된 퓨징결과신호들을 상기의 논리조정수단으로 출력하는 퓨징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퓨징시스템은 외부의 입력신호들이 잡음이나 낮은 전압레벨을 갖아서 상기의 논리조정수단을 구동시킬 수 없는 경우 그 잡음을 제거하거나 낮은 전압레벨을 높은 전압레벨로 상승시켜주는 조정모드 인터페이스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논리조정수단은 상기의 클럭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시리얼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저장수단; 상기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어드레스를 수신하여 조정모드인에이블신호 및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를 출력하는 어드레스디코더수단; 상기의 조정모드인에이블신호 및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가 활성화될 때 인에이블되어 상기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래치하는 제1래치수단; 상기의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가 활성화될 때 인에이블되어 상기의 제1래치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래치하고 상기의 퓨징선택신호들을 출력하고 퓨징모드인에이블신호가 비활성화될 때 모두 하이 논리값을 갖는 퓨징선택신호들을 출력하는 제2래치수단; 및 상기의 셋트신호가 하이이고 상기의 조정모드인에이블신호가 활성화될 때 상기의 제1래치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고 상기의 셋트신호가 로우일 때 상기의 퓨징결과신호들을 선택하여 스위칭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데이터선택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의 퓨징회로는 상기의 셋트신호가 하이이고 상기의 퓨징선택신호들이 하이일 때 퓨징소자들은 퓨징되지 않고 상기의 셋트신호가 하이이고 상기의 퓨징선택신호들이 로우일 때 퓨징소자들을 퓨징시키는 퓨징인에이블수단; 및 상기의 셋트신호가 로우일 때 퓨징소자가 퓨징되었으면 로우 논리값을 갖고 퓨징소자가 퓨징되지 않았으면 하이 논리값을 갖는 퓨징결과신호들을 출력하는 비교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압가변수단은 상기의 스위칭제어신호들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는 전류변화수단; 및 상기의 전류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류-전압변환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류변화수단은 전원공급단자에 연결되어 일정전류를 흘려주는 다수의 전류원들; 및 상기의 전류원들과 연결되어 상기의 스위칭제어신호가 로우일 때 온되고 하이일 때 오프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의 스위칭수단들은 피모스트랜지스터들로 구성되며 상기의 피모스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는 상기의 스위칭제어신호들에 연결되고 피모스트랜지스터들의 소스는 상기의 전류원들 각각에 연결되고 피모스트랜지스터들의 드레인은 모두 공통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류-전압변환수단은 제1, 제2바이폴라트랜지스터로 구성되어 제1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와 같거나 제1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일정비만큼 제2바이폴라트랜지스터에 흐르도록 하는 제1미러회로; 제1, 제2피모스트랜지스터, 제1저항으로 구성되어 제1피모스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와 같은 전류가 제2피모스트랜지스터에 흐르도록 하며 상기의 제2피모스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전압을 출력하는 제2미러회로; 및 상기의 제2미러회로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류-전압변환수단은 상기의 제2미러회로의 출력전압이 외부에서 인가한 제1바이어스전압보다 큰 전압을 갖도록 하는 전압쉬프터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는 상기의 전류변화수단의 출력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2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의 제1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1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2저항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2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3저항의 한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2, 제3저항의 다른 단자는 접지단자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2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콜렉터는 상기의 제1전류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 제2피모스트랜지스터의 소스는 전원공급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1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드레인은 상기의 제2피모스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2피모스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은 상기의 제1저항의 한 단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의 전압쉬프터는 제3, 제4바이폴라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의 제3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상기의 제1바이어스전압이 인가되고 콜렉터는 상기의 제1피모스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4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콜렉터는 상기의 제1저항의 다른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의 제3, 제4바이폴라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공통으로 연결되어 상기의 전류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4. 두입력단의 입력차에 따라 자동이득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증폭기 및 입력단, 출력단 및 제어단을 가지고 있고, 상기의 제어단에 인가되는 상기의 자동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의 입력단에 인가되는 영상신호를 증폭하는 전압제어 증폭기로 구성된 자동이득제어회로에 있어서, 시리얼 데이터신호에 따라 전류의 크기를 변화시켜 그 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의 증폭기의 입력차를 조정하여 상기의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이 최적이 되도록 하는 최적의 입력데이터를 찾기위한 조정모드수단; 일정전류를 흘려주면 녹는 다수의 퓨징소자를 가지고 있고 상기의 최적의 입력데이터가 로우일 때 상기의 퓨징소자가 퓨징되고 하이일 때 퓨징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의 다수의 퓨징소자의 퓨징여부를 결정하는 퓨징모드수단; 및 상기의 퓨징모드수단에 의하여 퓨징소자가 퓨징되면 로우 논리값을 갖고 퓨징되지 않으면 하이 논리값을 갖는 고정된 신호들에 따라 상기의 전압제어증폭기의 이득이 항상 최적이 되도록 하는 정상모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의 조정모드수단은 시리얼데이터신호를 수신하여 병렬로 출력하는 데이터저장수단; 셋트신호를 수신하여 셋트신호가 하이일 때 상기의 데이터저장수단에 저장된 데이터를 선택하여 그에 따라 변화되는 제1스위칭 제어신호들을 출력하는 데이터선택수단; 및 상기의 제1스위칭제어신호들에 따라 전류의 크기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가변되는 전압을 출력하여 상기의 증폭기의 입력차를 변화시켜 주는 전압가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KR1019950014846A 1995-05-30 1995-06-05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KR015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846A KR0154819B1 (ko) 1995-06-05 1995-06-05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JP10086496A JP3872127B2 (ja) 1995-06-05 1996-04-23 ヒュージング・システムを利用した自動利得制御システム
TW085106725A TW310500B (ko) 1995-06-05 1996-06-05
US08/659,527 US5822017A (en) 1995-05-30 1996-06-05 AGC for video signal comprising fusible links
DE19622627A DE19622627A1 (de) 1995-06-05 1996-06-05 Automatisches Verstärkungssteuer- bzw. -regelsystem mit einem Sicherungs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846A KR0154819B1 (ko) 1995-06-05 1995-06-05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068A KR970003068A (ko) 1997-01-28
KR0154819B1 true KR0154819B1 (ko) 1998-12-15

Family

ID=19416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846A KR0154819B1 (ko) 1995-05-30 1995-06-05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72127B2 (ko)
KR (1) KR0154819B1 (ko)
DE (1) DE19622627A1 (ko)
TW (1) TW31050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4096B2 (en) 2002-10-07 2013-07-23 Tp Vision Holding B.V. Automatically setting an operative state of a wideband amplif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94096B2 (en) 2002-10-07 2013-07-23 Tp Vision Holding B.V. Automatically setting an operative state of a wideband ampl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72127B2 (ja) 2007-01-24
KR970003068A (ko) 1997-01-28
DE19622627A1 (de) 1996-12-12
TW310500B (ko) 1997-07-11
JPH08330870A (ja) 199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08558A (en) Crystal oscillator having plural inverters disabled after start-up
US4999519A (en) Semiconductor circuit with low power consumption having emitter-coupled logic or differential amplifier
US4604533A (en) Sense amplifier
JPH08194554A (ja) ほぼ一定の基準電流を発生するための電流発生器回路
US5608344A (en) Comparator circuit with hysteresis
JPH0757475A (ja) 半導体メモリ集積回路装置
KR100188821B1 (ko) 정전압발생회로
US4785259A (en) BIMOS memory sense amplifier system
KR0146862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FR2733622A1 (fr) Amplificateur de lecture de courant destine a etre utilise dans un dispositif de memoire a semi-conducteurs
EP0439158B1 (en) High speed level conversion circuit
KR0154819B1 (ko)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자동이득제어시스템
JP3938410B2 (ja) 半導体集積回路
EP0488394A2 (en) Oscillation circuit
US5369318A (en) Level translator capable of high speed operation
EP0877386A1 (en) Method and device for analog programming of non-volatile memory cells, in particular flash memory cells
KR100439039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 장치의 센스 증폭기
US5706236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115412A (en) Data read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data out
US5313120A (en) Address buffer with ATD generation
US5822017A (en) AGC for video signal comprising fusible links
US6870783B2 (en) Mode entrance control circuit and mode entering method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2619692B2 (ja) インターフェイス回路およびプログラム可能論理配列装置
KR100188104B1 (ko) 퓨징시스템을 이용한 주파수변조신호 출력회로
US5329183A (en) ECL-CMOS level convert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